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283B1 - 액상 탈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상 탈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283B1
KR102092283B1 KR1020190125162A KR20190125162A KR102092283B1 KR 102092283 B1 KR102092283 B1 KR 102092283B1 KR 1020190125162 A KR1020190125162 A KR 1020190125162A KR 20190125162 A KR20190125162 A KR 20190125162A KR 102092283 B1 KR102092283 B1 KR 10209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nutes
composition
liquid
deodor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성화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성화실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성화실업
Priority to KR1020190125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명반 10~30중량%, L-아스코르빈산 1~10중량%, 구연산 1~3중량%, 염화나트륨 1~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탈취제 조성물에 의하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친환경적이고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며, 다양한 냄새에 대한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상 탈취제 조성물{Fluid deodor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상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고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며,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다양한 냄새에 대한 제거 효과가 우수한 액상 탈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새란 특정 물질에서 확산되어 나온 분자가 콧속의 후세포(嗅細胞)를 자극하여 감지하게 되는 감각을 말하는 것으로,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식사를 할 때 음식 냄새가 옷에 배기도 하고, 거리 주변에 있는 쓰레기 및 오염물질에 의해 혐오스러운 냄새를 수없이 접하고 있다.
오늘날 자연계에는 인간이 생활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생활하수 및 쓰레기, 동물이나 가축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축 분뇨 또는 각종 식물로부터 얻게 되는 유기성 물질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유기성 폐기물은 적정한 습도와 온도 하에서 토양의 광물질 금속류, 염류 및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생화학적인 분해를 일으켜 각종 악취를 발생시킨다.
악취란 호기(呼氣)의 성분들로 인해 주위사람들이 불쾌하게 느끼는 냄새를 일컬으며, 악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은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이하 VSCs라 한다)로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메르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메르캅탄(Dimethylmercaptan, (CH3)2S) 등이 있고, 메틸메르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들 휘발성 황화물 이외에 트리메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도 있다.
이와 같은 악취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분해방법, 마스킹법, 흡착법, 중화법, 살균법 등이 있다.
상기 화학적인 분해방법은 비용이 비싸고, 속효성은 있으나 지속성이 없으며, 안전성에 문제가 있고, 상기 마스킹법은 악취보다 강한 별도의 냄새를 발산시켜 악취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지만, 고가의 항료를 필요로 하고 근본적인 제거가 어렵다.
또한, 상기 흡착법은 악취를 배기 장치에 의해 옥외로 배출시키면서 활성탄 등에 흡착시키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많은 건설비가 소요되고 고가의 활성탄을 주기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유지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고, 상기 중화법은 악취를 산성이나 알칼리성의 물질로 중화시켜 처리하는 화학적인 방법으로, 사용시 일시적으로 악취가 소멸하지만 지속성이 없고, 산성기와 알칼리성기를 동시에 가지는 경우 화학 처리가 곤란하며, 악취발생 물질이 중성일 경우 전혀 효과를 거둘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살균법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균 자체를 사멸시켜 부패를 막고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장시간 무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살균제 또는 방부제가 필요한 단점이 있고, 특히, 상기 살균법은 유기물의 부패 또는 발효 자체를 일으키지 못하도록 하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 또는 발효에 의한 악취가 아니면 소정의 목적물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해 개발된 탈취제의 경우 탈취 효과가 현저하지 않고, 또한, 악취를 생성하는 물질의 표면 일부분에서만 악취를 제거할 뿐, 즉각적으로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악취를 생성하는 물질에 대한 탈취 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바,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다양한 냄새 성분에 대하여 강한 탈취 효과를 보이는 친환경적인 탈취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KR 10-1605114 B1 KR 10-2017-0067694 A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고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며, 다양한 냄새 에 대한 제거 효과가 우수한 액상 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액상 탈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 탈취제 조성물은, 소명반 10~30중량%, L-아스코르빈산 1~10중량%, 구연산 1~3중량%, 염화나트륨 1~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면활성제 1~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라 열매 추출물 1~2중량% 및 구아바 잎 추출물 1~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지나무 잎 추출물 1~2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탈취제 조성물에 의하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친환경적이고 탈취력과 살균력이 우수하며, 다양한 냄새에 대한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액상 탈취제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탈취제는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의 제거는 물론, 이외 각종 유기화합물질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탈취제 조성물은, 소명반, L-아스코르빈산, 구연산, 염화나트륨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물에 소명반, L-아스코르빈산, 구연산 및 염화나트륨을 용해시켜 제조하는 것으로, 그 제조방법은 일반적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소명반(burnt alum)은 명반을 가열처리한 것, 즉 황산 알루미늄칼륨의 건조물이다. 상기 소명반은 주로 빵이나 과자 등의 팽창제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인체에 안전하다. 상기 소명반은 항균 효과는 물론, 해독, 살충, 수렴, 소염 작용을 하고, 수분 제거 및 탈취의 효과도 있다. 아울러, 상기 소명반은 그 단가가 낮아 저렴한 비용으로 탈취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소명반은 조성물 내 10~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탈취의 효과가 미미하고, 과량이 되면 용매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산화방지제로 액상의 탈취제 조성물의 안정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탈취 효과 역시 부여한다.
