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484A -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484A
KR20060096484A KR1020067007561A KR20067007561A KR20060096484A KR 20060096484 A KR20060096484 A KR 20060096484A KR 1020067007561 A KR1020067007561 A KR 1020067007561A KR 20067007561 A KR20067007561 A KR 20067007561A KR 20060096484 A KR20060096484 A KR 2006009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supported
mover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모시 피. 갈란트
리차드 쿨락
헤롤드 테리
자코버스 벤자민 레게즈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to KR102006700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6484A/ko
Publication of KR2006009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66B13/18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without 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ompleting locking or unlocking of doors
    • B66B13/20Lock mechanisms actuated mechanically by abutments or projections on the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승강기 도어 이동 배치는 도어 이동기(40)와 객실 도어(26)의 하부 에지(44)에 근접하여 지지되는 인터록 장치(42)를 포함한다. 도어 이동기(40) 및 인터록 장치(42)의 전략적 위치는 문턱(sill) 부재(34,78)와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구성 요소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시킨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체 도어 이동기 조립체와 인터록은 도어(26)의 하부 에지 아래에 있는 문턱 부재(34) 아래에 위치된다.
승강기 도어 이동, 인터록 장치

Description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본 발명은 대체로 승강기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승강기 도어 작동기와 인터록의 독특한 배치에 관한 것이다.
최신 승강기 시스템은 빌딩 내의 랜딩들 사이에서 승강기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을 포함한다. 차량은 빌딩 내의 상이한 층들 사이에서 승객들이나 화물이 이송되는 객실부를 포함한다. 선택된 랜딩에 대하여 차량이 적절히 위치되는 경우 객실 내부로의 출구(egress)를 허용하기 위하여 개방되는 객실 도어가 있다. 대응되는 랜딩의 승강통로 입구에는 승강통로 도어가 또한 있다.
통상의 배치는 객실의 상부에 위치되는 도어 작동기 또는 이동기 기구를 포함한다. 객실 도어와 승강통로 입구 도어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도어 인터록은 대개 객실의 상부에 근접하여 그리고 여러 경우에는 도어 위에 또한 장착된다. 이러한 배치가 효율적이고 유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지만, 이들이 결점 및 결함이 없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배치의 하나의 결점은 객실 위의 오버헤드 간극(clearance)이 도어 작동기와 인터록 구성요소의 존재로 인해 감소된다는 것이다. 또다른 결점은 (상 부에 근접한) 인터록의 정렬 지점과 (도어의 바닥에 근접한) 문턱의 정렬 지점 사이의 거리가 승강기를 설치하는 동안에 부가적인 복잡함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차량 도어와 승강통로 입구 도어 사이의 인터록의 상호작용 지점과 문턱 사이의 거리로부터 평활한 도어 이동 스템과 인터록의 수용가능한 작동을 얻기 위해 비교적 복잡하거나 또는 성가신 정렬 및 조정이 요구된다.
적절한 도어 배치를 얻기 위해 존재하는 공차 문제를 개선시키고 설치 과정을 간소화한 개선된 배치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시도의 결점 및 결함을 피하면서 이러한 요구를 해결한다.
일상적인 용어로, 본 발명은 도어의 하부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설정된 도어 이동기와 인터록을 갖는 승강기 도어 조립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하나의 승강기 차량 조립체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프레임에 대한 안내된 이동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객실 도어가 지지된다. 도어 이동기는 도어를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도어 이동기는 프레임에 의해 도어의 하부 에지에 근접하게 지지된다. 객실 도어와 함께 대응하는 승강통로 입구 도어의 동시적인 이동을 제공하는 인터록도 또한 도어의 하부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설정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문턱 부재는 도어의 아래에 위치되고, 도어 이동기와 인터록은 문턱 아래에서 지지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문턱은, 도어의 일부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그루브를 포함한다. 도어 이동기가 객실에 접근을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바와 같이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 이동기는 도어의 연장부에 커플링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장점은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첨부되는 도면은 이하와 같이 간략하게 기술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요구된 도어 이동기 및 인터록 배치와 합체되는 승강기 차량 조립체의 선택된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2는 하나의 예시 실시예의 선택된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4는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5는 객실 도어와 승강통로 도어 사이의 상호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실시예의 승강기 통로 측 정면도이다.
