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521B1 - 탈취제 - Google Patents

탈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521B1
KR101347521B1 KR1020120090050A KR20120090050A KR101347521B1 KR 101347521 B1 KR101347521 B1 KR 101347521B1 KR 1020120090050 A KR1020120090050 A KR 1020120090050A KR 20120090050 A KR20120090050 A KR 20120090050A KR 101347521 B1 KR101347521 B1 KR 10134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green tea
deodorant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옥
Original Assignee
임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순옥 filed Critical 임순옥
Priority to KR102012009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넨 10∼25중량%, 잣이 제거된 잣송이 성분 10∼25중량%, 계피 성분 10∼25중량%, 감초 성분 10∼25중량%, 당귀 성분 10∼25중량%, 인진쑥 성분 10∼25중량%, 녹차 성분 10∼25중량%, 실리콘유 또는 테라핀유 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친환경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높은 탈취력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효능이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취제{DEODORANT}
본 발명은 탈취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높은 탈취력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효능이 유지되는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취는 암모니아, 트리메틸 아민과 같은 알칼리성 악취, 황화수소, 황화메틸, 메틸메르캅탄, 이황화메틸과 같은 산성 악취, 아세트 알데히드, 스티렌과 같은 중성 악취로 구별된다.
위와 같은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활성탄을 중심으로 제올라이트, 활성백토, 실리카겔 등을 이용하여 흡착작용 및 흡수작용에 의해 악취물질을 흡착하는 물리적 탈취방법, 악취성분과의 화학적인 반응, 즉 탈황작용, 중화반응, 산화 환원반응, 부가축합반응, 이온교환반응 등으로 악취를 무취화시키는 화학적 탈취방법, 악취의 발생원에 효소 및 방부제를 살포하여 미생물을 제거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생물학적 탈취방법, 방향성 물질(방향제)을 이용하여 악취를 은폐시킴으로서 악취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마스킹 방법이 있다.
그러나, 물리적 탈취방법은 효과는 빠르지만 환경 조건 또는 강기간 사용에 따라 악취가 재생되고, 화학적 탈취방법은 선택성 기작에 의해 총체적인 탈취력의 발휘에 한계가 있으며, 생물학적 탈취방법은 효과가 느리고 온도 및 습도 조건에 따라 그 활성의 차이가 커서 탈취 효능이 불균일하고, 마스킹 방법은 성분에 따라서 새로운 악취나 독성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친환경적인 소재를 바탕으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탈취 효능을 유지할 수 있는 탈취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높은 탈취력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효능이 유지되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는, 리모넨 10∼25중량%, 잣이 제거된 잣송이 성분 10∼25중량%, 계피 성분 10∼25중량%, 감초 성분 10∼25중량%, 당귀 성분 10∼25중량%, 인진쑥 성분 10∼25중량%, 녹차 성분 10∼25중량%, 실리콘유 또는 테라핀유 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염화칼슘 0.1∼2중량%가 더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인 물질을 사용하여, 높은 탈취력을 유지하면서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적고 장기간 효능이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는, 리모넨, 잣이 제거된 잣송이 성분, 계피 성분, 감초 성분, 당귀 성분, 인진쑥 성분, 녹차 성분, 실리콘유(silicon oil)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리콘유 대신에 테라핀유가 혼합될 수도 있다.
리모넨(limonene)은 리모넨 옥사이드의 전구물질로서, 300 여종의 식물에서 얻을 수 있는 천연 테르펜 화합물이면서 단일고리 모노테르펜의 하나로서 멘탄에서 유도되고 레몬과 같은 향기가 있는 액체이다. 공업적으로는 탄성고무를 증류하면 이소프렌과 함께 생성되며 이소프렌의 가열(300℃)에 의한 중합으로 합성된다.
잣송이 성분은 겔 상태의 잣송이 진액을 사용한다. 잣송이에는 피톤치드가 함유되어 있어 장기간 그 향이 지속되며, 실내 환경을 삼림욕과 같은 쾌적함을 느끼게 하여주며 항균, 방충, 탈취 효과를 제공한다.
잣송이 진액의 제조방법은 잣이 제거된 잣송이를 40∼80℃의 정제수에 5∼10분간 침지하여 세척한 다음, 세척된 잣송이를 물과 함께 용기에 넣고 100∼120℃의 온도로 끓여 추출액이 우러나오도록 한 후, 잣송이들을 모두 건져내고 계속 끓여서 수분을 증발시키면 원하는 점도의 겔 상태의 잣송이 진액을 얻게 된다.
