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353A - 식생게비온판넬 및 식생게비온판넬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식생게비온판넬 및 식생게비온판넬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353A
KR20060098353A KR1020060080901A KR20060080901A KR20060098353A KR 20060098353 A KR20060098353 A KR 20060098353A KR 1020060080901 A KR1020060080901 A KR 1020060080901A KR 20060080901 A KR20060080901 A KR 20060080901A KR 20060098353 A KR20060098353 A KR 20060098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gebion
panel
coconu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7768B1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솔라원 환경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라원 환경기술(주) filed Critical 솔라원 환경기술(주)
Publication of KR2006009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최근들어 환경보전 및 생태계 복원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현장특성을 감안한 친환경적인 새로운 공법 및 다양한 소재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철강재 프레임 등 보강형틀과 식생게비온판넬를 조합하여 설치한 후 현장의 토석(土石)을 담아 친환경적 토목 구조물 조성공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식생게비온판넬은 보강형틀 앞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충전된 토석(土石)이 전면부 방향으로 유출됨을 차단하고 씨앗이 부착되어 식생활착을 도모하기 위한 게비온프레임, 씨앗부착 식생매트, 그물망의 삼중구조로 구성된 특수한 구조 형태로 이루어진다. 식생게비온판넬의 구조적 내구성 및 보강형틀의 안정성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내부에 충전된 토석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현장에서 발생한 토석(土石)을 활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식생게비온판넬에 씨앗이 부착되어 있어 별도의 파종없이 조기에 식생활착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토목 구조물 조성이 가능한 공법이다.
식생게비온판넬, 식생게비온판넬 설치공법

Description

식생게비온판넬 및 식생게비온판넬 설치공법{ENVIRONMENTAL VEGETATION MAT PANNELS AND ESTABLISHMENT METHOD OF ENVIRONMENTAL VEGETATION MAT PANNELS}
도 1은 본 발명의 식생게비온판넬(1)의 사시도
도 2는 펄프종이와 펄프종이 사이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20-A)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구조도
도 3은 펄프종이와 부직포 사이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20-B)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구조도
도 4는 펄프종이와 코코넛매트 사이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20-C)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구조도
도 5는 코코넛매트 위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20-D)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구조도
도 6은 씨앗과 비료가 내장된 씨앗로프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를 보습용 부직포(20-9)에 접착한 식생 매트(20-E)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구조도
도 7은 펄프종이(20-2)와 펄프종이(20-2)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볏짚으로 편직한 볏짚네트(20-10)에 접착한 식생매트(20-F)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구조도
도 8은 PVC코팅 고강도 폴리에스터 그물망(40-A)의 상세도
도 9는 망눈 10MM 이하로 제조한 아연도금 철망(40-B)의 상세도
도 10은 망눈 10MM 이하로 제조한 플라스틱 그물망(40-C)의 상세도
도 11은 보강형틀을 사용하여 양측면, 뒷면, 바닥면을 조립 설치한 예시도
도 12는 식생게비온판넬(1)을 도 11의 보강형틀(4) 앞면에 결속하여 속채움 공간을 준비한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공간 내부에 공사 현장의 흙과 돌이 섞인 토석(土石)으로 속채움한 후 식생게비온판넬(1)로 뚜껑을 덮고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층층이 겹쳐 위로 올려 쌓는 방식으로 토목구조물을 조성한 설치 예시도
