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270A -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270A
KR20060097270A KR1020050018362A KR20050018362A KR20060097270A KR 20060097270 A KR20060097270 A KR 20060097270A KR 1020050018362 A KR1020050018362 A KR 1020050018362A KR 20050018362 A KR20050018362 A KR 20050018362A KR 20060097270 A KR20060097270 A KR 20060097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wood
combustion chamber
boiler
hot wat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342B1 (ko
Inventor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최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환 filed Critical 최성환
Priority to KR102005001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13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3Pressurised, gaseous medium, also used for delivering of cleaning liquid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실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간으로는 난방용 온수가 지나도록 하고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가 연소실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열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기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화목을 연소시켜 얻어진 열로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를 가열하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10)의 내부 하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격된 부분으로 난방용 온수가 지나도록 설치되는 연소실(40), 화목의 적재를 위해 개폐되도록 상기 연소실(40)의 전면에 설치되고 송풍기(25)가 설치되는 화목 투입구 도어(20), 상기 화목 투입구 도어(2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송풍기(25)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하여 상기 연소실(4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부(30), 상기 연소실(40)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보조 연관(45)에 의해 연결되어 연소실(4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불완전 연소 성분을 완전 연소시켜 배출하는 보조 연소실(50), 보조 연소실(5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화목 보일러(10) 외부로 배출하는 연관(70), 상기 연관(7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연관(7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열교환기(80), 화목 보일러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90), 상기 센서부(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목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절반(110)으보일러(10)의 내부 하측면과 이격되어 설치되게 이격된 부분으로 난방용 온수가 지나도록 설치되는 연소실(40), 화목의 적재를 위해 개폐되도록 상기 연소실(40)의 전면에 설치되고 송풍기(25)가 설치되는 화목 투입구 도어(20), 송풍기(25)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하여 상기 연소실(4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부(30), 상기 연소실(40)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보조 연관(45)에 의해 연결되어 연소실(4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불완전 연소 성분을 완전 연소시켜 배출하는 보조 연소실(50), 보조 연소실(5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화목 보일러(10) 외부로 배출하는 연관(70), 상기 연관(7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연관(7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열교환기(80)로 구성된다.
화목 보일러, 연소실, 공기

Description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A boiler by using wood and its control method}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동작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절반의 외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격판과 공기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화목 투입구 도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의 기능 선택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일러 20 : 화목 투입구 도어
30 : 공기 공급부 40 : 연소실
50 : 보조 연소실 70 : 연관
80 : 열교환기 90 : 축열조
100 : 제어부 110 : 조절반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소실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간으로는 난방용 온수가 지나도록 하고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가 연소실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열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목 보일러는 목재 연료를 이용하여 난방과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의 보일러로서, 종래의 기름 보일러의 경우 국제 유가 변동 및 환율 상승에 따른 연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개발되어 폐목재 또는 농촌의 목재 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내화재로 감싼 보일러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연소실(1), 상기 연소실(1)의 상부로 수직으로 설치되고 연소실(1)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지나는 연관(2), 동파이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연관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온수가 지나도록 하여 연관을 지나는 연소 가스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기(3), 상기 연 소실(1)의 하부 측면으로 설치되어 연소실(1) 내측으로 연소에 사용되는 화목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화목투입구(4), 상기 연소실(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연소실(1)에서 발생된 화목의 재를 담아 배출토록 하는 재받이(5)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화목 보일러는 연소실(1)의 내측에 연료로 사용되는 화목을 적재한 후 화목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연관(2)을 지나는 동안 동파이프로 제작된 열교환기(3)의 내부를 지나는 온수를 가열하도록 한다.
