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801A - 탈취제 - Google Patents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801A
KR20060097801A KR1020050018515A KR20050018515A KR20060097801A KR 20060097801 A KR20060097801 A KR 20060097801A KR 1020050018515 A KR1020050018515 A KR 1020050018515A KR 20050018515 A KR20050018515 A KR 20050018515A KR 20060097801 A KR20060097801 A KR 2006009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ixed
fresh juice
deodorant
compon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478B1 (ko
Inventor
임순옥
Original Assignee
임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순옥 filed Critical 임순옥
Priority to KR102005001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4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화수소를 비롯한 산성의 악취성분과 암모니아를 비롯한 염기성의 악취성분에 동시에 작용하는 탈취제에 있어서: (A)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에리소루빅산(erythorbic acid) 등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환원성의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 15~25%; (B) 수세한 솔잎을 가압ㆍ분리하여 생즙을 추출하거나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로 형성한 솔잎성분 15~25%; (C) 물푸레나무, 오갈피나무, 느릅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줄기에서 추출한 생즙에 차나무, 동백나무, 구기자, 자작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잎에서 추출한 생즙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약재성분 15~25%; (D) 리모넨(limonene), 알파-테르피네올(α-terpineol),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salisilate)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합성물 성분 15~25%; (E) 제올라이트, 활성탄, 키토산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하여 평균 입경이 10㎛ 이하가 되도록 미분ㆍ혼합한 다공질 분말성분 10~20%; 및 (F) 실리콘 또는 테라핀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보조성분 5%;를 포함한다.
탈취제, 아스코르빅산, 솔잎, 약재, 방향

Description

탈취제 {Deodorant}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범위한 용도에 있어서 산성이나 염기성 악취를 불문하고 고르고 높은 탈취력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그 효능이 유지되는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일상생활의 불쾌감을 주는 소음, 진동, 먼지 뿐 아니라 악취도 공해로 규정하여 관련 법규에 의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악취는 황화수소ㆍ메르캅탄ㆍ황화메틸ㆍ이황화메틸과 같은 산성 냄새와, 암모니아ㆍ트리메틸아민ㆍ스카톨과 같은 염기성 냄새와, 아세트알데히드ㆍ스티렌과 같은 중성 냄새로 구별된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탈취방법은 향료ㆍ향기와 같은 방향성 물질을 이용하여 후각적으로 은폐하는 의화적 탈취법(마스킹법)과, 산화ㆍ환원ㆍ중화ㆍ부가축합ㆍ이온교환반응 등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화학적 탈취법과, 활성탄ㆍ제올라이트ㆍ실리카겔 등의 다공성 물질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물리적 흡착법과, 미생물ㆍ효소ㆍ방부제 등을 이용하여 억제하는 생물적 탈취법으로 대별된다.
그런데 의화적 탈취는 천연ㆍ합성 성분에 따라서는 새로운 악취나 독성을 발생하기 쉽고, 물리적 흡착법은 효과가 빠르나 환경 조건 또는 장시간 사용에 따라 악취가 재생되고, 생물적 탈취법은 효과가 느리고 온습도 조건에 따라 그 활성의 차이가 커서 효능이 불균일하다. 화학적 탈취법은 다양한 발전이 가능하지만 선택성 기작에 의해 총체적인 탈취력의 발휘에 한계가 있다.
