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907A -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907A
KR20060094907A KR1020060018054A KR20060018054A KR20060094907A KR 20060094907 A KR20060094907 A KR 20060094907A KR 1020060018054 A KR1020060018054 A KR 1020060018054A KR 20060018054 A KR20060018054 A KR 20060018054A KR 20060094907 A KR20060094907 A KR 2006009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karaoke
lyrics
tempo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886B1 (ko
Inventor
가즈히로 이와시따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이용자가 어디로 이동해도, 이용자의 가까이에 가라오케 곡의 연주에 동기한 가사를 표시할 수 있는 무선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가라오케 곡의 리퀘스트 등을 행하는 무선 단말 장치를 LCD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가라오케 장치와 무선 LAN 경유로 통신하는 장치로서 구성한다. 가라오케 곡의 연주 시에,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악곡 데이터 중의 가사 트랙의 데이터를 추출한 가사 데이터, 및, 포지션 데이터, 템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한 가사 표시의 시퀀스를 독자적으로 실행하여, LCD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가라오케, 포지션 데이터, 템포 데이터, 가사 텔롭, 무선 단말 장치

Description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WIRELESS TERMINAL AND KARAOKE SYSTEM}
도 1은 가라오케 점포의 기기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각 개실에 설치되는 가라오케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악곡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악곡 데이터의 가사 트랙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무선 단말 장치의 외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 단말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베어링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무선 단말 장치에 의한 선곡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가라오케 장치(7)의 곡 연주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곡 연주 및 가사 표시의 시퀀스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무선 단말 장치의 가사 표시 모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가사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 장치와 가라오케 장치의 통신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LAN
7 : 가라오케 장치
8 : 무선 액세스 포인트
9 : 무선 단말 장치
[특허 문헌1] 일본 특개 2000-293183호 공보
본 발명은, 가라오케 연주 시에 모니터에 표시되는 가사 텔롭을 이용자의 가까에서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라오케 장치에서는, 가라오케 연주와 동기하여 모니터에 가사 텔롭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특허 문헌1을 참조).
또한, 메인 모니터 이외에도 서브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가까이에서 가사 텔롭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서브 모니터이더라도,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서브 모니터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는 이용자의 가까이에서 가사를 표시시키는 것은 할 수 없었다. 또한, 이용자가 가라오케 박스의 실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가사의 표시기를 갖고 이동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어디에 있더라도, 또한, 이용자가 이동해도, 이용자의 가까이에서, 가라오케 곡의 연주에 동기한 가사를 표시할 수 있는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 장치는,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는 가라오케 장치와 무선 LAN을 통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가라오케 곡의 가사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스타트 포지션 데이터, 템포 제어 데이터를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타트 포지션이 지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템포 제어 데이터가 지시하는 템포로 상기 가사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한 가사 텔롭을 발생하고, 이 가사 텔롭을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상기 가라오케 곡의 가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새로운 템포 제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상기 가사 데이터를 판독하는 템포를 이 새로운 템포 제어 데이터가 지시하는 템포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이,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액세스하고, 그 때의 연주 포지션을 수신하고, 이 수신한 연주 포지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사 데이터의 판독 포지션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가사 텔롭의 배경 영상으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라오케 시스템은, 서로 무선으로 통신하는 가라오케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를 갖는 가라오케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라오케 장치는, 악음을 발생하기 위한 악음 데이터 및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지정된 템포로 악음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라오케 곡의 악음을 발생함과 함께, 상기 지정된 템포로 가사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사 텔롭을 표시하는 연주 수단과, 악곡 데이터로부터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가사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 송신함과 함께, 연주 스타트 시에 스타트 포지션 및 템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스타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템포가 변경될 때마다 템포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가라오케 곡의 가사 데이터, 스타트 포지션, 템포 제어 데이터를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제어 수단과, 상기 스타트 포지션이 지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템포 제어 데이터가 지시하는 템포로 상기 가사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한 가사 텔롭을 발생하고, 이 가사 텔롭을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제어 수단이,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액세스하고, 그 때의 연주 포지션을 수신하고, 이 수신한 연주 포지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사 데이터의 판독 포지션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가라오케 점포의 기기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가라오케 점포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가라오케 장치 및 무선 단말 장치가 복수대 설치되어 있다. 가라오케 점포(3)에는, 점포 내의 (유선) LAN(5)을 통하여 라우터(4), 관리 장치(6), 복수대의 가라오케 장치(7), 복수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8)가 접속되어 있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8)를 통한 무선 통신에 의해서 무선 단말기(9)가 LAN(5)에 접속되어 있다.
