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113A -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96113A KR20060096113A KR1020067009604A KR20067009604A KR20060096113A KR 20060096113 A KR20060096113 A KR 20060096113A KR 1020067009604 A KR1020067009604 A KR 1020067009604A KR 20067009604 A KR20067009604 A KR 20067009604A KR 20060096113 A KR20060096113 A KR 200600961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
- cage
- vertical
- chamfer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틀과 이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car having a car frame and a car compartment supported by the car frame moves up and down the hoistway.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도 후방(後方)의 스페이스에 균형추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도 전방(前方)의 스페이스에 권상기(卷上機)가 배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In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 car guide rail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a car and a hoistway wall. Moreover, a balance weigh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behind back of the cage guide rail in a hoistway. Moreover, the winding machin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ahead of the cage guide rail in a hoistway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특개평9-16516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165163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 벽과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가 크게 되어 버린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arranging the car guide rail between the car and the hoistway wall, and the hoistway space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further reduce an elevator spac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틀과,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실의 모퉁이부에는 모따기부가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틀은, 모따기부에 따라 배치된 세로 기둥을 가지고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ge and a cage supported on a cage, and includes a cage for lifting up and down a hoistway, and a chamfer is provided at a corner of the cage. The frame has a vertical column arranged along the chamfer.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세로 기둥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틀과, 엘리베이터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고,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측면에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세로 기둥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elevator apparatus by this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elevator frame containing a vertical column, and the cage | basket | car case supported by the elevator frame, and the cage | basket | car which raises and lowers inside a hoistway, and the recessed part is provid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age | basket | car compartment. At least a part of the vertical column is disposed in the re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 of FIG. 1.
도 4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비상 정지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the elevator device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 다.7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ar of FIG. 7. FIG.
도 9는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의 요부 단면도이다.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car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ge | basket | car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칸 틀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the cage of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Preferred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by
도에 있어서, 승강로(1) 내에는, 제 1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 제 1 및 제 2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이 설치되어 있다(도 2에서는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은 각각 T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In the drawing, in the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엘리베이터 칸(4)의 제 1 대각선(4a)의 연장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에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The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로프 접속부(8a, 8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제 2 대각선(4b) 위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9)(도 2)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9)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 프레임(9)은, 건축에 설치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하여도 좋다.On the upper part of the
지지 프레임(9)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권상기)(10)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11)와, 구동 장치 본체(1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2)를 가지고 있다.The
이 예에서는, 구동 쉬브(12)는, 구동 장치 본체(11)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12)는, 감속 기구를 통하지 않고 구동 장치 본체(11)의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In this example, the
또, 구동 장치(10)는,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이 수직(대략 수직을 포함한 다)으로 연장되도록 수평(대략 수평을 포함한다)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0)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박형(薄形) 권상기가 사용되고 있다.Moreover, the
또한, 구동 장치(10)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쳐져 있다. 즉, 구동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구동 쉬브(12)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 내에 매다는 메인 로프(13)가 감겨져 있다. 메인 로프(13)는, 복수 개(도 1, 도 2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1 메인 로프(14)와, 복수 개(도 1, 도 2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의 제 2 메인 로프(15)를 포함하고 있다.The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메인 로프 군(群)(13)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져 있다. The