한편, 근래에 아파트나 단독주택을 불문하고 벽지와 바닥의 시공에 있어 상대적으로 저가인 포름알데히드(HCHO), 휘발성유기화합물(TVOCs) 등의 유해 화학물질을 함유하는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른바 '새집증후군'이란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이다. 이에 대한 대처에 있어서도 어느 특정한 탈취법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는 것으로서, 다용도로 활용함에 친환경적인 물성을 바탕으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그 효능이 유지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의 탈취제는,
황화수소를 비롯한 산성의 악취성분과 암모니아를 비롯한 염기성의 악취성분에 동시에 작용하는 탈취제에 있어서:
(A)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에리소루빅산(erythorbic acid) 등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환원성의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 15~25%;
(B) 수세한 솔잎을 가압ㆍ분리하여 생즙을 추출하거나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로 형성한 솔잎성분 15~25%;
(C) 물푸레나무, 오갈피나무, 느릅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줄기에서 추출한 생즙에 차나무, 동백나무, 구기자, 자작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잎에서 추출한 생즙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약재성분 15~25%;
(D) 리모넨(limonene), 알파-테르피네올(α-terpineol),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salisilate)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합성물 성분 15~25%;
(E) 제올라이트, 활성탄, 키토산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하여 평균 입경이 10㎛ 이하가 되도록 미분ㆍ혼합한 다공질 분말성분 10~20%; 및
(F) 실리콘 또는 테라핀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보조성분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2의 탈취제는 상기 환원성의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휘발성 물질은 분해 시간을 달리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고분자 캡슐 내부에 각각 충진한 상태로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여기서 모든 함량 단위는 중량 백분율(wt%)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에리소루빅산(erythorbic acid) 등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환원성의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을 사용한다. 히드록시기가 2개인 2가알코올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인 다가(多價)알코올 중에서 환원성이 강한 것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산소 분자를 둘러싸고 O2 - 나 O2 - - 혹은 OH- 를 형성하면 이온에 의한 살균 작용이 증대된다. 이는 암모니아 등 간단한 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Fe(NH3)와 같은 착염화물로 흡착하는 작용을 활성화하여 대단히 높은 악취 제거능을 보인다.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은 식물 생장, 세포분열, 세포벽 팽창, 기관형성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강력한 항산화제 가운데 하나로 급성/만성 장애를 유발하는 AOS(알파오레핀스루본산 나트륨) 제거에 관여한다. 에리소루빅산(erythorbic acid)도 강력한 환원성에 의한 산화방지 기능을 지닌다. 제조의 일예에 있어서 락토네이스(lactonase)의 용액 중에서 각각 2-케토-L-굴론산(2-keto-L-gulonic acid) 또는 2-케토-D-굴론산(2-keto-D-gulonic acid)에 접촉시킴으로써 각각 L-아스코르빅산과 D-에리소르빈산이 생성된다. 이 반응의 용매는 물, 알코올, 비알콜 유기용매 또는 알코올과 비알코올 유기용매와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접촉 조건은 일반적으로는 0℃ 내외의 온도범위, 1.5~7.5의 pH 범위를 택한다. 최종적으로 pH 2.2~4.5의 범위로 맞추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아스코르빅산 및 에리소르빅산과 같은 친수성항산화제로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빅산, 치오글리콜산, 롱가리트(rongalite) 중에서 일부 대체적인 선택이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친유성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아세로라의 과실로부터 추출한 엑기스를 미량 부가할 수 있는데, 각종 미네랄과 함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L-아스코르빅산을 함유하고 있다. 아세로라로부터 추출한 L-아스코르빅산 성분이 단리한 L-아스코르빅산보다 탈취능의 지속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C 및 그 유도체 중에서는 순수한 물질(L-아스코르빅산)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세한 솔잎을 가압ㆍ분리하여 생즙을 추출하거나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로 형성한 솔잎성분을 사용한다. 솔잎에는 여러 가지 정유성분, 비타민류, 탄닌,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항균성 물질 등이 있어 이것들이 약리작용이 탈취에 직ㆍ간접적으로 상승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솔잎은 적송(P. densiflora), 리기다송(P. rigjda), 백송(P. bungeana), 스트로브 소나무(P. strobus), 잣나무(P. koraiensis) 중에서 선택하여 채취한다.