라우터(4) 및 관리 장치(6)는, 가라오케 점포의 관리실 내에 설치된다. 복수대의 가라오케 장치(7)는, 각각 개실(가라오케 박스)에 1대씩 설치된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9)는, 각 개실에 1대 내지 복수대가 설치된다.
무선 단말 장치(9)는, 유저가 가라오케 곡을 리퀘스트하기 위한 리퀘스트 기능, 유저가 가라오케 곡의 일부를 간이하게 시청하기 위한 시청 기능, 가라오케 장치(7)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 중에 그 가라오케 곡의 가사를 표시하는 가사 표시 기능, 유저의 ID 카드를 판독하여 그 유저를 서버에 로그인시키는 로그인 기능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각 개실에 설치된 무선 단말 장치(9)는, 후술하는 페어링 조작에 의해, 그 개실에 설치되어 있는 가라오케 장치(7)와 대응지어진다. 무선 단말 장치(9)와 가라오케 장치(7)가 대응지어지면, 유저가 그 무선 단말 장치(9)를 조작하여 행한 리퀘스트는, LAN 경유로 대응지어진 가라오케 장치(7)에 송신된다. 대응지어진 가라 오케 장치는, 수신한 리퀘스트의 가라오케 곡을 연주한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9)가 가사 표시를 온으로 설정하고 있으면, 가라오케 장치(7)는, 가라오케 곡을 연주할 때, 그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기 위한 악곡 데이터로부터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단말 장치(9)에 송신한다. 무선 단말 장치(9)는, 이 가사 데이터를 가라오케 장치(7)에 의한 가라오케 곡 연주와 동기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한편, 라우터(4)는, 인터넷(2)을 통하여 센터(1)와 접속되어 있다. 센터(1)는, 악곡 데이터, 고객 데이터 등을 축적 기억하고 있다. 각 가라오케 장치(7) 및 무선 단말기(9)는, LAN(5), 라우터(4) 및 인터넷(2)을 통하여 센터(1)에 액세스하여, 악곡 데이터의 다운로드나 고객 데이터의 다운로드(고객의 로그인) 등의 통신을 행한다.
관리 장치(6)는, 이 가라오케 점포(3)의 담당자가 조작하는 단말 장치이며, 각 가라오케 장치(7)(개실)의 이용 시간의 관리나, 무선 단말 장치(9) 등을 이용한 음식물이나 티켓 등의 주문을 접수한다.
도 2는 각 개실에 설치되는 가라오케 장치(7)의 블록도이다. 가라오케 장치(7)는,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10)와, 이 CPU(10)에 접속된 각종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CPU(10)에는, 하드디스크(11), RAM(12), 음원(13), 믹서(이펙터)(14), MPEG 디코더(20), 합성 회로(21), 조작부(23), LAN 인터페이스(24), 적외선 통신부(25) 등이 접속되어 있다.
하드디스크(11)는,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기 위한 악곡 데이터나 모니터(22) 에 배경 영상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는 동화상, 정지 화상의 양방을 기억하고 있다. RAM(12)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판독하는 에리어나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기 위해 악곡 데이터를 판독하는 에리어(42) 등이 설정된다.
CPU(10)는, 하드디스크(1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시퀀서(30), 배경 영상 재생 처리(33), 무선 단말기 제어 처리(34) 및 조작 입력 처리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시퀀서(30)는, 곡 시퀀서(31), 가사 시퀀서(32)로 이루어져 있다.
곡 시퀀서(31)는, HDD(11)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라오케 곡의 연주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악곡 데이터는 도 3에 도시하는 것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곡 시퀀서(31)는, 이 중의 악음 트랙이나 가이드 멜로디 트랙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음원(13)을 제어하여, 가라오케 곡의 악음을 발생한다. 또한, 가사 시퀀서(32)는, 가라오케 곡의 악곡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니터(22)에 가사 텔롭을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가사 시퀀서(32)는, 도 3에 도시하는 악곡 데이터 중, 도 4에 도시하는 가사 트랙에 기초하여 곡의 진행에 동기하여 가사의 문자 패턴을 합성하고, 이 문자 패턴을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합성 회로(21)에 입력한다.