도1은 객실(22)이 차량 프레임(24)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지지되는 승강기 차량 조립체(2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두 개의 객실 도어(26)는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여 객실(22)의 내부로의 선택적인 접근을 제공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레일(30)을 따라 도어(26)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예를 들어, 롤러를 포함할 수 있는 행어(32, hanger)에 의해 객실 도어(26)는 레일(30) 상에 지지된다. 문턱 부재(34)는 도어(26)의 바닥에 근접하여 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이 예시에서, 도어 이동기(40, 즉 모터, 기어 박스, 제어기, 구동 기구 등)는 인터록 장치(42)에 근접하여 지지되는데, 인터록 장치(42)는 객실 도어(26)와 승강통로 입구 도어의 동시적인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도5 및 도6). 도어 이동기(40)와 인터록(42)은 도어(26)의 하부 에지(44)에 근접하여 지지된다. 종래의 배치는 도어(26)의 상부 에지(46)에 근접하여 지지되는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가졌었다. 도어 이동기(40)와 인터록(42)을 본 실시예에 도시된 하부 위치에 위치설정시키는 것은 승강기 설치와 정렬 과정에서 현저한 장점을 제공하며 차량 조립체의 오버헤드 간극을 증가시킨다.
도어 이동기(40)는 필요한 도어 이동을 얻기 위해서 배치된 다양한 종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인터록 장치(42)는 공지된 바와 같이 승강통로 도어를 객실 도어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종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이동기(40)와 인터록 장치(42)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주어진 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특정한 도어 이동기와 인터록 구성요소가 그들의 특정한 상황에 대한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킬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도2는 도어 조립체의 선택된 부분의 측면도이다. 문턱 부재(34)는 프레임부(50)에 의해 지지된다. 본 예시의 문턱 부재(34)는 도어(26)의 연장부(54)가 관 통하여 수용되는 슬롯(52)을 포함한다. 도어 이동기(40)는 도어(26)의 연장부(54)에 적절하게 커플링되어 도어 이동기의 작동 구성요소가 도어를 개방과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도어(26)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도어(26)가 놓이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 내에서 도어 이동기(40)가 작동될 수 있도록 도어(54)의 일부는 문턱 부재(34) 내에서 슬롯(52)을 통해 연장된다.
도어 이동기(40)가 객실 도어(26)의 대응하는 것들과 관련되는 분리부(40A, 40B)를 갖는 또다른 예시 배치가 도4에 도시된다. 이러한 예시에서, 예를 들어, 기계적인 연동기(linkage) 또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는 링크 부재(60)는 도어의 바람직한 이동을 고려하기 위해 도어(26)와 도어 이동기(40) 사이에 연결을 제공한다. 다른 배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는 완전히 도어(26)의 바닥 에지 아래에 도어 이동기(40)를 갖는다. 도2 및 도3의 예시에서, 도어 이동기 구성요소(40)는 모두 문턱 부재(34) 아래에 있다. 도4의 예시에서, 도어 이동기 구성요소 중 적어도 몇 개는 문턱(34) 위에 있으나 도어(26)의 하부 에지(44)에 인접한다. 어느 한 예시에서, 객실 도어의 하부 에지에 근접하여 위치된 도어 이동기를 갖는 장점이 실현된다.
인터록 장치(42)는 이동기(40)를 논의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되지 않았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예시 인터록 배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예에서, 차량 도어(26)가 객실(22)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는 반면 승강통로 입구 개구(64)는 승강통로 입구 도어(66)에 의해 선택적으로 폐쇄된다. 선택된 랜딩(68)을 따라 차량이 적절하게 정렬된 경우에 인터록 장치(42)는 도어(26)와 도어(66)의 동시적인 이동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도어 프레임 조립체(70)는 헤더부(72)를 포함한다. 롤러(76)가 레일(74)을 따라서 도어(66)의 안내된 이동을 고려하도록, 레일(74)이 헤더부(72)의 일부로서 지지된다. 문턱 부재(78)는 승강통로 도어의 하부 에지에 근접하여 위치설정된다.
인터록 장치(42)의 도시된 예시는 객실 도어(26)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80)을 포함한다. 적어도 한 세트의 롤러(82)가 대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객실 도어(26)와 승강통로 도어(66)의 동시적인 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인(80)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배치에서, 도어 인터록 장치(42)는 객실 도어(26)의 하부 에지(44)에 근접하여 지지된다. 도1의 예시에서, 인터록 장치(42)는 도어의 하부 에지 아래에 그리고 문턱 부재(34)의 아래에 있다. 도5 및 도6의 예시에서, 인터록 장치(42)는 완전히 도어 아래에 또는 문턱 부재(34) 아래에 있지 않고 도어의 하부 에지에 근접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그들의 특정한 상황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통상의 인터록 구성요소들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이것들을 본 상세한 설명의 교시에 따라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어 이동기(40)와 인터록(42)을 도어의 하부 에지에 근접하여 위치설정시키는 것은 도어의 문턱-관련된 정렬과 이러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임의의 거리를 최소 화시킨다. 본 발명의 배치는 따라서 더 빠르고, 더 쉬우며 그리고 훨씬 정확한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성질상 제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예시적이다. 개시된 예시에 대한 변형 및 개조는 본 발명의 본질을 필수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당업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주어진 법적 보호의 범주는 이하의 청구항을 연구함에 의해 오직 결정될 수 있다.

