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916A -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916A
KR20060096916A KR1020060021082A KR20060021082A KR20060096916A KR 20060096916 A KR20060096916 A KR 20060096916A KR 1020060021082 A KR1020060021082 A KR 1020060021082A KR 20060021082 A KR20060021082 A KR 20060021082A KR 20060096916 A KR20060096916 A KR 20060096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lash
image
shutt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오쿠노
미노루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2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pensation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는,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셔터개방에 의해 수광소자에 입사광을 집광하는 촬상소자와, 촬상부의 촬영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는 플래시와, 촬상소자를 제어하여 셔터를 연속적으로 복수 회 개방하도록 하고 플래시를 제어하여 일순간 발광하도록 하고 복수의 개방시간 사이에 이어지는 개방타이밍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플래시가 발광하지 않을 때의 개방타이밍에 촬영되어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화상데이터와 플래시가 발광하였을 때의 개방타이밍에 촬영되어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비교예에 있어서, 저조도(low illumination)하에서 플래시 사용시의 피사체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에 있어서, 저조도하에서 플래시 사용시의 촬영화상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플래시 발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에 있어서, 연속촬영중의 플래시 잔광(afterglow)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촬상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플래시의 플래시 발광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촬상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10은, 저휘도(low luminance) 피사체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보정 후의 저휘도 피사체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플래시 발광 촬영으로 얻은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플래시 발광 촬영으로 얻은 보정 후의 화상의 히스토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보정 후의 화상과 도 13의 보정 후의 화상의 합성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촬상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FP 발광특성(focal plane flash characteristi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연속촬영중의 FP 발광(focal plane flash)의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본 특허청에 2005년 3월 7일 출원된 일본특허공보 제2005-062568호에 관한 주제와, 여기에 포함된 모든 내용을 참조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촬영을 위해 플래시를 발광시키는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조도(low illumination)하에서 촬영을 위해 플래시 또는 다른 보조적인 조명 빛을 사용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사체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에 비해 촬상소자의 동적 범위가 부족하게 되어, 주요 피사체는 적정노출로 촬영되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경과 그 외의 조도가 낮은 부분은 촬상소자의 동적 범위 밖이 되므로 해당 영역이 검게 뭉개져 버린다.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인물 또는 그 밖의 저조도 부분이 포함되는 야경 촬영에 있어서, 셔터스피드 등은 배경이 적정 노출이 되도록 설정하고, 인물이나 그 외의 주요 피사체는 플래시 또는 그 외의 보조 조명 빛에 의해 적정 노출로 설정해 촬영하는, 이른바 "슬로우 싱크로(slow synchro)" 촬영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슬로우 싱크로 촬영에서는, 인물이나 야경 등의 다른 저조도하에서의 촬영에 있어서, 배경이 적정 노출이 되도록 셔터시간을 설정하고, 인물이나 다른 주요 피사체는 플래시 또는 다른 보조 조명 빛에 의해 적정 노출로 설정하여 촬영한다.
이러한 슬로우 싱크로 촬영에서는, 배경의 조도에 맞추어 셔터시간이 설정되므로, 몇 초 정도의 긴 셔터시간에 의해 촬영된다. 삼각대(tripod) 또는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배경의 흔들림을 방지하지 않으면, 배경의 화상은 이른바 손떨림(hand blurring)에 의해 흘러(flowing) 버린다.
셔터속도(shutter speed)가 길어지는 저조도하의 촬영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보(A) 제 2005-3839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정 노출이 얻어지는 셔터속도보다 고속의 셔터속도로 복수 매의 사진을 연속으로 촬영하고, 각각의 화상의 손떨림 등에 의한 이동량을 계산하고, 그것을 보정하고 1매의 화상으로 합성하는, 이른바 전자 손떨림 보정수단(electronic hand blurring correcting means)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플래시 또는 다른 보조 조명 빛은 일반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잔광 특성(afterglow characteristic)을 가지고, 자연광(natural light)과 다른 색온도 특성(color temperature characteristic)을 가진다.
그 때문에, 특히 잔광 시에는 자연광과 보조광이 섞여 복잡한 색온도 특성을 나타낸다. 일본특허문헌(A) 제 2005-38936호에 개시된 촬상장치를 상기 전자 손떨림 보정수단과 결합하여 사용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 촬영중에 피사체의 조도나 색 온도가 복잡하게 변화하여, 화상을 합성한 후에 부자연스러운 색조(color tone)를 가지는 화상이 되기 쉽다.