한편, 연소실(1)에서 화목이 연소된 후 발생되는 재는 재받이(5)로 모아지게 되고, 사용자는 정기적인 청소에 의해 배출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화목 보일러의 경우, 보일러가 입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연소실의 공간이 적기 때문에 필요 열량을 계속적으로 얻기 위해 사용자가 화목을 수시로 공급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연소실(5)에서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상하좌우 모든 방향으로 확산되지만, 재받이와 같은 구성 요소가 연소실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연소실의 하부로 방사되는 열량은 온수의 가열에 사용되지 못하고 연소실의 상부로 확산되는 열만이 온수의 가열에 사용되므로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연소실에 하부 공간을 형성하여 연소실에서의 열손실을 줄이도록 하는 화목 보일러 및 그 제 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목적재공간부의 공간을 확장하여 화목의 공급 횟수를 줄여도 필요 열량을 공급할 수 있는 화목 보일러를 제공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동작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송풍기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화목을 연소시켜 얻어진 열로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를 가열하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10)의 내부 하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격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난방용 온수가 지나도록 설치되는 연소실(40), 화목의 적재를 위해 개폐되도록 상기 연소실(40)의 전면에 설치되고 송풍기(25)가 설치되는 화목 투입구 도어(20), 상기 화목 투입구 도어(2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송풍기(25)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하여 상기 연소실(4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부(30), 상기 연소실(40)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보조 연관(45)에 의해 연결되어 연소실(4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불완전 연소 성분을 완전 연소시켜 배출하는 보조 연소실(50), 보조 연소실(5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화목 보일러(10) 외부로 배출하는 연관(70), 상기 연관(7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연관(7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열교환기(80), 화목 보일러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90), 상기 센서부(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목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절반(110)으로 구성되어 있음 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화목 투입구 도어(20)는 단열 성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공급부(30)는 주변부에 다수개의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는 격판(32), 일단부는 상기 격판(3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34)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연소실(40)로 연결되는 공기 파이프(36), 연소실(40)의 내부 상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공(34)에 형성되는 내부 관측홀(3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90)는 축열조(90)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온 센서(81), 축열조(90)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위 측정 센서(82), 보일러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본체 온도 측정 센서(83), 화목 투입구 개폐 센서(8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로서, 화목의 연소에 의해 얻어진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가열함으로서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화목 보일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목 보일러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T10), 사용자에 의해 화목 보일러의 난방 기능 또는 목욕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ST20), 화목 보일러의 축열조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ST30), 화목 투입구 도어의 개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ST40), 상기 단계(ST10, ST30, ST40)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기능 선택 단계(ST20)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른 보일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T5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신호 출력 단계(ST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한 보일러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ST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일러의 동작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T7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를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함에 있어 가스 보일러 또는 기름 보일러의 경우에는 많은 연료비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고, 목재 폐기물이 많이 발생되는 곳에서는 목재 폐기물의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목 보일러를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는 보일러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여 표시하고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태의 조절반(110)이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절반(110)에는 동작 스위치, 수온 표시창, 기능 선택 스위치, 사용자에 의해 목욕 기능 또는 난방 기능 등이 선택되었을 때 점등 동작하는 기능 표시등 및 저수위 및 과열과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점등되는 경고등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화목 투입구 도어(20)를 개방한 후, 화목 보일러(10)의 연소실(40)의 내부에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는 화목을 적재하도록 한다. 이때 연소실(40)을 종래의 화목 보일러에서 사용하는 연소실보다 크게 확장 형성하여 다량의 화목이 적재 가능하도록 하면 보일러의 계속적인 동작을 위해 수시로 화목을 적재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지게 된다.
연소실(40)에 화목을 적재한 후, 조절반(110)의 조작에 의해 보일러가 동작(ST5)되도록 하여 화목이 점화되면 화목의 연소에 의해 고온의 연소 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연소 가스와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열은 연소실(40)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간을 지나는 온수를 가열하게 되어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화목 투입구 도어(20)는 세라믹 재질의 단열재로 제작하여 연소실(40)에서 발생된 열이 화목 투입구 도어(20)를 통해 방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목 보일러의 동작시 화목 투입구 도어(20)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열효율이 저하되므로 화목 투입구 개폐 센서(84)는 화목 투입구 도어(20)의 개방 상태를 측정(ST40)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고, 화목 투입구 도어(20)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경고음 또는 경고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신호를 하도록 한다(ST70).