상기 L-아스코르빈산은 조성물 내 1~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탈취 및 안정제로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증진된 작용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구연산은 살균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연산은 조성물 내 1~3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 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3중량%를 초과하면 인체 및 동물의 피부 등에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탈취 및 살균의 작용을 한다.
상기 염화나트륨은 조성물 내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 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물은 용매로서 사용되어 잔부로 포함된다.
즉, 상기와 같은 탈취제 조성물은 액상의 형태로,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의 제거는 물론, 유기화합물질의 각종 악취 가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탈취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각종 유기가스를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줘 탈취 효과를 개선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친환경의 천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예시적으로 코코베타인, 레시틴(Lecithin), 사포닌, 데실글로코사이드(Decyl Glucoside), 애플아미노산, 쟁탄검(Xanthan Gum)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액상의 탈취제 조성물은, 암라 열매 추출물 1~2중량% 및 구아바 잎 추출물 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라(Phyllanthus emblica Linn)는 일반적으로 인디안 구스베리로 알려진 대극과 낙엽교목이다.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대만 등 열대·아열대 기후 국가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비타민 C, 미네랄, 아미노산, 탄닌, 필램블릭산, 루틴, 커큐미노이드, 엠블리콜, 페놀릭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암라의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폴리페놀 성분들을 포함하는바, 탈취제로서 사용시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구아바(Psidium guajava)는 아메리카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재배식물로 아열대지방까지 널리 전파되어 열대 및 아열대 나라의 주된 음식이자 항염증, 항경련, 설사, 이질, 위장 및 호흡장애 등의 민간 의약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구아바 잎에는 각종 등의 폴리페놀 성분들이 풍부한바, 이를 암라 열매 추출물과 함께 탈취제로서 사용시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월등히 증진시킨다.
