KR20060098481A - 차선 규제봉 - Google Patents

차선 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481A
KR20060098481A KR1020050017586A KR20050017586A KR20060098481A KR 20060098481 A KR20060098481 A KR 20060098481A KR 1020050017586 A KR1020050017586 A KR 1020050017586A KR 20050017586 A KR20050017586 A KR 20050017586A KR 20060098481 A KR20060098481 A KR 20060098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rod
attached
depression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채
Original Assignee
박종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채 filed Critical 박종채
Priority to KR102005001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8481A/ko
Publication of KR2006009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표시봉의 외측은 돌출부와 함몰부로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에 부착된 반사체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재귀반사시 난반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 지표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중공의 표시봉으로 구성된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표시봉의 외측은 다수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표시봉의 위치를 외부에 각인시키는 반사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육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표시봉의 외측이 돌출부와 함몰부로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체의 상,하부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반사체에 비추어진 빛이 재귀반사될 때 난반사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함몰부에 반사체가 안쪽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직접 튀어 반사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시인성이 좋아지게 된다.
차선 규제봉, 표시봉, 반사체, 함몰부, 돌출부

Description

차선 규제봉{ROAD MARKER}
도 1은 종래의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판 20: 표시봉
30: 함몰부 40: 돌출부
50: 반사체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을 분리시켜 차량의 진출입을 막고 차를 안전하게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표시봉의 외측은 돌출부와 함몰부로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에 부착된 반사체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재귀반사시 난반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규제봉은 교통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교통사고의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중앙선이나 기타 차선에 자동차의 진행이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곳에 설치된다.
예컨데, 지상차도 및 지하차도, 또는 지상차도 및 고가차도가 서로 분리되기 시작한 구간과 같이 노면의 높낮이가 달라지게 되는 도로구간이나, 도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리되기 시작하는 구간, 또는 같은 노면상의 도로라 할지라도 상당한 커브를 이루는 도로구간과 같은 해당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들이 잘못된 차선으로 들어서게 되거나 차선을 침범, 특히 중앙선을 침범하여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큰 도로구간에는 그러한 차선오진입이나 차선침범을 방지하기 위한 차선규제봉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종래의 차선 규제봉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선규제봉은 도로지표면에 설치되는 바닥판(200)과, 상기 바닥판(200)의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중공의 지지봉(1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봉(100)의 외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홈(300)이 형성되어 고휘도의 반사시트(400)를 부착시키거나 또는 야광페인트를 도포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00)은 하단으로 갈수록 그 외부 둘레의 크기가 증대되는 형태 예컨대, 그 측면형상이 사다리꼴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그 두께 또한 하부로 갈수록 증대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봉(100)의 형상을 사다리꼴로 함과 동시에 그 두께 또한 하부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시킴은 하부측의 무게를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주행중인 자동차와 접촉되거나 밟히게 되어 휘어지게 될 경우 그 복원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봉(100)의 부착홈(300)에는 액상접착제 예컨대, 액상수지 또는 에폭시도료와 같은 것을 도포하여 상기 부착홈(300)에 접착되는 반사시트(400)의 접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봉(100)의 상면 중앙에는 공기를 배출시키고 흡입시키는 공기통과홀(500)이 형성되어 충돌 시 공기 압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선규제봉은 지지봉의 외측에 형성된 부착홈의 깊이가 너무 얕기 때문에 부착홈에 반사시트를 부착시켜 사용하더라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반사시트는 쉽게 훼손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반사시트는 이물질이 쉽게 부착이 되고, 빛이 난반사가 되기때문에 차선규제봉의 주요한 기능인 시인성(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사시트의 하측에 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반사시트가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육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표시봉의 외측이 돌출부와 함몰부로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에 부착된 반사체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반사체의 상,하부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반사체에 비추어진 빛이 재귀반사될 때 난반사가 방지될 수 있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도로 지표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중공의 표시봉으로 구성된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표시봉의 외측은 다수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표시봉의 위치를 외부에 각인시키는 반사체가 부착된다.
상기 표시봉은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체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에 부착되도록 내,외측이 육각 또는 원 모양의 링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는 돌출부에 비해 소정의 깊이만큼 패이게 되므로 함몰부에 부착된 반사체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또한 반사체의 난반사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에 대한 일 실시 예로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종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도로 지표면 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10)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0)의 중앙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중공의 표시봉(20)이 설치된다.
상기 표시봉(20)의 상면 중앙에는 공기를 배출시키고 흡입시키는 공기구멍(60)이 형성되어 충돌 시 공기 압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표시봉(20)의 재질은 고강도이고, 내굴곡성 즉 유연성이 우수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자동차나 기타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복원될 수 있다.
상기 표시봉(20)은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은 다수의 돌출부(40)와 함몰부(30)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번갈아가며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30)에는 표시봉(20)의 위치를 외부에 각인시키는 반사체(50)가 부착된다.
상기 반사체(50)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종래의 반사지에 비해 2 ~ 5배 정도 반사효율이 좋고,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에 부착되도록 내,외측이 육각 또는 원 모양의 링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반사체(50)가 육각의 링형태로 형성된 것이 원모양의 링보다 반사효율이 더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표시봉(20)과 이에 부착되는 반사체(50)는 외측이 육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상기 반사체(50)는 UV코팅처리가 되어 직사광선으로 인한 탈색을 방지하며,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종래의 반사지에 비해 이물질이나 먼지등이 표면에 쉽게 부착되지 않게되어 반사체의 시인성이 더욱 좋게되고, 또한 상기 반사체(50)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종이로 제조된 종래 반사지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여 쉽게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반사체(50)는 한개의 일체형상으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두조각 으로 나눠어져서 상기 표시봉(20)에 부착되어 반사체(50)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몰부(30)는 돌출부(40)에 비해 소정의 깊이만큼 패이게 되므로 함몰부(30)에 부착된 반사체(5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가 되며, 상기 돌출부(40)는 반사체(50)에 빛이 입사되어 재귀반사될 경우 빛이 직전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역활을 하기 때문에 반사체(50)로 부터 빛이 사방으로 난반사되어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30)에 반사체(50)가 안쪽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직접 튀어 반사체(5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시인성이 좋아지게 된다.
상기 고정판(10)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모양을 이루어져서 상기 표시봉(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육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표시봉의 외측이 돌출부와 함몰부로 구비되고, 상기 함몰부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체의 상,하부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반사체에 비추 어진 빛이 재귀반사될 때 난반사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함몰부에 반사체가 안쪽으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직접 튀어 반사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시인성이 좋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반사체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종래의 반사지에 비해 수배이상 반사효율이 좋고, 또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반사체는 UV코팅처리가 되어 직사광선으로 인한 탈색을 방지하며,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는 효과가 있고, 상기 반사체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종이로 제조된 종래 반사지에 비해 내구성이 우수하여 쉽게 찢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는다.