따라서 연속해서 여러 차례 촬영하는 동안에 여러 차례 연속해서 촬영할 때 플래시를 발광했을 경우에도, 고품질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셔터를 개방하 여 입사광을 수광소자(light receiving element)에 모으는(focusing) 촬상수단(imaging means)과, 상기 촬상수단의 촬영방향을 향해서 플래시를 발광하는 플래시수단과, 상기 셔터를 복수 회 연속해서 개방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 회의 개방 타이밍 중 2번째 이후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상기 플래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플래시수단이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발광수단이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고 있을 때 상기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셔터를 개방하여 입사광을 수광소자(light receiving element)에 모으는(focusing) 촬상수단(imaging means)과, 상기 촬상수단의 촬영방향을 향해서 플래시를 발광하는 플래시수단과, 상기 셔터를 복수 회 연속해서 개방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 회의 개방 타이밍 중 임의의 상기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상기 플래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지 않는 동안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제 1 화상 데이터에 제 1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는 동안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영되어 생성된 제 2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보정처리와는 다른 제 2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수단과, 상기 보정수단의 보정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보정 화상 데 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르면, 셔터를 복수 회 연속적으로 개방하고, 셔터 개방에 의해 입사광을 수광소자에 집광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에 플래시를 발광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상기 피사체에 상기 플래시를 발광한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단계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르면, 셔터를 복수 회 연속적으로 개방하고, 셔터 개방에 의해 입사광을 수광소자에 집광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에 플래시를 발광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계속하여 상기 피사체에 상기 플래시를 발광한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단계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제 1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단계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보정처리와는 다른 제 2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장치(1)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10), 화상 메모리(20), 노출 제어부(40), 조작부(45), 플래시(46), 제어부(47), 모션벡터(motion vector) 검출부(55), 화상 합성부(60), 화상 저장부(70)를 가지고, 화상 합성부(60)는, 전자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0)]
카메라 모듈(10)은, 예를 들면, 렌즈(11), 아이리스(12), 셔터(13), 촬상 소자(14), 샘플링 회로(15), 및 A/D 변환회로(16)를 가진다. 렌즈(11)는 촬영대상으로부터의 빛을 투과시켜 아이리스(12)로 보낸다. 아이리스(12)는, 렌즈(11)로부터 입사한 빛을 압축하여(constrict) 셔터(13)로 보낸다. 셔터(13)는, 노출(exposure)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정확히 소정의 시간(셔터 시간) 동안만 개방(open)한다. 셔터(13)는 개방시에 아이리스(12)로부터 입사한 빛을 촬상소자(14)에 집광(focus)한다.
촬상소자(14)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ntal Oxide Semiconductor)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셔터(13)를 통하여 입사한 피사체의 빛의 화상을 (수광(receive)하고) 형성한다. 촬상소자(14)는 촬상면의 각 수광 소자에 도달하는 수광량을 광전변환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화상신호를 샘플링회로(15)에 출력한다. 촬상소자(14)는, 예를 들면, 단판센서(single plate sensor)이다. 샘플링 회로(15)로의 전기신호 출력은, 화소(pixel) 당 R신호, G신호, B신호 중 하나의 색신호(데이터) 이다.
촬상장치(1)에 있어서, 카메라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더 선명한 화상을 출력하기 위하여, 셔터(13)는, 노출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 하에 조작부(45)의 셔터버튼이 1회 조작되면, 자동으로 적정 노출의 셔터속도(셔터시간(노출시간))보다 고속으로(더 짧은 셔터시간으로) 개방하고, 복수의(이하, "N"으로 한다) 화상을 얻는다. 촬상장치(1)는, 예를 들면, 1/30초 간격으로 N매의 화상을 얻는다. 따라서, 촬상소자(14)에 의해 얻어진 N매의 화상(입력화상)은, 적정 노출로 촬영된 화상보다 더 어둡게(적정 노출보다 낮은 노출로 촬영된 것) 되고 적정 노출로 촬영된 화상의 1/Mk(k=1~N)의 밝기를 가진다. 여기서 Mk의 값은 예를 들면, 셔터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샘플링회로(15)는 촬상소자(1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신호(전기신호)의 노이즈 성분을, 예를 들면, 상관 2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에 의해 제거하고 그 결과신호를 A/D 변환회로(16)에 공급한다. A/D 변환회로(16)는, 샘플링회로(15)로부터의 화상신호 입력에 대한 A/D 변환, 즉, 샘플링 및 양자화(quantization)를 수행한다. 그 후, A/D 변환회로(16)는, A/D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에 의해 구성된 적정 노출보다 낮은 노출의 어두운 화상을 내장된 시프트 회로(shift circuit)에 의해, 예를 들면, n 비트 시프트 하는 것에 의해 Mk 배 하고, 그것에 의해 적정 노출과 동일한 밝기(값)를 가지는 화상데이터로 변환(이득(gain)을 증가시킴)하고 화상 메모리(20)에 기입한다.