도 14는 상기 도13의 측면도
(도면의 부호 설명)
1:식생게비온판넬, 2:씨앗부착 식생매트, 3:게비온프레임, 4:그물망, 20-A:펄프종이와 펄프종이 사이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 20-B:펄프종이와 부직포 사이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 20-C:펄프종이와 코코넛매트 사이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 20-D:코코넛매트 위에 씨앗과 비료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에 접착한 식생매트, 20-E:씨앗과 비료가 내장된 씨앗로프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식생매트, 펄프종이(20-2)와 펄프종이(20-2)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볏짚으로 편직한 볏짚매트(20-9)에 접착한 식생매트(20-F), 20-1:황마(또는 코코넛)네트, 20-2:펄프종이, 20-3:씨앗, 20-4:비료, 20-5:부직포, 20-6:코코넛매트, 20-7:씨앗로프, 20-8:황마(또는 코코넛) 실, 20-9:보습용 부직포, 20-10:볏집네트, 40-A:폴리에스터 그물망, 40-B:아연도금 철망, 40-C:플라스틱 그물망
그동안 절성토 사면 또는 하천제방 정비시 사면안정을 목적으로 콘크리트옹벽, 게비온옹벽, 블럭식옹벽, 석축, 콘크리트블럭, 돌망태 등의 구조물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는 생태계를 위협하거나 주변 경관과는 무관한 공법들이었다. 즉, 식생이 활착할 수 있는 공간(HABITAT)이 전혀없어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건설 토목현장에서 모래,자갈,쇄석 등 천연자원이 날로 고갈되고 있는 시점에서 현장의 돌을 무분별하게 현장 채취함으로써 생태계 파괴를 야기 시키며 식생이 활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들어 환경보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정부에서는 환경보전 및 생태계 복원을 위해 자연친화적 공법 개발이 절실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절성토 사면 또는 하천제방 정비공사시 많이 사용되어 왔던 기존의 콘크리트옹벽 및 게비온옹벽, 블럭식옹벽, 석축, 콘크리트블럭, 돌망태 등을 대체할 친환경 복원 공법으로써 현장특수성 즉, 세굴에 대한 내구성과 굴요성 등 구조안정적 특성 및 식생 활착에 따른 생태적, 경관적 특성, 시공에 따른 특성 등 현장에 부합하는 완성된 공법의 개발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이는 본원 발명의 씨앗부착 식생게비온판넬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씨앗부착 식생게비온판넬을 철강재 프레임 등 보강형틀 앞면에 설치하고 현장에서 발생한 토석(土石)을 담아 식생기반을 조성하는 공법이다. 씨앗부착 식생게비온판넬은 본 출원인이 발명하고 특허등록된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특허등록 제0525641호, 발명의 명칭: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을 이용한 환경복원공법)의 발명 사상을 인용하여 판넬형태로 구성되게 발명되고, 본원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 즉, 현장의 토석(土石)을 이용한 친환경적 토목 구조체 조성공법에 적합하도록 특수한 구조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철강재 프레임 등 보강형틀의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세굴이 우려되거나 굴곡이 심하고 기초지반이 불규칙한 어느 구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구조적으로 안정하다. 현장에서 발생한 토석(土石)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채움돌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비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공법이 절성토 사면안정 공법으로 적용될 때 사면안정성 확보와 생태계보전, 자연친화적 경관 조성이라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그 의의가 매우 크다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의 식생게비온판넬 및 식생게비온판넬 설치공법은 도로 절성토 사면 또는 하천제방 정비공사시 많이 사용되어 왔던 기존의 콘크리트옹벽 및 게비온옹벽,블럭식옹벽,석축,콘크리트블럭,돌망태 등을 대체할 친환경 복원 공법으로써 보강형틀 일면부에 본 발명의 식생게비온판넬(1)을 설치하고 현장의 토석(土石)을 속채움재로 충전하여 토목구조물을 조성하는 공법이다.
상기 식생게비온판넬(1)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게비온프레임(3), 씨앗부착 식생매트(2), 그물망(4)가 상호 부착되어 삼중구조로 구성되어지고 일정한 폭과 길이로 재단되어 판넬형태로 제조되어진다.
