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7620A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7620A
KR20100087620A KR1020090109764A KR20090109764A KR20100087620A KR 20100087620 A KR20100087620 A KR 20100087620A KR 1020090109764 A KR1020090109764 A KR 1020090109764A KR 20090109764 A KR20090109764 A KR 20090109764A KR 20100087620 A KR20100087620 A KR 2010008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water
heat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목
Original Assignee
허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종목 filed Critical 허종목
Publication of KR2010008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6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24H9/0031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with means for changing or adapting the path of the flue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15Guiding means in wate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66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7/0075Multi-circuit heat-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particular circuits for the same heat exchange medium, e.g. with the same heat exchange medium flowing through sections having different heat exchange capacities or for heating or cooling the same heat exchange medium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F28F3/14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by separating portions of a pair of joined sheets to form channels, e.g. by inf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6Heat 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버너(10); 상기 버너(10) 상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인접 상하층으로 흐르는 물과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열교환판(22)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부(20); 상기 열교환판(22)의 최상단부를 덮어씌우는 상단덮개판(30);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40); 및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부(20)로 물을 급수하고 열 교환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공급배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버너 및 온수용 열교환기와 난방용 열교환기가 하나의 기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일러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배관과, 배관 연결부와, 보조 물통 및 온수 교차식 열교환기 등에서의 열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고온의 연소공기를 수온이 낮은 열교환기의 물유입부쪽으로 지그재그 순환시킴으로써 잠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열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열교환기, 버너, 가스배출관, 물공급배출부, 통공, 관체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 버너를 통한 열 교환에 의해 온수와 난방수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들 버너와 온수용 열교환부 및 난방용 열교환부가 단일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 구조가 간단하게 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연소열로 물을 가열하여 온도와 압력이 높은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명 증기보일러라고도 하며 화력발전소와 선박 등의 증기기관 및 각종 공장의 작업용이나 난방용 등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데 사용된다.
초기 보일러의 연료는 석탄이었으며 작업자가 직접 석탄을 화격자(火格子)에 투입하는 수동식이었으나 곧바로 기계식으로 공급하는 스토커가 개발되었고, 그 후 석탄을 미립자 모양으로 분쇄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상태로 완전 연소시키는 미분탄연소가 실용화 되었으며, 중유나 경유를 연료로 하는 기름보일러,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보일러 등이 차차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배기정화(排氣淨化) 문제로 인해 발전소에서도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대형 보일러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에 제철소의 고로가스, 코크스로가스의 폐가스와 폐열, 원자로 핵분열의 열, 태양열 등을 열원으로 하는 보일러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일러 중 가스보일러의 일반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물과 연료를 투입하는 보일러 본체와, 연료의 연소장치 및 열교환기와, 폐가스의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절탄기와 공기예열기, 급수장치, 연소용 통풍장치 및 효율적으로 운전하기 위한 제어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보일러용 열교환기는 버너에서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현열만을 이용하고 고온의 연소공기는 그대로 배기구로 배출시켜 보일러의 열효율이 매우 낮았다.
이 때문에, 근래에는 배기구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이용하기 위해 현열 열교환기와 별도로 잠열 열교환기를 설치하거나 배기가스가 횡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도록 잠열핀 튜브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는 방법도 제시되었었다.