[노출 제어부(40)]
노출 제어부(40)는, 셔터(13), 촬상소자(14), 샘플링 회로(15), A/D 변환회로(16) 및 화상 메모리(20)를 제어하여 제어부(47)로부터의 셔터시간신호 입력이 가리키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N매의 화상을 얻도록 한다.
[조작부(45)]
조작부(45)는, 예를 들면, 셔터버튼, 플래시를 설정하는 버튼 또는 다른 조작수단이다.
[플래시(46)]
플래시(46)는 제어부(47)로부터 플래시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발광한다. 플래시(46)는 카메라 모듈(10)의 촬영방향을 향해서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47)]
제어부(47)는 피사체의 밝기 등에 맞추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노출정보에 근거하여 셔터시간을 결정하고 그 셔터시간을 나타내는 셔터시간신호를 노출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7)는, 예를 들면, 실제 촬영 전에 카메라 모듈(10)이 피사체의 가화상(provisional image)을 촬영하여, 얻어진 촬영결과에 근거하여, 셔터시간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화상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부(45)를 구성하는 셔터버튼을 반만 누르는 경우에 얻어진다. 또한, 제어부(47)는, 상기 N매의 각 화상에 대해 상술한 셔터시간을 결정하고, 이를 나타내는 셔터시간신호를 노출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7)는, 상기 결정된 셔터시간(노출정보)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45)로 설정된 설정정보에 근거하여, 플래시를 발광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부(47)는, 플래시를 발광한다고 판단했을 경우는, 플래시를 발광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촬영의 적정 셔터시간 및 촬영매수(L)와 플래시를 발광하는 상태에서의 촬영의 적정 셔터시간 및 촬영매수(M)를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 + M = N 으로 한다.
제어부(47)는, N회 셔터(13)를 연속적으로 개방하는 개방 타이밍 가운데, 2번째 및 그 이후의 개방 타이밍에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플래시(46)에 플래시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7)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회의 개방 타이밍 가운데, 마지막 1회 (N번째)의 개방 타이밍에서만 플래시신호를 플래시(46)에 출력해 플래시를 발광시킨다. 이로 인해, 촬영에 미치는 플래시의 잔광의 영향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N매째의 촬영에만 발생한다. N-1매째까지의 촬영에서는, 플래시의 잔광특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저휘도부의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이트 밸런스 등의 보정은 N매째의 화상에만 적용되어, 화상을 합성하기 전에 비교적 간단하게 보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시 촬영과 전자 손떨림 보정수단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삼각대나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이른바 슬로우 싱크로 촬영이 가능하고 손떨림이 억제된 촬영결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7)는, 이미 취득한 노출정보로부터 부족한 광량을 산출하고, 가촬영(provisional imaging)에 대해 예비 플래시를 발광하고, 그 촬영결과에 근거하여 얻어진 노출정보에 근거하여 플래시의 광량을 결정하고, 그것을 플래시(46)에 지정할 수도 있다.
[모션벡터 검출부(55)]
모션벡터(motion vector) 검출부(55)는 일련의 촬영에 의해 화상 메모리(20)에 기입된 N개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러한 개개의 화상 데이터의 모션벡터(MV)를 검출한다. 모션벡터 검출부(55)는, 검출된 모션벡터(MV)를 화상 합성부(60)에 출력한다. 모션벡터 검출부(55)는, 예를 들면, 「오카다, 타니구치, 오노구치, "시간 평가형 옵티컬 플로우의 검출(Detection of time evaluation type optical flow)", 전자정보통신학회 논문잡지(The IEICE Transactions), D-II, No.1, pp 52-62, 2003년 1월」에 기재된 시간 평가형 옵티컬 플로우 기법, 블록 매칭 기법(block matching method) 등에 근거한 처리를 수행하여 모션벡터(MV)를 생성한다.
[화상 합성부(60)]
화상 합성부(60)는, 화상 메모리(20)로부터 일련의 촬영에 의해 얻어진 N개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모션벡터 검출부(55)로부터의 N개의 화상 데이터 입력의 모션벡터(MV)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 변이(positional deviation)를 보정한다. 그 후, 화상 합성부(60)는, 상기 위치 변이를 보정한 후의 N개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화상 데이터(IM)를 생성하고, 이를 화상 저장 부(70)에 출력한다. 화상 저장부(70)는, 화상 합성부(6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IM) 입력을, 메모리(80)에 기입한다. 메모리(80)는, 플래시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이다.
