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273B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273B1
KR101323273B1 KR1020120006883A KR20120006883A KR101323273B1 KR 101323273 B1 KR101323273 B1 KR 101323273B1 KR 1020120006883 A KR1020120006883 A KR 1020120006883A KR 20120006883 A KR20120006883 A KR 20120006883A KR 101323273 B1 KR101323273 B1 KR 10132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eating water
boiler
he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804A (ko
Inventor
김혁중
Original Assignee
김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혁중 filed Critical 김혁중
Priority to KR102012000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2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F24H1/24 - F24H1/40 , e.g. boilers having a combination of features covered by F24H1/24 - F24H1/4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1)를 구비하는 전면수조부(210), 이 전면수조부(210)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난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21)가 형성된 후면수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조부(200); 상기 전면수조부(210)및 후면수조부(220)사이의 형성되는 열교환부(300); 상기 열교환부(300)의 하방에 형성되는 열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파이프가 감겨진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코일(311a,311b)로 이루어지는 코일부(310)로서, 감겨진 폭(직경)이 작은 코일(301a)의 외측에 감겨진 폭이 더 큰 다른 코일(301b)이 양자의 감겨지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코일부(310)와, 상기 각 코일(311a,311b)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연결부(320)와,상기 각 코일(311a,311b)의 하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 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BOILER}
본 발명은 주택이나 건물 등에 사용되어 난방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보일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름 연소식 보일러, 가스보일러 등의 열원공급방식에 관계없이 전열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보일러에 대한 것이다.
최근, 원유의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고유가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름이나 전기, 가스 등의 에너지 자원을 절감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지속되고 있으며, 일반 가정이나 농촌, 식당, 목욕탕, 찜질방 등의 난방수 또는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보일러 분야도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어서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반적인 보일러는 기름을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화염이나 전기에 의한 저항열을 이용하여 온수나 난방수를 데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데, 열효율이 좋지 않아, 온수나 난방수를 오로지 기름이나 가스연소 등에 의존하는 경우는 많은 비용이 지출되기 때문에 가계에 부담을 주는 폐단이 있었다.
즉, 일반적인 보일러의 경우 물을 저장한 물탱크에 연소 열을 가하여 데우는 방식이므로 물 저장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열 면적이 적어서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열효율이 낮으므로 연료 소모량이 증가하여 비용 지출이 증가함과 동시에 그만큼 배기가스의 배출량이 증가하여 대기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목재를 이용하는 화목 보일러의 경우 발열량이 충분하지 않아 이러한 보일러의 효율이 더욱 문제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1)를 구비하는 전면수조부(210), 이 전면수조부(210)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난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21)가 형성된 후면수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조부(200); 상기 전면수조부(210)및 후면수조부(220)사이의 형성되는 열교환부(300); 상기 열교환부(300)의 하방에 형성되는 열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파이프가 감겨진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코일(311a,311b)로 이루어지는 코일부(310)로서, 감겨진 폭(직경)이 작은 코일(301a)의 외측에 감겨진 폭이 더 큰 다른 코일(301b)이 양자의 감겨지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코일부(310)와, 상기 각 코일(311a,311b)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연결부(320)와,상기 각 코일(311a,311b)의 하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 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상기 본체(100)의 열교환부(300)와 열원공급부(400)사이에는 안내열판(500)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열판(500)은,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판(510)과, 이 중앙판(510)의 둘레에서 하방을 경사지게 형성되는 둘레판(5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판(510)에는 관통공(510a)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상기 보일러(10) 및 실내(2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되는 난방수탱크(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난방수탱크(30)에는 T 형 연결부(31)의 수평방향 일방인 제1연결부(31a)가 설치되며, 상기 T형 연결부(31)의 수평방향 타방에는 제2연결부(31b)가 형성되어 제1전자밸브(32)와 연결된 난방수 공급라인(33)을 통해 후면수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T형 연결부(31)의 수직하방에는 제3연결부(31c)가 형성되어 실내 난방수 공급 펌프(34) 및 제2전자밸브(34a)가 설치된 실내 난방수 공급라인(35)을 