솔잎의 가압방법은 생솔잎을 80-100 ℃의 정제수 또는 염수에 2~5분간 침지하여 세척한 다음 착즙기에 통과시켜 추출하는 것으로 가장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다. 생솔잎 외에 솔방울을 혼합하여 착출할 수도 있으며, 농도는 70~95%의 범위로 한다. 분리방법에 있어서,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 상태에서 클로로포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1차로 추출하고, 여과를 거쳐 남겨진 고형 성분에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여 2차 추출한다. 물론 상기한 가압방법을 수행한 후에 분리방법을 수행하도록 병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분말형태로 사용할 경우 솔잎을 수증기로 증숙하고 강제 건조한 후에 분쇄한다. 솔잎분말의 크기는 50 내지 200와이어 메쉬의 범위로 하는데, 고체상의 제품에 서는 50메쉬로 하고 액상의 제품에서는 200메쉬에 가까운 형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푸레나무, 오갈피나무, 느릅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줄기에서 추출한 생즙에 차나무, 동백나무, 구기자, 자작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잎에서 추출한 생즙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약재성분을 사용한다. 각종 쓰레기 악취, 수산물 부패악취, 양계장 악취, 사람과 동물의 체취의 근본 원인인 아민류를 제거에 효능을 지닌다. 또한 일반적인 탈취제의 화학 성분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냄새를 중화시키는 효능도 기대된다. 솔잎과 마찬가지로 액상 뿐 아니라 분말형태로도 생산이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물푸레나무는 용담목 물푸레나무과(Oleaceae) 의 낙엽교목으로서 특히 수피에서 항산화를 비롯한 약리작용이 강하다. 오갈피나무는 미나리목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낙엽관목으로서 정유와 방향을 지닌 것을 사용한다. 느릅나무는 쐐기풀목 느릅나무과(Ulmaceae)의 1종 또는 느릅나무속의 총칭으로서 구하기 쉬운 재료이므로 대체가 용이하다. 차나무, 동백나무, 후피향나무 및 떡사스레피나무와 같은 차나무과식물의 잎 및 기타 부분이 탈취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차나무와 동백나무는 잎과 줄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구기자나무와 자작나무의 경우에는 주로 잎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줄기를 사용하는 경우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여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100~120℃의 온도로 끓여 추출물이 우러나도록 한 다음 나무 조각들을 모두 건져내고 계속 끓여서 수분을 증발시키면 원하는 점도의 겔 상태 진액을 얻을 수 있다. 잎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각종 잎을 소량의 매실, 당귀, 약쑥과 함께 투입한 다음 10시간 정도 증숙하고, 증숙이 완료된 혼합물을 40℃ 정도로 낮추어 24시간 숙성하며, 마지막으로 원심분리기를 통하여 액을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넨(limonene), 알파-테르피네올(α-terpineol),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salisilate)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합성물 성분을 사용한다. 이는 방향성을 지니는 액상의 합성물로서 냄새를 중화시키는 반응의 촉매 역할을 수행한다.
리모넨 옥사이드의 전구물질인 리모넨은 300 여종의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테르펜 화합물이면서 단일고리 모노테르펜의 하나로서 멘탄에서 유도되고 레몬과 같은 향기가 있는 액체이다. 공업적으로는 탄성고무를 증류하면 이소프렌과 함께 생성되며 이소프렌의 가열(300℃)에 의한 중합으로 합성된다. 알파-테르피네올은 강한 라일락 향과 함께 박테리아에 대한 살균력이 있어서 비누나 세제 및 항감염제의 성분으로 널리 쓰인다. 시네올(1,8-cineol)을 묽은 옥살산의 존재 하에서 가열하면 알파-테르피네올(α-terpineol)이 정량적으로 얻어진다. 메틸살리실레이트는 메탄올과 살리실산을 에스테르 반응시킨 후 증류시켜 얻는다.
물론 여기에 악취 성분을 전환시키는 미량의 향료 첨가제를 더 부가할 수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과일, 꽃, 나무 또는 그 외의 향을 발산하는 에스테로, 알데히드,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올라이트, 활성탄, 키토산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하여 평균 입경이 10㎛ 이하가 되도록 미분ㆍ혼합한 다공질 분말성분을 사용한다. 방향성분들은 휘발성이 강하므로 제품으로 판매되어 개봉된 후에 향취의 지속 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향의 지속성을 보완하여 주기 위하여 방향성분을 다공성 무기질에 흡착시키거나 제품에 따라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로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제올라이트(Zeolite)는 규산질의 이온교환성을 지니는 다공성 물질로서 고성능 탈취제, 탈수제, 이온교환제 등의 담체로 적절하다. 제올라이트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과 극성물질을 잘 흡착하는데, 1나노미터 정도의 미세한 세공이 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인공 합성제를 선택한다. 활성탄(Activated Carbon)은 통상 직경 0.01~ 100000nm의 무수한 세공이 존재하여 내부표면적이 크므로 냄새 및 곰팡이의 살균 촉진과 탈취기능이 강하다. 흡착력의 정도는 비표면적 크기에 달려 있는 바, 20Å 이하의 직경을 갖는 마이크로 다공(micro-pore)의 것을 선택한다. 활성탄은 분자량이 큰 물질과 비극성 물질의 흡착에 효과적이다.