이하, 도 1에 나타낸 촬상장치(1)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촬상장치(1)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단계(ST11):
제어부(47)는 조작부(45)에 의해 설정된, 플래시가 필요한지 및 노출정보와 같은 설정정보를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47)는, 가촬영을 수행했을 경우에, 그 가촬영의 결과에 근거하여 노출정보를 생성한다.
단계(ST12):
제어부(47)는 단계(ST11)에서의 설정정보 입력, 단계(ST11)에서 생성된 노출정보 등에 근거하여 플래시를 발광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부(47)는 플래시를 발광한다고 판단하면 단계(ST1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T14)로 진행된다.
단계(ST13):
제어부(47)는 플래시가 발광되는 동안의 촬영 전에 수행되는 플래시 비발광 기간 동안의 촬영횟수(L) 와 그때의 셔터시간(노출값)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47)는 플래시가 발광되는 동안의 촬영횟수(M)와 그때의 셔터시간 (노출값)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M=1로 설정된다.
단계(ST14):
제어부(47)는 플래시 비발광으로 촬영할 때의 촬영횟수(N)와 그때의 셔터시간(노출값)을 결정한다.
단계(ST15):
제어부(47)는 단계(ST13) 또는 단계(ST14)에서 결정된 플래시 비발광 기간 동안의 촬영횟수(L 또는 M)와 셔터시간을 가리키는 셔터시간신호를 노출 제어부(40)에 출력한다. 노출 제어부(40)는 제어부(47)로부터의 셔터시간신호 입력이 나타내는 셔터시간의 간격으로 정확히 상기 신호가 나타내는 촬영횟수(L 또는 N)만큼 셔터(13)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셔터(13)의 개방 타이밍에 촬영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20)에 순서대로 기입된다.
단계(ST16):
제어부(47)는, 단계(ST12)에서 플래시를 발광한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단계(ST1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T18)로 진행된다.
단계(ST17):
제어부(47)는 플래시신호를 플래시(46)에 출력한다. 플래시(46)는 제어부(47)로부터 플래시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면, 피사체를 향하여 플래시를 발광한다. 또한, 플래시가 발광하고 있는 타이밍에, 제어부(47) 및 노출 제어부(40)의 제어 하에, 정확히 단계(ST13)에서 결정된 셔터시간을 간격으로 사용하여 결정된 촬영횟수, 예를 들어 M 만큼만, 셔터(13)를 개방한다. 그리고 나서, 셔터(13)의 개방 타이밍에 촬영된 M개의 화상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20)에 순서대로 기입된다.
단계(ST18):
모션벡터 검출부(55)는, 단계(ST15 및 ST17)에서 화상 메모리(20)에 기입된 N개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이들 개개의 화상 데이터의 모션벡터(MV)를 검출한다. 모션벡터 검출부(55)는, 상기 검출한 모션벡터(MV)를 화상 합성부(60)에 출력한다.
단계(ST19):
화상 합성부(60)는, 화상 메모리(20)로부터 단계(ST15 및 ST17)에서 기입된 N개의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고, 모션벡터 검출부(55)로부터의 N개의 화상 데이터 입력의 모션벡터(MV)에 근거하여, 상기 N개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 변이를 보정한다. 그리고 나서, 화상 합성부(60)는, 상기 위치 변이를 보정한 후의 N개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화상 데이터(IM)를 생성하고, 이를 화상 저장부(70)에 출력한다. 화상 저장부(70)는, 화상 합성부(6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IM) 입력을, 메모리(80)에 기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장치(1)에 따르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래시 발광 전에 (N-1)회 촬영이 수행되고, 플래시는 마지막 N번째 촬영 타이밍에 발광된다. 이 때문에, 일련의 N회의 촬영에 있어서, 플래시의 잔광으로 인한 플래시 비발광시의 촬영으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부자연스러운 색조 요소가 발생하는 것을 적절히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에 따르면, 플래시 비발광 시의 촬영에서 얻어진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위치 변이가 보정되고 합성되므로, 삼각대나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배경과 같은 저휘도 화상의 노출부족이 적절히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촬상장치(1)에 따르면, 플래시 발광시의 촬영에 의해 얻 어진 화상 데이터가 상기 합성된 저휘도 화상에 더하여 합성되므로, 플래시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한 전경(foreground)을 적절하게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화상 메모리(20)로부터 독출된 화상 데이터가 보정 처리되고, 그 다음에, 화상 합성부(60)에서 합성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a)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장치(1a)는 도 1에 도시된 촬상장치(1)로 구성하고, 화상 메모리(20)와 화상 합성부(60)는 그들 사이에 제공된 화상 보정부(105)를 가진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촬상장치(1a)의 화상 보정처리 및 합성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8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부호를 교부한 구성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화상 보정부(105)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촬영조건에 따라 보정을 실행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도 9의 단계(ST31)). 