그리고, 최근에 사용되는 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는 버너를 상측에 설치해 연료를 하향 연소시키고, 그 하방으로 현열부 열교환기와 잠열부 열교환기를 차례로 설치하고 최 하단에 응축수 배출구를 설치하는 등의 열효율을 높이려고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열교환기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난방을 할 때는 보조 물통을 따로 구비해야 하고 온수용으로는 온수공급관에 물을 공급해 열교환기의 가열된 온수와 교차시켜 열을 교환하는 방식의 온수를 생산하는 방식은 그 용량이 고정되어 있어 그 용량이 크면 물의 배관순환 저항이 증가하고 열교환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이 커지며 제조원가 또한 증가하여 큰 용량으로 만드는 데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그 용량이 작으면 온수소비량이 많을 때에 그 적절한 대처가 어려워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거나 온수의 온도 조절이 힘들어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는 열교환기를 따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는 배관이 복잡하여 배관에서 누수 위험성과 배관 및 이음매에서 열손실이 발생하여 열효율이 낮아지고, 보일러의 부피가 커지며,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버너 및 온수용 열교환기와 난방용 열교환기가 하나의 기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일러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배관과, 배관 연결부와, 보조 물통 및 온수 교차식 열교환기 등에서의 열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고온의 연소공기를 수온이 낮은 열교환기의 물유입부쪽으로 지그재그 순환시킴으로써 잠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열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버너; 상기 버너 상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인접 상하층으로 흐르는 물과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열교환판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판의 최상단부를 덮어씌우는 상단덮개판; 상기 상단덮개판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 및 상기 상단덮개판과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부로 물을 급수하고 열 교환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공급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배출부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상단덮개판과 연통되어 냉수를 급수하고 온수를 배출시키는 냉수유입관 및 온수배출관과, 난방수에 열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상단덮개판과 연통되어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난방수유입관 및 난방수배출관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판은 배기가스와 온수 및 난방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통공 및 관체가 형성된 평판 구조의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높이 상향 연장된 일체형 벽체를 갖는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이 서로 적층되면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들은 바닥판의 중앙과 각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통공 및 관체가 형성되어 버너에서부터 상단부의 가스배출관으로 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복수의 열교환판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를 따라 상향되다가 소정위치에서 통공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고 난 후 다시 관체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다가 다시 통공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른 다음 다시 관체를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가스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냉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들은 바닥판의 변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통공 및 관체가 형성되어 냉수유입관에서 복수의 열교환판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를 따라 하방으로 유입되다가 열교환판 인접 상하부에서 통공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난 후 다시 관체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는 과정을 하단부의 열교환판까지 수차례 지그재그 반복한 다음 관체를 따라 최상단의 온수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들은 바닥판의 변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통공 및 관체가 형성되어 상단의 난방수유입관에서 복수의 열교환판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를 따라 하방으로 유입되다가 열교환판 인접 상하부에서 통공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난 후 다시 관체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는 과정을 하단부의 열교환판까지 수차례 지그재그 반복한 다음 관체를 따라 최상단의 난방수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의 외부를 덮어씌우는 하우징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열교환판들에 열 교환 중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응축수배출관체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버너 및 온수용 열교환기와 난방용 열교환기가 하나의 기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일러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배관과, 배관 연결부와, 보조 물통 및 온수 교차식 열교환기 등에서의 열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고온의 연소공기를 수온이 낮은 열교환기의 물유입부측으로 지그재그 순환시킴으로써 잠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열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버너(10)와, 이 버너(10) 상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인접 상하층으로 흐르는 물과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열교환판(22)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부(20)와, 상기 열교환판(22)의 최상단부를 덮어씌우는 상단덮개판(30)과, 이 상 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40) 및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부(20)로 