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588A -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 Google Patents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588A
KR20060096588A KR1020050017232A KR20050017232A KR20060096588A KR 20060096588 A KR20060096588 A KR 20060096588A KR 1020050017232 A KR1020050017232 A KR 1020050017232A KR 20050017232 A KR20050017232 A KR 20050017232A KR 20060096588 A KR20060096588 A KR 2006009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old
hot water
ultraviol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3975B1 (ko
Inventor
지용삼
이후정
윤진규
Original Assignee
지용삼
윤진규
이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삼, 윤진규, 이후정 filed Critical 지용삼
Priority to KR1020050017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975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된 물을 또는 생수를 음용하기 위한 냉온수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특히 가열이나 강제냉각에 의하여 살균되어진 물이 급수를 위하여 배출될 경우에 콕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염되어짐을 방지하고 또한 이와 같이 오염되어진 것을 살균하게 되고 살균되어지는 것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토록 함은 물론 급수를 위하여 배출토록 할 경우에 조명수단으로 활용토록 한 것이다.
급수콕, 살균, 냉온수기.

Description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A cock of a hot and cold water supplier which transmit u.v light to sterilize the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구성을 나타낸 구조블럭도.
도 3은 급수전에 살균등이 장착된 일실시예의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복수로 구성된 자외선등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자외선등의 또 다른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오존과 음이온이 발생됨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멍 2: 자외선등
3: 자외선LED 4: 집중렌즈
본 발명은 정수 또는 생수를 냉수 또는 온수로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를 위하여 급수레버를 작동시킬 경우에 급수되는 콕에서 자외선이 주사토록 함으로서 살균과 살균되어짐을 외부로 시각적으로 보여 지도록 한 것이다.
현재 정수되어지거나 또는 생수를 냉수와 온수로 구분하여 급수가 가능토록 된 것의 대부분은 냉각기와 히타를 통과한 냉수 또는 온수가 냉저장고와 온저장고에 1차 저장되어 있다가 급수레버를 작동시키면 수압에 의하여 또는 강제순환방식으로 급수전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출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염된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온수나 냉수가 배출되는 과정이 본체(100)내의 급수관(110)을 통과하면서 급수전(120)의 전단까지 온수나 냉수가 채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러한 급수전의 토출구(130)를 통하여 이물질이나 먼지등이 유입되어지고 동시에 각종 균이 유입되면서 적당한 습에 의하여 서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들은 냉수나 온수를 음용하기 위하여 컵을 냉.온 급수전의 하부에 위치시키면 통상 바닥면에 오수보관함(140)이 형성된 급수부(150)에 의하여 안정적인 놓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그 후 냉수나 온수를 선택하여 급수레버(160)를 작동시키면 단속로드(170)의 전단에 장착된 패킹(180)이 스프링(190)에 의하여 급수구(200)를 차단하고 있던 밸브(210)가 급수구(200)를 열게 되면서 급수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급수레바(160)를 놓으면 스프링(190)의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막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과정에서 급수관(110)과 단속로드 및 패킹과 유로에 발생되는 이물질과 균에 의하여 오염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수관에 살균력을 갖는 은코팅을 함 으로서 어느 정도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모두 사용자가 살균되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으로 인하여 그리 커다란 호응을 얻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급수레바를 작동시키면 급수레바의 단속로드나 급수구의 외측에 장착되어진 자외선등이 점등되면서 급수부에 놓여진 컵에 자외선을 주사토록 함으로서 자외선에 의한 직접적인 살균과 이러한 불빛에 의한 살균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외선을 집중토록 함으로서 강력한 살균이 가능토록 하고, 이러한 살균이외에 급수부에 살균이 가능하거나 악취등의 제거를 위하여 추가적인 살균수단을 갖게 한 것이고, 이러한 급수부의 살균수단이 실내공기의 정화효과를 발생토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과 관련한 도면부호에 대하여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일 경우에도 서로 다른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돗물을 정수한 물을 또는 생수통에서 급수되어진 물을 냉각기나 히터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진 것을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저장되어진 냉수나 온수를 급수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되어지도록 되는 수단을 갖는 본체(10)의 일정위치에 내공간을 갖는 급수부(11) 를 형성하고 상기 급수부(11)의 내벽면(12)에는 전방으로 일정길리로 돌출되어지게 장착된 냉온 급수전(20)과 상기 냉온급수전(20)의 급수레바(21)의 작동시 급수전(20)의 유로에 형성된 급수구(22)를 단속하게 되는 패킹(23)과 상기 패킹(23)이 승강되면서 급수구를 단속하게 하는 단속로드(24)는 스프링에 의하여 급수레바의 작동에 의하여 탄력지게 형성되며 상기 단속로드(24)에는 내공간(25)을 형성하고 상기 내공간(25)에는 자외선등(2)을 작동시키는 기판(6)이 수용토록 한 후 상기 자외선 등(2)은 패킹(23)과 긴밀하게 결착되어지게 한 것이다.