또, 화상 보정부(105)는 모션벡터 검출부(55)에 의해 검출된 모션벡터(MV)에 기초하여 보정의 필요를 판단하거나 제어부(47)에 의해 생성 또는 취득된 노출정보에 기초하여 보정의 필요를 판단해도 좋다. 화상 보정부(105)는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화상 메모리(20)로부터 독출된 화상 데이터(im1 ~ imN)의 보정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화상 합성부(60)에 출력한다(단계(ST32)). 화상 보정부(105)는 보정처리로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이득(gain)조정, γ커브특성 조정,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의 임의의 합성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 보정부(105)는 전체 밝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촬영된 N개의 화상 데이터 가운데, 플래시 없이 얻어진 화상 데이터(L)의 이득을 보정하고, 동시에 저휘도부의 중간톤(halftone)을 중시한 γ커브를 보정한다. 반면에, 화상 보정부(105)는 플래시로 얻어진 화상(M)의 밝기를 보정하지는 않지만, 중간 휘도부의 중간톤을 중시한 곡선을 보정하고, 플래시 광원에 적절한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한다. 즉, 화상 보정부(105)는 화상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 상관없이 임의의 화상 데이터에 관하여 임의의 보정도 실시할 수 있다. 또, 화상 보정부(105)는 화상(L)을 위해 플래시 없이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 후에 보정처리를 수행하고, 화상(M)을 위해 플래시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 후에 보정처리를 수행한다. 그 후, 화상 보정부(105)는 보정된 합성화상을 합성해도 좋다.
화상 보정부(105)는 예를 들면 저휘도부의 화상과 플래시 화상 양쪽의 이득을 조정하는 경우, 저휘도부의 화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휘도 영역에 치우친 막대 그래프 특성을 가진다. 도 10 ~ 도 14의 막대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휘도, 세로축은 화소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화상에 대해 이득을 올리는 화상보정을 적용한 경우, 저휘도 영역이 고휘도 측에 퍼진 막대 그래프 특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또, 플래시 화상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휘도 영역에 치우친 막대 그래프 특성을 가진다. 이것에 이득을 낮추는 화상보정을 적용한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휘도 영역이 저휘도 측에 퍼진 막대 그래프 특성을 가진다.
화상 합성부(60)는 모션벡터 검출부(55)로부터의 모션벡터(MV)에 기초하여 위치 변이를 보정한 후에 화상 보정부(105)에서 보정된 화상 데이터(im1 ~ imN)를 합성하여, 화상 데이터(IM)를 생성한다(도 9에 나타내는 단계(ST33)). 반면에, 화상 보정부(105)는 도 9에 도시된 단계(ST31)에서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때, 제 1 실시예와 같은 처리, 즉, 화상 메모리(20)로부터 독출된 화상 데이터(im1 ~ imN)를 합성하여 화상 데이터(IM)를 생성한다. 이것에 기인하여, 화상 합성부(60)가 생성한 화상 데이터(IM)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의 동적 범위(dynamic range)를 유효하게 이용한 막대 그래프 특성을 가지며, 저휘도부와 플래시 화상의 각각에 풍부한 중간톤을 가지면서도 촬상소자의 동적 범위 내를 가지는 화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합성하기 전에 다른 조건으로 얻어진 화상 데이터에 최적의 화상보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화상인식 또는 다른 복잡하고 고가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화상 내의 복수의 피사체 각각에 최적의 화상보정이 적용된 사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실시예>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1b)는 A/D 변환 회로(16b) 및 제어부(47b)의 처리를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촬상장치(1)와 같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1b)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단계(ST41):
도 1에 도시된 촬상장치(1b)의 제어부(47b)는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촬영 대상의 노출정보를 입력하고, 사용자가 조작부(45)를 조작함으로써 설정된 촬영조건 정보를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단계(ST42):
제어부(47b)는 단계(ST41)에서 입력한 노출정보 및 촬영조건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제 1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셔터시간이나 플래시의 필요를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47b)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N회의 개방 타이밍(촬영)의 각각에 대해 셔터시간 및 플래시 휘도의 필요를 결정한다.
