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113A -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113A
KR20060096113A KR1020067009604A KR20067009604A KR20060096113A KR 20060096113 A KR20060096113 A KR 20060096113A KR 1020067009604 A KR1020067009604 A KR 1020067009604A KR 20067009604 A KR20067009604 A KR 20067009604A KR 20060096113 A KR20060096113 A KR 2006009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ge
vertical
chamf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48989B1 (en
Inventor
나오키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0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989B1/en
Publication of KR2006009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9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An elevator in which a cage lifted and lowered in an elevator shaft consists of a cage frame and a cage chamber supported by the cage frame. Beveled parts are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cage chamber. The cage frame has a vertical columns arranged along the beveled part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ELEVATOR}Elevator device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틀과 이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car having a car frame and a car compartment supported by the car frame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도 후방(後方)의 스페이스에 균형추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도 전방(前方)의 스페이스에 권상기(卷上機)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In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 car guide rail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a car and a hoistway wall. Moreover, a balance weigh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behind back of the cage guide rail in a hoistway. Moreover, the winding machin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ahead of the cage guide rail in a hoistway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특개평9-16516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165163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벽과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가 크게 되어 버린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arranging the car guide rail between the car and the hoistway wall, and the hoistway space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further reduce an elevator spac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틀과,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실의 모퉁이부에는 모따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틀은, 모따기부에 따라 배치된 세로 기둥을 가지고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ge and a cage supported on a cage, and includes a cage for lifting up and down a hoistway, and a chamfer is provided at a corner of the cage. The frame has a vertical column arranged along the chamfer.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세로 기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틀과, 엘리베이터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측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세로 기둥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elevator apparatus by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elevator frame containing a vertical column, and the cage | basket | car case supported by the elevator frame, and the cage | basket | car which raises and lowers inside a hoistway, and the recessed part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age | basket | car compartment. At least a part of the vertical column is disposed in the re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 of FIG. 1.

도 4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the elevator device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 다.7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 of FIG. 7. FIG.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의 요부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car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ge | basket | car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the cage of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r of FIG.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이 설치되어 있다(도 2에서는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은 각각 T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In the drawing, in the hoistway 1, the 1st and 2nd cage guide rails 2a and 2b and the 1st and 2nd counterweight guide rails 3a and 3b are provided (a guide rail in FIG. 2). (Not shown in 2a, 2b, 3a, 3b)). The guide rails 2a, 2b, 3a, and 3b each have a T-shaped cross section.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oppose each other.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엘리베이터 칸(4)의 제 1 대각선(4a)의 연장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The car 4 is guided to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1.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dispos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first diagonal line 4a of the car 4. The counterweight 5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3a and 3b to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로프 접속부(8a, 8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제 2 대각선(4b) 위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arrange | positioned on the 2nd diagonal line 4b of the car 4.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9)(도 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9)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 프레임(9)은, 건축에 설치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하여도 좋다.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support frame 9 (FIG. 2) is provided. The supporting frame 9 is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cage guide rails 2a and 2b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3a and 3b. In addition, you may support the support frame 9 by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building.

지지 프레임(9)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권상기)(10)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11)와, 구동 장치 본체(1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2)를 가지고 있다.The support frame 9 is supported with a drive device (winder) 1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lifting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up and down. The drive device 10 includes a drive device body 11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drive sheave 12 rotated by the drive device body 11.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12)는, 구동 장치 본체(11)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12)는, 감속 기구를 통하지 않고 구동 장치 본체(11)의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In this example, the drive sheave 12 is disposed on the drive main body 11. Moreover, the drive sheave 12 is driven directly by the motor of the drive body 11 without passing through a deceleration mechanism.

또, 구동 장치(10)는,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이 수직(대략 수직을 포함한 다)으로 연장되도록 수평(대략 수평을 포함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0)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가 사용되고 있다.Moreover, the drive apparatus 10 is arrange | positioned horizontally (it includes substantially horizontal)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sheave 12 may extend vertically (it includes approximately vertical). Moreover, as the drive apparatus 10, the thin type hoist which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n axial direction is used.

또한, 구동 장치(10)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쳐져 있다. 즉, 구동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drive device 10 has the whole or almost the whole overlapping with the car 4. That is, the drive device 10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car 4.

구동 쉬브(12)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13)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13)는, 복수 개(도 1, 도 2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1 메인 로프(14)와, 복수 개(도 1, 도 2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2 메인 로프(15)를 포함하고 있다.The main rope 13 which winds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in the hoistway 1 is wound by the drive sheave 12. As shown in FIG. The main rope 13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main ropes 14 (only one is shown in FIGS. 1 and 2) and a plurality of second main ropes 15 (only one is shown in FIGS. 1 and 2). ) Is included.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메인 로프 군(群)(13)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져 있다.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 group 13 in a 1: 1 roping system.