물을 급수하고 열 교환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공급배출부(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배출부(50)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냉수를 급수하고 온수를 배출시키는 냉수유입관(51) 및 온수배출관(52)과, 난방수에 열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난방수유입관(53) 및 난방수배출관(5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판(22)은 배기가스와 온수 및 난방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통공 및 관체가 형성된 평판 구조의 바닥판(24)과, 이 바닥판(24)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높이 상향 연장된 일체형 벽체(26)를 갖는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이 서로 적층되면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중, 상기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22)들은 바닥판(24)의 중앙과 각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통공(61a,62a) 및 관체(61b,62b)가 형성되어 버너(10)에서부터 상단부의 가스배출관(40)으로 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복수의 열교환판(22)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61b,62b)를 따라 상향되다가 소정위치에서 통공(61a,62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고 난 후 다시 관체(61b,62b)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다가 다시 통공(61a,62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른 다음 다시 관체(61b,62b)를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가스배출관(40)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온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22)들은 바닥판(24)의 변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통공(71a,72a,73a) 및 관체(71b,72b,73b)가 형성되어 냉수유입관(51)에서 복수의 열교환판(22)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71b,72b,73b)를 따라 하방으로 유입되다가 열교환판(22) 인접 상하부에서 통공(71a,72a,73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난 후 다시 관체(71b,72b,73b)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는 과정을 하단부의 열교환판(22)까지 수차례 지그재그 반복한 다음 관체(71b,72b,73b)를 따라 최상단의 온수배출관(52)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22)들은 바닥판(24)의 변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통공(81a,82a,83a) 및 관체(81b,82b,83b)가 형성되어 상단의 난방수유입관(53)에서 복수의 열교환판(22)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81b,82b,83b)를 따라 하방으로 유입되다가 열교환판(22) 인접 상하부에서 통공(81a,82a,83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난 후 다시 관체(81b,82b,83b)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는 과정을 하단부의 열교환판(22)까지 수차례 지그재그 반복한 다음 관체(81b,82b,83b)를 따라 최상단의 난방수배출관(54)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판(22)들은 배기가스, 온수 및 난방수의 개별적인 또는 복합적인 흐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통공 및 관체를 갖는 다양한 구조의 열교환판(22)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20)의 외부를 덮어씌울 수 있도록 사각관체 구조로 된 하우징(9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판(22)들 중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소정의 열교환판(22)들에는 열 교환 중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배출관체(10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판(22)들은 용접 등을 통해 서로 접착시킬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열교환기는 원하는 방향으로 배기가스가 배출되면서 유입되는 냉수와 난방수 간에 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열교환판(22)들을 적절히 적층시킨 후 용접 등을 통해 서로 간을 접착시킨다.
그런 다음, 그 외부로 하우징(90)을 덮어씌우며 그 하단부에 버너(10)를 장착하고 상단부에 상단덮개부(30)를 덮어씌운 후 이 상단덮개부(30)에 가스배출관(40) 및 물공급배출부(50)를 장착하여 본 발명의 열교환기 조립을 완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너(10)를 작동시켜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냉수유입관(51)을 통해서는 냉수를 유입시키고 난방수유입관(53)으로는 난방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이들이 열교환부(20) 내의 열교환판(22)들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출 및 순환되는 과정에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적층되어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복수의 열교환판(22) 중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열교환판(22)을 통하는 배기가스와 물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d는 선택된 다양한 통공 및 관체를 갖는 열교환판(22)에 따라 배기가스와 물의 흐름이 달라지는 경우를 다양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 중 일부의 열교환판(22)에 의한 가스와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5a의 열교환판(22)은 귀퉁이 관체(62b)를 통해 배기가스가 상향 배출되고, 통공(82a)을 통해 난방수가 지그재그로 하향되다가 다른 관체(83b)를 통해 상향되며, 또한 관체(71b)를 통해 온수가 하방으로 하향되고 다시 상향되는 온수가 다른 관체(72b)를 통해 상향 순환되며, 응축수배출관체(100)로 응축수가 낙수되는 흐름이 가능하게 된다.
도 5b는 열교환판(2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면으로는 배기가스가 흐르고 그 저면으로는 난방수가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며, 응축수배출관체(100)로 응축수가 낙수되도록 하는 구조의 열교환판(22)을 나타낸 것이다.
도 5c는 열교환판(22)의 저면으로 배기가스가 수평 방향을 따라 흐르도록 하여 그 하방의 열교환판(22) 저면으로 흐르는 난방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난방수는 각각의 관체(82b,83b)를 따라 승, 하강되며, 온수는 관체(72b,73b)를 타고 승, 하강되도록 하고, 응축수배출관체(100)로 응축수가 낙수되는 흐름이 가능한 열교환판(22)을 나타낸 것이다.