Claims (4)

  1. 도로 지표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중공의 표시봉으로 구성된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상기 표시봉의 외측은 다수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표시봉의 위치를 외부에 각인시키는 반사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봉은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체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육각기둥 또는 원기둥에 부착되도록 내,외측이 육각 또는 원 모양의 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돌출부에 비해 소정의 깊이만큼 패이게 되므로 함몰부에 부착된 반사체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또한 반사체의 난반사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규제봉.
KR1020050017586A 2005-03-03 2005-03-03 차선 규제봉 KR20060098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586A KR20060098481A (ko) 2005-03-03 2005-03-03 차선 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586A KR20060098481A (ko) 2005-03-03 2005-03-03 차선 규제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734U Division KR200385869Y1 (ko) 2005-03-03 2005-03-03 차선 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481A true KR20060098481A (ko) 2006-09-19

Family

ID=3762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586A KR20060098481A (ko) 2005-03-03 2005-03-03 차선 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84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022B1 (ko) * 2015-08-21 2017-02-22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도로표지봉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022B1 (ko) * 2015-08-21 2017-02-22 주식회사 케이에스테크 도로표지봉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6414B2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US4462711A (en) Reflective road marker
KR200385869Y1 (ko) 차선 규제봉
KR20060098481A (ko) 차선 규제봉
KR20180039343A (ko) 도로표지병
KR200400223Y1 (ko) 노면 부착식 차선 표지구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100969451B1 (ko) 도로용 차선규제봉
GB2069032A (en) Guide marker devices
JP3958640B2 (ja) 道路用標示体
JP2006299661A (ja) 光再帰性反射標識物
KR100648890B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432648Y1 (ko) 도로용 시선유도봉
JP3223345U (ja) 光反射具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190002700U (ko) 차선표지병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200121169A (ko) 임시차선표시구
EP0835352A1 (en) Retroreflective material
KR200423303Y1 (ko) 도로 표지병
JP2006316572A (ja) 小型標識物
KR200307803Y1 (ko) 횡단보도 및 정지선용 안전 표지병
KR200269783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
KR20020013633A (ko) 형상화된 도로 차선
KR200405947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