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14A -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14A
KR20200144314A KR1020190072187A KR20190072187A KR20200144314A KR 20200144314 A KR20200144314 A KR 20200144314A KR 1020190072187 A KR1020190072187 A KR 1020190072187A KR 20190072187 A KR20190072187 A KR 20190072187A KR 20200144314 A KR20200144314 A KR 2020014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fired product
water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687B1 (ko
Inventor
방금식
Original Assignee
방금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금식 filed Critical 방금식
Priority to KR102019007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687B1/ko
Priority to PCT/KR2019/010531 priority patent/WO2020256212A1/ko
Publication of KR2020014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정수용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수득한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deodorization comprising mineral water as effective compon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 처리장과 같은 시설뿐 아니라, 일상 생활 환경에서도 암모니아 및 아민 등의 질소 화합물, 황화수소 및 메트캅탄 등의 황화합물, 포름산 및 아세트산 등의 지방산 등 각종 악취 발생 물질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물리적 제거방법, 화학적 제거방법, 생물화학적 제거방법 및 감각적 탈취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물리적 제거방법은 활성탄이나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 성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하는 것으로, 냄새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고, 화학적 제거방법은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및 가수분해 등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악취 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냄새 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악취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소취제로서 최근에는 식물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계 탈취제가 이용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C6 - C3- C6의 탄소골격을 갖는 식물색소의 총칭으로 플라보논류, 플라바논류, 안토클론, 안토시안카테킨 등이 여기에 속한다. 효과적으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악취 발생원인 제거, 악취 마스킹 및 악취 유발물질 제거가 효율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성분을 제공하면서, 그 성분이 안정적으로 존재하면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인체에 대하여 안전성, 무독성 및 무자극성이며, 환경 친화적인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악취 원인 물질을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 및 살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항균, 살균 및 탈취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230830호에는 '흡취제로서 수용성 아연염을 함유하는 탈취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192725호에는 '흑운모를 이용한 미네랄 워터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미네랄 워터'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정수용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수득한 미네랄 워터가 아세트산 및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을 정수용 미네랄 필터에 통과시켜 제조된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삶은 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1차 소성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1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1차 소성물 분말을 각각 2차 소성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의 2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을 혼합한 후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하는 단계; (7) 상기 (6) 단계의 반죽물을 성형시켜 정수용 미네랄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7) 단계의 제조된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미네랄 워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세트산 및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 효과를 갖는 미네랄 워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네랄 워터는 해조류 및 잣나무를 사용하여 제조된 필터에 물을 정수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미네랄이 풍부하고 탈취효과가 우수하므로,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서 친환경적인 탈취제의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수득한 미네랄 워터의 아세트산(CH3COOH) 및 암모니아(NH3)에 대한 소취율(deodorization rate, %)을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정수용 미네랄 필터에 통과시켜 제조된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필터는
(1)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삶은 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1차 소성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1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1차 소성물 분말을 각각 2차 소성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의 2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을 혼합한 후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하는 단계; 및
(7) 상기 (6) 단계의 반죽물을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100℃에서 30~40분 동안 각각 삶은 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소각로에 각각 넣고 500~600℃에서 1~3시간 동안 1차 소성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1차 소성물을 50~120 메쉬로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1차 소성물 분말을 가마에 각각 넣고 1,200℃에서 30분 동안 2차 소성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의 2차 소성물을 50~120 메쉬로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을 혼합한 후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하는 단계; 및