Claims (14)

  1. 승강기 차량 조립체(10)이며,
    프레임(24)과,
    프레임(24)에 대한 안내된 이동을 위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실 도어(26)와,
    도어의 하부 에지(44)에 근접하여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도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도어 이동기(40)와,
    도어의 하부 에지(44)에 근접하여 위치설정되며, 대응되는 승강통로 입구 도어(66)를 객실 도어(26)와 함께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인터록(42)을 포함하는 승강기 차량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26) 아래에 문턱 부재(34)를 포함하며, 도어 이동기(40)와 인터록(42)이 문턱 아래에 지지되는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문턱 부재(34)는 도어(26) 아래에 위치되며, 도어(26)를 포함하는 평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문턱 부재(34)는, 도어가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도어의 하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도어의 일부(54)를 수용하는 그루 브(52)를 포함하는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도어의 일부(54)는 문턱 부재 내에서 그루브(52)를 통해 연장되고, 이동기는 연장된 도어 일부에 커플링되어 이동기가 도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도어 이동기(40)는 도어 아래에 지지되는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인터록(42)은 도어 아래에 지지되는 조립체.
  8. 승강기 차량 조립체(20)이며,
    레일(30)과 문턱(34)을 갖는 차량 프레임(24)과,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레일(30)과 문턱(34)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도어(26)와,
    차량 도어의 하부 에지(44)에 근접하여 지지되는 도어 이동기(40)와,
    승강통로에의 개구에 근접하는 고정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 문턱(78) 및 헤더(72)를 갖는 입구 도어 프레임(70)과,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도어 프레임 문턱(78)과 헤더(72)에 대한 이동을 위해 지지된 적어도 하나의 승강통로 도어(66)와,
    도어가 도어 이동기(40)에 반응하여 함께 이동하도록 차량 도어(26)를 승강 통로 도어(66)에 커플링하는 인터록(42, 80, 82)을 포함하며, 인터록(42)은 도어 이동기에 근접하여 지지되는 승강기 차량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26) 아래에 문턱 부재(34)를 포함하며, 차량 도어 이동기(40)와 인터록(42)이 문턱(34) 아래에서 지지되는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문턱 부재(34)는 차량 도어(26) 아래에 위치되며, 차량 도어를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량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는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문턱 부재(34)는, 차량 도어가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함에 따라 차량 도어의 하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차량 도어의 일부(54)를 수용하는 그루브(52)를 포함하는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일부(54)는 문턱 부재(34) 내에서 그루브(52)를 통해 연장되며, 이동기(40)는 연장된 차량 도어 일부(54)에 커플링되어 차량 도어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조립체.
  13. 제8항에 있어서, 차량 도어 이동기(40)는 차량 도어(26) 아래에 지지되는 조립체.
  14. 제8항에 있어서, 인터록(42)은 차량 도어(26) 아래에 지지되는 조립체.
KR1020067007561A 2006-04-20 2003-11-04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 KR20060096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7561A KR20060096484A (ko) 2006-04-20 2003-11-04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7561A KR20060096484A (ko) 2006-04-20 2003-11-04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484A true KR20060096484A (ko) 2006-09-11

Family

ID=3762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561A KR20060096484A (ko) 2006-04-20 2003-11-04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64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18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승강기 랜딩 도어 방폭형 인터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518B1 (ko) 2016-04-27 2016-10-13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승강기 랜딩 도어 방폭형 인터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4502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CA1054955A (en) Elevator system
US8746412B2 (en)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US20190119074A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JP201114863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US20080011556A1 (en) 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KR20060096484A (ko) 승강기 도어 작동기 및 인터록 배치
US9561936B2 (en) Elevator system door frame that supports guide rails
EP1627842B1 (en) Door device of elevator
JP5068486B2 (ja)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閉塞装置
JP46807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70940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06125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41220B1 (ko) 자동 승강설비의 도어 개폐장치
JP2007084294A (ja) エレベータのドアシステム
KR102293442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ITMI20010728A1 (it) Azionamento oleodinamico per ascensori e montacarichi con centralina bel vano corsa
WO2014122749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ドアの据付方法
WO2017141313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18663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リオープン制御システム
US11873193B1 (en) Elevator door systems with minimum running clearance
JP4475996B2 (ja) 多段速式のエレベータ出入口ドア装置
JP6301436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