제 1 메인 로프(14)는, 제 1 로프 접속부(8a)에 접속된 제 1 단부(14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 2 단부(14b)를 가지고 있다. 제 2 메인 로프(15)는, 제 2 로프 접속부(8b)에 접속된 제 3 단부(15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 4 단부(15b)를 가지고 있다.The first main rope 14 has a first end 14a connected to the first rope connection part 8a and a second end 14b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5. The second main rope 15 has a third end 15a connected to the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 8b and a fourth end 15b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5.

지지 프레임(9) 위에는,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로프 접속부(8a)로 유도하는 제 1 풀리(16)와, 제 2 메인 로프(15)를 제 2 로프 접속부(8b)로 유도하는 제 2 풀리(17)와,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4, 15)를 균형추(5)로 유도하는 제 3 풀리(18)와, 구동 쉬브(12)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풀리(16)로 유도하는 전향 풀리(19)가 탑재되어 있다.On the support frame 9, the first pulley 16 for guiding the first main rope 14 to the first rope connecting portion 8a and the second main rope 15 for guiding the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 8b. The second pulley 17, the third pulley 18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4 and 15 to the counterweight 5, and the first main rope extending from the drive sheave 12 ( The turning pulley 19 which guides 14 to the 1st pulley 16 is mounted.

제 1 풀리(16)는, 제 1 로프 접속부(8a)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풀리(17)는 제 2 로프 접속부(8b)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The 1st pulley 16 is arrange | positioned immediately above the 1st rope connection part 8a. The second pulley 17 is disposed just above the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 8b.

제 1 ~ 제 3 풀리(16 ~ 18)는, 그들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수직(대략 수직을 포함한다)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전향 풀리(19)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구동 쉬브(12)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to third pulleys 16 to 18 are arranged so that their rotation axes are horizontal. The forward pulley 19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may become vertical (it includes substantially vertical). Moreover, the forward pulley 19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drive sheave 12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of FIG. 1) of the cage | basket | car 4. As shown in FIG.

구동 장치(10) 및 풀리(16 ~ 19)는, 공통의 지지 프레임(9)에 탑재되어 유니트화되어 있다.The drive apparatus 10 and the pulleys 16-19 are mounted in the common support frame 9, and are unitized.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틀(6)(도 2에서는 생략)과, 엘리베이터 칸 틀(6)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floor platform)(22)(도 3)과,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 위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7)과,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과 엘리베이터 칸 실(7)과의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방진고무(23)(도 3)를 가지고 있다.The car 4 includes a car frame 6 (not shown in FIG. 2), a car floor platform 22 (FIG. 3) supported by the car frame 6, and a car floor. It has the cage | basket | car 7 supported on the platform 22, and the some vibration-proof rubber 23 (FIG. 3) interposed between the cage | basket | floor platform platform 22 and cage | basket | car compartment 7.

엘리베이터 칸 실(7)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도시생략)가 설치된 전면(前面)(7a),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7b), 제 1 측면(7c), 제 1 측면(7c)에 대향하는 제 2 측면(7d), 엘리베이터 칸 바닥(7e) 및 천장부(7f)를 가지고 있다.The car compartment 7 opposes the front surface 7a in which the car doorway (not shown) was provided, the back surface 7b which opposes the front surface, the 1st side surface 7c, and the 1st side surface 7c. It has 2nd side surface 7d, cage bottom 7e, and ceiling part 7f.

제 1 대각선(4a)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전면(7a) 및 제 1 측면(7c) 사이의 모퉁이부와 배면(7b) 및 제 2 측면(7d) 사이의 모퉁이부를 연결하는 직선이다. 제 2 대각선(4b)은, 배면(7b) 및 제 1 측면(7c) 사이의 모퉁이부와 전면(7a) 및 제 2 측면(7d) 사이의 모퉁이부를 연결하는 직선이다.The first diagonal line 4a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7a and the first side surface 7c and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7b and the second side surface 7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second diagonal line 4b i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back surface 7b and the first side surface 7c and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7a and the second side surface 7d.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When the counterweight 5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4,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car 4 so that it may oppose the back surface 6b.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전면(7a)과 제 1 측면(7c)과의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1 모따기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배면(7b)과 제 2 측면(7d)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2 모따기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전면(7a)과 제 2 측면(7d)과의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3 모따기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배면(7b)과 제 1 측면(7c)과의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4 모따기부(21d)가 설치되어 있다.The 1st chamfer 21a is provided in the corner part between the front surface 7a of the cage | basket | car 7, and the 1st side surface 7c. The second chamfer 21b is provided in the corner part between the back surface 7b of the cage | basket | car 7 and the 2nd side surface 7d. The third chamfer 21c is provided in the corner between the front surface 7a of the cage | basket | car 7 and the 2nd side surface 7d. The 4th chamfer 21d is provided in the corner part between the back surface 7b of the cage | basket | car 7 and the 1st side surface 7c.