통해 실내(20)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20)의 난방수는 난방수 회수라인(36)에 의해 난방수탱크(30)로 회수되며, 상기 난방수탱크(30)의 난방수는 난방수 회수펌프(38)가 설치된 난방수 회수라인(37)을 통해 전면수조부(210)로 공급되며, 상기 난방수 공급라인(33)에는 후면수조부(220)에 인접한 부분에 온도센서(33a)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33a)에 의해 검지된 난방수 공급라인(33)의 난방수 온도가 소정의 제1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1전자밸브(32)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상기 난방수탱크(30)에 연결되는 온수탱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수탱크(40)의 하부는 온수용 냉수 공급펌프(43)가 설치된 온수용 냉수 공급라인(44)에 의해 상기 난방수탱크(30)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용 냉수 공급라인(44)은 상기 난방수탱크(30)의 내부에 잠겨지며 복수의 굴곡부형상을 가지는 온수용 열교환기(45)의 일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용 열교환기(45)의 타 단부는 온수 공급라인(46)에 의해 온수 탱크(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상기 본체(100)의 저면부에는 연통부(5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부(510)에는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520)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부(510)의 측부에는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측부 공기투입부(5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상기 연통부(510)의 중앙에는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중앙 공기투입부(53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상기 열원공급부(400)는 목재, 펠렛, 바이오매스, 기름,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상기 중앙판(540)은 상기 열교환부(300)의 코일부(310) 중 가장 폭(직경)이 큰 코일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부(300)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일러 본체에 삽입되는 열교환부의 전열면적을 동일 체적하에서 최대한 확보함으로써 열원을 통해 발생하는 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열효율이 대폭적으로 증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측면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둘레판 및 이 둘레판의 중앙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판으로 이루어지는 안내열판을 활용함으로써 열원에서 발생한 열이 열교환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열효율이 더욱 개선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인해, 보일러의 작동에 필요한 연료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보일러 작동에 필요한 연료소모비용이 감소하게 되는 동시에 연료의 과대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유해가스의 방출이 감소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보일러가 설치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일러에 대한 종단면사시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다른 형태의 열원공급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열교환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일러에 대한 횡단면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보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도 7 는 실내에서 난방스위치를 작동하지 않은 경우 보일러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실내에서 난방스위치를 작동한 경우 보일러 출구에서의 난방수 온도가 소정온도미만인 경우의 보일러의 작동도이다.
도 8 는 실내에서 난방스위치를 작동한 경우 보일러 출구에서의 난방수 온도가 소정온도이상인 경우의 보일러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일러를 포함하는 전체시스템에 대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일러를 포함하는 전체시스템에서는 보일러(10)와, 이 보일러(10)에 연결되는 동시에 실내(20)와 연결되는 난방수 탱크(30) 및 이 난방수 탱크(30)와 연결되는 온수탱크(40)로 이루어진다.
[보일러]
도 2는 본 발명의 보일러에 대한 종단면사시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다른 형태의 열원공급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보일러에서 열교환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일러에 대한 횡단면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보일러의 종단면도이다.
본체(100)는 대략 사각형상이나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부에는 보일러 내부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1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0)의 전방 하부에는 화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목재나 펠렛 등 직접적으로 연소되는 재료로 형성되는 열원공급부(40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2)는 회동가능한 덮개(103)에 의해 개방,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또는 기름을 사용하는 버너(401)를 개구부(102)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수조부(200)는 전면수조부(210), 후면수조부(220), 상부 수조주(230) 및 한 쌍의 측면수조부(240)로 이루어진다.
전면수조부(210)의 하단부에는 난방수 유입구(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수조부(220)의 상단부에는 난방수 유출구(221)가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부(3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코일(311a,311b,311c)로 형성되는 코일부(310)과, 상기 복수 개의 코일(301)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 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320)와, 상기 복수 개의 코일의 하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 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부(330)로 이루어진다.