도 5d는 배기가스가 중앙 통공(61a)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흘러 귀퉁이 통공(62a)으로 흐르면서 열교환판(22) 저면으로 흐르는 난방수와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난방수는 각각의 관체(82b,83b)를 따라 승, 하강되며, 온수 역시 관 체(72b,73b)를 타고 승, 하강되도록 하되, 여기서는 응축수배출관체(100)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응축수의 흐름은 없다.
도 6은 다양한 외형을 갖는 열교환판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는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들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열교환판 상에 선택적으로 통공 및 관체를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 예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열교환부 전체를 따라 배기가스, 온수 및 난방수가 흐르는 유로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열교환판들 중에 해당 열교환판에 의해 배기가스, 온수 및 난방수의 흐름이 다양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외형을 갖는 열교환판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너 20 : 열교환부
22 : 열교환판 24 : 바닥판
26 : 벽체 30 : 상단덮개판
40 : 가스배출관 50 : 물공급배출부
61a,62a : (배기가스용) 통공 61b,62b : (배기가스용) 관체
71a,72a,73a : (온수용) 통공 71b,72b,73b : (온수용) 관체
81a,82a,83a : (난방수용) 통공 81b,82b,83b : (난방수용) 관체
90 : 하우징 100 : 응축수배출관체

Claims (8)

  1. 고온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버너(10);
    상기 버너(10) 상부에 배치되고 각각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적층되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인접 상하층으로 흐르는 물과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의 열교환판(22)으로 이루어진 열교환부(20);
    상기 열교환판(22)의 최상단부를 덮어씌우는 상단덮개판(30);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관(40); 및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상기 열교환부(20)로 물을 급수하고 열 교환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공급배출부(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배출부(50)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냉수를 급수하고 온수를 배출시키는 냉수유입관(51) 및 온수배출관(52)과, 난방수에 열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상단덮개판(30)과 연통되어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난방수유입관(53) 및 난방수배출관(54)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판(22)은 배기가스와 온수 및 난방수가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하는 통공 및 관체가 형성된 평판 구조의 바닥판(24)과, 이 바닥판(24)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높이 상향 연장된 일체형 벽체(26)를 갖는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이 서로 적층되면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22)들은 바닥판(24)의 중앙과 각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통공(61a,62a) 및 관체(61b,62b)가 형성되어 버너(10)에서부터 상단부의 가스배출관(40)으로 가스가 배출되는 동안 복수의 열교환판(22)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61b,62b)를 따라 상향되다가 소정위치에서 통공(61a,62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고 난 후 다시 관체(61b,62b)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다가 다시 통공(61a,62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른 다음 다시 관체(61b,62b)를 따라 상방으로 흐르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가스배출관(40)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22)들은 바닥판(24)의 변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통공(71a,72a,73a) 및 관체(71b,72b,73b)가 형성되어 냉수유입관(51)에 서 복수의 열교환판(22)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71b,72b,73b)를 따라 하방으로 유입되다가 열교환판(22) 인접 상하부에서 통공(71a,72a,73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난 후 다시 관체(71b,72b,73b)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는 과정을 하단부의 열교환판(22)까지 수차례 지그재그 반복한 다음 관체(71b,72b,73b)를 따라 최상단의 온수배출관(52)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열교환판(22)들은 바닥판(24)의 변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통공(81a,82a,83a) 및 관체(81b,82b,83b)가 형성되어 상단의 난방수유입관(53)에서 복수의 열교환판(22)들이 적층되어 서로 연결된 관체(81b,82b,83b)를 따라 하방으로 유입되다가 열교환판(22) 인접 상하부에서 통공(81a,82a,83a)을 통해 내부공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고 난 후 다시 관체(81b,82b,83b)를 따라 하방으로 하향되는 과정을 하단부의 열교환판(22)까지 수차례 지그재그 반복한 다음 관체(81b,82b,83b)를 따라 최상단의 난방수배출관(54)으로 배출되도록 적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20)의 외부를 덮어씌우는 하우징(9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열교환판(22)들에 열 교환 중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해 응축수배출관체(1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90109764A 2009-01-28 2009-11-13 열교환기 KR20100087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424 2009-01-28
