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691A -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691A
KR20060097691A KR1020060078935A KR20060078935A KR20060097691A KR 20060097691 A KR20060097691 A KR 20060097691A KR 1020060078935 A KR1020060078935 A KR 1020060078935A KR 20060078935 A KR20060078935 A KR 20060078935A KR 20060097691 A KR20060097691 A KR 2006009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sealing member
opening
container li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06007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691A/ko
Publication of KR2006009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9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the lid, the hinge and the element connecting them to the container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형태의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면서 배출구가 형성된 결합부와 일측 절첩편에 의해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부가 구성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부의 배출구 상단을 차단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배출구봉인부재;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개폐부의 내측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봉인절취부재; 및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최초 개폐부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가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부가 최초 열림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절취선이 뜯어져서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결합고정수단; 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최초 뚜껑이 열림과 동시에 상기 봉인부재가 해제되는 한편, 상기 해제된 봉인부재를 통해 내용물의 유출과 이물질의 침투를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A CAP OF VESSEL WITH SEAL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이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의 최초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의 최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결합부 12: 배출구
14: 통기구 20: 개폐부
30: 절첩편
100: 배출구봉인부재 120: 고정홈
140: 스냅홈 160: 흘림방지편
180: 걸림턱 190: 통기구봉인부재
192: 봉인절취링
200: 봉인절취부재 220: 고정돌기
240: 스냅돌기 280: 고정턱
본 발명은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최초 뚜껑이 열림과 동시에 상기 봉인부재가 해제되는 한편, 상기 해제된 봉인부재를 통해 내용물의 유출과 이물질의 침투를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액체 형태의 식용유, 오일, 각종 향유 및 첨가제 등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의 뚜껑에는 다양한 형태의 봉인부재가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뚜껑은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면서 배출구가 형성된 결합부와 일측 절첩편에 의해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결합부의 배출구 상단에는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봉인부재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봉인부재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로 생산, 보관 및 운반하는 모든 과정으로부터 최초 사용하는 순간까지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해 유실되거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봉인부재를 완전히 제거한 후 계속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봉인부재는 최초 사용하기 이전에 배출구를 밀봉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있으므로 최초 상기 배출구로부터 봉인부재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는 상기 배출구가 항상 열린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내용물이 유실되거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상기 배출구가 상기 뚜껑의 상단을 여닫는 개폐부에 의해 닫힌다 하더라도 배출구 상단과 개폐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가 넘어지거나 거꾸로 들리면 내용물이 배출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최초 뚜껑이 열림과 동시에 상기 봉인부재가 해제되는 한편, 상기 해제된 봉인부재를 통해 내용물의 유출과 이물질의 침투를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 형태의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면서 배출구가 형성된 결합부와 일측 절첩편에 의해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부가 구성된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배출구 상단을 차단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배출구봉인부재;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개폐부의 내측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봉인절취부재; 및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최초 개폐부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가 상호 억지끼움 결합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부가 최초 열림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절취선이 뜯어져서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결합고정수단;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합고정수단은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고정홈과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기의 내외주면 상의 일정 높이에 대응 형성되는 스냅홈과 스냅돌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수단은 상기 봉인절취부재의 테두리가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외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상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기는 상광하협 또는 상협하광의 원뿔 형태로 대응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의 상단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외경은 배출구의 내경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상태로 나팔관 하측에 절취선을 통해 일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외면을 커버한 봉인절취부재의 테두리 하단은 상기 나팔관과 대응하여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좁아지는 호형의 곡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배출구 타측에 형성된 소정의 통기구에 대하여 그 상단을 차단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통기구봉인부재; 및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지 점은 상기 통기구봉인부재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봉인절취링; 이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면서 돌출된 상단의 외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흘림방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면에는 상기 흘림방지편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고정턱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이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의 최초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의 최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액체 형태의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면서 배출구(12)가 형성된 결합부(10)와 일측 절첩편(30)에 의해 결합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부(10)의 상단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부(20)로 구성된다.