연소실(40)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는 연소실(40)의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보조 연관(45)을 통해 보조 연소실(50)로 유입되어 연소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불완전 연소 성분이 보조 연소실(50)에서 완전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보조 연소실(50)에서 완전 연소된 연소 가스는 연관(70)을 통해 화목 보일러(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관(70)의 외주면에는 열전도성이 좋은 동파이프 등을 나선형으로 감아 형성된 열교환기(80)가 설치되어 있어 연관(70)을 지나는 연소 가스의 열이 열교환기(80)의 내부를 지나는 온수와 열교환하며 온수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연소실(40)의 하부로 방사되는 열에 의해서도 온수가 가열된다.
연소에 의해 얻어진 열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된 온수가 열교환기(80)의 내부를 지나도록 하면 열교환기(80)에서의 온도 상승 효과는 좀더 빠르게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온수 가열 공정 수행 도중 온수의 온도는 보일러의 동작 초기부터 수온 센서(81)에 의해 계속적으로 측정(ST10)되고 측정된 온도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100)로 입력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수온을 판단하고 온수의 수온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ST50)한 후 조절반(110)을 통해 현재의 온도를 숫자로 표시(ST60)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일러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온수의 온도가 적정 수준 이하 즉, 8 ℃ 이하인 경우에는 보일러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수온이 이 정도로 저하되는 것은 동절기임을 의미하므로 동파에 대비하여 보일러 자체는 동작하지 않더라도 온수 순환 펌프만은 동작(ST55)되도록 하여 온수의 동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보일러에서의 화목 연소에 의해 온수의 온도가 상승되면 온수의 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조절반(110)의 조작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어하게 된다.
우선 사용자는 조절반(110)의 조작에 의해 난방 기능 또는 목욕 기능을 선택하도록 한다(ST20). 실내 난방과 목욕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는 다르므로 선택된 기능에 맞추어 보일러가 동작되도록 하므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어되는 것이 필요하다.
난방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고온의 온수를 필요로 하므로 다음과 같이 제어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수온 센서(81)에 의해 측정된 온수의 온도가 74 ℃ 이하인 경우에는 송풍기(25)가 동작되도록 하고, 75 ℃ 이상인 경우에는 송풍기(25)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동작(ST22)하며, 온수 순환 펌프는 49 ℃ 이하인 경우에는 정지되고 50 ℃ 이상인 경우에는 동작(ST24)되도록 한다. 49 ℃ 이하인 경우에 순환 펌프가 계속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온수 전체의 온도 상승이 느리게 나타나므로 빠른 온도 상승 속도를 얻기 위해 순환 펌프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욕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송풍기(25)의 동작은 난방 기능 선택 시와 같이 수온 센서(81)에 의해 측정된 온수의 온도가 74 ℃ 이하인 경우에는 송풍기(25)가 동작되도록 하고, 75 ℃ 이상인 경우에는 송풍기(25)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동작(ST26)하지만, 온수 순환 펌프는 난방 기능 선택시 와는 달리 49 ℃ 이하인 경우와 50℃ 이상인 경우에도 동작이 계속적으로 정지(ST28)되도록 하여 고온의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온수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면 과열에 의해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온수의 온도가 일정 이상의 온도(예 95 ℃)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면 난방 기능으로 자동 전환되도록 함으로서 온수 순환 펌프(6)가 동작되도록 하여 과열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온수의 과열 외에도 보일러 본체의 온도는 본체 온도 측정 센서(83)에 측정되도록 하여 보일러 본체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었을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경고음등을 이용하여 경고 신호(ST70)를 하여 위험한 상황에 이르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연소실(40) 하부의 공간을 지나는 난방용 용수와 열교환기(80)를 순환하는 난방용 용수를 적절히 가열하기 위해서는 연소실(40)에서의 연소도 일정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연소실(40)과 열교환기(80)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온수는 축열조(90)에 저장하여 보일러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난방과 온수 사용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열조(90)의 크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치 가능하다. 이때 축열조(90)의 크기를 보일러 자체의 크기보다 크게 확장시키면 풍부한 온수의 확보가 가능하여 난방 및 목욕 등의 생활 용수로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축열조(90)의 용량이 대형인 경우에도 온수의 다량 사용에 의해 축열조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가 적정 수준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온수의 과열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만족하지 못한 온수 사용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축열조(90)에 저장된 온수의 양이 기준 이하(예 축열조 용량의 30%)인 것이 수위 측정 센서(82)에 의해 측정되면 제어부(100)는 경고음과 같은 경고 신호를 출력(ST70)하여 사용자가 온수 보충을 하도록 한다.
