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7777A -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7777A
KR20170037777A KR1020150136763A KR20150136763A KR20170037777A KR 20170037777 A KR20170037777 A KR 20170037777A KR 1020150136763 A KR1020150136763 A KR 1020150136763A KR 20150136763 A KR20150136763 A KR 20150136763A KR 20170037777 A KR20170037777 A KR 20170037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led
ultraviolet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359B1 (ko
Inventor
정웅기
장상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13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59B1/ko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1172821.XA priority patent/CN113860422B/zh
Priority to EP16848793.2A priority patent/EP3354288B1/en
Priority to CN201910250620.3A priority patent/CN110104723A/zh
Priority to CN201910249085.XA priority patent/CN110104722B/zh
Priority to CN201680055677.2A priority patent/CN108025095B/zh
Priority to PCT/KR2016/008610 priority patent/WO2017052067A1/ko
Priority to CN202111171752.0A priority patent/CN113860421B/zh
Priority to EP23202781.3A priority patent/EP4286029A3/en
Publication of KR20170037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777A/ko
Priority to US15/936,274 priority patent/US10550011B2/en
Priority to US16/780,649 priority patent/US11225419B2/en
Priority to US17/575,068 priority patent/US117877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59B1/ko
Priority to US18/479,623 priority patent/US2024002577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Abstract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모듈본체부와;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조사부와; 자외선 조사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자외선 조사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과 유로가 연결되도록 모듈본체부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에 결합되어 자외선 조사부를 장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APPARATUS FOR STERILIZING WATER AND WATER PURIFIER THEREWITH}
본 발명은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정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정수 방법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자연여과식과 직결여과식 정수기로서, 필터에 의해 정수가 이루어지는 방식의 정수기이다.
이와 같이 필터를 사용하는 정수기의 가장 일반적인 구조는, 필터와 저수조를 구비하는 형태이며, 경우에 따라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인 히터와 냉매에 의한 냉각시스템을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정제해 주는 필터와, 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에서 나온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온수부와, 냉수를 생성하는 냉각시스템을 포함하는 냉수부와, 상기 온수부와 냉수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용 취수코크 및 냉수용 취수코크(이하 "취수코크"라 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은 수로를 형성하는 호스 및 제어를 위한 배선 등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한편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물의 경우에도 상당 시간 동안 저수조(또는 냉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저수조의 에어밴트 등에 의해 대기로부터 유입되는 세균이나 필터에서 공급되는 세균에 의해 저수조 내부에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저수조에 저장된 물은, 세균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잔류염소성분이 정수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된 상태이어서, 미생물, 세균에 의한 오염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킬 수 있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 물 살균장치는: 내부에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모듈본체부와;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과 상기 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본체부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장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듈본체부는, 내부에 제1방향으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배관부; 및 상기 제1유로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유로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 간의 연결부위에는, 관통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설치공간이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 간의 연결부위에 상기 모듈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이루는 내각을 이등분한 가상의 이등분선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는,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상기 엘이디의 자외선 조사각 범위 이내에 노출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와 상기 엘이디 사이를 차폐하며,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석영,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불소계 중합체 수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엘이디와 상기 보호커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보호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듈본체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는, 장착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내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기와 상기 보호커버 사이에는,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모듈본체부 사이의 실링을 위한 오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기판을 상기 내측돌기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장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과 접속되어 상기 기판을 전원공급장치와 연결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기판 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전선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는, 20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유로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모듈본체부 내주면의 알루미늄 또는 스텐리스 재질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와; 저수조와 연결되는 물공급배관과; 상기 물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시키도록 개폐되는 취수코크; 및 상기 물공급배관과 상기 취수코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 물 살균장치는, 내부에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모듈본체부와;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조사부와;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과 상기 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본체부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장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취수코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취수코크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정수기 물 살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점등되는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이디의 점등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취수코크의 개방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엘이디의 점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에 따르면, 저수조로부터 물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미생물,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살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수기 내부에서의 미생물, 세균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취수 직전 살균 처리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유로의 절곡 위치에 엘이디가 설치되어 자외선의 조사방향이 유로의 방향과 일치되게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유로를 통과하는 물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자외선을 이용한 물 살균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발명은 정수기 물 살균장치를 물공급배관과 취수코크 사이에 끼워 넣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저수조와 취수코크가 물공급배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기존의 정수기에도 쉽게 적용,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물 살균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 물 살균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물 살균장치의 물 살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물 살균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 물 살균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저수조(100)와 물공급배관(200)과 취수코크(300) 및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를 포함한다.