음원(13)은, 곡 시퀀서(31)의 처리에 의해서 CPU(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악음 트랙이나 가이드 멜로디 트랙의 노트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서 악음 신호를 형성한다. 형성한 악음 신호는 믹서(14)에 입력된다. 믹서(14)는, 음원(13)이 발 생한 복수의 악음 신호, 및, 마이크(17)-A/D 컨버터(18)를 통하여 입력된 가창자의 가창 음성 신호에 대하여 에코 등의 효과를 부여함과 함께, 이들 신호를 적당한 밸런스로 믹싱한다. 믹싱된 디지털의 음성 신호는 사운드 시스템(15)에 입력된다. 사운드 시스템(15)은 D/A 컨버터 및 파워앰프를 구비하고 있고,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여, 스피커(16)로부터 방음한다. 믹서(14)가 각 음성 신호에 부여하는 효과 및 믹싱의 밸런스는 CPU(10)에 의해서 제어된다.
배경 영상 재생 처리(33)는, 상기 시퀀서(30)에 의한 악음의 발생, 가사 텔롭의 생성과 동기하여, HDD(11)에 기억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41)를 판독하여 배경 영상을 재생한다. 동화상의 영상 데이터는, MPEG2 형식으로 인코드되어 있다. 배경 영상 재생 처리(33)는, 판독한 동화상의 영상 데이터를 MPEG 디코더(20)에 입력한다. MPEG 디코더(20)는, 입력된 MPEG 데이터를 NTSC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합성 회로(21)에 입력한다. 합성 회로(21)에는, 배경 영상의 영상 신호 이외에 상기 가사 텔롭의 문자 패턴 등이 입력된다. 합성 회로(21)는, 배경 영상의 영상 신호의 상에 가사 텔롭 등의 OSD를 합성하여 모니터 디스플레이(22)에 출력한다. 모니터 디스플레이(22)는, 합성 회로(21)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조작부(23)는, 조작 패널면에 설치된 각종의 키 스위치 및 이 키 스위치의 조작을 검출하는 패널 스위치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또한, LAN 인터페이스(24)는, LAN(5)을 통한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가라오케 장치는, LAN(5)을 통하여 센터(1), 관리 장치(6) 및 페어링된 무선 단말 장치(9)와 통신한다.
또한, 적외선 통신부(25)는, 페어링 처리에서, 무선 단말 장치(9)로부터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이다. 페어링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가라오케 장치(7)의 조작 패널면에는, 곡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곡의 템포를 변경하기 위한 템포 컨트롤 스위치, 곡을 앞으로 감기, 되감기하기 위한 앞으로 감기 스위치, 되감기 스위치, 및, 곡을 이조하기 위한 키 컨트롤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9)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LCD 디스플레이(50)(도 5, 도 6 참조)를 갖고 있고, 이 LCD 디스플레이(50)에 곡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나 곡명으로부터 곡 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화면(50음 키를 포함한다) 등이 표시된다. 또한, 곡의 연주 전 및 연주 중에는, 곡의 템포를 변경하기 위한 템포 컨트롤 스위치, 곡을 앞으로 감기, 되감기하기 위한 앞으로 감기 스위치, 되감기 스위치, 및, 곡을 이조하기 위한 키 컨트롤 스위치 등이 표시된다.
조작부(23)는, 패널 스위치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CPU(10)에 출력한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9)는, LCD 디스플레이(50)에 표시하고 있는 키 스위치의 조작을 터치 패널로 검출하고, 이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를 LAN(5) 경유로 대응하는(페어링된) 가라오케 장치(7)에 송신한다. LAN 인터페이스(24)는, 무선 단말 장치(9)로부터 수신한 조작 신호를 CPU(10)에 입력한다.
CPU(10)는, 조작부(23) 또는 LAN 인터페이스(24)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패널 스위치나 무선 단말 장치(9)로부터 리퀘스트의 곡 번호가 입력되면, 이 곡 번호가 시퀀서(30)에 입력되어, 각 프로그램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시퀀서(30)는, 이것에 따라서, 이 곡 번호로 식별되는 가라오케 곡의 곡 데이터를 하드디스크(11)의 곡 데이터 기억 에리어(40)로부터 판독한다. 곡 시퀀서(31)는 곡 데이터 중의 연주 데이터 트랙, 가이드 멜로디 트랙 등의 트랙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데이터로 음원(13)을 제어함으로써 가라오케 곡의 연주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가사 시퀀서(32)는, 곡 데이터 중의 가사 트랙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사 텔롭의 화상 패턴을 작성하여 합성 회로(21)에 출력한다. 또한, 배경 영상 재생 처리(33)는, 시퀀서(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MPEG 디코더(20)에 입력한다.