연소실(40)에서의 일정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송풍 파이프를 다음과 같이 제어하도록 한다.
송풍기(25)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송풍기(25)의 동작에 따른 이송 압력을 갖고 유입되지만, 유입되는 공기의 이송 압력에 의해 연소실(40) 내부에서의 연소가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연소실(40) 내부의 특정 부위로만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실(40)의 위치마다 다른 연소 상태를 나타내는 불균일한 연소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우선 화목 투입구 도어(20)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25)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화목 투입구 도어(20)와 이격되어 있는 격판(32)과 부딪혀 급격한 유입이 멈춰지도록 한다.
격판(32)의 주변부에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공(34)이 형성되어 있고, 격판(32)의 후면으로는 공기 파이프(36)의 일단이 통공(34) 각각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 파이프(36)의 타단은 연소실(40)로 연결된다.
따라서, 송풍기(25)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격판(32)에 부딪혀 급격한 유입이 멈춰지면서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게 되고, 송풍기(25)에 의해 계속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송압에 의해 통공(34)을 통과하게 된다. 통공(34)을 통과한 공기는 공기 파이프(36)를 지나 연소실(40) 내부의 각각의 위치마다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연소실(40) 내부에서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연소가 발생되도록 한다.
연소실(40)에서의 계속적인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재와 같은 이물질이 연관(70)과 보조 연관(45)의 내측에 쌓여 배기 가스의 원활한 배출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보조 연소실(5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가 지나는 부위에 집진부(60)를 설치하고 집진부(60)에는 개폐가능한 분진 청소판(6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실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간으로는 난방용 온수가 지나도록 하고 연소실로 공급되는 공기가 연소실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열효율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연소실을 확장하여 보일러에서 일정한 열량을 얻기 위해 화목을 수시로 적재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송풍기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화목을 연소시켜 얻어진 열로 순환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를 가열하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보일러(10)의 내부 하측면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격된 부분으로 난방용 온수가 지나도록 설치되는 연소실(40), 화목의 적재를 위해 개폐되도록 상기 연소실(40)의 전면에 설치되고 송풍기(25)가 설치되는 화목 투입구 도어(20), 상기 화목 투입구 도어(20)와 이격되어 설치되고 송풍기(25)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배하여 상기 연소실(4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공급부(30), 상기 연소실(40)의 상부측으로 설치되는 보조 연관(45)에 의해 연결되어 연소실(4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의 불완전 연소 성분을 완전 연소시켜 배출하는 보조 연소실(50), 보조 연소실(50)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화목 보일러(10) 외부로 배출하는 연관(70), 상기 연관(7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연관(7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열교환기(80), 화목 보일러의 동작 상태를 측정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90), 상기 센서부(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목 보일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제어부(100)에 의한 화목 보일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절반(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목 투입구 도어(20)는 단열 성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30)는 주변부에 다수개의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는 격판(32), 일단부는 상기 격판(32)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34)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연소실(40)로 연결되는 공기 파이프(36), 연소실(40)의 내부 상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상기 통공(34)에 형성되는 내부 관측홀(3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90)는 축열조(90)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온 센서(81), 축열조(90)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수위를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위 측정 센서(82), 본체 온도 측정 센서(83), 화목 투입구 개폐 센서(8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5. 화목의 연소에 의해 얻어진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가열함으로서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화목 보일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목 보일러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ST5), 화목 보일러에 사용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T10), 사용자에 의해 화목 보일러의 난방 기능 또는 목욕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ST20), 화목 보일러의 축열조에 저장되어 있는 온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ST30), 화목 투입구 도어의 개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ST40), 상기 단계(ST5, ST10, ST30, ST4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기능 선택 단계(ST20)에서 선택된 기능에 따른 보일러 제어 신 호를 출력하는 단계(ST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출력 단계(ST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한 보일러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ST6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보일러의 동작 상태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T7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제어 단계(ST50)에서는 측정된 온수의 온도가 적정 수준 이하이면 화목 보일러의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ST5)가 수행되지 않아도 온수 순환 펌프 제어 신호만을 출력(ST55)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 단계(ST20)에서 난방 기능이 선택되면 온수의 온도가 74 ℃ 이하이면 송풍기(25)를 동작시키고 75 ℃ 이상이면 송풍기(25)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ST22), 온수의 온도가 49 ℃ 이하이면 온수 순환 펌프를 정지시키고 50 ℃ 이상이면 온수 순환 펌프를 동작시키는 단계(ST24)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선택 단계(ST20)에서 목욕 기능이 선택되면 온수의 온도가 74 ℃ 이하이면 송풍기(25)를 동작시키고 75 ℃ 이상이면 송풍기(25)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단계(ST26), 온수의 온도에 관계없이 온수 순환 펌프를 계속적으로 동작시키는 단계(ST28)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제어 방법.