상기 게비온프레임(3)은 본 발명이 달성하려는 구조체 형상 유지 및 구조보강을 위한 프레임이므로 철강재 프레임, 주철 프레임, 알루미늄파이프 프레임, 알루미늄주물 프레임, 콘크리트재 프레임, 게비온 철망태, 목재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씨앗부착 식생매트(2)는 펄프종이(20-2)와 펄프종이(20-2)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A), 펄프종이(20-2)와 부직포(20-5)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B), 펄프종이(20-2)와 코코넛매트(20-6)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C), 코코넛네트(20-6) 위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D), 씨앗과 비료가 내장된 씨앗로프(20-7)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황마(또는 코코넛) 실(20-8)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를 보습용 부직포(20-9)에 접착한 식생매트(20-E), 펄프종이(20-2)와 펄프종이(20-2)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볏짚으로 편직한 볏짚네트(20-10)에 접착한 식생매트(20-F)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식생매트는 자체 부착된 씨앗의 보습효과와 햇빛으로부터 단열효과로 씨앗보호와 발아촉진을 도모한다. 이상 씨앗부착 식생매트(2)를 조성함에 있어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조성 방법을 유지한다면 당연히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 그물망(4)은 망눈 1MM 이하로 제조한 PVC코팅 고강도 폴리에스터 그물망(40-A), 망눈 10MM 이하로 제조한 아연도금 철망(40-B), 망눈 10MM 이하로 제조한 플라스틱 그물망(40-C)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의 고강도 폴리에스터 그물망(40-A)은 폴리에스터 장섬유 원사를 1500데니아 굵기와 망눈 1MM 이하의 매트 형태로 제조되며 PVC를 코팅처리 하여 강도를 높힌 폴리에스터 그물망을 사용한다.
게비온구조체 내의 토석은 발아된 씨앗이 지속적으로 활착될 수 있도록 훌륭한 식생기반층이 되며 뿌리의 결합력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더욱 결합력이 향상된다.
상기의 씨앗(20-3)은 조기 녹화를 위한 다수의 양잔디 종자와 다수의 향토 초목 종자를 혼합 사용한다.
상기 식생게비온판넬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며 그 실시예를 들자면 도 1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철강재 프레임, 주철 프레임, 알루미늄파이프 프레임, 알루미늄주물 프레임, 콘크리트재 프레임, 게비온 철망태, 목재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보강형틀로 사용하여 양측면, 뒷면, 바닥면을 조립 설치하는 단계(S1);
도 1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식생게비온판넬(1)을 상기 S1의 보강형틀 앞면에 결속하여 속채움 공간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S2의 공간 내부에 공사 현장의 흙과 돌이 섞인 토석(土石)으로 속채움하고 소형 콤팩터등으로 충분히 다지는 단계(S3);
상기 S3을 완료한 후 식생게비온판넬(1)로 뚜껑을 덮어 단위(UNIT) 게비온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S4);
도 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S4의 단위(UNIT) 게비온구조체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층층이 겹쳐 위로 올려 쌓는 방식으로 토목구조물을 조성하는 단계(S5);
상기 토목구조체 배후면에 수압이 높은 구간이나 상시 침수구간 등에는 현장의 배수특성을 고려하여 잡석으로 뒷채움하거나 또는 드레인보드, 유공배수관을 추 가하는 단계(S6);
상기 S1, S2, S3, S4, S5, S6 의 단계에 따라 식생게비온판넬(1)이 설치된다.