모따기부(21a ~ 21d)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직사각형의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모퉁이를 모따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모따기부(21a ~ 21d)는, 코너 노치(notch)부, 또는 단면 노치부라고 말할 수도 있다. 제 1 모따기부(21a)와 제 2 모따기부(21b)는, 서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이다. 제 3 모따기부(21c)와 제 4 모따기부(21d)는, 서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이다.The chamfers 21a to 21d are formed to chamfer four corners of the rectangular cage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In other words, the chamfers 21a to 21d may be referred to as corner notches or cross-sectional notches. The first chamfer 21a and the second chamfer 21b are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The 3rd chamfer 21c and the 4th chamfer 21d are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모따기부(21a ~ 21d)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모따기부(21a, 21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바닥 면적은 약간 감소하지만, 이 바닥 면적의 감소는 승객의 정원에 영향을 줄 정도의 것은 아니다.The chamfers 21a to 21d are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lifting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car 4. By providing the chamfers 21a and 21b, the floor area of the cage 7 is slightly reduced, but the reduction of the floor area is not enough to affect the passenger's capacity.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에서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메인 로프(14)는, 부분적으로 제 3 모따기부(2c)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15)는, 부분적으로 제 4 모따기부(21d)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protrude from 3rd and 4th chamfer 21c, 21d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reby, the 1st main rope 14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partially face the 3rd chamfer 2c. Moreover, the 2nd main rope 15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partially face the 4th chamfer 21d.

엘리베이터 칸 틀(6)은,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을 지지하는 수평한 하부 대들보(6a), 서로 평행 또한 수직인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6b, 6c) 및 세로 기둥(6b, 6c)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한 상부 대들보(6d)를 가지고 있다. 하부 대들보(6a)는, 세로 기둥(6b, 6c)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에 고정되어 있다.The car frame 6 includes a horizontal lower girder 6a supporting the car floor platform 22, first and second vertical columns 6b and 6c parallel and vertical to each other and vertical columns 6b and 6c. It has a horizontal upper girder 6d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ower girders 6a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pillars 6b and 6c. The first and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s 8a and 8b are fixed to the car floor platform 22.

하부 대들보(6a) 및 상부 대들보(6d)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제 1 대각선(4a)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세로 기둥(6b, 6c)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기둥(6b, 6c)은, 모따기부(21a, 21b)에 인접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세로 기둥(6b, 6c)의 배면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은, 볼트 등의 체결 도구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서 세로 기둥(6b, 6c)에 고정되어 있다.The lower girders 6a and the upper girders 6d are arranged along the first diagonal line 4a of the car 4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The vertical pillars 6b and 6c are dispos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chamfers 21a and 21b. That is,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are arranged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chamfer 21a, 21b. Moreover, the back surface of the vertical pillars 6b and 6c is joined to the 1st and 2nd chamfer 21a, 21b. Moreover, the cage | basket | car 7 is being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6b, 6c by the 1st and 2nd chamfer 21a, 21b via fastening tools, such as a bolt.

세로 기둥(6b, 6c)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각각 대향하고 있다. 세로 기둥(6b, 6c)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홈부(오목부)(6h)가 형성되어 있다. 거꾸로 말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홈부(6h)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oppose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respectively. Groove portions (concave portions) 6h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n surfaces facing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of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Conversely,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arranged toward the groove portion 6h.

제 1 세로 기둥(6b)의 홈부(6h) 내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 일(2a)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세로 기둥(6c)의 홈부(6h) 내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에 맞물리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In the groove part 6h of the 1st longitudinal column 6b, at least one part of the 1st car guide shoe 20a which engages with the 1st car guide rail 2a is arrange | positioned. At least a part of the 2nd car guide shoe 20b which engages with the 2nd car guide rail 2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groove part 6h of the 2nd vertical column 6c. In this example, the whol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are accommodated in the groove part 6h.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로서는, 예를 들면 슬라이딩 가이드 슈 또는 롤러 가이드 슈를 사용할 수 있다.As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 sliding guide shoe or a roller guide shoe can be used, for example.