제 1 메인 로프(14)는, 제 1 로프 접속부(8a)에 접속된 제 1 단부(14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 2 단부(14b)를 가지고 있다. 제 2 메인 로프(15)는, 제 2 로프 접속부(8b)에 접속된 제 3 단부(15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 4 단부(15b)를 가지고 있다.The first
지지 프레임(9) 위에는,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로프 접속부(8a)로 유도하는 제 1 풀리(16)와, 제 2 메인 로프(15)를 제 2 로프 접속부(8b)로 유도하는 제 2 풀리(17)와, 제 1 및 제 2 메인 로프(14, 15)를 균형추(5)로 유도하는 제 3 풀리(18)와, 구동 쉬브(12)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메인 로프(14)를 제 1 풀리(16)로 유도하는 전향 풀리(19)가 탑재되어 있다.On the
제 1 풀리(16)는, 제 1 로프 접속부(8a)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풀리(17)는 제 2 로프 접속부(8b)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The
제 1 ~ 제 3 풀리(16 ~ 18)는, 그들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수직(대략 수직을 포함한다)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전향 풀리(19)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구동 쉬브(12)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first to
구동 장치(10) 및 풀리(16 ~ 19)는, 공통의 지지 프레임(9)에 탑재되어 유니트화되어 있다.The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틀(6)(도 2에서는 생략)과, 엘리베이터 칸 틀(6)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floor platform)(22)(도 3)과,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 위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7)과,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과 엘리베이터 칸 실(7)과의 사이에 개재된 복수의 방진고무(23)(도 3)를 가지고 있다.The
엘리베이터 칸 실(7)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도시생략)가 설치된 전면(前面)(7a),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7b), 제 1 측면(7c), 제 1 측면(7c)에 대향하는 제 2 측면(7d), 엘리베이터 칸 바닥(7e) 및 천장부(7f)를 가지고 있다.The
제 1 대각선(4a)은,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전면(7a) 및 제 1 측면(7c) 사이의 모퉁이부와 배면(7b) 및 제 2 측면(7d) 사이의 모퉁이부를 연결하는 직선이다. 제 2 대각선(4b)은, 배면(7b) 및 제 1 측면(7c) 사이의 모퉁이부와 전면(7a) 및 제 2 측면(7d) 사이의 모퉁이부를 연결하는 직선이다.The first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When the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전면(7a)과 제 1 측면(7c)과의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1 모따기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배면(7b)과 제 2 측면(7d)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2 모따기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전면(7a)과 제 2 측면(7d)과의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3 모따기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배면(7b)과 제 1 측면(7c)과의 사이의 모퉁이부에는, 제 4 모따기부(21d)가 설치되어 있다.The
모따기부(21a ~ 21d)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직사각형의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모퉁이를 모따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모따기부(21a ~ 21d)는, 코너 노치(notch)부, 또는 단면 노치부라고 말할 수도 있다. 제 1 모따기부(21a)와 제 2 모따기부(21b)는, 서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이다. 제 3 모따기부(21c)와 제 4 모따기부(21d)는, 서로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이다.The
모따기부(21a ~ 21d)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모따기부(21a, 21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바닥 면적은 약간 감소하지만, 이 바닥 면적의 감소는 승객의 정원에 영향을 줄 정도의 것은 아니다.The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에서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메인 로프(14)는, 부분적으로 제 3 모따기부(2c)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메인 로프(15)는, 부분적으로 제 4 모따기부(21d)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엘리베이터 칸 틀(6)은,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을 지지하는 수평한 하부 대들보(6a), 서로 평행 또한 수직인 제 1 및 제 2 세로 기둥(6b, 6c) 및 세로 기둥(6b, 6c)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한 상부 대들보(6d)를 가지고 있다. 하부 대들보(6a)는, 세로 기둥(6b, 6c)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에 고정되어 있다.The
하부 대들보(6a) 및 상부 대들보(6d)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제 1 대각선(4a)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세로 기둥(6b, 6c)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기둥(6b, 6c)은, 모따기부(21a, 21b)에 인접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세로 기둥(6b, 6c)의 배면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은, 볼트 등의 체결 도구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서 세로 기둥(6b, 6c)에 고정되어 있다.The
세로 기둥(6b, 6c)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각각 대향하고 있다. 세로 기둥(6b, 6c)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대향하는 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홈부(오목부)(6h)가 형성되어 있다. 거꾸로 말하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홈부(6h)를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The
제 1 세로 기둥(6b)의 홈부(6h) 내에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 일(2a)에 맞물리는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세로 기둥(6c)의 홈부(6h) 내에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에 맞물리는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In the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로서는, 예를 들면 슬라이딩 가이드 슈 또는 롤러 가이드 슈를 사용할 수 있다.As
도 4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기둥(6c) 및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는, 수직 투영면에서 배면(7b)을 연장한 직선과 제 2 측면(7d)을 연장한 직선과 제 2 모따기부(21b)의 표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세로 기둥 설치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세로 기둥(6b) 및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는, 수직 투영면에서 전면(7a)을 연장한 직선과 제 1 측면(7c) 을 연장한 직선과 제 1 모따기부(21a)의 표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세로 기둥 설치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 As shown in FIG. 4, the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the
또,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at least one part of