저수조(100)는, 정수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되며, 이와 같이 구비된 저수조(100)에는 정화된 물이 저장된다. 정수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정제되며, 이와 같이 필터에 의해 정제가 완료된 물, 즉 정화된 물은 저수조(100)에 저장된다.
물공급배관(200)은, 저수조(100)와 연결되도록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다. 저수조(100)에 저장된 물은,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취수코크(300) 측으로 공급된다.
취수코크(300)는,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물공급배관(200)과 연결된다. 이러한 취소코크(300)는,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시키도록 개폐된다.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는, 본체의 내부에서 물공급배관(200)과 취수코크(30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는,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취수코크(300)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도록 구비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본체부(410)와 자외선 조사부(420)와 장착부(430) 및 고정지지부(440)를 포함한다.
모듈본체부(410)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모듈본체부(410)의 내부에는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a,b)가 형성된다. 이러한 모듈본체부(410)는, 제1연결배관부(411)와 제2연결배관부(41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연결배관부(411)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물공급배관(20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배관부(411)가 물공급배관(200)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통해 모듈본체부(410)가 물공급배관(2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연결배관부(411)의 내부에는 제1방향으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유로(a)가 형성되며, 이와 같이 제1연결배관부(411)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a)를 통해, 물공급배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물이 제1연결배관부(411)의 내부를 흐를 수 있게 된다.
제2연결배관부(415)는, 제1연결배관부(411)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제1연결배관부(411)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취수코크(300)에 제2연결배관부(415)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통해 모듈본체부(410)가 취수코크(30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2연결배관부(415)의 내부에는 제1유로(a)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유로(a)와 함께 유로(a,b)를 형성하는 제2유로(b)가 형성되며, 이와 같이 제2연결배관부(415)의 내부에 형성된 제2유로(b)를 통해, 물공급배관(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정화된 물이 제2연결배관부(415)의 내부를 통과하여 취수코크(300) 측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본체부(410)는 제1연결배관부(411)와 제2연결배관부(415)가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모듈본체부(410)는, 저수조(100)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물공급배관(200)과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취소코크(300)의 입수구(310) 사이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연결배관부(411)와 제2연결배관부(415) 간의 연결부위에는, 관통부(413)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부(413)가 형성된 부위에는, 후술할 장착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부(420)는, 유로(a,b)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자외선 조사부(420)는, 장착부(4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장착부(430)는, 내부에 자외선 조사부(420)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c)이 형성되도록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장착부(430)는, 자외선 조사부(42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c)과 유로(a,b)가 연결되도록 모듈본체부(410)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430)는 그 내부에 형성된 설치공간(c)이 관통부(413)와 연통되도록 제1연결배관부(411)와 제2연결배관부(415) 간의 연결부위에 모듈본체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의 외관은, 제1연결배관부(411)와 제2연결배관부(415)와 장착부(430)가 "Y" 형태로 연결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모듈본체부(410)와 장착부(430) 사이에는, 내측돌기(431)가 장착부(43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돌기(431)는, 설치공간(c)과 유로(a,b)가 연결되는 관통부(413) 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장착부(430)의 내주면으로부터 장착부(43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장착부(430)에 설치된 자외선 조사부(420)가 모듈본체부(410) 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지지부(440)는, 장착부(430)에 결합되어 자외선 조사부(420)를 장착부(430) 내부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지지부(440)는 장착부(430)의 내주면을 덮는 마개 형태로 구비되어 장착부(43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고정지지부(440)는, 자외선 조사부(420)의 후술할 기판(421)을 내측돌기(431) 측으로 가압하여 자외선 조사부(420)를 장착부(430)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장착부(4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부(420)는, 장착부(430)에 설치되는 기판(421), 및 기판(421)에 설치되어 유로(a,b)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42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엘이디(423)는, 그 피크 파장이 200~280nm 사이에 위치하는 자외선을 유로(a,b)를 향해 조사하며, 유로(a,b) 전역에 자외선이 고루 조사될 수 있도록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자외선 중, 피크 파장이 270~280nm 사이에 위치하는 자외선, 특히 27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은 살균 효과가 뛰어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423)가 27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와 같이 구비되는 엘이디(423)의 작용에 의해 유로(a,b) 내에서 살균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효율적인 수준의 살균 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UVC 영역, 그 중에서도 250~280㎚ 정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엘이디(423)는 제1유로(a)와 제2유로(b)가 이루는 내각을 이등분한 가상의 이등분선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제1유로(a)와 제2유로(b)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그리고 제1연결배관부(411)와 제2연결배관부(415)는, 제1유로(a)와 제2유로(b)가 엘이디(423)의 자외선 조사각 범위 이내에 노출되도록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엘이디(423)의 조사각이 120°인 경우, 제1연결배관부(411)와 제2연결배관부(415)는 제1유로(a)와 제2유로(b)가 이루는 내각이 120° 이내, 좀 더 바람직하게는 90°가 되도록 연결된다.