상기 암라 열매 추출물 또는 구아바 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물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추출방법으로는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라 열매 추출물 또는 구아바 잎 추출물은, 추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 또는 진공 농축하여 수득된 농축물을 포함하며, 동결 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여 수득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탈취제 조성물은, 가지나무 잎 추출물 1~2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지나무 잎 추출물 역시 탈취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추출방법은 암라 열매 추출물 또는 구아바 잎 추출물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의 제거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염화나트륨 1~5중량%, 티오황산나트륨 5~10중량%, 수산화나트륨 1~5중량%, 황산제일철 5~10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액상의 탈취제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티오황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황산제일철은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을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각 배합비가 상기한 범위 미만일 경우, 그 제거 효율이 좋지 못하고, 이를 초과하면 인체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배합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다른 실시예 역시 탈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암라 열매 추출물 1~2중량%, 구아바 잎 추출물 1~2중량% 및 가지나무 잎 추출물 1~2중량%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앞서 설명한 소명반 10~30중량%, L-아스코르빈산 1~10중량%, 구연산 1~3중량%, 염화나트륨 1~5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1액으로 하고, 염화나트륨 1~5중량%, 티오황산나트륨 5~10중량%, 수산화나트륨 1~5중량%, 황산제일철 5~10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2액으로 하여, 제1액과 제2액을 1:0.5~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제1액과 제2액에는 앞서 설명된 암라 열매 추출물 1~2중량%, 구아바 잎 추출물 1~2중량% 및 가지나무 잎 추출물 1~2중량%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액상 탈취제 조성물은, 조성물 원액을 20~100 부피배의 물로 희석하고, 이를 분사하여 사용하거나, 세정제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바, 그 사용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탈취제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등의 제거는 물론, 유기화합물질의 각종 악취 가스를 제거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각종 식품첨가물 및 천연물질들을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없고, 친환경적이며, 살균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소명반 25중량%, L-아스코르빈산 7중량%, 구연산 2중량%, 염화나트륨 3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소명반 15중량%, L-아스코르빈산 3중량%, 구연산 2중량%, 염화나트륨 3중량%,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 1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티오황산나트륨 7중량%, 염화나트륨 3중량%, 수산화나트륨 3중량%, 황산제일철 7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액상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6)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각 실시예에 암라 열매 추출물 1중량% 및 구아바 잎 추출물 1중량%를 더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암라 열매 추출물은 암라 열매 1kg을 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300g을 집기병에 담은 후 물 3L를 넣고, 80℃에서 10시간 추출하여 암라 열매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여과지(whatman No1)로 감압 여과한 후, 진공회전농축기로 60℃에서 감압 농축한 다음, 분무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구아바 잎 추출물은 구아바 잎 1kg을 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300g을 집기병에 담은 후 물 3L를 넣고, 8℃에서 10시간 추출하여 구아바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진공회전농축기로 60℃에서 감압 농축한 다음, 분무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7 내지 9)
실시예 4 내지 6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각 실시예에 가지나무 잎 추출물 1중량%를 더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가지나무 잎 추출물은 가지나무 잎 잎 1kg을 건조 후, 마쇄하여 얻은 분말 300g을 집기병에 담은 후 물 3L를 넣고, 80℃에서 10시간 추출하여 가지나무 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 진공회전농축기로 60℃에서 감압 농축한 다음, 분무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 성능시험