세로 기둥(6b, 6c)은, 모따기부(21a, 21b)에 접합된 제 1 부분(6e), 제 1 부분(6e)의 양단부로부터 제 1 부분(6e)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부분(6f) 및 제 2 부분(6f)의 선단으로부터 모따기부(21a, 21)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3 부분(6g)을 가지고 있다. 제 1 ~ 제 3 부분(6e ~ 6g)은, 강철판을 절곡(切曲)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곡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전도(顚倒, toppling), 비틀림 및 구부림에 대한 세로 기둥(6b, 6c)의 강도가 높아져 있다.The
홈부(6h)는, 제 1 부분(6e)과 제 2 부분(6f)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제 1 부분(6e)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부분(6g)은,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전면(7a), 배면(7b), 제 1 측면(7c) 또는 제 2 측면(7d))과 한 면으로 되어 있다. The
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투영면 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정지 장치(24)의 적어도 일부가, 모따기부(21a, 21b)로부터 돌출하여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정지 장치(24)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의 맞물림부의 전체가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t least a part of the
비상 정지 장치(24)는, 기계적인 조작력의 전달에 의해 동작하는 기계식의 것에 있어서도, 전기적인 작동 신호를 받아서 동작하는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전기식의 것이라도 좋다.The
비상 정지 장치(24)는, 엘리베이터 칸(4) 측에 고정된 고정부(25)와, 고정부(25)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동편(쐐기 부재)(26)을 가지고 있다. 비상 정지 장치(24)의 동작시에는, 제동편(26)이 고정부(25)의 슬라이딩 안내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제동편(26)이 슬라이딩 안내면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측면과의 사이에 끼어 들어가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고정부(25)와 제동편(26)과의 사이에 끼워서,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The
또, 세로 기둥(6b, 6c)의 제 3 부분(6g)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7a) 또는 배면(7b)과 제 1 측면(7c) 또는 제 2 측면(7d)에 접합하여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Moreover, as shown in FIG. 5,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코너부에 설치된 모따기부(21a, 21b)에 세로 기둥(6b, 6c)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으로부터 세로 기둥(6b, 6c)이 돌출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특히, 모따기부(21a, 21b)를 설치한 것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수평 면적의 감소분보다도, 모따기부(21a, 21b)를 설치한 것에 의한 승강로(1)의 수평 단면적의 감소분 쪽이 크면,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ecrease i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또, 엘리베이터 장치를 병설(竝設)하는 경우에는, 인접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들의 거리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서의 승강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Moreover, when providing an elevator apparatus together, the distance of the cage | basket | cars of the adjacent elevator apparatus can be minimized, and the elevator track space as a whole can be reduced effectively.
또한,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 스페 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게다가 또, 수직 투영면에서 비상 정지 장치(24)의 적어도 일부가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상 정지 장치(24)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Moreover,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또,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네 모퉁이에 모따기부(21a ~ 21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좁은 승강로(1)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가 엇갈려도, 모따기부(21a ~ 21d)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를 놓아줄 수 있어서, 엇갈릴 때의 충격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또한, 로프 접속부(8a, 8b)가 수직 투영면에서 모따기부(21c, 21d)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모따기부(21a ~ 21d)의 표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나, 만곡면이라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surfaces of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제 1 ~ 제 4 모따기부(21a ~ 21d)를 설치하였으나,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만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로프 접속부(8a, 8b)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으로부터 약간 돌출시키도록 배치하면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first to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틀(31)과, 엘리베이터 칸 틀(31)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7)을 가지고 있다.6 is a plan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엘리베이터 칸 틀(31)은, 엘리베이터 칸 실(7)을 지지하는 수평한 제 1 및 제 2 하부 대들보(도시생략), 서로 평행 또한 수직인 제 1 ~ 제 4 세로 기둥(31a ~ 31d), 세로 기둥(31a, 31b)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한 제 1 상부 대들보(31e), 및 세로 기둥(31c, 31d)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된 수평한 제 2 상부 대들보(31f)를 가지고 있다. 제 1 하부 대들보는, 세로 기둥(31a, 31bc)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하부 대들보는, 세로 기둥(31c, 31d)의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The
제 1 하부 대들보 및 제 1 상부 대들보(31e)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제 1 대각선(4a)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 2 하부 대들보 및 제 2 상부 대들보(31f)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제 2 대각선(4b)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하부 대들보와 제 2 하부 대들보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하부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 또, 제 1 상부 대들보(31e)와 제 2 상부 대들보(31f)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위쪽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다.The first lower girders and the first
세로 기둥(31a, 31b)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기둥(31a, 31b)은, 모따기부(21a, 21b)에 인접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세로 기둥(31a, 31b)의 배면은,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은,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모따기부(21a, 21b)에서 세로 기둥(31a, 31b)에 고정되어 있다.The