이상 식생게비온판넬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조성 방법을 유지한다면 당연히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철강재 프레임 등 보강형틀 내부에 씨앗이 부착된 식생게비온판넬을 설치한 후 현장의 토석을 담아 게비온구조체를 형성하고, 이 게비온구조체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층층이 겹쳐 올려 쌓는 방법으로 절성토 사면의 기초나 하천제방 둑체를 조성토록 하였다. 식생게비온판넬에 자체 씨앗이 부착되어 있어 별도의 파종이나 식재없이 식생이 활착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생태계 복원이 가능토록 하였고 게비온구조체 내의 토석은 발아된 씨앗이 지속적으로 활착될 수 있도록 훌륭한 식생기반층이 되며 뿌리의 결합력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더욱 견고한 구조체가 된다. 또한 철강재 프레임 등 보강형틀의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세굴이 우려되거나 굴곡이 심하고 기초지반이 불규칙한 하천과 도로 절성토 사면 등에 친환경적인 토목 구조물로 적용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발생한 토석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채움돌이 필요하지 않아 자재비가 절감되며 시공이 간편하므로 공사비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공법은 하천제방과 도로 절성토 사면뿐 아니라 집중호우로 인해 붕괴된 산사태지.도로사면 붕괴지 등 응급복구 공사 시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2)

  1. 식생게비온판넬(1)에 있어서,
    상기 식생게비온판넬(1)은 게비온프레임(3), 씨앗부착 식생매트(2), 그물망(4)이 상호 부착되어 삼중구조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게비온프레임(3)은 철강재 프레임, 주철 프레임, 알루미늄파이프 프레임, 알루미늄주물 프레임, 콘크리트재 프레임, 게비온 철망태, 목재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씨앗부착 식생매트(2)는 펄프종이(20-2)와 펄프종이(20-2)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A), 펄프종이(20-2)와 부직포(20-5)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B), 펄프종이(20-2)와 코코넛매트(20-6)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C), 코코넛네트(20-6) 위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황마(또는 코코넛) 실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20-1)에 접착한 식생매트(20-D), 씨앗과 비료가 내장된 씨앗로프(20-7)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황마(또는 코코넛) 실(20-8)로 편직한 황마(또는 코코넛)네트를 보습용 부직포(20-9)에 접착한 식생매트(20-E), 펄프종이(20-2)와 펄프종이(20-2) 사이에 씨앗(20-3)과 비료(20-4)를 부착한 후 볏짚으로 편직한 볏짚네 트(20-10)에 접착한 식생매트(20-F)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그물망(4)은 망눈 1MM 이하로 제조한 PVC코팅 고강도 폴리에스터 그물망(40-A), 망눈 10MM 이하로 제조한 아연도금 철망(40-B), 망눈 10MM 이하로 제조한 플라스틱 그물망(40-C)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씨앗(20-3)은 조기 녹화를 위한 다수의 양잔디 종자와 다수의 향토 초목 종자를 혼합하여 사용되고,
    판넬 형태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게비온판넬.
  2. 절성토 사면이나 하천 제방에 식생게비온판넬(1)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철강재 프레임, 주철 프레임, 알루미늄파이프 프레임, 알루미늄주물 프레임, 콘크리트재 프레임, 게비온 철망태, 목재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보강형틀로 사용하여 양측면, 뒷면, 바닥면을 조립 설치하는 단계(S1);
    식생게비온판넬(1)을 상기 S1의 보강형틀 앞면에 결속하여 속채움 공간을 준비하는 단계(S2);
    상기 S2의 공간 내부에 공사 현장의 흙과 돌이 섞인 토석(土石)으로 속채움하고 소형 콤팩터등으로 충분히 다지는 단계(S3);
    상기 S3을 완료한 후 식생게비온판넬(1)로 뚜껑을 덮어 단위(UNIT) 게비온구 조체를 형성하는 단계(S4);
    상기 S4의 단위(UNIT) 게비온구조체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계단식으로 층층이 겹쳐 위로 올려 쌓는 방식으로 토목구조물을 조성하는 단계(S5);
    상기 토목구조물 배후면에 수압이 높은 구간이나 상시 침수구간 등에는 현장의 배수특성을 고려하여 잡석으로 뒷채움하거나 또는 드레인보드, 유공배수관을 추가하는 단계(S6);
    상기 S1, S2, S3, S4, S5, S6 의 단계에 따라 식생게비온판넬(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게비온판넬 설치공법.