키토산(chitosan)은 게나 새우 껍데기에 들어 있는 키틴을 탈아세틸화하여 얻어낸 천연고분자 물질로서, 본 발명에 적합한 키토산은 용해성과 제조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탈아세틸화도가 40~85%, 중합도 100내지 20,000정도를 사용한다. 물론 이는 다른 성분과의 용해성, 물성의 유지, 제조원가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 질소화합물 및 황화합물계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식품, 의약품, 화장품 분야에 이르기까지 활용된다. 화학 반응에 의한 탈취능 및 포집능력을 동시에 지니며, 식품첨가물을 주원료로 사용할 정도로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이 평균 입경이 10㎛ 이상으로 되면 담체로서의 기능이 약간 저하되고 액상의 제품에 적용하기 곤란해진다. 다만 미세 기공이 충진됨에 따라 탈 취 기능이 저하되므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최소한의 함량을 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 또는 테라핀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보조성분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탈취제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점도의 변화가 가능해야 한다. 즉, 오염 공기를 탈취하는 경우는 높은 휘발성을 요하고 신발이나 건축자재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점성을 요한다. 실리콘(silicon oil)을 배합하는 정도에 따라 겔(Gel) 상태로 혼합되므로 악취방제 대상품의 표면에서 고르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점착력을 더욱 증대하기 위해 아크릴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 테라핀유는 점도를 낮추어 대상품의 표면에 도포 및 건조속도를 빠르게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본 발명의 성분 중에서 실리콘의 양을 적정범위 이상 증대하여 혼합한 후 적절한 온도를 가하면 실리콘에 의해 발포층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올라이트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신발 등 통기성이 중요한 제품에 있어서 탈취는 물론 수분제거와 공기 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환원성의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휘발성 물질은 분해 시간을 달리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고분자 캡슐 내부에 각각 충진한 상태로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L-아스코르빅산은 수용성이며 아주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공기에 노출되면 대개 빠르게 효과능이 상실된다. 캡슐은 자연 상태에서 생분해성을 지니는 성분을 포함하도록 하는데, 일예로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만들 수 있다. 다만 캡슐의 주성분과 두께를 달리하여 생성하고 내부에 휘발성 물질을 수용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장기간에 걸쳐 해당 성분이 발현되므로 효능이 지속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주요 공정별로 설명한다.
[제1공정] (식물 추출성분의 제조공정)
상기한 솔잎성분과 약재성분을 각각 조성하여 별도의 저장조에 넣고 질소 분위기로 충전한 상태에서 1~4℃의 저온으로 보존한다.
[제2공정] (합성물 성분의 제조공정)
상기한 합성물을 합성하여 별도의 다른 저장조에 실온 상태로 보존하며, 경우에 따라 시판되는 것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3공정] (주요 성분의 혼합공정)
제1공정의 솔잎성분 및 약재성분과 제2공정의 합성물을 설정된 중량비율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조성한 다음 다시 또 다른 저장조에 넣고 질소 분위기로 충전한 상태에서 저온으로 보존한다.
[제4공정] (보조성분의 부가공정)
공정의 소요량에 따라 제3공정의 혼합액에 실리콘 또는 테라핀유를 혼합하여 예비제품을 생성한다.