이는, 제1유로(a)와 제2유로(b)가 엘이디(423)의 자외선 조사각 범위 이내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제1유로(a)와 제2유로(b) 상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영역이 없이 제1유로(a)와 제2유로(b) 전체에 자외선이 고루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장착부(430) 내부에는, 보호커버(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호커버(450)는, 장착부(43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관통부(413)와 자외선 조사부(420) 사이에 설치되어 유로(a,b)와 엘이디(423) 사이를 차폐한다.
이에 따르면, 엘이디(423)는 보호커버(450)를 사이에 두고 유로(a,b)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므로, 보호커버(450)가 자외선을 잘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엘이디(423)의 자외선이 유로(a,b)에 잘 전달되어 유로(a,b) 내에서의 살균 작용이 제대로 일어나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보호커버(450)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석영,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수지, 불소계 중합체 수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석영은 거의 모든 파장대의 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우수하며, 순수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은 주로 탄소와 수소로 구성되어 전자구름이 희박하기 때문에 자외선 투과율을 높게 구성할 수 있다.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의 경우 MMA 단량체의 비율을 85 중량% 이상 포함할 경우 자외선에 대한 투과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불소계 중합체 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etrafluoroethylene)과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Hexafluoropropylene)의 혼합물의 공중합에 의해 생성되는 공중합체로서, 플렉시블하면서도 자외선 투과율이 높고, 아울러 자외선 내성이 매우 강한 특성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커버(450)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불소계 중합체 수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엘이디(423)의 자외선이 보호커버(450)를 통과하여 유로(a,b)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보호커버(450)를 투명하게 구성할 경우, 점광원인 엘이디(423)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유로(a,b)에 골고루 조사되도록 함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커버(450)의 외면 또는 내면을 거칠게 조면 처리(Roughened)하여 점광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보호커버(450)를 거치면서 확산 내지 산란되도록 함으로써 면광원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보호커버(450)의 외면 또는 내면을 샌드 블라스트 가공하면 조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보호커버(450)의 재질이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일 경우에는, 보호커버(450)를 사출 성형한 후 그 외면 또는 내면을 샌드 블라스트 처리하거나, 아예 금형 자체의 외면 또는 내면의 표면에 샌드 블라스트 처리를 한 후 사출성형하여 외면 또는 내면이 조면처리된 보호커버(450)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430)의 내부에는 스페이서(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460)는, 기판(421)과 보호커버(450) 사이에 설치되어 엘이디(423)와 보호커버(45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엘이디(423)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장착부(430)의 내부에는 오링(4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오링(470)은, 내측돌기(431)와 보호커버(450) 사이에 설치되어 보호커버(450)와 모듈본체부(410)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모듈본체부(410) 내부를 흐르는 물이 장착부(430) 내부로 새어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은 내측돌기(431)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오링(470), 보호커버(450), 스페이서(460), 자외선 조사부(420) 순으로 장착부(430)의 내부를 채우며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440)는 장착부(43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면서 기판(421)을 내측돌기 측으로 가압하며, 이에 따라 자외선 조사부(420)를 포함한 각 구성들이 장착부(430)의 내부에 고정되는 한편, 오링(470)이 내측돌기(431) 및 보호커버(450)와 단단히 밀착되면서 보호커버(450)와 모듈본체부(410)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부(43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 조사부(420)는, 전선(48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조사부(420)는 기판(421)과 전선(480)의 접속을 통해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고정지지부(440)에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연장된 전선(480)을 기판(421) 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전선통과홀(44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는, 자외선 조사부(4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유로(a,b)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부(4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405)는 유로(a,b)를 형성하는 모듈본체부(410) 내주면의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 스텐리스 등의 재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405)는, 모듈본체부(410) 자체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모듈본체부(4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모듈본체부(410)의 내주면에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 있다. 