계피 성분은 계피 분말을 사용하며, 계피 성분 중에 함유된 계피 알데히드(cinnamic aldehyde)는 공기 중에 산화되어 일정 공간 내에 퍼지는 역할을 한다. 한편, 계피 분말의 입자 크기는 액체와의 혼합성, 취급의 용이함 및 탈취효과에 영향을 주는 표면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300㎛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감초 성분은 수세한 감초를 가압 및 분리하여 추출한 감초 진액, 또는 감초를 건조 후 분쇄한 감초 분말을 사용한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없애주고 72종의 광물성 약재와 1천 2백 종의 식물성 약재를 조화시켜 효능을 잘 발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감초 진액은 감초를 40∼80℃의 정제수에 5∼10분간 침지하여 세척한 다음, 착즙기에 통과시켜 추출된다. 한편, 감초를 분말로 사용할 경우, 감초를 수증기로 증숙하고 나서 건조한 후,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다. 감초 분말의 입자 크기는 액체와의 혼합성, 취급의 용이함 및 탈취효과에 영향을 주는 표면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300㎛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당귀 성분은 수세한 당귀를 가압 및 분리하여 추출한 당귀 진액, 또는 당귀를 건조 후 분쇄한 당귀 분말을 사용한다. 당귀는 당귀 고유의 냄새를 제공한다.
당귀 진액은 당귀를 40∼80℃의 정제수에 5∼10분간 침지하여 세척한 다음, 착즙기에 통과시켜 추출된다. 한편, 당귀를 분말로 사용할 경우, 당귀를 수증기로 증숙하고 나서 건조한 후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다. 당귀 분말의 입자 크기는 액체와의 혼합성, 취급의 용이함 및 탈취효과에 영향을 주는 표면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300㎛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인진쑥 성분은 수세한 인진쑥을 가압 및 분리하여 추출한 인진쑥 진액, 또는 인진쑥을 건조 후 분쇄한 인진쑥 분말을 사용한다. 인진쑥은 인진쑥 고유의 냄새를 제공한다.
인진쑥 진액은 인진쑥을 40∼80℃의 정제수에 5∼10분간 침지하여 세척한 다음, 착즙기에 통과시켜 추출된다. 한편, 인진쑥을 분말로 사용할 경우, 인진쑥을 수증기로 증숙하고 나서 건조한 후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다. 인진쑥 분말의 입자 크기는 액체와의 혼합성, 취급의 용이함 및 탈취효과에 영향을 주는 표면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300㎛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녹차 성분은 수세한 녹차를 가압 및 분리하여 추출한 녹차 진액, 또는 녹차를 건조 후 분쇄한 녹차 분말을 사용한다. 녹차는 식물성 폴리페놀류인 카테킨(catechins) 또는 후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한다. 녹차 폴리페놀은 강력한 탈취 작용을 나타내면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녹차 성분의 대표적인 식물성 폴리페놀류(통상 탄닌류, 카테킨류, 후라보노이드류 등의 여러 가지 폴리페놀류의 복합물)는 천연식물 추출물이므로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균과 바이러스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 그리고 항균효과를 가지면서 암모니아, 아민류, 알데히드 등의 악취 성분에 대하여도 강력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녹차 진액은 녹차를 40∼80℃의 정제수에 5∼10분간 침지하여 세척한 다음, 착즙기에 통과시켜 녹차 생즙을 추출한다. 한편, 녹차를 분말로 사용할 경우, 녹차를 수증기로 증숙하고 나서 건조한 후 분쇄기를 통해 분쇄한다. 녹차 분말의 입자 크기는 액체와의 혼합성, 취급의 용이함 및 탈취효과에 영향을 주는 표면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1∼300㎛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실리콘유 또는 테라핀유는 탈취제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혼합된다. 즉, 탈취제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점도의 변화가 가능해야 한다. 오염 공기를 탈취하는 경우는 높은 휘발성을 요하고 신발이나 건축자재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점성을 요한다. 실리콘유를 배합하는 정도에 따라 겔 상태로 혼합되므로 악취방제 대상품의 표면에서 고르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점착력을 더욱 증대하기 위해 아크릴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면, 테라핀유는 점도를 낮추어 대상품의 표면에 도포 및 건조 속도를 빠르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는 리모넨 10∼25중량%, 잣이 제거된 잣송이 성분 10∼25중량%, 계피 성분 10∼25중량%, 감초 성분 10∼25중량%, 당귀 성분 10∼25중량%, 인진쑥 성분 10∼25중량%, 녹차 성분 10∼25중량%, 실리콘유 또는 테라핀유 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는 염화칼슘 0.1∼2중량%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염화칼슘은 탈취 효과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습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함유된다. 염화칼슘은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불포화 용액으로 되는 조해성의 물질이다. 이러한 염화칼슘 또는 동등 이상의 물성을 지닌 물질을 탈취제의 제조시에 일정 양을 첨가하면 건조를 지연하므로 보습력에 의한 탈취효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모넨, 계피 성분을 각각 별도의 저장조에 실온 상태로 보존한다.