(7) 상기 (6) 단계의 반죽물을 성형기로 120~200℃에서 2~4시간 동안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워터는 아세트산(acetic acid) 및 암모니아(ammonia)에 대해 99% 이상의 탈취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필터는 해조류를 원료로 사용하는데, 해조류는 미네랄이 풍부하여 좋은 미네랄 공급원이다. 본 발명에서는 1종의 해조류를 사용하기 보다는 여러 종류의 해조류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다양한 종류의 해조류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미네랄 성분이 포함된 미네랄 필터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의 송진에서 나오는 유황 성분과 탄닌 성분이 살균 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탈취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및 (4) 단계의 소성은 원료를 태우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료들의 유기질 성분은 탄화되어 제거되고 무기질 성분은 남게 된다.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의 혼합은, 2차 소성물 분말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감태 분말 45~55 중량%; 연잎 분말 15~25 중량%; 함초 분말 5~15 중량%; 다시마 분말 5~15 중량%; 잣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 및 측백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감태 분말 50 중량%; 연잎 분말 20 중량%; 함초 분말 10 중량%; 다시마 분말 10 중량%; 잣나무 열매 분말 5 중량%; 및 측백나무 열매 분말 5 중량%;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의 토르말린(tourmaline)은 약 0.06㎃ 정도의 미약한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성질이 있어서 전기석이라 불리며, 토르말린에서 발생하는 전류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되어 음이온이 발생되고, 음이온에 의해 항균, 탈취,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활성탄(active carbon)은 목제, 갈탄, 이탄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zinc chloride)이나 인산(phosphoric acid)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가루상태 또는 입자상태로 제조된 것으로, 주로 흡착제로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7) 단계의 성형은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의 2차 소성물 분말에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한 반죽물을 원하는 필터형상으로 성형물을 만들 수 있고, 성형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볼형상, 블록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한다. 성형된 제품을 필요에 따라 크기를 정하여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미네랄 필터는 정수용 필터로 사용되는데, 다공질 구조를 가지므로 물을 통과시키면서 정화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수과정을 통해 미네랄 필터의 미네랄이 용출되어 미네랄이 풍부한 pH 7.5~9.5의 미네랄 알칼리수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용 조성물은 고체 스틱, 젤 스틱, 크림, 로션, 액체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탈취용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탈취 효과를 갖는 미네랄 워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취 효과를 갖는 미네랄 워터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1)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삶은 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1차 소성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1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1차 소성물 분말을 각각 2차 소성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의 2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을 혼합한 후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하는 단계;
(7) 상기 (6) 단계의 반죽물을 성형시켜 정수용 미네랄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7) 단계의 제조된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미네랄 워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100℃에서 30~40분 동안 각각 삶은 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소각로에 각각 넣고 500~600℃에서 1~3시간 동안 1차 소성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1차 소성물을 50~120 메쉬(mesh)로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1차 소성물 분말을 가마에 각각 넣고 1,200℃에서 30분 동안 2차 소성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의 2차 소성물을 50~120 메쉬로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을 혼합한 후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하는 단계;
(7) 상기 (6) 단계의 반죽물을 성형기로 120~200℃에서 2~4시간 동안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시켜 정수용 미네랄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7) 단계의 제조된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미네랄 워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상기 (6)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의 혼합은, 2차 소성물 분말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감태 분말 45~55 중량%; 연잎 분말 15~25 중량%; 함초 분말 5~15 중량%; 다시마 분말 5~15 중량%; 잣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 및 측백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감태 분말 50 중량%; 연잎 분말 20 중량%; 함초 분말 10 중량%; 다시마 분말 10 중량%; 잣나무 열매 분말 5 중량%; 및 측백나무 열매 분말 5 중량%;로 혼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워터는 아세트산(acetic acid) 및 암모니아(ammonia)에 대해 99% 이상의 탈취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미네랄 워터의 제조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가마솥에 넣고 약 100℃에서 30~40분 동안 각각 삶아 건조시킨 후,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소각로에 각각 넣고 500~600℃에서 약 2시간 동안 1차 소성시켰다. 상기 1차 소성물을 50~120 메쉬(mesh)로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한 후 1차 소성물 분말을 가마에 각각 넣고 1,200℃에서 약 30분 동안 2차 소성시켜 불순물을 제거하고, 2차 소성물을 50~120 메쉬로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소성물 분말을, 2차 소성물 분말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감태 분말 50 중량%, 연잎 분말 20 중량%, 함초 분말 10 중량%, 다시마 분말 10 중량%, 잣나무 열매 분말 5 중량% 및 측백나무 열매 분말 5 중량%로 혼합하고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첨가하고 물로 반죽한 후, 반죽물을 성형기로 120~200℃에서 약 3시간 동안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시켜 정수용 미네랄 필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 미네랄 워터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미네랄 워터의 탈취 효과 분석
본 발명의 미네랄 워터의 소취율(deodorization rate)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분석시험연구원(Korea Analysis Test Researcher, KATR)에 의뢰하여 분석을 수행한 결과, 미네랄 워터를 처리한 지 30분 만에 아세트산(CH3COOH)은 80%, 암모니아(NH3)는 99% 이상의 소취율을 나타내었고, 1시간 이후부터는 아세트산 및 암모니아에 대해 모두 99% 이상의 소취율을 나타냈었다(도 1).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수득한 미네랄 워터는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물을 정수용 미네랄 필터에 통과시켜 제조된 미네랄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용 미네랄 필터는
    (1)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삶은 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1차 소성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1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1차 소성물 분말을 각각 2차 소성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의 2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을, 2차 소성물 분말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감태 분말 45~55 중량%, 연잎 분말 15~25 중량%, 함초 분말 5~15 중량%, 다시마 분말 5~15 중량%, 잣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 및 측백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로 혼합한 후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하는 단계; 및
    (7) 상기 (6) 단계의 반죽물을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는 아세트산 및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용 조성물.