[제5공정] (완제품 제조공정)
마지막으로 제4공정을 거친 고농도의 예비제품을 정제수와 1:1~1000배로 희석시키고 농도 단위별로 포장하여 제품화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효능을 검증하며, 모든 함 량 단위는 중량 백분율(wt%)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시되는 주요 성분들 중에서 (A) 아스코르빅산, (B) 솔잎 추출액, (C) 물푸레나무와 차나무 추출액, (D) 리모넨과 알파-테르피네올의 합성물을 선정한다. 이어서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을 규정된 범위내에서 변동하여 시료를 생성한 다음 상호 탈취능을 비교함에 따라 성분의 함량 변화에 따른 효능의 차이를 확인한다. 기타 (E) 성분 15% 및 (F) 성분 5%는 고정하기로 하는데, 이에 따라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 관련되는 시료의 성분을 설정하면,
[실시예1]
상기 (A), (B), (C), (D) 성분이 모두 허용치의 중간값인 20%로 유지되도록 배합한다.
[실시예2]
(A) 성분이 최대 허용치인 25%로 유지되고 나머지는 최소 허용치인 15%로 유지되도록 배합한다.
[실시예3]
(B) 성분이 최대 허용치인 25%로 유지되고 나머지는 최소 허용치인 15%로 유지되도록 배합한다.
[실시예4]
(C) 성분이 최대 허용치인 25%로 유지되고 나머지는 최소 허용치인 15%로 유지되도록 배합한다.
[실시예5]
(D) 성분이 최대 허용치인 25%로 유지되고 나머지는 최소 허용치인 15%로 유지되도록 배합한다.
실험에 있어서, 가로ㆍ세로ㆍ높이 각각 2m의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산성, 염기성, 중성의 악취물질을 각각 20ppm 씩 투입한 다음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 따른 시료를 투입하여 시간에 따른 악취농도의 감소 변화를 살피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여기서 산성 악취물질에는 황화수소, 염기성 악취물질에는 암모니아, 중성 악취물질에는 아세트알데히드를 택한다.
[표 1]
성분 및 함량(%) 악취물질 악취농도(ppm)
10분후 30분후
실시예1 (A) 성분 20 (B) 성분 20 (C) 성분 20 (D) 성분 20 산성 염기성 중성 12 13 11 0 0 0
실시예2 (A) 성분 25 (B) 성분 15 (C) 성분 15 (D) 성분 15 산성 염기성 중성 12 11 13 0 0 0
실시예3 (A) 성분 15 (B) 성분 25 (C) 성분 15 (D) 성분 15 산성 염기성 중성 12 11 13 0 0 0
실시예4 (A) 성분 15 (B) 성분 15 (C) 성분 25 (D) 성분 15 산성 염기성 중성 11 11 13 0 0 0
실시예5 (A) 성분 15 (B) 성분 15 (C) 성분 15 (D) 성분 25 산성 염기성 중성 12 12 12 0 0 0
표 1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주요 성분이 함량 범위내에 있으면 효능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어서, 비교실험의 방법으로 상기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의 결과를 검증하 기 위해 (A), (B), (C), (D) 성분 중 2개를 택하여 최대 허용치를 초과하고 나머지 2개는 최소 허용치를 미달하는 조합을 임의로 구성하여 비교예1 내지 비교예5의 시료를 형성한다. (E) 및 (F) 성분은 동일하게 고정하고, 악취물질을 포함한 실험 조건도 동일하게 한다.
[비교예1]
(A) 및 (B) 성분은 30%로 적정 범위를 5%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10%로 적정 범위를 5% 미달하도록 한다.
[비교예2]
(A) 및 (C) 성분은 30%로 적정 범위를 5%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10%로 적정 범위를 5% 미달하도록 한다.
[비교예3]
(B) 및 (C) 성분은 30%로 적정 범위를 5%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10%로 적정 범위를 5% 미달하도록 한다.
[비교예4]
(B) 및 (D) 성분은 30%로 적정 범위를 5%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10%로 적정 범위를 5% 미달하도록 한다.
[비교예5]
(C) 및 (D) 성분은 30%로 적정 범위를 5%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10%로 적정 범위를 5% 미달하도록 한다.