도 4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기둥(6c)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는, 수직 투영면에서 배면(7b)을 연장한 직선과 제 2 측면(7d)을 연장한 직선과 제 2 모따기부(21b)의 표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세로 기둥 설치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 기둥(6b) 및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는, 수직 투영면에서 전면(7a)을 연장한 직선과 제 1 측면(7c) 을 연장한 직선과 제 1 모따기부(21a)의 표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세로 기둥 설치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 As shown in FIG. 4, the vertical column 6c and the second car guide shoe 20b are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back surface 7b and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second side surface 7d and a second chamfer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triangular area | region (vertical column installation space) which the surface of the base 21b encloses. Similarly, the vertical column 6b and the 1st cage guide shoe 20a are the straight line which extended the front surface 7a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nd the straight line which extended the 1st side surface 7c, and the 1st chamfer 21a. I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triangular area (vertical column installation space) which a surface surrounds.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th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so that 80% or more of the cross sections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part 6h of the columnar columns 6b and 6c.

또,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at least one part of cage guide rails 2a and 2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groove part 6h of the columnar columns 6b and 6c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세로 기둥(6b, 6c)은, 모따기부(21a, 21b)에 접합된 제 1 부분(6e), 제 1 부분(6e)의 양단부로부터 제 1 부분(6e)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부분(6f) 및 제 2 부분(6f)의 선단으로부터 모따기부(21a, 21)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3 부분(6g)을 가지고 있다. 제 1 ~ 제 3 부분(6e ~ 6g)은, 강철판을 절곡(切曲)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곡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전도(顚倒, toppling), 비틀림 및 구부림에 대한 세로 기둥(6b, 6c)의 강도가 높아져 있다.The vertical pillars 6b and 6c are a pair of agents extending at right angles to the first portion 6e from both ends of the first portion 6e and the first portion 6e joined to the chamfers 21a and 21b. It has a pair of 3rd part 6g extended from the front-end | tip of 2 part 6f and the 2nd part 6f to the chamfer 21a, 21 side. The first to third portions 6e to 6g are formed by bending a steel sheet. By adopting such a bending structure, the strength of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against toppling, torsion and bending is increased.

홈부(6h)는, 제 1 부분(6e)과 제 2 부분(6f)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제 1 부분(6e)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부분(6g)은,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전면(7a), 배면(7b), 제 1 측면(7c) 또는 제 2 측면(7d))과 한 면으로 되어 있다. The groove part 6h is formed of the 1st part 6e and the 2nd part 6f.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re provided in the 1st part 6e. The 3rd part 6g becomes one surface with the side surface (front surface 7a, back surface 7b, 1st side surface 7c, or 2nd side surface 7d) of the adjacent cage | basket | car 7.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24)의 적어도 일부가, 모따기부(21a, 21b)로부터 돌출하여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24)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의 맞물림부의 전체가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4 for emergency stopping the car 4 protrudes from the chamfers 21a and 21b so that the vertical column 6b,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groove part 6h of 6c). In this example, the entire engaging por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4 with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is housed in the groove portion 6h.

비상 정지 장치(24)는, 기계적인 조작력의 전달에 의해 동작하는 기계식의 것에 있어서도, 전기적인 작동 신호를 받아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전기식의 것이라도 좋다.The emergency stop device 24 may be an electric one having an actuator that operates by receiving an electric operation signal, even in a mechanical one that operates by transmission of a mechanical operation force.

비상 정지 장치(24)는, 엘리베이터 칸(4) 측에 고정된 고정부(25)와, 고정부(25)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동편(쐐기 부재)(26)을 가지고 있다. 비상 정지 장치(24)의 동작시에는, 제동편(26)이 고정부(25)의 슬라이딩 안내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편(26)이 슬라이딩 안내면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측면과의 사이에 끼어 들어가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고정부(25)와 제동편(26)과의 사이에 끼워서,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The emergency stop apparatus 24 has the fixed part 25 fixed to the cage | basket | car 4 side, and the braking piece (wedge member) 26 provided slidably in the inside of the fixed part 25. As shown in FIG. In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4, the braking piece 26 is displ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 4 along the sliding guid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5. As a result, the braking piece 26 is sandwiched between the sliding guide surfac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nd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fixed to the fixing portion 25 and the braking piece ( The car 4 is emergency-stopped between 26 and.

또, 세로 기둥(6b, 6c)의 제 3 부분(6g)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7a) 또는 배면(7b)과 제 1 측면(7c) 또는 제 2 측면(7d)에 접합하여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Moreover, as shown in FIG. 5, the 3rd part 6g of the columnar 6b, 6c is joined to the front surface 7a or back surface 7b, and the 1st side surface 7c or 2nd side surface 7d. May be fix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코너부에 설치된 모따기부(21a, 21b)에 세로 기둥(6b, 6c)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으로부터 세로 기둥(6b, 6c)이 돌출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vertical column 6b, 6c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hamfer 21a, 21b provided in the corn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7, the side surface 7c, 7d of the cage | basket | car 7 is provided. ) Vertical columns 6b and 6c do not protrude,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can be reduced,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특히, 모따기부(21a, 21b)를 설치한 것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수평 면적의 감소분보다도, 모따기부(21a, 21b)를 설치한 것에 의한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의 감소분 쪽이 크면,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ecrease i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 due to the provision of the chamfers 21a and 21b is smaller than the reduction in the horizontal area of the cage 7 due to the provision of the chamfers 21a and 21b. If large, the hoistway space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또, 엘리베이터 장치를 병설(竝設)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서의 승강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Moreover, when providing an elevator apparatus together, the distance of the cage | basket | cars of the adjacent elevator apparatus can be minimized, and the elevator track space as a whole can be reduced effectively.

