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084Y1 - 화목 보일러 - Google Patents

화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084Y1
KR200379084Y1 KR20-2004-0036945U KR20040036945U KR200379084Y1 KR 200379084 Y1 KR200379084 Y1 KR 200379084Y1 KR 20040036945 U KR20040036945 U KR 20040036945U KR 200379084 Y1 KR200379084 Y1 KR 200379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water
combustion chamber
pip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이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석 filed Critical 이재석
Priority to KR20-2004-0036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목 보일러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기름보일러와 연결시킴과 동시에 난방배관을 공유하도록 하고 폐목을 연료로 사용함으로서 기름 소모량을 극소화시 키며, 이에 따라 고가의 유류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보일러 동체는 연소실의 상부 즉, 가열부에 나선형 또는 직선형의 가열수관이 설치되고 연소실의 외부에는 상하부측면에 출수관과 입수관을 가진 워터자켓, 즉 물탱크가 설치되어 가열수관과 물탱크가 연통되게 하며, 배연관 의 하부에 연소실의 화력및 열기, 연기, 가스 등이 지연배출되게 함으로서 열손실을 예방할 수 있게 한 지연판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 설치된다. 또, 연소실의 하부에는 서랍식으로 재받이가 설치되며 연소실 정면에 공기조절구를 가진 개폐구가 장착 구성된다.
또, 화목 보일러 동체를 통상의 기름보일러와 연결시키되, 이때는 기름보일러의 타측 상하부 측면(통상 기름보일러의 동체 양 측면에는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입수관과 출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 입수부와 출수부가 형성되어 있음)에 형성된 출수부 및 입수부에 화목보일러의 출수관과 입수관을 연결시키고, 화목보일러의 출수관에 순환펌프를 장착구성하여 온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는 연료로 폐목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름보일러의 사용을 크게 억제함으로서 연료비의 절감을 꾀할 수 있음은 물론, 연소시 시간이 지연되어 적은 연료(폐목)로 최대의 열효율을 얻을수 있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또한 폐목이 떨어지거나 구비하기가 어려을 때는 자동으로 기름보일러가 작동됨으로서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안정적인 난방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화목 보일러{a firewood boiler}
본 고안은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목을 연료로 사용하되, 주택 등의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기름보일러에 연결 설치하여 선택적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유류비의 대폭 절감과 관리용이, 그리고 안정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목 보일러는 폐목을 연료로 사용되는 보일러를 말하며, 통상, 기름보일러와는 별개로 설치 사용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화목 보일러는 나무, 즉, 폐목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유류의 사용이 배제되기 때문에 유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따르는 반면, 관리가 매우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또 폐목 등의 연료 수급도 쉽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화목 보일러는 폐목이 연소되면서 나선형 가열수관을 가열시키는 과정에서 고열의 열기가 매우 신속하게 배연관을 빠져 나가게 되어 열손실이 매우 크고, 또, 기름보일러와 연결시켜 사용하는 구성이 아니어서 온도조절을 비롯하여 관리가 매우 불편함은 물론 연료(폐목) 소모 또한 큰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기 설치되어 있는 기름보일러에 연결설치하여 기름과 폐목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유류비 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관리 또한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제공하려는 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 설치된 통상의 기름보일러(10)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화목보일러(1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화목 보일러(100)는, 내부 하측에 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연소중인 화목을 안정적으로 받쳐 주도록 된 받침그릴(11)이 설치된 연소실(1)과,
상기 연소실(1) 상부에 위치하며 나선형 또는 직선형 가열수관(21)이 설치되고 연소 열기 및 연기의 배출이 지연되게끔 경사지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연판(22)을 가진 가열부(2)와,
상기 가열부(2) 상측에 설치되어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연관(3)과,
상기 연소실(1) 및 가열부(2)를 감싼 형태로 형성되고 가열수관(21)의 양 단부가 연결 설치되며, 측면 상하부에 출수관(41)과 입수관(42)이 연결 설치된 물탱크(4)와,
연소실(1)의 하부에 위치하며 폐목 연소후 발생된 재를 받아 내는 서랍식 재받이(5)와,
연소실(1) 정면에 설치되며 하부에 공기조절구(61)를 가진 개폐구(6)와,
동체 상부에 설치되며 물탱크(4) 내부의 수위와 수온을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7) 및 온도 게이지(8), 그리고 수위감지센서(7)에 의해 부족한 물을 자동보충시킬 수 있게 한 보충수 탱크(101)로 구성된다.
또, 화목보일러 동체(100)를 통상의 기름보일러(10)와 연결시킬때는 기름보일러(10)의 상하부 측면(통상 기름보일러의 동체 양측면에는 각각 입수관과 출수관을 연결할 수 있는 입수부와 출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름보일러(10)의 설치 위치나 방향에 따라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에 형성된 출수부와 입수부에 화목보일러의 출수관(41)과 입수관(42)을 연결시키고, 화목보일러의 출수관(41)에는 순환펌프(9)를 장착 구성하여 온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폐목을 연료로 사용하여 난방 및 온수 사용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다가 주택 등의 건물에 기 설치되어 있는 통상의 기름보일러(10)에 연결 설치하여 유류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특징도 따르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기름보일러(10)에 연결 설치하되, 화목보일러(100)의 입수관(42)은 기름보일러(10)의 입수부(또는 출수부에 연결시켜도 됨)에, 그리고 화목보일러의 출수관(41)은 기름보일러(10)의 출수부(또는 입수부에 연결시켜도 됨)에 연결 구성한다.
위 상태에서는 기름보일러(10)나 화목보일러(10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난방할 수 있으며, 통상은 폐목을 연료로 하여 화목보일러(100)를 가동시키는 것이 유류비 절감을 위해 바람직하나 폐목이 부족하거나 없을 경우는 기름보일러(10)를 가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손쉽게 선택 사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연료로 사용할 폐목이 떨어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화목보일러(100)는 연소실(1)의 상부에 위치한 가열부(2)에 지연판(22)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연소실(1)에서 폐목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열기 및 고온의 연기 등이 바로 배출되지 아니하고 지연되면서 가열수관(21)을 충분히 가열하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열손실이 예방되며, 따라서 열효율이 매우 높다.
또, 연소실(1)의 폐목이 완전연소되고 폐목의 보충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는 기름보일러(10)가 작동하게 되며, 따라서 관리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소실(1)의 폐목이 완전 연소되면 재받이(5)로 재가 모두 낙하되게 되며, 이는 개폐구(6)를 열고 서랍을 열듯이 재받이(5)를 인출한 뒤 비우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화목 보일러(100)는 기름보일러(10)에 연결 설치된 순환펌프에 의존하여 온수순환을 시켜도 되지만, 용량이 약할수도 있으므로 화목보일러(100) 자체에도 순환펌프(9)를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름보일러(10)를 작동시키는 온도조절기(도시하지 않음)를 적정 온도로 맞춰 놓으면 화목보일러(100)의 작동이 멈추거나 꺼지더라도 기름보일러(10)가 작동되어 안정적인 실내온도유지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름보일러(1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목보일러(100)를 제공함으로서, 유류비의 절감효과가 매우 큼과 동시에 실내의 온도관리가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따르게 되고, 더불어 기름보일러(10)와 화목보일러(1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예시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Claims (2)