각 실시예들의 조성물 20ml를 용기에 넣은 후, 암모니아 가스를 50μmol/mol의 양으로 주입하고 탈취율을 시험하였다. 시험환경은 20.9±0.3℃에서 44.7±0.5%R.H로 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그 결과는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 탈취율은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 시간대별 시료 농도)/시간대별 블랭크 농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가스의 검출한계는 0.2μmol/mol이었으며, 이에 따라 탈취율의 최고치는 99.6%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았다.
시험예 1 결과(단위:%)
구분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실시예 1 0 99.5 99.6 99.6 99.6
실시예 2 0 99.6 99.6 99.6 99.6
실시예 3 0 99.0 99.6 99.6 99.6
실시예 4 0 99.6 99.6 99.6 99.6
실시예 5 0 99.6 99.6 99.6 99.6
실시예 6 0 99.6 99.6 99.6 99.6
실시예 7 0 99.6 99.6 99.6 99.6
실시예 8 0 99.6 99.6 99.6 99.6
실시예 9 0 99.6 99.6 99.6 99.6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 모두 60분 후 99.6%의 탈취율을 나타내어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 성능시험
각 실시예들의 조성물 20ml를 용기에 넣은 후, 트리메틸아민을 50μmol/mol의 양으로 주입하고 탈취율을 시험하였다. 시험환경은 20.9±0.3℃에서 44.7±0.5%R.H로 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그 결과는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 탈취율은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 시간대별 시료 농도)/시간대별 블랭크 농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가스의 검출한계는 0.2μmol/mol이었으며, 이에 따라 탈취율의 최고치는 99.6%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시험예 2 결과(단위:%)
구분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실시예 1 0 98 99.6 99.6 99.6
실시예 2 0 98.5 99.6 99.6 99.6
실시예 3 0 96 98.6 99.6 99.6
실시예 4 0 98.6 99.6 99.6 99.6
실시예 5 0 99.0 99.6 99.6 99.6
실시예 6 0 97.5 98.9 99.6 99.6
실시예 7 0 98.7 99.6 99.6 99.6
실시예 8 0 99.2 99.6 99.6 99.6
실시예 9 0 97.9 99.1 99.6 99.6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 모두 90분 후부터 99.6%의 탈취율을 나타내어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탈취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탈취 성능시험
각 실시예들의 조성물 20ml를 용기에 넣은 후, 메틸메르캅탄을 50μmol/mol의 양으로 주입하고 탈취율을 시험하였다. 시험환경은 20.9±0.3℃에서 44.7±0.5%R.H로 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그 결과는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 탈취율은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 시간대별 시료 농도)/시간대별 블랭크 농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가스의 검출한계는 0.2μmol/mol이었으며, 이에 따라 탈취율의 최고치는 99.6%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시험예 3 결과(단위:%)
구분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실시예 1 0 95.2 97.3 98.2 99.6
실시예 2 0 95.5 97.6 98.6 99.6
실시예 3 0 98.2 99.6 99.6 99.6
실시예 4 0 96.2 97.5 98.6 99.6
실시예 5 0 96.5 97.9 99.0 99.6
실시예 6 0 98.5 99.6 99.6 99.6
실시예 7 0 96.3 97.9 98.9 99.6
실시예 8 0 96.7 98.0 99.2 99.6
실시예 9 0 98.7 99.6 99.6 99.6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 모두 120분 후부터 99.6%의 탈취율을 나타내어 메틸메르캅탄에 대한 탈취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황화수소에 대한 탈취 성능시험
각 실시예들의 조성물 20ml를 용기에 넣은 후, 황화수소를 50μmol/mol의 양으로 주입하고 탈취율을 시험하였다. 시험환경은 20.9±0.3℃에서 44.7±0.5%R.H로 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그 결과는 30분마다 가스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율을 평가하였으며, 탈취율은 [(시간대별 블랭크(blank) 농도 - 시간대별 시료 농도)/시간대별 블랭크 농도] × 100으로 계산하였다. 상기 가스의 검출한계는 0.2μmol/mol이었으며, 이에 따라 탈취율의 최고치는 99.6%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았다.
시험예 4 결과(단위:%)
구분 0분 30분 60분 90분 120분
실시예 1 0 96.2 97.8 99.6 99.6
실시예 2 0 96.4 98.2 99.6 99.6
실시예 3 0 98.9 99.6 99.6 99.6
실시예 4 0 96.5 98.0 99.6 99.6
실시예 5 0 96.9 98.5 99.6 99.6
실시예 6 0 99.0 99.6 99.6 99.6
실시예 7 0 96.7 98.4 99.6 99.6
실시예 8 0 97.1 98.9 99.6 99.6
실시예 9 0 99.1 99.6 99.6 99.6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 모두 90분 후부터 99.6%의 탈취율을 나타내어 황화수소에 대한 탈취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소명반 10~30중량%, L-아스코르빈산 1~10중량%, 구연산 1~3중량%, 염화나트륨 1~5중량%, 계면활성제 1~2중량%, 암라 열매 추출물 1~2중량%, 구아바 잎 추출물 1~2중량%, 가지나무 잎 추출물 1~2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고,
    상기 소명반 10~30중량%, L-아스코르빈산 1~10중량%, 구연산 1~3중량%, 염화나트륨 1~5중량%, 계면활성제 1~2중량%, 암라 열매 추출물 1~2중량%, 구아바 잎 추출물 1~2중량%, 가지나무 잎 추출물 1~2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제1액과;