세로 기둥(31c, 31d)은,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기둥(31c, 31d)은, 모따기부(21c, 21d)에 인접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세로 기둥(31c, 31d)의 배면은,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7)은,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하여, 제 3 및 제 4 모따기부(21c, 21d)에서 세로 기둥(31c, 31d)에 고정되어 있다.The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및 제 2 측면(7c, 7d)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 외측에 돌출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The 1st and 2n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네 모퉁이에 세로 기둥(31a ~ 31d)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틀(3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제 1 하부 대들보와 제 2 하부 대들보가 서로 교차하고 있음과 동시에, 제 1 상부 대들보(31e)와 제 2 상부 대들보(31f)가 서로 교차하고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틀(31)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또한, 로프 접속부(8a, 8b)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모따기부(21c, 21d)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over, the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엘리 베이터 칸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천장부(7f)의 강성(剛性)을 높이는 것에 의해 상부 대들보가 생략되어 있음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바닥(7e)의 강성을 높이는 것에 의해 하부 대들보가 생략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천장부(7f) 및 엘리베이터 칸 바닥(7e)이 엘리베이터 칸 틀의 일부를 겸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Next, FIG. 7: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ge | basket | car of FIG. 7, and FIG. 9 is a principal sectional drawing of the elevator car of FIG. In this example, the upper girders are omitt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상부 대들보 및 하부 대들보를 생략 한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4)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1)의 상하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n elevator apparatus, by omitting upper girders and lower girders,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cage | basket |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과 세로 기둥(6b, 6c)과의 사이에는, 제 1 ~ 제 4 보강 부재(대각 버팀대(diagonal-bracing))(32a~32d)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Next,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cage | basket | car of the elevator apparatus by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칸 틀(6)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보강 부재(32a ~ 32d)를 설치한 것에 의해, 상부 대들보(6d)와 세로 기둥(6b, 6c)과의 사이의 교점 E, F와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의 네 모퉁이의 점 A, B, C, D가 보강 부재(32a ~ 32d)에 의해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엘리베이터 칸 틀(6)의 강도가 높아진다. 즉, 엘리베이터 칸 플로어 플랫폼(22) 이외의 모든 강도 부재는, 삼각형의 강도 공간(△EAB, △EBC, △EFA, △ECF, △FCD, △FDA)을 형성하고, 점 A ~ F로 이루어지는 7면체를 구성하므로, 단순 구조임에도 불구하 고, 고강도의 구조체를 구성할 수 있다.FIG. 11: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s typically the structure of the cage | basket |
실시 형태 5.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에는,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에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Next, FIG. 12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실(6) 내에는 약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돌기는 승객의 정원에 영향을 줄 정도의 것은 아니다.By providing the 1st and 2nd recessed
오목부(33a, 33b) 내에는, 세로 기둥(6b, 6c)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세로 기둥(6b, 6c)의 전체가 오목부(33a, 33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세로 기둥(6b, 6c)의 홈부(6h)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전체도 홈부(6h) 내에 수용되어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제 1 및 제 2 오목부(33a, 33b)는, 엘리베이터 칸 실(6)의 깊이 방향의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 기둥(6b, 6c)도,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안길이 방향의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틀(6)의 상부 대들보(6d) 및 하부 대들보(도시생략)는,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 게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recessed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제 1 측면(6c) 및 제 2 측면(6d)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또, 제 1 및 제 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중심에 대하여 대칭 또는 대략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The 1st and 2nd
또한, 제 1 로프 접속부(8a)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 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로프 접속부(8b)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 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7)의 모퉁이부에 설치한 모따기부(21a, 21b)에 따라 세로 기둥(6b, 6c)을 배치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에 오목부(33a, 33b)를 설치하고, 이들 오목부(33a, 33b) 내에 세로 기둥(6b, 6c)을 배치하여도, 엘리베이터 칸 실(7)의 측면(7c, 7d)으로부터 세로 기둥(6b, 6c)이 돌출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In
또한, 실시 형태 5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의 동일 위치에 오목부(33a, 33b)를 설치하였으나, 오목부(33a, 33b)를 앞뒤로 엇갈리게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또, 실시 형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모따기부가 아니고, 실시 형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오목부를 엘리베이터 칸 실의 모퉁이부에 설치하고, 이들 오목부 내에 세로 기둥을 수용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stead of the chamfered portion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oncave portion as shown in the fifth embodiment may be provided at the corner of the cage and the vertical column may be accommodated in these recessed portions.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접속부(8a, 8b)를 2개소로 나누어 배치하였으나, 로프 접속부는 1개소만으로도 좋다. 또, 로프 접속부는, 예를 들면 상부 대들보에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로핑 방식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1: 1 roping system was shown in the said example, the roping system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elevator apparatus of a 2: 1 roping system. .