표 1과 표 2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정 함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예외없이 효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통상 산제 함유 탈취제는 염기성 냄새에, 알칼리제 함유 탈취제는 산성 냄새에 대하여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지만 혼합되면 안정성이 나빠져 탈취효능이 저하되고 새로운 냄새가 유발될 우려도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정 함량을 유지함으로써 표 1과 같이 어느 냄새에 대하여나 반응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표 2]
성분 및 함량(%) 악취물질 악취농도(ppm)
10분후 30분후
비교예1 (A) 성분 30 (B) 성분 30 (C) 성분 10 (D) 성분 10 산성 염기성 중성 14 15 14 8 7 8
비교예2 (A) 성분 30 (B) 성분 10 (C) 성분 30 (D) 성분 10 산성 염기성 중성 14 14 15 7 8 10
비교예3 (A) 성분 10 (B) 성분 30 (C) 성분 30 (D) 성분 10 산성 염기성 중성 14 14 16 9 8 10
비교예4 (A) 성분 10 (B) 성분 30 (C) 성분 10 (D) 성분 30 산성 염기성 중성 15 14 15 8 7 9
비교예5 (A) 성분 10 (B) 성분 10 (C) 성분 30 (D) 성분 30 산성 염기성 중성 15 14 16 9 8 10
실제 양산에 있어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산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나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증감할 수 있다. 전자의 조성물로는 알코올계, 에스테르계, 탄화 수소계, 락톤계, 에테르계 등이 포함되고, 후자의 조성물로는 알코올계, 알데히드계, 케톤계, 에테르계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E) 제올라이트, 활성탄, 키토산을 동일 함량으로 배 합한 다공질 분말성분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6 내지 실시예7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료를 생성한다. 이때 (F) 성분은 5%로 고정하고,
[실시예6]
(A), (B), (C), (D) 성분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E) 성분을 적량으로 배합한다.
[실시예7]
(A), (B), (C), (D) 성분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E) 성분을 적정이하로 배합한다.
[실시예8]
(A), (B), (C), (D) 성분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E) 성분을 적정이상으로 배합한다.
실험 공간으로서 가로ㆍ세로ㆍ높이 각각 1m의 밀폐된 방을 구성하고 전술한 산성 악취물질, 염기성 악취물질, 중성 악취물질을 각각 100ppm 씩 투입한 다음 상기 실시예6 내지 실시예8에 따른 시료를 투입하여 시간에 따른 악취농도의 감소 변화를 살피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에서 (E) 성분이 적정 범위로 포함되면 악취농도의 감소율이 높으며, 적정 범위를 미달하면 감소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적정범위를 초과하더라도 상대적으로 그다지 만족할 결과가 발휘되지 않는 것은 그 만큼 다른 성분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 데이터로 제시되지 않았으나 휘발성 물질을 캡슐화하 는 경우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효능이 발휘된다.
[표 3]
(E) 함량 악취물질 악취농도(ppm)
1주일후 1개월후
실시예6 15 산성 염기성 중성 55 50 55 5 4 6
실시예7 5 산성 염기성 중성 56 62 55 22 25 21
실시예8 25 산성 염기성 중성 55 55 55 10 8 10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성분은 탈취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습력을 증대하기 위해 완제품의 총 중량에 대비하여 0.1~2%의 염화칼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건축자재, 신발, 생리용품과 같이 유통 및 시공후에 수분의 소실이 적은 경우를 제외하고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야 한다. 염화칼슘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불포화 용액으로 되는 조해성의 물질이다.이러한 염화칼슘 또는 동등 이상의 물성을 지닌 물질을 탈취제의 제조시에 일정양 첨가하면 건조를 지연하므로 보습력에 의한 탈취효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 가구, 섬유, 식품, 생리용품,화장품, 건축재 등 광범위한 용도에 있어서 산성이나 염기성 악취를 불문하고 고르고 높은 탈취력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그 효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황화수소를 비롯한 산성의 악취성분과 암모니아를 비롯한 염기성의 악취성분에 동시에 작용하는 탈취제에 있어서:
    (A) 아스코르빅산(ascorbic acid), 에리소루빅산(erythorbic acid) 등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환원성의 다가알코올(polyhydric alcohol) 15~25%;
    (B) 수세한 솔잎을 가압ㆍ분리하여 생즙을 추출하거나 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로 형성한 솔잎성분 15~25%;