또한,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 스페 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and the cage guide rails 2a and 2b are disposed in the groove portions 6h of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게다가 또, 수직 투영면에서 비상 정지 장치(24)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상 정지 장치(24)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Moreover,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4 is disposed in the groove portion 6h of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emergency stop device 24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car 4.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made small, and an elevator space can be reduced further.

또,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네 모퉁이에 모따기부(21a ~ 21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좁은 승강로(1)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가 엇갈려도, 모따기부(21a ~ 21d)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를 놓아줄 수 있어서, 엇갈릴 때의 충격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hamfers 21a-21d are provid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cage | basket | car 7, the cage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crossed in the narrow hoistway 1, but the chamfer 21a- Air can be released through the space formed by 21d), and generation of impact sound or vibration when staggered can be suppressed.

또한, 로프 접속부(8a, 8b)가 수직 투영면에서 모따기부(21c, 21d)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ope connection part 8a, 8b is provided so that it may protrude from the chamfer 21c, 21d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made smaller, The space of the hoistway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모따기부(21a ~ 21d)의 표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나, 만곡면이라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surfaces of the chamfers 21a to 21d are flat, but may be curved surfaces.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 제 4 모따기부(21a ~ 21d)를 설치하였으나,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만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로프 접속부(8a, 8b)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으로부터 약간 돌출시키도록 배치하면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first to fourth chamfers 21a to 21d are provided, but only the first and second chamfers 21a and 21b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may be arranged so as to project slightly from the side surfaces 7c and 7d of the cage 7,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틀(31)과, 엘리베이터 칸 틀(31)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7)을 가지고 있다.6 is a plan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cage 4 has a cage 31 and a cage 7 supported by the cage 31.

엘리베이터 칸 틀(31)은, 엘리베이터 칸 실(7)을 지지하는 수평한 제 1 및 제 2 하부 대들보(도시생략), 서로 평행 또한 수직인 제 1 ~ 제 4 세로 기둥(31a ~ 31d), 세로 기둥(31a, 31b)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한 제 1 상부 대들보(31e), 및 세로 기둥(31c, 31d)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한 제 2 상부 대들보(31f)를 가지고 있다. 제 1 하부 대들보는, 세로 기둥(31a, 31bc)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하부 대들보는, 세로 기둥(31c, 31d)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car frame 31 includes horizontal first and second lower girders (not shown) supporting the car compartment 7, first to fourth vertical columns 31a to 31d parallel to each other, and vertically. It has a horizontal first upper girder 31e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illars 31a and 31b, and a horizontal second upper girder 31f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pillars 31c and 31d. The first lower girders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pillars 31a and 31bc. The second lower girders are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pillars 31c and 31d.

제 1 하부 대들보 및 제 1 상부 대들보(31e)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제 1 대각선(4a)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 2 하부 대들보 및 제 2 상부 대들보(31f)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제 2 대각선(4b)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하부 대들보와 제 2 하부 대들보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하부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또, 제 1 상부 대들보(31e)와 제 2 상부 대들보(31f)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위쪽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The first lower girders and the first upper girders 31e are arranged along the first diagonal line 4a of the car 4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The 2nd lower girder and the 2nd upper girder 31f are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2nd diagonal 4b of the cage | basket | car 4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In other words, the first lower girders and the second lower girders cross each other at the lower part of the cage 7. In addition, the first upper girders 31e and the second upper girders 31f cross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cage 7.

세로 기둥(31a, 31b)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기둥(31a, 31b)은, 모따기부(21a, 21b)에 인접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세로 기둥(31a, 31b)의 배면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은,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서 세로 기둥(31a, 31b)에 고정되어 있다.The vertical columns 31a and 31b are dispos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chamfers 21a and 21b. That is, the vertical columns 31a and 31b are disposed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chamfers 21a and 21b. Moreover, the back surface of the vertical pillars 31a and 31b is joined to the 1st and 2nd chamfer 21a, 21b. Moreover, the cage | basket | car 7 is being fixed to the vertical column 31a, 31b by the 1st and 2nd chamfer 21a, 21b through fasteners, such as a bolt.