이때, 결합부(10)의 하부 내면에는 병목과 나사식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0)의 전방 즉, 절첩편(30)의 타측 방향에는 손으로 밀어서 열 수 있도록 손잡이편이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상기 결합부(10)의 배출구(12) 상단에는 배출구 봉인부재(100)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0) 내측 상단에는 봉인절취부재(20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와 봉인절취부재(200)에는 상호 대응되는 결합고정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는 상기 결합부(10)의 배출구(12) 상단을 차단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취선은 통상의 봉인부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찢어지거나 뜯어질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절취선은 상호 결합된 봉인절취부재(200)가 배출구봉인부재(100)를 당기는 힘에 의해 뜯어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봉인절취부재(200)는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개폐부(20)의 내측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개폐부(20)가 닫힘에 따라 봉인절취부재(200)가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결합고정수단은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와 봉인절취부재(200) 상에 각각 형성되어 최초 개폐부(20)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와 봉인절취부재(200)가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부(20)가 최초 열림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절취선이 뜯어져서 배출구(12)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용기뚜껑은 최초 배출구봉인부재(100)를 갖는 결합부(10)와 봉인절취부재(200)를 갖는 개폐부(20)가 열린 상태로 생산하는바, 이에 대하여 배출구봉인부재(100)와 봉인절취부재(200) 상에 각각 대응되어 최초 결합부(10)에 개 폐부(20)를 닫으면서 상호 1회 억지끼움을 통해 완전히 결합 고정된 상태로 유통 및 보관이 이루어지며 이를 구입 후 사용하기 위해서 최초 개폐부(20)가 열림과 동시에 상기 상/배출구봉인부재(100, 200)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2) 상단으로부터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절취선이 뜯어지면서 분리되는 구성을 이룬다.
이때, 상기 결합고정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와 봉인절취부재(200) 상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고정홈(120)과 고정돌기(22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20)과 고정돌기(220)의 내외주면 상의 일정 높이에는 스냅홈(140)과 스냅돌기(240)가 대응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120)과 고정돌기(220)의 결합력과 상기 스냅홈(140)과 스냅돌기(240)의 결합력에 의해 최초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결합고정수단으로써 상기 봉인절취부재(200)의 테두리가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외면을 커버한 상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가 봉인절취부재(200)의 테두리 내부에 수용되면서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배출구봉인부재(100)와 봉인절취부재(200)의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상기 고정홈(120)과 고정돌기(220)는 상단과 하단의 직경이 다른 상광하협 또는 상협하광의 원뿔 형태로 대응 형성된다. 즉,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기(220)가 봉인절취부재(10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돌기(220)와 고정홈(120)이 상광하협의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돌기(220)가 배출구봉인부재(10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협하광의 원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2)의 상단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배출구(12)의 외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외경은 배출구(12)의 내경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상태에서 나팔관 하측에 절취선을 통해 일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개폐부(20)가 닫히면서 봉인절취부재(200)와 배출구봉인부재(100)가 결합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과정에서 작용되는 힘에 대하여 나팔관 형태의 배출구(12)가 그 보다 큰 직경의 배출구봉인부재(100)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절취선이 뜯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반면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와 봉인절취부재(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부(20)가 열리면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절취선이 뜯어짐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외면을 커버한 봉인절취부재(200)의 테두리 하단은 상기 나팔관과 대응하여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좁아지는 호형의 곡면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절취선이 뜯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는 봉인절취부재(200)와 결합된 상태로 개폐부(20)가 닫힘과 동시에 원래 위치된 배출구(12) 상단을 차단하는데, 이와 동시에 상기 봉인절취부재(200)의 테두리 하단이 나팔관 형태의 배출구(12) 상단에 밀착되면서 보다 긴밀하게 차단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10)의 배출구(12) 타측에 형성된 소정의 통기구(14)에 대하여 그 상단을 차단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통기구봉인부재(190)와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 지점은 상기 통기구봉인부재(190)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봉인절취링(192)이 더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기구(14)는 통상 내용물이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될 때 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구(14)를 최초 밀봉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통기구봉이부재(190)와 봉인절취링(192)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봉인절취링(192)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고 뜯어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적당하나 통상 그 일지점이 통기구봉인부재(190)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타지점이 상기 배출구(12) 외측으로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10)의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면서 돌출된 상단의 외측에 걸림턱(180)이 형성된 흘림방지편(160)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20)의 내면에는 상기 흘림방지편(160)의 걸림턱(180)과 대응되는 고정턱(28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흘림방지편(160)은 배출구(12)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내용물이 결합부(10)와 용기의 외면으로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흘림방지편(160)의 걸림턱(180)과 개폐부(20)의 고정턱(280)에 의해 상호 결합을 통해 결합부(10)로부터 개폐부(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에 의하면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초 결합부(10)와 개폐부(20)에 각각 상/배출구봉인부재(100, 200)가 형성된 상태로 제공되는바, 이때,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가 결 합부(10)의 배출구(12)를 차단하여 밀봉한 상태이므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유실되거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20)로 결합부(10) 상단을 닫은 상태에서 상/배출구봉인부재(100, 200)가 상호 결합되더라도 상기 배출구(12)와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절취선이 뜯어지거나 찢어지지 않으면서 밀봉상태를 유지하다가 최초 상기 개폐부(20)가 열림과 동시에 봉인절취부재(200)에 결합된 배출구봉인부재(100)의 절취선이 뜯어지면서 배출구(12)가 개방되므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출구봉인부재(100)가 배출구(12)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도 상기 개폐부(20)가 닫힘과 동시에 배출구봉인부재(100) 및 봉인절취부재(200)의 태두리가 배출구(12)를 차단하기 때문에 용기가 넘어지거나 거꾸로 들리더라도 내용물의 유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에 의하면 최초 뚜껑의 개폐부가 열림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가 배출구로부터 해제되는 한편, 상기 해제된 후에도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를 통해 배출구의 상단이 차단됨으로써 비사용시 내용물의 유출과 이물질의 침투를 지속적으로 방지함에 따 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7)