그 외에도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여러 다른 물질이 모듈본체부(410)의 재질 또는 코팅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반사부(405)는, 자외선 조사부(4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모듈본체부(410) 내부에서 유로(a,b) 측으로 반사시켜 자외선이 조사되는 영역 및 시간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자외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유로(a,b)에서의 살균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500) 및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500)는, 취수코크(30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감지부(500)는, 취수코크(300)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미도시)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취수코크(300)를 통한 물의 배출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감지부(500)에 의해 감지된 취수코크(30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취수코크(300)가 폐쇄된 상태, 즉 취수코크(300)를 통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엘이디(423)의 점등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즉 엘이디(423)가 일정 시간동안 점등 후 소등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엘이디(4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감지부(500)에 의해 취수코크(300)의 개방이 감지되는 동안, 즉 취수코크(300)를 통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인 동안에는 엘이디(423)의 점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엘이디(42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물 살균장치의 물 살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는 저수조(100)와 연결된 물공급배관(200)과 취수코크(300) 사이에 설치되되, 물공급배관(200) 및 취수코크(300)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 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는, 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고, 수리, 교체 등과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는, 물공급배관(200)과 취수코크(300) 사이에 끼워 넣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저수조와 취수코크가 물공급배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기존의 정수기에도 쉽게 적용,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가 물공급배관(200)과 취수코크(300) 사이에 설치되면, 저수조(100)에 저장되어 있던 정화된 물은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의 내부, 즉 유로(a,b)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a,b)로 유입된 물은, 유로(a,b)를 통과하여 취수코크(3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엘이디(121)가 점등되면, 엘이디(121)를 통해 출사되는 살균 특성이 강한 자외선, 예를 들어 20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유로(a,b)를 향해 조사된다.
이와 같이 살균 특성이 강한 자외선이 유로(a,b)를 향해 조사됨에 따라, 유로(a,b)를 형성하는 모듈본체부(410)의 내부, 및 유로(a,b)를 통해 흐르는 물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로써, 저수조(100) 및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공급된 물에 포함되어 있던 미생물, 세균 등이 제거, 살균된 상태로 취수코크(300) 측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유로(a,b)의 절곡 위치에 엘이디(423)가 설치되어 자외선의 조사방향이 유로(a,b)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유로(a,b)를 통과하는 물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자외선에 의한 물 살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살균 과정은, 제어부(6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에 의해 그 시기와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취수코크(300)가 폐쇄되어 유로(a,b)에 물이 고여있는 상태에서는, 엘이디(423)의 점등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엘이디(423)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유로(a,b) 내부에서의 미생물, 세균의 증식이 억제될 수 있도록 간헐적인 살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취수코크(300)가 개방되어 취수코크(300)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취수코크(300)를 통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인 동안 엘이디(423)의 점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엘이디(423)의 동작이 제어됨으로써, 유로(a,b)를 통과하는 물이 배출 직전에 살균 처리된 상태로 취수코크(300)를 통해 배출되도록 살균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는, 저수조(100)로부터 물공급배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미생물,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살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수기 내부에서의 미생물, 세균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취수 직전 살균 처리된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수기 물 살균장치(400)에 따르면, 물공급배관(200)과 취수코크(300) 사이에 끼워 넣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저수조와 취수코크가 물공급배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기존의 정수기에도 쉽게 적용,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저수조
200 : 물공급배관
300 : 취수코크
310 : 입수구
400 : 정수기 물 살균장치
405 : 반사부
410 : 모듈본체부
411 : 제1연결배관부
413 : 관통부
415 : 제2연결배관부
420 : 자외선 조사부
421 : 기판
423 : 엘이디
430 : 장착부
440 : 고정지지부
441 : 전선통과홀
450 : 보호커버
460 : 스페이서
470 : 오링
480 : 전선
500 : 감지부
600 : 제어부
a : 제1유로
b : 제2유로
c : 설치공간

Claims (19)

  1. 내부에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모듈본체부;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과 상기 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본체부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장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부는,
    내부에 제1방향으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연결배관부; 및