    (C) 물푸레나무, 오갈피나무, 느릅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줄기에서 추출한 생즙에 차나무, 동백나무, 구기자, 자작나무 중 적어도 1종의 잎에서 추출한 생즙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약재성분 15~25%;
    (D) 리모넨(limonene), 알파-테르피네올(α-terpineol), 메틸살리실레이트(methylsalisilate)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일하는 합성물 성분 15~25%;
    (E) 제올라이트, 활성탄, 키토산 중에서 적어도 1종을 택하여 평균 입경이 10㎛ 이하가 되도록 미분ㆍ혼합한 다공질 분말성분 10~20%; 및
    (F) 실리콘 또는 테라핀유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보조성분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성의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는 휘발성 물질은 분해 시간을 달리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고분자 캡슐 내부에 각각 충진한 상태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KR1020050018515A 2005-03-07 2005-03-07 탈취제 KR100645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515A KR100645478B1 (ko) 2005-03-07 2005-03-07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515A KR100645478B1 (ko) 2005-03-07 2005-03-07 탈취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801A true KR20060097801A (ko) 2006-09-18
KR100645478B1 KR100645478B1 (ko) 2006-11-14

Family

ID=3762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515A KR100645478B1 (ko) 2005-03-07 2005-03-07 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961B1 (ko) 2008-02-13 2009-01-07 세창화학 주식회사 벽지 코팅용 조성물
KR101385257B1 (ko) * 2012-12-12 2014-04-16 신태희 탈취용 조성물
KR101536762B1 (ko) * 2013-10-15 2015-07-15 조동근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463A (ko) * 2009-11-24 2011-06-01 국평알아이씨(주) 새집증후군 처리 스팀용 조성물
KR102015472B1 (ko) * 2019-04-23 2019-08-28 장지원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탈취제
KR102155264B1 (ko) * 2019-05-07 2020-09-11 조유나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2249167B1 (ko) * 2019-08-16 2021-05-10 주식회사 트루퍼스아시아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961B1 (ko) 2008-02-13 2009-01-07 세창화학 주식회사 벽지 코팅용 조성물
KR101385257B1 (ko) * 2012-12-12 2014-04-16 신태희 탈취용 조성물
KR101536762B1 (ko) * 2013-10-15 2015-07-15 조동근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478B1 (ko) 200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478B1 (ko) 탈취제
CN104307019A (zh) 一种用于去除有害气体的植物提取物除臭剂
CN1961968A (zh) 一种含天然植物消臭成分的除臭剂
KR101319479B1 (ko) 일정한 발산농도로 장기간 균일한 발산특성을 나타내는 피톤치드 함유 방향성 복합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방향제 패키지
KR101060250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한 스프레이용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스프레이용 조성물이 충진된 스프레이 장치, 스프레이식 손 소독 세정제 및 스프레이식 구강청정제
KR101536762B1 (ko)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KR20110107513A (ko) 식물 정유를 이용한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311660A (zh) 一种具备抑菌杀菌作用的植物源除臭剂
CN110302655A (zh) 一种除臭珠
KR101221104B1 (ko) 노인 악취 제거를 위한 천연식물추출 배합 조성물
KR102092283B1 (ko) 액상 탈취제 조성물
CN100360187C (zh) 冰箱除臭吸味剂伴侣及生产方法
JP5241905B2 (ja) 有機系消臭成分の効力増強剤を配合した消臭剤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JPS61206449A (ja) 消臭剤
KR20160042586A (ko) 방향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향제 제품
KR101347521B1 (ko) 탈취제
JP2006296807A (ja) 消臭材
JPH0222672B2 (ko)
KR20110045915A (ko) 살균 및 세정기능이 보강된 탈취액 조성물
JP3458808B2 (ja) 消臭剤
KR102410960B1 (ko) 방향 탈취용 조성물
JPH0430856A (ja) 消臭剤
KR20120081705A (ko) 살균, 방충 및 탈취기능이 보강된 공기 정화액 조성물
JPH0430857A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