단계(ST43):
제어부(47b)는 단계(ST42)에서 결정된 사항에 기초하여, N회의 촬영 가운데, 첫회의 촬영을 실행한다. 제어부(47b)는 미리 결정한 조건에 따라, 플래시를 발광하는 경우에, 플래시(46)에 플래시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피사체의 빛이 촬상소자(14)에 집광되고, 그 결과에 따른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가 샘플링 회로(15)에 출력된다. 그 다음, 샘플링 회로(15)는 입력된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를 샘플링하고, A/D 변환회로(16b)에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A/D 변환회로(16b)는 제어부(47b)로부터의 감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변환한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의 이득을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시프트 처리 등에 의해 낮추거나 올린다. 이것에 의해, 촬상소자(14)의 실질적인 수광감도가 제어된다. A/D 변환회로(16b)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는 화상 메모리(20)에 기입된다.
단계(ST44):
제어부(47b)는 상술한 N회의 촬영이 종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 단계(ST47)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T45)로 진행된다.
단계(ST45):
제어부(47b)는 촬상소자(14)의 수광감도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단계(ST46)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T43)로 복귀된다. 제어부(47b)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촬영조건 및 단계(ST41)에서 취득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수광감도의 변경의 필요를 판단한다.
단계(ST46):
제어부(47b)는 예를 들면, 플래시를 동반하지 않고 다음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촬상소자(14)의 수광감도를 높게 설정하고(상기 시프트 처리의 시프트 양을 이득을 올리도록 조정), 플래시를 동반하여 다음 촬영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촬상소자(14)의 수광감도를 낮게 설정하도록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높은 S/N비를 가지는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단계(ST47):
모션벡터 검출부(55)는 단계(ST43)에서 화상 메모리(20) 내에 기입된 N개의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들 개개의 화상 데이터의 모션벡터(MV)를 검출한다. 모션벡터 검출부(55)는 상기 검출한 모션벡터(MV)를 화상 합성부(60)에 출력한다.
단계(ST48):
화상 합성부(60)는 화상 메모리(20)로부터 단계(ST43)에서 기입된 N개의 화 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모션벡터 검출부(55)로부터 입력된 N개의 화상 데이터의 모션벡터(MV)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 변이를 보정한다. 그 다음, 화상 합성부(60)는 상기 위치 변이를 보정한 후의 N개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화상 데이터(IM)를 생성하여, 이것을 화상 저장부(70)에 출력한다. 화상 저장부(70)는 화상 합성부(6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IM)를 메모리(80)에 기입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서, 연속촬영의 실시중에 촬상소자의 감도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여러 가지 촬영조건이 다루어질 수 있고, 임의의 촬영조건 하에서 촬상소자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하는 촬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1c)는 플래시(46c) 및 제어부(47c)의 처리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촬상장치(1)와 같다. 플래시(46c)는 FP(focal plane) 플래시 기능이 제공된다. 여기서, "FP 플래시"는 FP 셔터를 채용하고 있는 싱글렌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 lens reflex camera)에서 스트로브 동조속도(strobe sync speed) 이상의 속도로 동조시키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셔터의 구조로 인해, 스트로브 동조속도에 제한이 있다. 이는 대략 1/60 ~ 1/250 정도이다. 그 이상의 속도일 때는 셔터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스트로브의 빛이 튕겨나오게 되고, 어두운 부분이 슬릿(slit) 모양으로 형성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장시간 스트로브를 동작함(더 정확하게는 고속으로 많은 회수를 동작시킴)으로써, 셔터 가 열리고 닫힐 때까지의 전체 시간이 커버되고, 그것에 의해, 모든 속도의 동조가 가능하게 된다. 플래시(46c)는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스위치에 의해 사실상 일정한 플래시 강도로 플래시를 연속적으로 발광하도록 플래시를 온/오프 함으로써 단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발광한다.
도 16은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1c)의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단계(ST61):
제어부(47c)는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6에 도시된 단계(ST15) 후에 이어지는 단계(ST61)를 실행한다. 제어부(47c)는 도 6에 도시된 단계(ST12)에서 플래시를 발광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단계(ST62)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단계(ST65)로 진행된다.
단계(ST62):
제어부(47c)는 FP 플래시의 필요를 판정한다. 제어부(47c)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단계(ST13)에서 결정된 셔터속도가 셔터동조속도보다 높은 경우, 또는, 도 1에 도시된 조작부(45)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설정한 촬영조건 하에서 저속 싱크로(synchro) 촬영이 지정된 경우 등에 FP 플래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제어부(47c)는 FP 플래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단계(ST63)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T64)로 진행된다.