코일부(310)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를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코일(311a,311b,311c)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감기도록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중심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형상이라면 사각형상 등 원형 이외의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제1,2,3코일(311a,311b,311c)은 서로 높이는 동일하나 코일의 감겨진 폭 내지 직경이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코일(311a)의 감겨진 폭(직경)보다 더 큰 감겨진 폭(직경)을 가지는 제2코일(311b)이 제1코일(301a)의 외측으로 제1코일(311a)과 중심이 동일하게 설치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코일(311b)의 감겨진 폭(직경)보다 더 큰 폭(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3코일(311c)이 제1코일(311a) 및 제2코일(311c)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2코일(311b)의 외측에 설치된다.
열원공급부(400)는 공지된 구성의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목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열원공급부(400)로서 목재나 펠렛 또는 바이오매스가 사용되거나 또는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스버너가 될 수 있으며 기타 기름보일러의 연소부를 사용하여 열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기공급부(500)는, 상기 본체(100)의 저면부에는 형성되는 연통부(510)와, 이 연통부(5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520)와, 연통부(510)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공급된 외부공기를 열원공급부(400)로 공급하기 위한 측부 공기투입부(530)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공급장치(520)는 외부에서 연통부(510)로 연통되는 연결관(521) 및 이 연결관(521)에 설치되는 공급펌프(522)로 이루어진다.
측부 공기투입부(530)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0)의 연통부(510) 중앙에는 중앙 공기투입부(531)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공기투입부(531)는 상부에 관통홀(531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연통부(510)에서의 공기가 관통홀(531a)를 통해 중앙부로 공급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열원공급부(400)의 상측으로 열교환부(300)의 바로 하측에는 안내 열판(540)이 설치된다.
안내 열판(540)은 사각 평판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관통공(541a)이 형성된 중앙판(541)과 이 중앙판(541)의 둘레로 하방으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4개의 사각 평판형상의 둘레판(542)으로 이루어진다.
중앙판(541)의 크기는 대략 열교환부(300)에서의 코일부(310)의 코일 중 최외곽에 형성된 제3코일(311c)의 폭(직경)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일러(10)의 작용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먼저, 공급펌프(522)에 의해 공기가 연결관(521)을 지나 본체(100)의 저면부에는 형성되는 연통부(510)로 유입된다.
그런 다음, 연통부(510)의 측면에 형성된 측부 공기투입부(530)와 연통부(510) 중앙에 형성된 중앙 공기투입부(531)로 인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측부 및 중앙을 통해 충분히 공급됨으로써 연소효율이 이러한 투입부(530,531)가 없는 종래기술이 비해 개선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전면수조부(210)에 채워진 난방수는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수조부(230), 및 측면수조부(240), 및 열교환부(300)를 이동하면서 열원공급부(400)에 의해 가열된 다음 후면수조부(220)로 유동하게 된다.
열원공급부(400)에서 발생한 열은 먼저 안내 열판(540)을 통과하게 되는 데, 안내 열판(540)에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둘레판(5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생한 열이 둘레판(542)에 의해 자연스럽게 중앙판(541)으로 모이게 함으로써 발생한 열이 최대한 열교환부(300)로 이송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열원공급부(400)에 발생하는 열은 중앙판(541)의 면적에 대해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아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중앙판(541)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관통공(541a)에 의해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열원공급부(400)에서 발생한 열이 중앙판(541)의 관통공(541a)에 의해 중앙판(541)의 전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므로 열교환부(300)로의 열전달이 균일하게 되어 전열효율이 개선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열원공급부(400)에서 발생한 열이 둘레판(542)에 의해 중앙으로 모이게 되고 중앙에 모인 열이 다시 한편 관통공(541a)이 형성된 중앙판(541)에 의해 균일하게 열교환부(300)로 전열됨으로써 열의 전달효율이 최대화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안내열판(500)을 균일하게 통과한 열은 열교환부(300)로 전달되는 데, 열교환부(300)에서는 코일부(310)가 회전되어 감기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 기본적으로 전열면적이 충분히 확보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더욱이,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코일을 직경이 작은 제1코일(311a)에서부터 직경이 점점 커지는 제2코일(311b) 및 제3코일(311c)을 중심이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동일한 보일러 체적에 대해 전열면적이 최대로 확보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열원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열이 최대의 전열면적을 가지는 열교환부(300)를 통과하면서 충분한 전열시간 및 전열효율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보일러가 연소공간에 상방수직하게 열교환파이프가 형성되어 충분한 전열시간 및 전열효율을 확보하지 못하는 점에 비교해 볼 때, 기존의 보일러보다 대폭적으로 개선된 열교환효율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중앙판(541)의 크기를 열교환부(300)의 코일부(310)에서 최대 폭(직경)을 가지는 제3코일(311c)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열교환부(300)의 바로 하방에 설치함으로써 열원공급부(400)에서의 발생한 열이 최대한 손실 없이 열교환부(300)로 전달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부수조부(230) 및 측면수조부(240)는 열교환부(300)만으로 난방수가 유동하는 경우에 난방수에 기포 등이 발생하여 충분한 난방수유량의 확보가 부족한 경우에 이를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난방수탱크]
한편, 보일러(10)에서 가열된 난방수를 저장하기 위한 난방수탱크(30)가 보일러(10)에 연결되며, 이 난방수탱크(30)의 상부에 형성된 난방수 통로에는 T형 연결부(31)의 제1연결부(31a)가 연결된다.