세로 기둥(31c, 31d)은,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기둥(31c, 31d)은, 모따기부(21c, 21d)에 인접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세로 기둥(31c, 31d)의 배면은,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은,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하여,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에서 세로 기둥(31c, 31d)에 고정되어 있다.The vertical pillars 31c and 31d are disposed along the third and fourth chamfers 21c and 21d. That is, the vertical columns 31c and 31d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adjacent to the chamfer 21c, 21d. Moreover, the back surface of the vertical pillars 31c and 31d is joined to the 3rd and 4th chamfer 21c, 21d. The cage 7 is fixed to the vertical columns 31c and 31d by the third and fourth chamfers 21c and 21d through fasteners such as bolts.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측면(7c, 7d)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 외측에 돌출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protrude in the width direction outer side of the cage | basket | car 4 from the 1st and 2nd side surface 7c, 7d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네 모퉁이에 세로 기둥(31a ~ 31d)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틀(3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제 1 하부 대들보와 제 2 하부 대들보가 서로 교차하고 있음과 동시에, 제 1 상부 대들보(31e)와 제 2 상부 대들보(31f)가 서로 교차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틀(31)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vertical columns 31a-31d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e strength of the cage | basket | car 31 can be rais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lower girders and the second lower girders cross each other and the first upper girders 31e and the second upper girders 31f cross each other, the strength of the cage frame 31 is further increased. It can increase.

또한, 로프 접속부(8a, 8b)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모따기부(21c, 21d)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the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can also b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protrude from the chamfer 21c and 21d similarly to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엘리 베이터 칸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천장부(7f)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것에 의해 상부 대들보가 생략되어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바닥(7e)의 강성을 높이는 것에 의해 하부 대들보가 생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천장부(7f) 및 엘리베이터 칸 바닥(7e)이 엘리베이터 칸 틀의 일부를 겸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Next, FIG. 7: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ge | basket | car of FIG. 7, and FIG. 9 is a principal sectional drawing of the elevator car of FIG. In this example, the upper girders are omitt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ceiling portion 7f of the cage 7 and the lower girders are omitt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cage floor 7e. have. In other words, the ceiling portion 7f and the car bottom 7e serve as part of the car frame.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상부 대들보 및 하부 대들보를 생략 한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1)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elevator apparatus, by omitting upper girders and lower girders,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made small, and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과 세로 기둥(6b, 6c)과의 사이에는, 제 1 ~ 제 4 보강 부재(대각 버팀대(diagonal-bracing))(32a~32d)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Nex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ge | basket | car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first to fourth reinforcing members (diagonal-bracing) 32a to 32d are provided between the car floor platform 22 and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칸 틀(6)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보강 부재(32a ~ 32d)를 설치한 것에 의해, 상부 대들보(6d)와 세로 기둥(6b, 6c)과의 사이의 교점 E, F와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의 네 모퉁이의 점 A, B, C, D가 보강 부재(32a ~ 32d)에 의해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칸 틀(6)의 강도가 높아진다. 즉,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 이외의 모든 강도 부재는, 삼각형의 강도 공간(△EAB, △EBC, △EFA, △ECF, △FCD, △FDA)을 형성하고, 점 A ~ F로 이루어지는 7면체를 구성하므로, 단순 구조임에도 불구하 고, 고강도의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FIG. 11: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the cage | basket | car 6 of FIG.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members 32a to 32d, the intersections E and F between the upper girders 6d and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and the points A and B at the four corners of the car floor platform 22. , C, D are substantially connected by the reinforcing members 32a to 32d, and the strength of the cage 6 is increased. That is, all the strength members other than the car floor platform 22 form the triangular strength spaces (ΔEAB, ΔEBC, ΔEFA, ΔECF, ΔFCD, ΔFDA), and are composed of points A to F. Since the constituent body is constructed, a high-strength structure can be configured despite the simple structure.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에는,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에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Next, FIG. 12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first and second recesses 33a and 33b are provided on side surfaces 7c and 7d of the cage 7. 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33a and 33b are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up-down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at is, 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33a and 33b are formed in groove shape.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실(6) 내에는 약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돌기는 승객의 정원에 영향을 줄 정도의 것은 아니다.By providing 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33a and 33b, som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age | basket | car 6. However, these protrusions are not enough to affect the passenger's yard.