또, 균형추는, 엘리베이터 칸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한쪽 측면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의 옆에 배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when the counterweight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the balance weight may be arranged next to the car so as to face one side of the car.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 내에 배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구동 장치나 제어반이 기계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drive apparatus showed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arrange | positioned in a hoistway,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elevator apparatus provided with a drive apparatus and a control panel in a machine room.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Further, in the above example, the driving device is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sheave is vertical or approximately vertical, but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sheave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xample,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so that the drive sheave is located above the drive body, but on the contrary, the drive device may be arranged so that the drive sheave is located below the drive body.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승강로 내의 하부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 구동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탑재된 자주식(自走式)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but the position of the drive device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rranged below the hoistway, for example. More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self-propelled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drive apparatus is mounted i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a car.
게다가 또, 메인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가지는 로프, 또는 벨트 형상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main rope, for example, a ro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belt-shaped rope, or the like can be used.
또, 메인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강제 로프, 또는 고마찰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외층 피복체가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복 수지 로프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적은 권부각(卷付角, winding angle)으로 큰 트랙션(traction)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 피복 로프는, 단순한 강제 로후보다도 유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As the main rope, for example, a steel rope or a resin coated rope in which an outer layer covering made of a high friction resi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portion can be used. By using a coated resin rope, a large traction force can be secured with a small winding angle. In addition, the resin-coated rope can increase the flexibility than the simple steel roll, so that the diameter of the drive sheave can be reduced.
또한,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기(구동 장치, 리턴 풀리, 전향 풀리 등)를 공통의 지지 틀에 탑재하여 유니트화 하여도 좋다.In addition, the device (drive device, return pulley, turning pulley, etc.)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게다가 또, 본 발명은, 원 샤프트 멀티 카(one-shaft-multi-car) 방식 엘리베이터 장치나 더블 덱(double-deck) 엘리베이터 등, 여러 가지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to various elevator apparatuses, such as a one-shaft-multi-car system elevator apparatus and a double-deck elevato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틀과 이 엘리베이터 칸 틀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device in which a car having a car frame and a car compartment supported by the car frame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hoistway.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09604A KR100848989B1 (en) | 2006-05-17 | 2004-07-12 |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09604A KR100848989B1 (en) | 2006-05-17 | 2004-07-12 |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6113A true KR20060096113A (en) | 2006-09-06 |
KR100848989B1 KR100848989B1 (en) | 2008-07-30 |
Family
ID=376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09604A KR100848989B1 (en) | 2006-05-17 | 2004-07-12 |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8989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27868A (en) * | 1992-10-20 | 1994-05-10 | Otis Elevator Co | Linear motor elevator |
JPH0780660A (en) * | 1993-09-08 | 1995-03-28 | Toyota Motor Corp | Regenerating method for spot welding electrode tip |
JPH10139327A (en) * | 1996-11-08 | 1998-05-26 | Riko Kogyo Kk | Elevator |
-
2004
- 2004-07-12 KR KR1020067009604A patent/KR10084898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8989B1 (en) | 2008-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7977B2 (en) |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car with suspending pulley devices on opposite sides of the car | |
JP4732344B2 (en) | Elevator equipment | |
US20070102245A1 (en) | Elevator device | |
KR20080058280A (en) | Lift with two lift cages disposed one above the other in a shaft | |
JP4255525B2 (en) | Elevator | |
US20040007428A1 (en) | Elevator apparatus | |
US7331424B2 (en) | Elevator apparatus | |
EP1741660A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848989B1 (en) | Elevator | |
JP4195063B2 (en) | Elevator | |
KR100911079B1 (en) | Elevator device | |
JPWO2005082767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WO2005077806A1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804886B1 (en) | Elevator apparatus | |
JP4397896B2 (en) | Elevator equipment | |
KR100804887B1 (en) | Elevator apparatus | |
JPWO2006018868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11026133A (en) | Elevator device | |
KR100752860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470427B1 (en) | Elevator apparatus | |
KR100524363B1 (en) | Elevator apparatus | |
JPWO2007039926A1 (en) | Elevator equipment | |
JP2001122560A (en) | Counterweight for elevator | |
CN101428724A (en) | Elevator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