  1. 화목보일러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 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받침그릴(11)이 설치된 연소실(1);과,
    상기 연소실(1) 상부에 구성되며 나선형 또는 직선형 가열수관(21)이 설치되고 연소 열기 및 연기의 배출이 지연되게끔 경사지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지연판(22)이 설치된 가열부(2);와,
    상기 가열부(2) 상측에 설치되어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연관(3);과,
    상기 연소실(1) 및 가열부(2)를 감싼 형태로 형성되고 가열수관(21)의 양 단부가 연결 설치되며, 측면 상하부에 출수관(41)과 입수관(42)이 연결 설치된 물탱크(4);와,
    연소실(1)의 하부에 위치하며 폐목 연소후 발생된 재를 받아 내는 서랍식 재받이(5);와,
    연소실(1) 정면에 설치되며 하부에 공기조절구(61)를 가진 개폐구(6);와,
    동체 상부에 설치되며 물탱크(4) 내부의 수위와 수온을 측정하는 수위감지센서(7) 및 온도 게이지(8), 그리고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연동하는 보충수탱크(101)로 구성된 화목보일러를 통상의 기름보일러(10)에 연결설치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화목보일러(100)의 출수관(41)과 입수관(42)을 기름보일러(10)의 타측(입수관 및 출수관이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된 출수부와 입수부에 연결시키고, 상기 나무보일러의 출수관(41)에 순환펌프(9)를 장착 구성하여 온수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
KR20-2004-0036945U 2004-12-23 2004-12-23 화목 보일러 KR200379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45U KR200379084Y1 (ko) 2004-12-23 2004-12-23 화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45U KR200379084Y1 (ko) 2004-12-23 2004-12-23 화목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084Y1 true KR200379084Y1 (ko) 2005-03-18

Family

ID=4368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945U KR200379084Y1 (ko) 2004-12-23 2004-12-23 화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0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84B1 (ko) 2011-07-13 2013-06-17 차길호 방열면적을 증대한 난방 및 온수겸용 기구
KR101323273B1 (ko) * 2012-01-20 2013-10-29 김혁중 보일러
KR20160060272A (ko) * 2014-11-20 2016-05-30 김경진 배출가스 저감용 멀티형 난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584B1 (ko) 2011-07-13 2013-06-17 차길호 방열면적을 증대한 난방 및 온수겸용 기구
KR101323273B1 (ko) * 2012-01-20 2013-10-29 김혁중 보일러
KR20160060272A (ko) * 2014-11-20 2016-05-30 김경진 배출가스 저감용 멀티형 난방기
KR101662484B1 (ko) 2014-11-20 2016-10-05 김경진 배출가스 저감용 멀티형 난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286B2 (en) Wood fired boiler
US95682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water using biofuel
KR20120085443A (ko) 화목보일러
KR100682239B1 (ko)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KR20120105106A (ko) 횡형 다목적 보일러
KR101324474B1 (ko) 상하연소 방식의 화목보일러
KR100776971B1 (ko) 연탄 겸용 기름 보일러
KR200379084Y1 (ko) 화목 보일러
KR100846142B1 (ko) 화목보일러
KR100870434B1 (ko) 화목 보일러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100793110B1 (ko) 화목 보일러
KR100828382B1 (ko) 복합 보일러
RU2296920C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101192840B1 (ko) 보일러 기능을 겸한 벽난로
KR100681342B1 (ko) 화목 보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7448B1 (ko) 배기가스의 강제배출이 가능한 나무펠릿 다기능 보일러
KR100674165B1 (ko) 실내의 바닥 난방기능 겸용 난로
GB2495920A (en) Solid fuel appliance with secondary combustion and a heat exchanger
KR200412325Y1 (ko) 보일러
KR20180126675A (ko) 수평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200397554Y1 (ko) 나무와 연탄 겸용 보일러
JPS5924954Y2 (ja) 熱風乾燥機の制御装置
KR100681339B1 (ko) 연탄보일러
KR200317148Y1 (ko) 온수 공급용 가스렌지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