또한, 잣송이 성분, 감초 성분, 당귀 성분, 인진쑥 성분, 녹차 성분을 별도의 저장조에 각각 넣고, 질소 분위기로 충전한 상태에서 1∼4℃의 저온으로 보존한다.
그리고, 리모넨, 잣송이 성분, 계피 성분, 감초 성분, 당귀 성분, 인진쑥 성분, 녹차 성분을 설정된 중량 비율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조성한 다음, 또 다른 저장조에 넣고 질소 분위기로 충전한 상태에서 저온으로 보존한다.
각 성분이 혼합된 혼합액에 실리콘유 또는 테라핀유를 혼합하여 예비 탈취제를 생성한다.
그리고, 예비 탈취제를 정제수와 1:1∼1000배로 희석시키고 농도 단위별로 포장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를 사용하여 탈취 실험을 한 결과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리모넨, 잣송이 성분, 계피 성분, 감초 성분, 당귀 성분, 인진쑥 성분, 녹차 성분의 함량을 규정된 범위 내에서 변동하여 시료를 생성한 다음, 상호 탈취능을 비교함에 따라 성분의 함량 변화에 따른 효능의 차이를 확인한다. 단, 실리콘유의 함량은 5중량%로 고정하고, 이에 따라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관련되는 시료의 성분을 설정하면,
〔실시예1〕
리모넨 25중량%, 잣송이 성분 15중량%, 계피 성분 15중량%, 감초 성분 10중량%, 당귀 성분 10중량%, 인진쑥 성분 10중량%, 녹차 성분 10중량%, 실리콘유 5중량%가 함유된 탈취제.
〔실시예2〕
리모넨 15중량%, 잣송이 성분 15중량%, 계피 성분 15중량%, 감초 성분 15중량%, 당귀 성분 15중량%, 인진쑥 성분 10중량%, 녹차 성분 10중량%, 실리콘유 5중량%가 함유된 탈취제.
〔실시예3〕
리모넨 10중량%, 잣송이 성분 10중량%, 계피 성분 15중량%, 감초 성분 15중량%, 당귀 성분 15중량%, 인진쑥 성분 15중량%, 녹차 성분 15중량%, 실리콘유 5중량%가 함유된 탈취제.
실험에 있어서, 가로??세로??높이 각각 2m의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산성, 염기성, 중성의 악취물질을 각각 20ppm 씩 투입한 다음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따른 시료를 투입하여 시간에 따른 악취농도의 감소 변화를 살피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여기서, 산성 악취물질로서 황화수소, 염기성 악취물질로서 암모니아, 중성 악취물질로서 아세트알데히드를 택한다.
〔표 1〕
Figure 112012065979216-pat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각 성분이 함량 범위 내에 있으면 효능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비교 실험의 방법으로 상기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각 성분 중 2개를 택하여 최대 허용치를 초과하고, 나머지 5개는 최소 허용치를 미달하는 조합을 임의로 구성하여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의 시료를 형성한다. 단, 실리콘유의 함량은 5중량%로 동일하게 고정하고, 악취물질을 포함한 실험조건도 동일하게 한다.
〔비교예1〕
리모넨과 잣송이 성분은 35중량%로 적정 범위를 5중량%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5중량%로 적정 범위를 5중량% 미달하도록 한다. 즉, 비교예1의 탈취제는 리모넨 35중량%, 잣송이 성분 35중량%, 계피 성분 5중량%, 감초 성분 5중량%, 당귀 성분 5중량%, 인진쑥 성분 5중량%, 녹차 성분 5중량%, 실리콘유 5중량%가 함유된다.
〔비교예2〕
리모넨과 계피 성분은 35중량%로 적정 범위를 5중량%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5중량%로 적정 범위를 5중량% 미달하도록 한다. 즉, 비교예2의 탈취제는 리모넨 35중량%, 잣송이 성분 5중량%, 계피 성분 35중량%, 감초 성분 5중량%, 당귀 성분 5중량%, 인진쑥 성분 5중량%, 녹차 성분 50중량%, 실리콘유 5중량%가 함유된다.