    상기 제1유로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유로와 함께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배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는,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 간의 연결부위에는, 관통부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설치공간이 상기 관통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 간의 연결부위에 상기 모듈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이루는 내각을 이등분한 가상의 이등분선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제1연결배관부와 상기 제2연결배관부는,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상기 엘이디의 자외선 조사각 범위 이내에 노출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와 상기 엘이디 사이를 차폐하며, 자외선을 투과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석영,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수지, 불소계 중합체 수지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와 상기 보호커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보호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본체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는, 장착부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내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돌기와 상기 보호커버 사이에는, 상기 보호커버와 상기 모듈본체부 사이의 실링을 위한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기판을 상기 내측돌기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장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접속되어 상기 기판을 전원공급장치와 연결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에는, 상기 전선을 상기 기판 측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전선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는, 20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유로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형 다용도 살균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모듈본체부 내주면의 알루미늄 또는 스텐리스 재질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
  16.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저수조와 연결되는 물공급배관;
    상기 물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배수시키도록 개폐되는 취수코크; 및
    상기 물공급배관과 상기 취수코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배관을 통해 상기 취수코크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는 정수기 물 살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 물 살균장치는,
    내부에 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모듈본체부;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자외선 조사부;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외선 조사부가 설치되는 설치공간과 상기 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모듈본체부에 형성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자외선 조사부를 상기 장착부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코크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취수코크의 개방 여부에 따라 상기 정수기 물 살균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부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에서 상기 유로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점등되는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엘이디의 점등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취수코크의 개방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엘이디의 점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엘이디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150136763A 2015-09-25 2015-09-25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254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63A KR102544359B1 (ko) 2015-09-25 2015-09-25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EP23202781.3A EP4286029A3 (en) 2015-09-25 2016-08-04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ying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ying device
CN201910250620.3A CN110104723A (zh) 2015-09-25 2016-08-04 杀菌模块、净水装置及包括净水装置的系统
CN201910249085.XA CN110104722B (zh) 2015-09-25 2016-08-04 杀菌模块、净水装置及包括净水装置的系统
CN201680055677.2A CN108025095B (zh) 2015-09-25 2016-08-04 杀菌模块、净水装置及包括净水装置的系统
PCT/KR2016/008610 WO2017052067A1 (ko) 2015-09-25 2016-08-04 살균 모듈, 정수 장치 및 정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CN202111172821.XA CN113860422B (zh) 2015-09-25 2016-08-04 杀菌模块、净水装置及包括净水装置的系统
EP16848793.2A EP3354288B1 (en) 2015-09-25 2016-08-04 Sterilization apparatus
CN202111171752.0A CN113860421B (zh) 2015-09-25 2016-08-04 杀菌模块、净水装置及包括净水装置的系统
US15/936,274 US10550011B2 (en) 2015-09-25 2018-03-26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US16/780,649 US11225419B2 (en) 2015-09-25 2020-02-03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US17/575,068 US11787707B2 (en) 2015-09-25 2022-01-13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US18/479,623 US20240025771A1 (en) 2015-09-25 2023-10-02 Sterilization modul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63A KR102544359B1 (ko) 2015-09-25 2015-09-25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777A true KR20170037777A (ko) 2017-04-05
KR102544359B1 KR102544359B1 (ko) 2023-06-20

Family