KR1020060080901A 2005-11-21 2006-08-25 식생게비온판넬 KR100737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18A KR20050115211A (ko) 2005-11-21 2005-11-21 친환경식생매트 및 친환경식생매트 설치공법
KR1020050111118 2005-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353A true KR20060098353A (ko) 2006-09-18
KR100737768B1 KR100737768B1 (ko) 2007-07-10

Family

ID=372892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18A KR20050115211A (ko) 2005-11-21 2005-11-21 친환경식생매트 및 친환경식생매트 설치공법
KR1020060080901A KR100737768B1 (ko) 2005-11-21 2006-08-25 식생게비온판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18A KR20050115211A (ko) 2005-11-21 2005-11-21 친환경식생매트 및 친환경식생매트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501152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94B1 (ko) * 2006-11-30 2007-12-03 오봉섭 와이어를 이용한 현장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격자블럭 및이의 시공방법
DE102007050027A1 (de) * 2007-10-17 2009-04-23 Helix Pflanzen Gmbh Bepflanzte Gabione
KR101020400B1 (ko) * 2008-06-13 2011-03-08 주식회사 상현선재 친환경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211A (ko) * 2005-11-21 2005-12-07 솔라원 환경기술(주) 친환경식생매트 및 친환경식생매트 설치공법
KR101124881B1 (ko) * 2009-09-30 2012-03-2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생기반재 돌망태를 이용한 임도비탈면 복원방법
KR101322469B1 (ko) * 2011-06-30 2013-10-29 전성민 자연친화형 조립식 철근옹벽블럭
KR101322744B1 (ko) * 2013-02-21 2013-10-31 (주)에코원 사면 보호용 적층식 옹벽 구조체
CN104947628B (zh) * 2015-05-14 2016-09-07 北京群祥兴科技有限公司 基于有耳石笼固袋的生态工法
KR102533827B1 (ko) 2022-08-03 2023-05-18 김종철 하천 호안용 천연잔디 뗏장 식생포대와 식생망태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망태 호안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914A (ja) * 1984-07-31 1986-02-27 Kyowa Tetsumou Kk 砂防堤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0627406B2 (ja) * 1987-02-17 1994-04-13 上毛緑産工業株式会社 法面緑化工法及びその工法用緑化麻布体
JPH01263319A (ja) * 1988-04-13 1989-10-19 Nisshin Sangyo Kk 植生帯
KR950022343U (ko) * 1994-01-20 1995-08-18 우규일 볏짚을 이용한 사방공사용 식생대
JP2000060296A (ja) * 1998-08-14 2000-02-29 Koichiro Nishikawa 平面又は緩傾斜面の緑化に用いる生育基盤及び該生育基盤に結合する緑化体
JP2002253007A (ja) * 2001-03-02 2002-09-10 Ecology:Kk 植生マット
KR200282967Y1 (ko) * 2002-04-10 2002-07-24 정정길 게비온 옹벽
KR200288503Y1 (ko) * 2002-06-11 2002-09-11 주식회사 문경 보강토 상자 돌망태
KR100522548B1 (ko) * 2002-09-02 2005-10-20 허수영 개비온을 이용한 축벽의 시공방법
KR20050115211A (ko) * 2005-11-21 2005-12-07 솔라원 환경기술(주) 친환경식생매트 및 친환경식생매트 설치공법
KR200414337Y1 (ko) * 2006-02-08 2006-04-20 이은억 도로 및 하천의 비탈면 보호용 철망식생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194B1 (ko) * 2006-11-30 2007-12-03 오봉섭 와이어를 이용한 현장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격자블럭 및이의 시공방법
DE102007050027A1 (de) * 2007-10-17 2009-04-23 Helix Pflanzen Gmbh Bepflanzte Gabione
KR101020400B1 (ko) * 2008-06-13 2011-03-08 주식회사 상현선재 친환경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768B1 (ko) 2007-07-10
KR20050115211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768B1 (ko) 식생게비온판넬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200415273Y1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100813236B1 (ko) 사면보강을 위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20060108595A (ko) 황마(코코넛)식생포대
KR100919759B1 (ko) 제체 내 배수와 세굴방지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식생매트 공법 및 식생매트
KR100959828B1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한 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JP2018204391A (ja) ふとん篭及びこれを用いた傾斜地補強構造
KR100886746B1 (ko) 친환경 식생 철망 바구니 호안공법
JP6280322B2 (ja) 緑化法面構造及び緑化法面構造の構築方法
KR100831879B1 (ko) 재해를 방지하여 주는 작용과 식물들이 용이하게 자랄 수있도록 구성되는 친환경 호안공법
KR100930115B1 (ko)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992076B1 (ko) 친환경적인 경사형의 성토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830628B1 (ko) 지오그리드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토목구축물 시공방법
KR100968518B1 (ko) 강화 녹화옹벽 시공방법
KR20090075476A (ko) 사면녹화공법
KR200461490Y1 (ko) 식생매트
KR20070108464A (ko) 친환경 호안공법
CN212200254U (zh) 一种生态护岸结构
CN210917232U (zh) 一种适合软弱地质岸坡的生态型柔性护岸
KR100787099B1 (ko) 식생보강토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보강토시공구조
KR100995094B1 (ko) 옹벽 블록 시공방법
JP2005200953A (ja) 法面緑化用擁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