〔비교예3〕
감초 성분과 당귀 성분은 35중량%로 적정 범위를 5중량% 초과하고, 나머지 성분은 5중량%로 적정 범위를 5중량% 미달하도록 한다. 즉, 비교예3의 탈취제는 리모넨 5중량%, 잣송이 성분 5중량%, 계피 성분 5중량%, 감초 성분 35중량%, 당귀 성분 35중량%, 인진쑥 성분 5중량%, 녹차 성분 5중량%, 실리콘유 5중량%가 함유된다.
〔표 2〕
Figure 112012065979216-pat00002
〔표 1〕과 〔표 2〕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적정 함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예외없이 효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통상 산제 함유 탈취제는 염기성 냄새에, 알칼리제 함유 탈취제는 산성 냄새에 대하여 우수한 탈취 효과를 나타내지만 혼합되면 안정성이 나빠져 탈취효능이 저하되고 새로운 냄새가 유발될 우려도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정 함량을 유지함으로써 〔표 1〕과 같이 어느 냄새에 대하여 반응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리모넨 10∼25중량%, 잣이 제거된 잣송이 성분 10∼25중량%, 계피 성분 10∼25중량%, 감초 성분 10∼25중량%, 당귀 성분 10∼25중량%, 인진쑥 성분 10∼25중량%, 녹차 성분 10∼25중량%, 실리콘유 또는 테라핀유 5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2. 제1항에 있어서,
    염화칼슘 0.1∼2중량%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KR1020120090050A 2012-08-17 2012-08-17 탈취제 KR101347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050A KR101347521B1 (ko) 2012-08-17 2012-08-17 탈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050A KR101347521B1 (ko) 2012-08-17 2012-08-17 탈취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521B1 true KR101347521B1 (ko) 2014-01-07

Family

ID=5014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050A KR101347521B1 (ko) 2012-08-17 2012-08-17 탈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471B1 (ko) 2015-04-28 2017-07-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해충기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한 식물성 오일 혼합물
KR102285822B1 (ko) * 2021-06-08 2021-08-04 송진옥 악취저감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32A (ko) * 2000-05-24 2001-12-07 김정희 한방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음료 및 방향제 조성물, 그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88526A (ko) * 2004-03-02 2005-09-07 유희재 원적외선과 회전전자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활성탄소합성물 및 그 활성탄소 합성물의 제조방법
KR20080089893A (ko) * 2007-04-03 2008-10-08 주식회사 해처럼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
JP2009050370A (ja) 2007-08-24 2009-03-12 Ogawa & Co Ltd 芳香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032A (ko) * 2000-05-24 2001-12-07 김정희 한방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음료 및 방향제 조성물, 그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88526A (ko) * 2004-03-02 2005-09-07 유희재 원적외선과 회전전자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활성탄소합성물 및 그 활성탄소 합성물의 제조방법
KR20080089893A (ko) * 2007-04-03 2008-10-08 주식회사 해처럼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
JP2009050370A (ja) 2007-08-24 2009-03-12 Ogawa & Co Ltd 芳香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471B1 (ko) 2015-04-28 2017-07-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과 미래 해충기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한 식물성 오일 혼합물
KR102285822B1 (ko) * 2021-06-08 2021-08-04 송진옥 악취저감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7019A (zh) 一种用于去除有害气体的植物提取物除臭剂
KR101536762B1 (ko)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실내용 탈취제
CN110327763A (zh) 环保型室内空气净化剂
KR20110107513A (ko) 식물 정유를 이용한 항균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645478B1 (ko) 탈취제
KR20170108587A (ko) 친환경 살균 및 탈취제의 조성물
CN110354665A (zh) 一种甲醛清除剂及其制备方法
KR101347521B1 (ko) 탈취제
KR20080089893A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섬유탈취제 조성물
KR100844079B1 (ko) 친환경 공기질 개선제 조성물
KR20090115503A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
KR102076265B1 (ko) 고도 분지된 사이클릭 덱스트린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제 조성물
KR101596687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한 탈취제
KR102092283B1 (ko) 액상 탈취제 조성물
JPH0222668B2 (ko)
JP5927566B2 (ja) 芳香シールの製造方法
JPH0225623B2 (ko)
KR20100074712A (ko) 천연 항균성분을 이용한 냉장고용 탈취제
KR20110045915A (ko) 살균 및 세정기능이 보강된 탈취액 조성물
JPH0222672B2 (ko)
CN110801527A (zh) 一种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KR20200144314A (ko)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87618A (ko) 소취제 조성물
CN109364679A (zh) 一种异味甲醛消除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727549B1 (ko) 탈취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