T형 연결부(31)의 제2연결부(31b)에는 제1전자밸브(32)가 연결되고 이 제1전자밸브(32)는 난방수 공급라인(33)에 연결되며, 난방수 공급라인(33)은 보일러(10)의 난방수 유출구(221)에 연결된다.
한편, 난방수 공급라인(33)에서 보일러(10)의 난방수 유출구(221)에 인접한 위치에 온도센서(3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 난방수 공급부에 해당하는 T형 연결부(31)의 제3연결부(31c)는 지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며 실내 난방수 공급 펌프(34)와 제2전자밸브(34a)가 중간에 설치되고 실내 난방수 공급라인(35)을 통해 실내(20)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난방수탱크(30)에 T형 연결부(31)를 부착함으로써 기존의 난방수탱크(30)에 큰 변경을 가하지 않으면서 보일러(1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난방수탱크(30)의 하부에는 실내(20)에서 난방 후 식혀진 실내 난방수를 다시 회수되는 실내 난방수 회수라인(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난방수탱크(30)의 하부에는 회수 펌프(38)가 설치된 난방수 회수라인(37)이 설치되어 보일러(10)의 난방수 유입구(211)에 연결되어 필요 시 보일러(10)에 난방수를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온수탱크]
본 발명에서 난방수탱크(30)에는 온수탱크(40)를 추가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온수탱크(40)의 상부에는 온수를 실내 등의 필요한 곳으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 온수 공급라인(41)과 공급된 실내 온수로 이용하기 위한 냉수를 공급하는 온수용 냉수 보충라인(42)이 형성되어 있다.
온수탱크(40)의 온도가 내려가면 온수용 냉수 공급펌프(43)가 작동되어 온수용 냉수 공급라인(44)을 통해 식혀진 온수가 보일러(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온수용 냉수 공급라인(44)은 복수의 굴곡부형상을 가지는 온수 열교환부(45)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온수 열교환부(45)의 타측 단부는 온수 공급라인(46)에 의해 온수탱크(40)의 상부로 연결된다.
온수 열교환부(45)는 열교환을 위해 U 형상 굴곡부가 다수개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보일러를 구비하는 전체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은 실내에서 난방스위치(21)를 작동하지 않은 경우 보일러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난방수 회수펌프(38)의 가동에 의해 난방수탱크(30)의 난방수가 난방수 회수라인(37)을 통해 유입구(211)를 지나 보일러(10)의 전면수조부(210)내로 유입된 다음 가열되어 후면수조부(220)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온도센서(33a)에 의해 감지된 후면수조부(220)에서의 난방수 온도가 소정의 제1설정치인 80-90℃ 이상인 경우 난방수 회수펌프(38)가 가동되고 제1전자밸브(32)는 개방된다.
따라서, 후면수조부(220)에서 모인 난방수는 유출구(221)를 지나 난방수 공급라인(33)을 통해 제1전자밸브(32)를 통과한 다음, T형 연결부(31)의 제2연결부(31b)및 제1연결부(31a)를 지나 난방수탱크(30)로 공급되어 축열된 상태로 저장된다.