이때 자외선등(2)의 점등은 급수레바(21)를 작동시키면 즉 컵(100)을 급수부(11)의 바닥면에 위치시킨 후 급수레버(21)를 밀거나 당기면 단속로드(24)가 스프링(26)을 가압할 경우에 급수레버(21)의 가압력에 의하여 단자가 밀착되면서 점등토록하거나 또는 컵(100)을 급수부(11)의 바닥면에 위치토록 할 경우에 급수부의 상측과 급수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센서(5)의 감지에 의하여 작동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회로의 구성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방식은 공지의 것으로 다양한 공지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전(20)의 급수구(22)의 외측에 자외선등(2)이 내장된 링체(를 장착하여 급수레바를 작동시키면 링체의 테두리에 장착된 자외선등이 점등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자외선등을 자외선 LED로 사용할 경우에는 자외선 양을 감안하여 복수개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복수개의 장착은 픽셀(Pixel)의 형태로 형성 토록 함으로서 기밀유지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자외선 등이나 자외선 LED를 사용하여 급수부의 바닥면에 놓여진 컵에 빛을 주사토록 할 경우에 빛의 분산에 의하여 집중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등이나 자외선 LED의 전단으로는 집중렌즈를 장착토록 함으로서 빛의 집중에 의하여 우수한 살균효과를 발생토록 하거나 또는 이러한 빛의 주사되어짐을 사용자가 선명하게 확인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급수부의 상측으로는 급수부의 상측면에 이온을 발생토록 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를 구현토록 하고 이러한 장치의 작동은 컵의 사용시에 동시에 작동토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회로구성에 의하여 급수레바가 작동되 이후에도 일정시간의 기간동안 계속하여 작동토록 함으로서 급수후에 남은 잉여분의 수분을 제거토록 하게 되고 급수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오수보관함에 저장되 오수의 부폐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온발생장치의 작동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부의 상측면에 장착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이온발생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의 구성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는 것이다.
우선 본체에는 일정한 전원이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원을 같이 사용하는 것이고, 그 작동은 우선 급수레바의 작동으로 작동할 경우에는 급수레바를 작동시키면 급수레바의 하단에 형성된 단자에 의하여 폐회로를 구성하게 되면서 자외선등과 이온발생장치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센서를 이용할 경우에는 센서가 항상 대기상태에서 컵이 급수부의 바닥 면에 놓여지게 되면 센서가 작동하여 폐회로가 되면서 급수레바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은 회로구성에서 하나의 칩을 사용하여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작동을 지연회로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더 작동토록 함으로서 급수후에 남아 있는 수분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나 균의 서식을 방지하게 되고 동시에 주위의 실내분위기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급수시에 자외선등이 점등되면서 살균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살균이 시각적으로 보여지도록 함으로서 실질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8)

  1. 수돗물을 정수한 물을 또는 생수통에서 급수되어진 물을 냉각기나 히터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진 것을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저장되어진 냉수나 온수를 급수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되어지도록 되는 수단을 갖는 본체(10)의 일정위치에 내공간을 갖는 급수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부(11)의 내벽면(12)에는 전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지게 장착된 냉온 급수전(20)과 상기 냉온급수전(20)의 급수레바(21)의 작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20)의 급수구(22)를 단속하게 되는 패킹(23)과 상기 패킹(23)의 승강을 유도하는 단속로드(24)에 내공간(25)을 형성하고 상기 내공간(25)에는 자외선등(2)을 작동시키는 본체(6)가 수용토록 한 후 상기 자외선 등(2)은 패킹(23)과 긴밀하게 결착되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2. 수돗물을 정수한 물을 또는 생수통에서 급수되어진 물을 냉각기나 히터에 의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어진 것을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저장되어진 냉수나 온수를 급수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되어지도록 되는 수단을 갖는 본체(10)의 일정위치에 내공간을 갖는 급수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부(11)의 내벽면(12)에는 전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지게 장착된 냉온 급수전(20)과 상기 냉온급수전(20)의 급수레바(21)의 작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의 급수구의 외측에 자외선등이 내장된 링체를 장착하여 급수레바를 작동시키면 링체 의 테두리에 장착된 자외선등이 점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등(2)의 점등은 급수레바(21)를 작동시키면 단속로드(24)가 스프링(26)을 가압할 경우에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하여 급수레바가 작동되면서 점등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4. 