단계(ST63):
제어부(47c)는 FP 플래시를 나타내는 플래시 신호를 플래시(46c)에 출력한 다. 이것에 의해, 플래시(46c)는 상기 N회의 촬영 가운데 소정의 촬영에 있어서, FP 플래시를 발광한다. 제어부(47c)는 예를 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N회의 촬영 중 N번째 타이밍에서 플래시(46c)가 FP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한다. 이때, N번째 타이밍에서의 촬영에 있어서, 셔터속도가 예를 들면, 1/250 등의 보통의 플래시의 시간보다 더 고속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촬영은 움직임을 가지는 피사체에서도 거의 정지 상태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야간에 배경을 찍으면서, 그 배경 앞에 움직임을 가지는 피사체가 뚜렷하게 촬영될 수 있다. 한편, N번째 타이밍의 촬영이 저속의 셔터속도 예를 들면 1/30로 설정된 경우에는 배경 앞의 움직임을 가지는 피사체가 흐르는 것처럼 촬영되므로, 야간에 배경을 찍으면서 움직임의 생동감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움직임을 가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7c)는 상기 N회의 모든 촬영에 FP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플래시(46c)를 제어하거나, 상기 N회의 촬영중 마지막 타이밍 전의 몇 차례의 촬영에서 FP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플래시(46c)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ST64):
제어부(47c)는 예를 들면, 제 1실시예의 도 6에 도시된 단계(ST17)와 같은 방식으로 플래시 신호를 플래시(46c)에 출력한다. 플래시(46c)는 상기 플래시 신호에 응답하여 발광한다. 또한, 발광하는 동안에 제 1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피사체가 촬영된다.
단계(ST65):
모션벡터 검출부(55)는 도 6에 도시된 단계(ST15) 및 도 16에 도시된 단계 (ST63, ST64)에서의 촬영에 의해 화상 메모리(20)에 기입된 N개의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 개개의 화상 데이터의 모션벡터(MV)를 검출한다. 모션벡터 검출부(55)는 상기 검출한 모션벡터(MV)를 화상 합성부(60)에 출력한다.
단계(ST66):
화상 합성부(60)는 도 6에 도시된 단계(ST15) 및 도 16에 도시된 단계(ST63, ST64)에서의 촬영에 의해 화상 메모리(20)에 기입된 N개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20)로부터 독출하고, 모션벡터 검출부(55)로부터 입력된 해당 N개의 화상 데이터의 모션벡터(MV)에 기초하여, 상기 N개의 화상 데이터의 임의의 위치 변이를 보정한다. 그 다음, 화상 합성부(60)는 상기 위치 변이를 보정한 후의 N개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고 화상 데이터(IM)를 생성하여, 이것을 화상 저장부(70)에 출력한다. 화상 저장부(70)는 화상 합성부(60)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IM)를 메모리(80)에 기입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손떨림(hand blurring) 보정수단을 병용하여 고속 싱크로 촬영 혹은 저속 싱크로 촬영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움직임의 생동감을 남기고 주변의 저휘도부를 또한 포함하면서 저조도하에서 회전하는 물체의 화상을 촬영하거나 화상의 흐름 없이 주변의 저휘도부를 또한 포함하면서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또는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여러 가지 변경, 결합, 부분결합 및 대체를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회의 셔터버튼의 조작에 의해 N매의 연속한 화상이 얻어지고, 플래시(46)가 마지막(N번째)에 발광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플래시가 2번째 이후에서 발광하는 한, 적어도 플래시 발광 이전의 촬영이 플래시의 잔광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해서 복수 회 촬영하는 동안에 연속해서 복수 회 촬영할 때 플래시를 발광했을 경우에도, 고품질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는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촬상장치에 있어서,
    셔터개방에 의해 입사광(incident light)을 수광소자(light receiving element)에 집광하여(focusing)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수단(imaging means)과,
    상기 촬상수단의 촬영방향을 향해서 플래시를 발광하는 플래시수단과,
    상기 셔터를 복수 회 연속적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 회의 개방 타이밍 중 2회째 및 그 이후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상기 플래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플래시수단이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고 있지 않을 때의 상기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수단이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고 있을 때의 상기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의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상기 복수 회 연속적인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모션벡터(motion vector)를 검출하는 모션벡터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모션벡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모션벡터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 변이(positional deviation)를 보정하고, 그 후 상기 데이터를 합성하여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플래시수단이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고 있지 않을 때의 상기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플래시수단이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고 있을 때의 상기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얻어진 합성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제 1 화상 데이터에 제 1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는 동안에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제 2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보정처리와는 다른 제 2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보정수단의 보정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의 이득(gain)을 증가시키는 상기 제 1 보정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상기 제 2 보정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상기 셔터를 정확히 제 1 시간 동안만 개방하고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셔터를 정확히 제 2 시간 동안만 개방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수단의 수광소자의 수광감도가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는 타이밍과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지 않는 타이밍 사이에 다르게 되도록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는 타이밍에서 상기 촬상수단이 상기 셔터에 포컬 플레인 동작(focal plane operation)을 수행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플래시가 FP 모드(FP mode)로 발광하도록 상기 플래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 회의 개방 타이밍 중 마지막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상기 플래시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일의 조작(single operation)에 의해 정지화상 촬영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이 상기 정지화상 촬영지시를 입력하면 상기 셔터를 복수 회 연속적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셔터개방에 의해 입사광을 수광소자에 집광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의 촬영방향을 향해서 플래시를 발광하는 플래시수단과,