  4. (1)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삶은 후 건조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건조된 감태, 함초, 다시마, 연잎, 잣나무 열매 및 측백나무 열매를 각각 1차 소성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1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1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3) 단계의 1차 소성물 분말을 각각 2차 소성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의 2차 소성물을 각각 분쇄하여 2차 소성물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2차 소성물 분말을, 2차 소성물 분말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감태 분말 45~55 중량%, 연잎 분말 15~25 중량%, 함초 분말 5~15 중량%, 다시마 분말 5~15 중량%, 잣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 및 측백나무 열매 분말 2~8 중량%로 혼합한 후 토르말린과 활성탄을 혼합하고 물로 반죽하는 단계;
    (7) 상기 (6) 단계의 반죽물을 성형시켜 정수용 미네랄 필터를 제조하는 단계; 및
    (8) 상기 (7) 단계의 제조된 미네랄 필터에 물을 통과시켜 미네랄 워터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세트산 및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 효과를 갖는 미네랄 워터의 제조 방법.
KR1020190072187A 2019-06-18 2019-06-18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87A KR102215687B1 (ko) 2019-06-18 2019-06-18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9/010531 WO2020256212A1 (ko) 2019-06-18 2019-08-20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187A KR102215687B1 (ko) 2019-06-18 2019-06-18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14A true KR20200144314A (ko) 2020-12-29
KR102215687B1 KR102215687B1 (ko) 2021-02-15

Family

ID=7404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187A KR102215687B1 (ko) 2019-06-18 2019-06-18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5687B1 (ko)
WO (1) WO2020256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7315A (zh) * 2021-06-17 2021-08-27 唐山市蓝翔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环保养殖污水处理药剂及其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90A (ko) * 2003-06-17 2004-12-23 주식회사 화인허브 살균 및 탈취용 마그마큐 키트 및 정수기 필터
KR20110135832A (ko) * 2010-06-11 2011-12-19 유인식 항균성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2468A (ko) * 2010-10-25 2012-05-03 강신우 축산용 미네랄 워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가축 급이용 급수 제조방법 및 가축분뇨의 액비 처리방법
KR101952897B1 (ko) * 2018-05-31 2019-02-27 방금식 해조류를 이용한 정수용 미네랄필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823A (ko) * 2002-09-16 2004-03-22 손영석 디지털 오염도 측정하는 분리형과 일체형의 자동정수필터
KR100922719B1 (ko) * 2009-03-26 2009-10-20 (주) 티피코 미네랄 기능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기능수
KR20150012595A (ko) * 2013-07-25 2015-02-04 배기섭 알칼리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칼리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90A (ko) * 2003-06-17 2004-12-23 주식회사 화인허브 살균 및 탈취용 마그마큐 키트 및 정수기 필터
KR20110135832A (ko) * 2010-06-11 2011-12-19 유인식 항균성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2468A (ko) * 2010-10-25 2012-05-03 강신우 축산용 미네랄 워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가축 급이용 급수 제조방법 및 가축분뇨의 액비 처리방법
KR101952897B1 (ko) * 2018-05-31 2019-02-27 방금식 해조류를 이용한 정수용 미네랄필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212A1 (ko) 2020-12-24
KR102215687B1 (ko) 202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91314A (zh) 一种除味组合物及其应用
CN104436266A (zh) 汽车空气净化剂及其制备方法
KR102209425B1 (ko) 미네랄 함유 복합 기능수를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탈취제
KR102215687B1 (ko)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44079B1 (ko) 친환경 공기질 개선제 조성물
KR101708595B1 (ko) 다시마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CN111097279A (zh) 一种环保室内环境净化剂及其制备方法
KR101596687B1 (ko) 피톤치드를 함유한 탈취제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309259A (zh) 一种利用澳洲坚果壳制备天然摩擦剂的方法
KR102092283B1 (ko) 액상 탈취제 조성물
KR101658156B1 (ko) 적색셰일 분말과 msm이 포함된 흡착탈취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484405B1 (ko) 다기능성 도료 조성물
CN104383894A (zh) 一种高吸附性口罩用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1258092B1 (ko) 황화합물 악취제거제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제
KR102132978B1 (ko) 피톤치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7024B1 (ko)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류농약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79095A (zh) 一种养殖场空气除臭剂及其制备方法
KR100473175B1 (ko) 아로마 함유 샤워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495B1 (ko) 석유화학공정 슬러지의 악취저감용 조성물
KR100646706B1 (ko) 이온교환 중합반응을 이용한 미용 분말 팩 조성물
CN103566881B (zh) 一种植物根的改性活性炭及其制备方法
KR0180454B1 (ko) 송염의 제조방법
JPH02265558A (ja) 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