제1항 또는 제2항애 있어서, 상기 자외선등의 점등은 컵(100)을 급수부(11)의 바닥면에 위치토록 할 경우에 센서(5)의 감지에 의하여 작동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등은 자외선 LED로 복수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LED는 픽셀(Pixel)의 형태로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의 전단으로는 집중렌즈를 장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의 상측으로는 급수부의 상측면에 이온을 발생토록 하기 위한 이온발생기가 장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KR1020050017232A 2005-03-02 2005-03-02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KR10079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232A KR100793975B1 (ko) 2005-03-02 2005-03-02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232A KR100793975B1 (ko) 2005-03-02 2005-03-02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588A true KR20060096588A (ko) 2006-09-13
KR100793975B1 KR100793975B1 (ko) 2008-01-16

Family

ID=37624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232A KR100793975B1 (ko) 2005-03-02 2005-03-02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335A (ko) * 2017-02-13 2018-08-22 왕미선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90B1 (ko) * 2016-09-09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용수 공급 장치
KR102054137B1 (ko) * 2018-06-15 2019-12-13 황인통 식음료용 급속냉각장치
KR102578094B1 (ko) * 2022-12-08 2023-09-18 홍주리더스 주식회사 살균 기능이 구비된 음수공급장치용 수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013B2 (ja) * 1993-05-10 1995-12-13 日成興業株式会社 紫外線殺菌蛇口
KR19990030950U (ko)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냉/온 정수기의 꼭지 살균 장치
KR200277168Y1 (ko) 1999-06-23 2002-06-03 정휘동 정수기용 취수꼭지
JP2004122008A (ja) 2002-10-03 2004-04-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紫外線殺菌装置
KR200370741Y1 (ko) 2004-07-16 2004-12-17 주식회사 위닉스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335A (ko) * 2017-02-13 2018-08-22 왕미선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975B1 (ko)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7707B2 (en)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DK2323952T3 (en) A disinfection device with the power supply means and the liquid outlet
ES2321726T3 (es) Aparatos electricos para el calentamiento de agua.
KR100793975B1 (ko)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KR102664510B1 (ko) 펌프, 이 펌프를 가진 가전 제품 및 이러한 가전 제품을 작동시키는 방법
WO2006065723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fluids
PT1844795E (pt) Difusor de substâncias voláteis de fragrâncias múltiplas
JP2006517854A (ja) 殺菌蛇口及びそれを採用した冷温水器
WO2005038363A1 (ja) 飲料水供給装置
KR200423466Y1 (ko) 우유병 살균장치
US20080060829A1 (en) Toothbrush sanitization system
WO2017221719A1 (ja) 飲料水サーバー
GB0301296D0 (en) Water treatment
ES2809730T3 (es) Dispositivo eléctrico para distribuir sustancias volátiles
KR101648613B1 (ko) 정수기
JP2014061946A (ja) 飲料水供給装置、当該飲料水供給装置に用いる供給部材および吸気装置
KR20140010528A (ko) 광 균일 조사장치를 이용한 살균수단을 구비한 가습기
US10479705B2 (en) Illuminated ventilation ring for a UV-light water sanitizer
KR100685727B1 (ko) 냉장고의 홈바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26763A (ko) 태양광으로 작동되는 간이 상수도용 자외선 살균장치
KR100479423B1 (ko) 단파살균램프가 장착된 생수기
KR102234941B1 (ko) 가축용 급수장치
CN209883838U (zh) 具有储水箱杀菌功能的饮水机
KR100835311B1 (ko) 물공급장치
KR100780816B1 (ko) 살균케이스 및 저수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