오목부(33a, 33b) 내에는, 세로 기둥(6b, 6c)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로 기둥(6b, 6c)의 전체가 오목부(33a, 33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전체도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is disposed in the recesses 33a and 33b. In this example, the entirety of the vertical pillars 6b and 6c is housed in the recesses 33a and 33b. At least a part of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groove part 6h of the vertical pillars 6b and 6c. In this example, the whol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are accommodated in the groove part 6h. In this example, the entire cage guide rails 2a and 2b are also housed in the groove 6h.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 실(6)의 깊이 방향의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기둥(6b, 6c)도,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안길이 방향의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틀(6)의 상부 대들보(6d) 및 하부 대들보(도시생략)는,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 게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33a and 33b are provided in the same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in the depth direction. Therefore,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are also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6. As a result, the upper girders 6d and the lower girders (not shown) of the cage 6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4.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측면(6c) 및 제 2 측면(6d)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 또는 대략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protrude from the 1st side surface 6c and the 2nd side surface 6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Moreover,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is symmetrical or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age | basket | car 4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또한, 제 1 로프 접속부(8a)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로프 접속부(8b)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rope connection part 8a is arrange | positioned ahead of the 1st cage guide rail 2a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4. The 2nd rope connection part 8b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2nd cage guide rail 2b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4.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모퉁이부에 설치한 모따기부(21a, 21b)에 따라 세로 기둥(6b, 6c)을 배치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에 오목부(33a, 33b)를 설치하고, 이들 오목부(33a, 33b) 내에 세로 기둥(6b, 6c)을 배치하여도,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으로부터 세로 기둥(6b, 6c)이 돌출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In Embodiment 1, although the vertical pillars 6b and 6c were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chamfer 21a, 21b provided in the corn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7, the side surfaces 7c and 7d of the cage | basket | car 7 are provided. Even when the recesses 33a and 33b are provided in the recesses and the vertical columns 6b and 6c are disposed in the recesses 33a and 33b, the vertical columns (from the side surfaces 7c and 7d of the cage 7) 6b and 6c do not protrude,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made small, and an elevator space can be reduced further.

또한, 실시 형태 5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의 동일 위치에 오목부(33a, 33b)를 설치하였으나, 오목부(33a, 33b)를 앞뒤로 엇갈리게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Embodiment 5, although recessed part 33a, 33b was provided in the same position of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recessed part 33a and 33b may be provided alternately back and forth.

또,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모따기부가 아니고, 실시 형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오목부를 엘리베이터 칸 실의 모퉁이부에 설치하고, 이들 오목부 내에 세로 기둥을 수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chamfered portion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as shown in the fifth embodiment may be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cage and the vertical column may be accommodated in these recessed portions.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접속부(8a, 8b)를 2개소로 나누어 배치하였으나, 로프 접속부는 1개소만으로도 좋다. 또, 로프 접속부는, 예를 들면 상부 대들보에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were divided into two places and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example, only one place may be sufficient as a rope connection part. Moreover, you may provide a rope connection part to an upper girder, for example.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로핑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1: 1 roping system was shown in the said example, the roping system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elevator apparatus of a 2: 1 roping system. .

또, 균형추는, 엘리베이터 칸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한쪽 측면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옆에 배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counterweight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the balance weight may be arranged next to the car so as to face one side of the car.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 내에 배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구동 장치나 제어반이 기계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drive apparatus showed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arrange | positioned in a hoistway,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elevator apparatus provided with a drive apparatus and a control panel in a machine room.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 example, the driving device is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sheave is vertical or approximately vertical, but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sheave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so that the drive sheave is located above the drive body, but on the contrary, the drive device may be arranged so that the drive sheave is located below the drive body.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승강로 내의 하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 구동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탑재된 자주식(自走式)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but the position of the drive device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rranged below the hoistway, for example. More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self-propelled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drive apparatus is mounted i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a car.

게다가 또, 메인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로프, 또는 벨트 형상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main rope, for example, a ro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belt-shaped rope, or the like can be used.

또, 메인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강제 로프, 또는 고마찰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외층 피복체가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복 수지 로프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적은 권부각(卷付角, winding angle)으로 큰 트랙션(traction)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 피복 로프는, 단순한 강제 로후보다도 유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As the main rope, for example, a steel rope or a resin coated rope in which an outer layer covering made of a high friction resi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portion can be used. By using a coated resin rope, a large traction force can be secured with a small winding angle. In addition, the resin-coated rope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than the simple steel roll, so that the diameter of the drive sheave can be reduced.