    염화나트륨 1~5중량%, 티오황산나트륨 5~10중량%, 수산화나트륨 1~5중량%, 황산제일철 5~10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제2액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액과 상기 제2액을 1:0.5~1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탈취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25162A 2019-10-10 2019-10-10 액상 탈취제 조성물 KR10209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62A KR102092283B1 (ko) 2019-10-10 2019-10-10 액상 탈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162A KR102092283B1 (ko) 2019-10-10 2019-10-10 액상 탈취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283B1 true KR102092283B1 (ko) 2020-03-23

Family

ID=6999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162A KR102092283B1 (ko) 2019-10-10 2019-10-10 액상 탈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2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854B1 (ko) * 2020-10-29 2021-06-14 (주)엔젤에스캄 악취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7899A (ko) 2020-09-18 2022-03-25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발효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조성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4618A (ja) * 1987-11-02 1989-05-17 Mitsubishi Rayon Co Ltd 消臭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3648A (ja) * 1996-07-19 1998-02-10 Maruzen Pharmaceut Co Ltd 脱臭剤
KR19980022388A (ko) * 1996-09-19 1998-07-06 박기홍 무독성 외용 탈취액이 제조, 혼합방법
JP2002159566A (ja) * 2000-08-28 2002-06-04 Maruzen Pharmaceut Co Ltd 消臭剤及び抗菌剤
JP2014151137A (ja) * 2013-02-14 2014-08-25 Ichimaru Pharcos Co Ltd 消臭剤およびその利用
KR101605114B1 (ko) 2014-08-02 2016-03-21 주식회사 에코제로 고추냉이를 주재로 한 새집증후군 제거용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JP2016145197A (ja) * 2015-01-30 2016-08-12 株式会社コーセー デオドラント剤
KR20170067694A (ko) 2017-05-26 2017-06-16 이춘옥 천연성분을 이용한 친환경 탈취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4618A (ja) * 1987-11-02 1989-05-17 Mitsubishi Rayon Co Ltd 消臭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3648A (ja) * 1996-07-19 1998-02-10 Maruzen Pharmaceut Co Ltd 脱臭剤
KR19980022388A (ko) * 1996-09-19 1998-07-06 박기홍 무독성 외용 탈취액이 제조, 혼합방법
JP2002159566A (ja) * 2000-08-28 2002-06-04 Maruzen Pharmaceut Co Ltd 消臭剤及び抗菌剤
JP2014151137A (ja) * 2013-02-14 2014-08-25 Ichimaru Pharcos Co Ltd 消臭剤およびその利用
KR101605114B1 (ko) 2014-08-02 2016-03-21 주식회사 에코제로 고추냉이를 주재로 한 새집증후군 제거용 친환경 탈취제의 제조방법
JP2016145197A (ja) * 2015-01-30 2016-08-12 株式会社コーセー デオドラント剤
KR20170067694A (ko) 2017-05-26 2017-06-16 이춘옥 천연성분을 이용한 친환경 탈취제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899A (ko) 2020-09-18 2022-03-25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발효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조성물
KR102263854B1 (ko) * 2020-10-29 2021-06-14 (주)엔젤에스캄 악취 제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7019A (zh) 一种用于去除有害气体的植物提取物除臭剂
CN105582805A (zh) 一种高效植物除臭剂
KR101536762B1 (ko)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KR102092283B1 (ko) 액상 탈취제 조성물
CN110327763A (zh) 环保型室内空气净化剂
KR20110107513A (ko) 식물 정유를 이용한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13057184A (zh) 一种复合型植物液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12107984A (zh) 一种植物型杀菌除臭剂及其制备方法
CN104274848A (zh) 一种具有消醛作用的空气清新剂
KR102154930B1 (ko) 탈취성과 항균성을 갖는 분무식 공기정화기용 공기정화제
CN103623679A (zh) 负离子空气净化剂
KR100645478B1 (ko) 탈취제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311660A (zh) 一种具备抑菌杀菌作用的植物源除臭剂
KR20130115920A (ko) 악취제거효과가 우수한 소취제
KR101536877B1 (ko) 천연성분을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09569245A (zh) 一种天然植物源环保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1671577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240339B2 (ko)
JPH0225623B2 (ko)
KR102249167B1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1671576B1 (ko) 축산 악취 제거용 항균 조성물
CN112007195A (zh) 植物除臭剂
KR101969495B1 (ko) 석유화학공정 슬러지의 악취저감용 조성물
KR100419316B1 (ko) 탈취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