ID=5858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63A KR102544359B1 (ko) 2015-09-25 2015-09-25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5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59209A (zh) * 2018-01-25 2018-05-22 四川依柯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杀菌装置及直饮水龙头设备
WO2018190667A3 (ko) * 2017-04-14 2019-01-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유체 살균 장치
WO2019009651A1 (ko) * 2017-07-07 2019-01-1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CN109179567A (zh) * 2018-10-12 2019-01-11 玉环达丰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杀菌组件及杀菌水龙头
KR20190053555A (ko) * 2017-11-10 2019-05-2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원 모듈
KR20200113344A (ko) 2019-03-25 2020-10-07 (주)씨코전자 자외선 살균처리가 용이한 수처리장치
KR20200116799A (ko) * 2019-04-02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11365134B2 (en) 2019-07-31 2022-06-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treatment system
WO2023224185A1 (ko) * 2022-05-20 2023-11-23 서경아 Uv led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37Y1 (ko) * 2005-06-01 2005-08-18 (주)청암엔지니어링 매립형 하수구의 정화장치구조
KR20120012710A (ko) * 2010-08-03 2012-02-10 김영귀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WO2014115146A1 (en) * 2013-01-24 2014-07-31 Atlantium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disinfection by light emitted from light emitting diodes
US20150129776A1 (en) * 2013-11-08 2015-05-14 Mag Aerospace Industries, Llc Point of use water treatmen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337Y1 (ko) * 2005-06-01 2005-08-18 (주)청암엔지니어링 매립형 하수구의 정화장치구조
KR20120012710A (ko) * 2010-08-03 2012-02-10 김영귀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WO2014115146A1 (en) * 2013-01-24 2014-07-31 Atlantium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disinfection by light emitted from light emitting diodes
US20150129776A1 (en) * 2013-11-08 2015-05-14 Mag Aerospace Industries, Llc Point of use water treatment device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67A3 (ko) * 2017-04-14 2019-01-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유체 살균 장치
CN110740977A (zh) * 2017-04-14 2020-01-31 首尔伟傲世有限公司 流体杀菌装置
US11565007B2 (en) 2017-07-07 2023-01-31 Seoul Viosys Co., Ltd. Sterilization module
WO2019009651A1 (ko) * 2017-07-07 2019-01-1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US11904062B2 (en) 2017-07-07 2024-02-20 Seoul Viosys Co., Ltd. Sterilization module
CN113521333A (zh) * 2017-07-07 2021-10-22 首尔伟傲世有限公司 杀菌模块
CN113521333B (zh) * 2017-07-07 2023-02-17 首尔伟傲世有限公司 杀菌模块
KR20190053555A (ko) * 2017-11-10 2019-05-20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원 모듈
CN108059209A (zh) * 2018-01-25 2018-05-22 四川依柯泰新材料科技有限公司 杀菌装置及直饮水龙头设备
CN109179567A (zh) * 2018-10-12 2019-01-11 玉环达丰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杀菌组件及杀菌水龙头
KR20200113344A (ko) 2019-03-25 2020-10-07 (주)씨코전자 자외선 살균처리가 용이한 수처리장치
KR20200116799A (ko) * 2019-04-02 2020-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11365134B2 (en) 2019-07-31 2022-06-21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treatment system
US11834353B2 (en) 2019-07-31 2023-12-0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ater treatment system
WO2023224185A1 (ko) * 2022-05-20 2023-11-23 서경아 Uv led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59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7777A (ko)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EP3354288B1 (en) Sterilization apparatus
KR20170051859A (ko) 정수기 물 살균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WO2010104096A1 (ja) 浄水器
EP3111961B1 (en) Uv disinfecting device
US10137213B2 (en) UV disinfecting system for a dental operatory
CN105209393A (zh) 杀菌净化反应器
CN105073647B (zh) 液体净化装置和方法
TW201701938A (zh) 淨水器及淨水器用濾心匣
NL1012389C1 (nl) Ultraviolette lamp en douchekop voorzien van een lamp.
KR101333746B1 (ko) 자외선 살균기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 장치
KR20180032778A (ko) 급수전
KR101811120B1 (ko) 양방향 살균시스템
CN108506546B (zh) 高密封消异味水龙头
KR20150057368A (ko) 정수기
KR20150050205A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CN210871100U (zh) 饮水机出水口杀菌装置及饮水机
WO2011103269A1 (en) Radiation delivery systems for fluid and vessel decontamination
CN113785147B (zh) 水龙头装置
ITMI951130A1 (it) Dispositivi a raggi ultravioletti per la sterilizzazione e impianto per il trattamento dell'acqua provvisto di un tale dispositivo
JP2022139795A (ja) 紫外光照射装置を設けた管継手およびそれを用いた給水装置
US20220153611A1 (en) Uv led faucet flow cell
KR20110007554U (ko) 유량 조절 콕
KR200327782Y1 (ko) 자외선 살균 소독장치
KR20120009243A (ko) 유브이램프가 구비된 정수기 필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