또한,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기(구동 장치, 리턴 풀리, 전향 풀리 등)를 공통의 지지 틀에 탑재하여 유니트화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device (drive device, return pulley, turning pulley, etc.)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may be mounted in a common support frame, and may be unitized.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원 샤프트 멀티 카(one-shaft-multi-car) 방식 엘리베이터 장치나 더블 덱(double-deck) 엘리베이터 등, 여러 가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elevator apparatuses, such as a one-shaft-multi-car system elevator apparatus and a double-deck elevato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틀과 이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device in which a car having a car frame and a car compartment supported by the car frame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Claims (13)

엘리베이터 칸 틀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A car cage having a car frame and a car compartment supported by the car frame, and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의 모퉁이부에는 모따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A chamfer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cage, 상기 엘리베이터 칸 틀은, 상기 모따기부에 따라 배치된 세로 기둥을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frame has a vertical column arranged along the chamf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의 대각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모따기부를 포함하고,The chamfer portion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chamfer portion located at the diagonal of the car compartment, 상기 세로 기둥은, 상기 제 1 모따기부에 따라 배치된 제 1 세로 기둥과, 상기 제 2 모따기부에 따라 배치된 제 2 세로 기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vertical column is a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a first vertical column disposed along the first chamfer and a second vertical column disposed along the second chamf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n elevator apparatus provided in the hoistway so as to face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and further comprising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for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리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said 1st and 2nd vertical column is equipped with the 1st and 2nd cage guide shoes which engage with the said 1st and 2nd cage guide rails, The elevator apparatus.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의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 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리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Grooves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n surface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columns, and within the grooves,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s. An elevator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ge guide shoes that engage the cage guide rails are dispos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의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 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Grooves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on surface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columns, and within the grooves, the first and second elevators. An elevator devi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a cage guide rail is disposed.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맞물려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 장치를 더 구비 하고,An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to emergency stop the car;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의 상기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On th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facing the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groove portions extending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비상 정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t least a por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is disposed in the groove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엘리베이터 칸 틀은,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대각선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상부 대들보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cage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and has an upper girder arranged along the diagonal of the cage in a vertical projection plan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엘리베이터 칸 틀은,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직 투영면 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대각선에 따라 배치되어 있는 하부 대들보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cage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and has a lower girder arranged along the diagonal of the cage in a vertical projection pla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따기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의 한쪽의 대각에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모따기부와, 다른 쪽의 대각에 위치하는 제 3 및 제 4 모따기부를 포함하고,The chamfer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hamfer portions positioned at one diagonal of the cage and third and fourth chamfer portions positioned at the other diagonal, 상기 세로 기둥은, 각각 상기 제 1 ~ 제 4 모따기부에 따라 배치된 제 1 ~ 제 4 세로 기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vertical column, the elevator device including a first to a fourth vertical column disposed along the first to the fourth chamfer, respectively.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엘리베이터 칸 틀은,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상부 대들보와, 상기 제 3 및 제 4 세로 기둥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상부 대들보와 교차하는 제 2 상부 대들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car frame includes a first upper gird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and a second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pillars and intersects with the first upper girder. An elevator device comprising an upper girder.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엘리베이터 칸 틀은, 상기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하부 대들보와, 상기 제 3 및 제 4 세로 기둥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하부 대들보와 교차하는 제 2 하부 대들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The car frame includes a first lower girder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illars, and a second interposed intersecting the first lower girders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third and fourth longitudinal pillars. Elevator device comprising a lower girder. 세로 기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칸 틀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A car cage including a vertical column and a car compartment supported by the car cabinet, and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측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The recessed part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said cage | basket | car compartment, 상기 세로 기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t least one portion of the vertical column is disposed in the recess.
KR1020067009604A 2006-05-17 2004-07-12 Elevator KR1008489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604A KR100848989B1 (en) 2006-05-17 2004-07-12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09604A KR100848989B1 (en) 2006-05-17 2004-07-12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113A true KR20060096113A (en) 2006-09-06
KR100848989B1 KR100848989B1 (en) 2008-07-30

Family

ID=376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604A KR100848989B1 (en) 2006-05-17 2004-07-12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989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868A (en) * 1992-10-20 1994-05-10 Otis Elevator Co Linear motor elevator
JPH0780660A (en) * 1993-09-08 1995-03-28 Toyota Motor Corp Regenerating method for spot welding electrode tip
JPH10139327A (en) * 1996-11-08 1998-05-26 Riko Kogyo Kk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989B1 (en)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977B2 (e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car with suspending pulley devices on opposite sides of the car
JP4732344B2 (en) Elevator equipment
US20070102245A1 (en) Elevator device
KR20080058280A (en)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JP4255525B2 (en) Elevator
US20040007428A1 (en) Elevator apparatus
US7331424B2 (en) Elevator apparatus
EP1741660A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48989B1 (en) Elevator
JP4195063B2 (en) Elevator
KR100911079B1 (en) Elevator device
JPWO2005082767A1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5077806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804886B1 (en) Elevator apparatus
JP4397896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804887B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6018868A1 (en) Elevator equipment
JP2011026133A (en) Elevator device
KR100752860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7042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524363B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7039926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1122560A (en) Counterweight for elevator
CN101428724A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