도 8 은 실내에서 난방스위치(21)를 작동한 경우 보일러 출구에서의 난방수 온도가 소정 온도 미만인 경우의 보일러의 작동도이다.
작동자가 실내(20)에서 난방스위치(21)를 작동시키면 실내 난방수 공급 펌프(34)가 가동되며 제2전자밸브(34a)가 개방되어 실내(20)로 난방수가 공급된다. 이때, 난방수를 공급하는 부분은 보일러(10)의 출구에서의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보일러(10)의 출구에 설치된 온도센서(33a)가 미리 설정한 소정의 온도, 예컨대 80℃ 미만인 경우에는 도 7 에서와 같이 난방수탱크(30)에 저장된 난방수가 제1연결부(31a)와 제3연결부(31c)를 지나 실내(20)로 공급되어 난방되며, 보일러(10)에서 공급되는 난방수는 제1전자밸브(32)가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실내(20)로 유입되지 않는다.
도 9 는 실내(20)에서 난방스위치(21)를 작동한 경우 보일러 출구에서의 난방수 온도가 소정온도이상인 경우의 보일러의 작동도이다.
온도센서(33a)에서 감지된 난방수 온도가 소정온도, 예를 들어 80℃ 이상인 경우에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자밸브(32)가 개방되어 보일러(10)로부터의 난방수가 T형 연결부(31)의 제2연결부(31b)및 제3연결부(31c)를 지나 실내 난방수로 공급되며 이때 난방수탱크(30)의 난방수는 실내(20)로 공급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작동에 의해 보일러(10)의 후면수조부(220)에서의 난방수와 난방수탱크(30)의 난방수 중에 더 고온인 난방수를 실내로 공급하여 보일러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온수공급에 대한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보일러(10)가 작동 중에 있을 때 난방수 공급라인(33)에 설치된 온도센서(33a)에서 검지된 난방수 온도가 제1설정치보다 적은 제2설정치 예컨대 70℃ 이상인 경우 온수용 냉수 공급펌프(43)가 작동한다. 이에 따라, 온수용 난방수가 난방수탱크(30)의 내부에 설치된 온수용 열교환부(45)에 유입된다.
온수용 열교환부(45)내의 온수는 난방수탱크(30)의 난방수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온수 공급라인(46)에 의해 온수탱크(40)로 공급되어 축열된 상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고자 배수전(수도꼭지)을 개방시키면 실내 온수 공급라인(41)을 통해 온수가 공급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보일러(10)에서의 발생하는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10:보일러 20:실내
30:난방수 탱크 40:온수탱크

Claims (8)

  1.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난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1)를 구비하는 전면수조부(210), 이 전면수조부(210)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난방수가 유출되는 유출구(221)가 형성된 후면수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조부(200);
    상기 전면수조부(210)및 후면수조부(220) 사이에 형성되는 열교환부(300);
    상기 열교환부(300)의 하방에 형성되는 열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열교환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파이프가 감겨진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코일(311a,311b)로 이루어지는 코일부(310)로서, 감겨진 폭(직경)이 작은 코일(301a)의 외측에 감겨진 폭이 더 큰 다른 코일(301b)이 양자의 감겨지는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코일부(310)와,
    상기 각 코일(311a,311b)의 상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연결부(320)와,
    상기 각 코일(311a,311b)의 하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전면수조부(210) 및 후면 수조부(220)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3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의 열교환부(300)와 열원공급부(400) 사이에는 안내열판(500)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열판(500)은,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판(510)과, 이 중앙판(510)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둘레판(5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판(510)에는 관통공(510a)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저면부에는 연통부(5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통부(510)에는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장치(520)가 연결되고,
    상기 연통부(510)의 중앙에는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중앙부로 투입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중앙 공기투입부(531)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10) 및 실내(20)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되는 난방수탱크(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난방수탱크(30)에는 T 형 연결부(31)의 수평방향 일방인 제1연결부(31a)가 설치되며,