KR1020090006424 2009-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620A true KR20100087620A (ko) 2010-08-05

Family

ID=4275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764A KR20100087620A (ko) 2009-01-28 2009-11-13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762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825B1 (ko) * 2011-11-14 2013-11-22 주식회사 두발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KR20140047040A (ko) * 2011-05-19 2014-04-21 코스모가스 에스.알.엘. 열교환기 및 생산 과정
WO2015141992A1 (ko) * 2014-03-18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WO2015141994A1 (ko) * 2014-03-18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WO2015141993A1 (ko) * 2014-03-18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단위플레이트의 제조방법
WO2017039174A1 (ko) *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040A (ko) * 2011-05-19 2014-04-21 코스모가스 에스.알.엘. 열교환기 및 생산 과정
KR101331825B1 (ko) * 2011-11-14 2013-11-22 주식회사 두발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CN106104166A (zh) * 2014-03-18 2016-11-09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热交换器
CN106133469A (zh) * 2014-03-18 2016-11-16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热交换器及构成热交换器的单元板的制造方法
WO2015141993A1 (ko) * 2014-03-18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단위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50108540A (ko) * 2014-03-18 2015-09-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KR20150108958A (ko) * 2014-03-18 2015-10-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KR20150108959A (ko) * 2014-03-18 2015-10-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단위플레이트의 제조방법
WO2015141992A1 (ko) * 2014-03-18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WO2015141994A1 (ko) * 2014-03-18 2015-09-2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US11313586B2 (en) 2014-03-18 2022-04-26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EP3128279A4 (en) * 2014-03-18 2017-12-27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unit plate constituting heat exchanger
US10088196B2 (en) 2014-03-18 2018-10-02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CN106133469B (zh) * 2014-03-18 2018-12-21 庆东纳碧安株式会社 热交换器及构成热交换器的单元板的制造方法
US10480870B2 (en) 2015-08-28 2019-11-19 Kyungdong Navien Co., Ltd. Heat exchanger
WO2017039174A1 (ko) *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7620A (ko) 열교환기
CA2595071C (en) Compact high-efficiency boiler and method for producing steam
CN110425511B (zh) 超低氮燃气蒸汽锅炉
CN105793653A (zh) 用于供暖锅炉的换热器
CN103940087A (zh) 一种窄间隙扁圆形双盘管整体冷凝锅炉
US20120061481A1 (en) Device for providing reverse heating and method of reverse heating
CN201184696Y (zh) 一种管式加热炉
KR101287693B1 (ko) 하이브리드 보일러
CN210951256U (zh) 超低氮燃气蒸汽锅炉
CN202452466U (zh) 一种立式蒸汽锅炉
KR101207959B1 (ko) 완전 연소를 유도하는 화목보일러
CN200996720Y (zh) 多温区高效常压加热炉
KR100987868B1 (ko) 보일러용 열교환기
CN210512147U (zh) 节能燃气热水器
KR200404672Y1 (ko) 열교환기 구조물
CN206073129U (zh) 一种用于生物质锅炉的配风系统
CN201945017U (zh) 高效、节能热水锅炉
KR101116758B1 (ko) 보일러
CN201412959Y (zh) 热交换式节能热水炉
JP4444865B2 (ja) 加熱装置、及び同加熱装置を有する大気圧ボイラ
CN103791481A (zh) 一种节能高效锅炉结构
CN220793096U (zh) 一种立式方炉膛锅炉
CN203857449U (zh) 一种锅炉结构
CN202066209U (zh) 冷凝速热一体炉
CN210345865U (zh) 一种模块化空气能燃气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25

Effective date: 201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