KR1020050018362A 2005-03-04 2005-03-04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0681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62A KR100681342B1 (ko) 2005-03-04 2005-03-04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362A KR100681342B1 (ko) 2005-03-04 2005-03-04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270A true KR20060097270A (ko) 2006-09-14
KR100681342B1 KR100681342B1 (ko) 2007-02-15

Family

ID=3762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362A KR100681342B1 (ko) 2005-03-04 2005-03-04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13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46B1 (ko) *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KR200465815Y1 (ko) * 2010-12-23 2013-03-18 조선영 벽난로형 나무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221A (ko) * 1998-02-09 1998-04-30 손준근 나무 갈탄등을 연료로 사용하도록한 보일러의 구조
KR19980025260A (ko) * 1998-04-07 1998-07-06 김종필 화목보일러
KR19980019156U (ko) * 1998-04-08 1998-07-06 김현국 소각로 겸용 보일러
KR19980033718A (ko) * 1998-05-08 1998-07-25 장사완 자동송풍장치 및 목초산 추출구조를 가진 나무보일러
KR20000027655A (ko) * 1998-10-27 2000-05-15 전창열 목초액 아궁이 보일러
KR200215927Y1 (ko) 2000-09-28 2001-03-15 윤성희 목재용 보일러의 연소구조
KR200350607Y1 (ko) 2004-02-27 2004-05-13 김연태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146B1 (ko) * 2010-05-27 2011-01-07 장하연 화목 보일러
WO2011149217A3 (ko) * 2010-05-27 2012-04-05 Jang Ha Yeon 화목 보일러
KR200465815Y1 (ko) * 2010-12-23 2013-03-18 조선영 벽난로형 나무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1342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456B2 (en) Storage water heater
KR100682239B1 (ko)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KR100681342B1 (ko)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RU201765U1 (ru)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 длительного горения
CA1105906A (en) Closed circuit heating system
KR101958092B1 (ko) 수직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101483927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응축수 배수부 동결방지장치
RU2296920C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200187005Y1 (ko) 장작보일러
KR200379084Y1 (ko) 화목 보일러
JP4239681B2 (ja) 加熱調理器
KR101192840B1 (ko) 보일러 기능을 겸한 벽난로
KR100319649B1 (ko) 보일러
KR200204912Y1 (ko) 시설 하우스용 난방 시스템
KR200442776Y1 (ko) 벽난로의 온수공급장치
KR200386252Y1 (ko) 화목 보일러
KR200208703Y1 (ko) 목재 및 석탄 연소식 열풍기 겸용 보일러
CN218328264U (zh) 一种带承压热水柴火集成灶
KR100430962B1 (ko) 기름 및 목재 겸용 온수 보일러
KR100560378B1 (ko) 나무보일러
JP5557708B2 (ja) 施設園芸用温風暖房機およびその冷却制御方法
KR200231106Y1 (ko) 기름 및 목재 겸용 온수 보일러
KR200412325Y1 (ko) 보일러
KR200320285Y1 (ko) 유류겸용연탄보일러장치
JPH07208810A (ja) 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