    상기 T형 연결부(31)의 수평방향 타방에는 제2연결부(31b)가 형성되어 제1전자밸브(32)와 연결된 난방수 공급라인(33)을 통해 후면수조부(220)와 연결되고,
    상기 T형 연결부(31)의 수직하방에는 제3연결부(31c)가 형성되어 실내 난방수 공급 펌프(34) 및 제2전자밸브(34a)가 설치된 실내 난방수 공급라인(35)을 통해 실내(20)로 연결되며,
    상기 실내(20)의 난방수는 난방수 회수라인(36)에 의해 난방수탱크(30)로 회수되며,
    상기 난방수탱크(30)의 난방수는 난방수 회수펌프(38)가 설치된 난방수 회수라인(37)을 통해 전면수조부(210)로 공급되며,
    상기 난방수 공급라인(33)에는 후면수조부(220)에 인접한 부분에 온도센서(33a)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33a)에 의해 검지된 난방수 공급라인(33)의 난방수 온도가 소정의 제1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1전자밸브(32)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탱크(30)에 연결되는 온수탱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수탱크(40)의 하부는 온수용 냉수 공급펌프(43)가 설치된 온수용 냉수 공급라인(44)에 의해 상기 난방수탱크(30)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용 냉수 공급라인(44)은 상기 난방수탱크(30)의 내부에 잠겨지며 복수의 굴곡부형상을 가지는 온수용 열교환기(45)의 일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온수용 열교환기(45)의 타 단부는 온수 공급라인(46)에 의해 온수 탱크(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510)의 측부에는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측부 공기투입부(5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부(400)는 목재, 펠렛, 바이오매스, 기름, 또는 가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열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540)은 상기 열교환부(300)의 코일부(310) 중 가장 폭(직경)이 큰 코일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부(300)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KR1020120006883A 2012-01-20 2012-01-20 보일러 KR10132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83A KR101323273B1 (ko) 2012-01-20 2012-01-20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883A KR101323273B1 (ko) 2012-01-20 2012-01-20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04A KR20130085804A (ko) 2013-07-30
KR101323273B1 true KR101323273B1 (ko) 2013-10-29

Family

ID=4899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883A KR101323273B1 (ko) 2012-01-20 2012-01-20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141B1 (ko) * 2020-06-02 2022-03-18 류시웅 급탕용수의 가열 공급구조를 갖는 난방수 공급용 전극 보일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815U (ko) * 1998-02-28 1999-09-27 염동섭 난방용 온수보일러
KR200379084Y1 (ko) * 2004-12-23 2005-03-18 이재석 화목 보일러
KR100870434B1 (ko) * 2007-08-02 2008-11-25 김혁중 화목 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815U (ko) * 1998-02-28 1999-09-27 염동섭 난방용 온수보일러
KR200379084Y1 (ko) * 2004-12-23 2005-03-18 이재석 화목 보일러
KR100870434B1 (ko) * 2007-08-02 2008-11-25 김혁중 화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04A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599788U (zh) 一种带夹套径向热管省煤器
KR101323273B1 (ko) 보일러
KR20100087620A (ko) 열교환기
KR100870434B1 (ko) 화목 보일러
KR101177378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
KR100793110B1 (ko) 화목 보일러
CN201492262U (zh) 一种蒸柜
CN210512147U (zh) 节能燃气热水器
CN209639236U (zh) 一种多功能容积式燃气热水炉
EP2112439A1 (en) Hot water generation plant
CN205208937U (zh) 一种集成式燃气自热水箱
CN201242166Y (zh) 热制动水循环空心炉桥
KR200438245Y1 (ko) 태양열 보일러의 축열조구조
KR101116758B1 (ko) 보일러
CN201412959Y (zh) 热交换式节能热水炉
CN205156358U (zh) 无燃机无噪音燃气模块
KR101284121B1 (ko) 축열식 보일러
CN201306833Y (zh) 热水交换机
CN202182557U (zh) 一体式贯流常压热水锅炉
CN101701748B (zh) 过流即热液体加热装置及采用该装置的暖热两用机
CN102944059B (zh) 贮水式热水炉
CN202792504U (zh) 水产养殖池池水加热升温装置
RU2460946C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терморегулируемый бак с коаксиальным энергоэффективным дымоходом (варианты)
KR20100009497U (ko) 보일러
CN201340074Y (zh) 一种家用采暖燃气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