  1. 액체 형태의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면서 배출구가 형성된 결합부와 일측 절첩편에 의해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부가 구성된 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배출구 상단을 차단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배출구봉인부재;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개폐부의 내측 상단면에 돌출 형성된 봉인절취부재; 및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최초 개폐부가 닫힘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가 상호 결합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부가 최초 열림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절취선이 뜯어져서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결합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수단은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와 봉인절취부재 상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고정홈과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기의 내외주면 상의 일정 높이에 대응 형성되는 스냅홈과 스냅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수단은 상기 봉인절취부재의 테두리가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외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상태로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 뚜껑.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기는 상광하협 또는 상협하광의 원뿔 형태로 대응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 뚜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상단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나팔관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외경은 배출구의 내경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상태로 나팔관 하측에 절취선을 통해 일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봉인부재의 외면을 커버한 봉인절취부재의 테두리 하단은 상기 나팔관과 대응하여 상호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좁아지는 호형의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 뚜껑.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배출구 타측에 형성된 소정의 통기구에 대하여 그 상단을 차단한 상태로 그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뜯어낼 수 있도록 얇게 형성된 절취선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통기구봉인부재; 및 환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그 일 지점은 상기 통기구봉인부재의 상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봉인절취링; 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부재를 갖 는 용기뚜껑.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되면서 돌출된 상단의 외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흘림방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면에는 상기 흘림방지편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고정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 뚜껑.
KR1020060078935A 2006-08-21 2006-08-21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 KR20060097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35A KR20060097691A (ko) 2006-08-21 2006-08-21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35A KR20060097691A (ko) 2006-08-21 2006-08-21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691A true KR20060097691A (ko) 2006-09-14

Family

ID=3762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935A KR20060097691A (ko) 2006-08-21 2006-08-21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769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559A (ja) * 1992-03-10 1993-10-05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蓋
JPH107163A (ja) * 1996-06-19 1998-01-13 Saitama Plast Kk 注出構造
JP2000264358A (ja) * 1999-03-15 2000-09-26 Nihon Tetra Pak Kk 包装容器
KR20010016059A (ko) * 2000-10-16 2001-03-05 이정민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에 있어서, 배출관의 샘방지부구조
JP2005289389A (ja) * 2004-03-31 2005-10-20 Japan Crown Cork Co Ltd プルリング無しヒンジキャップ
JP2006176194A (ja) * 2004-12-24 2006-07-06 Yoshino Kogyosho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559A (ja) * 1992-03-10 1993-10-05 Japan Crown Cork Co Ltd 容器蓋
JPH107163A (ja) * 1996-06-19 1998-01-13 Saitama Plast Kk 注出構造
JP2000264358A (ja) * 1999-03-15 2000-09-26 Nihon Tetra Pak Kk 包装容器
KR20010016059A (ko) * 2000-10-16 2001-03-05 이정민 가압방식 액체주출용 뚜껑에 있어서, 배출관의 샘방지부구조
JP2005289389A (ja) * 2004-03-31 2005-10-20 Japan Crown Cork Co Ltd プルリング無しヒンジキャップ
JP2006176194A (ja) * 2004-12-24 2006-07-06 Yoshino Kogyosho Co Ltd ヒンジキャ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7889C (fr) Verseur pour des flacons et recipients analogues, avec un element perceur pour percer un opercule du goulot des recipients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JP5379055B2 (ja) 詰替え容器用スパウト及びこれを備えた詰替え容器
JP5813580B2 (ja) 二重容器
JP5616161B2 (ja) 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2010527865A (ja) 栓紛失及び空回転防止容器
KR100580810B1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KR101788210B1 (ko) 페인트 통
KR20060097691A (ko) 봉인부재를 갖는 용기뚜껑
JP6602231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635898B2 (ja) 安全キャップ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JP5004627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3929603B2 (ja) 振り混ぜ容器の蓋付き注出栓
KR100765994B1 (ko) 용기마개
JP5959339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6157261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25775Y1 (ko) 병마개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JP2019131216A (ja) ヒンジキャップ
FR3086929A1 (fr)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cosmetique, dispositif et procede associe
KR200371222Y1 (ko) 안전마개 및 이와 결합되는 용기구조
JP6249662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462267Y1 (ko) 액상 용기의 캡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