    상기 셔터를 복수 회 연속적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촬상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 회의 개방 타이밍 중 임의의 개방 타이밍에서 상기 플래시를 발광하도록 상기 플래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제 1 화상 데이터에 제 1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플래시가 발광하는 동안에 상기 촬상수단의 상기 촬영에 의해 생성된 제 2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보정 처리와는 다른 제 2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수단과,
    상기 보정수단의 보정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셔터를 복수 회 연속적으로 개방하고 셔터 개방에 의해 입사광을 수광소자에 집광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방법에 있어서,
    플래시를 피사체에 조사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이어서 상기 플래시를 상기 피사체에 조사한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의 촬영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단계의 촬영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포 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13. 셔터를 복수 회 연속적으로 개방하고 셔터 개방에 의해 입사광을 수광소자에 집광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방법에 있어서,
    플래시를 피사체에 조사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이어서 상기 플래시를 상기 피사체에 조사한 상태로 상기 셔터를 개방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제 1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보정처리와는 다른 제 2 보정처리를 적용하여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1 보정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제 2 보정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방법.
KR1020060021082A 2005-03-07 2006-03-06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KR20060096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62568A JP4395763B2 (ja) 2005-03-07 2005-03-07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JP-P-2005-00062568 2005-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916A true KR20060096916A (ko) 2006-09-13

Family

ID=3694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082A KR20060096916A (ko) 2005-03-07 2006-03-06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86884B2 (ko)
JP (1) JP4395763B2 (ko)
KR (1) KR20060096916A (ko)
CN (1) CN1005905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0688B2 (ja) * 2005-12-09 2011-12-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865648B2 (ja) * 2007-07-02 2012-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
JP5197083B2 (ja) * 2008-03-21 2013-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35930B2 (ja) * 2008-06-10 2012-05-23 富士通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JP2010107900A (ja) * 2008-10-31 2010-05-13 Fujifilm Corp 撮像装置、複眼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22708B2 (en) * 2009-05-07 2014-12-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s for exposure control
JP5858744B2 (ja) * 2011-11-21 2016-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CN103685966B (zh) * 2012-09-19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图像采集方法
US8786767B2 (en) * 2012-11-02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Rapid synchronized lighting and shuttering
CN104618647A (zh) * 2015-01-22 2015-05-13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终端
TWI548275B (zh) * 2015-08-04 2016-09-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影像處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1879A (ja) * 1998-03-12 1999-09-24 Nikon Corp 連写機能を有する電子カメラ
JP4613510B2 (ja) 2003-06-23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8625A1 (en) 2006-09-07
JP2006246362A (ja) 2006-09-14
CN1831624A (zh) 2006-09-13
US7486884B2 (en) 2009-02-03
CN100590506C (zh) 2010-02-17
JP4395763B2 (ja)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6916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4657052B2 (ja) デジタルカメラ、撮影方法、およ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US8289441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JP4761066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方法及び撮像装置
JP6124538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05419B1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US20070019937A1 (en) Image-taking apparatus
KR20100061318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0799214B1 (ko) 촬상 장치 및 촬영 방법
JP2006222935A (ja) 電子スチルカメラ及び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7591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999321B2 (ja) 電子カメラ
JP5569361B2 (ja) 撮像装置および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JP6242129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231814B2 (ja) 露出決定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553570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JP2006165725A (ja) 撮影装置及びその露出決定方法
JP4366915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4401272B2 (ja) 露光制御装置
JP2003008983A (ja) 撮像装置
JP2008092416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81147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4171146A (ja) 撮影装置
JPH05167914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21078047A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