또한, 패널 스위치나 무선 단말 장치(9)로부터 템포 컨트롤 신호나 앞으로 감기, 되감기의 신호가 입력되면, 이 곡 번호가 시퀀서(30)에 입력되어, 연주의 템포나 가사 표시의 진행이 이 신호의 내용에 따라서 설정 변경된다.
도 3, 도 4는, 하드디스크(11)에 기억되어 있는 악곡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악곡 데이터는,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더,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기 위한 악음 트랙, 가이드 멜로디를 발생하기 위한 가이드 멜로디 트랙, 가사 텔롭을 표시하기 위한 가사 트랙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트랙은, MIDI 포맷에 따라서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악음 트랙이나 가이드 멜로디 트랙은,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 온 이벤트 데이터, 노트 오프 이벤트 데이터 등의 이벤트 데이터와 각 이벤트 데이터의 판독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 노트 온 이벤트 데이터는 음고 데이터를 포함하고, 이 노트 온에 의해서 발생하는 악음의 음고나 음량을 지정한다. 이 악음은, 대응하는 노트 오프 이벤트 데이터가 판독될 때까지 계속한다.
타이밍 데이터는, 각 이벤트 데이터 사이의 시간적 간격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데이터나 곡의 스타트 시각으로부터의 절대 시간을 나타내는 절대 시간 데이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악음 트랙, 가이드 멜로디 트랙의 이벤트 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악음의 음고, 음량, 온/오프 등을 나타내는 노트 이벤트 데이터 등으로 구성되고, 이 노트 이벤트 데이터를 음원(13)에 입력함으로써, 음원(13)은 이 이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악음을 발음하거나 소음하거나 한다. 악음 트랙은, 다수의 악기의 악음을 발생하기 위해 복수 트랙(파트)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 멜로디 트랙은, 가창선율을 가이드하기 위한 단선율의 MIDI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가사 트랙은, 가라오케 곡의 곡명이나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구현한 시퀀스 데이터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독되는 페이지 단락 데이터 및 가사 표시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페이지 단락 데이터는, 행 단위로 모니터(22)에 표시되는 가사를 동시에 표시되는 것(2∼4 행)마다 구획하는 데이터이며, 가라오케 곡의 음악적인 프레이즈에 대응하고 있다. 가사 표시 데이터는 1 행 분의 가사 표시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내포하고 있어, 표시 온 타이밍, 표시 오프 타이밍, 문자열 데이터(표시 포인트 수, 표시 좌표, 문자간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색1 데이터, 색2 데이터, 스크롤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사의 표시 양태는 이하와 같다. 우선, 1 행 분의 가사를 색1로 표시하고, 잠시 동안(곡이 이 가사의 개소까지 진행하여 올 때까지의 동안) 그대로의 색으로 정지하고 있다(ton). 이 후, 곡의 진행에 맞춰 표시색이 스크롤하여 가서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색1로부터 색2로 색바꾸기를 하여 간다. 마지막으로 잠시 동안 색2으로 표시한(te) 후에 소거한다.
스크롤 데이터는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롤의(시간-x 좌표) 곡선의 주요한 점을 나타내는 복수의 플로팅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시퀀서(30)는 이 플로팅 데이터를 2차 곡선으로 보간하여 색바꿈(스크롤)을 패턴 전개부에 지시한다.
도 5는, 상기 무선 단말 장치(9)의 외관도이다. 이 무선 단말 장치(9)는, 가라오케 곡의 예약이나 곡의 템포·키를 컨트롤하는 기능을 구비한 소위 리모콘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 가라오케 곡의 시청 기능, 고객의 로그인 기능, 각종 과금 청산 기능, 카메라에 의한 촬영 기능, 가사 표시 기능 등 여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 단말 장치(9)는, 가라오케 점포에서는, 무선 LAN 단말기로서 기능하는데, 후술하는 페어링 처리를 함으로써, 페어링으로 대응지어진 가라오케 장치하고만 통신한다.
무선 단말 장치(9)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오각형(홈 베이스 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고, 중앙부에 LCD 디스플레이(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LCD 디스플레이(50)의 하방 중앙에 카드 리더부(52), 그 좌우에 스테레오 스피커(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LCD 디스플레이(50)의 상단부에는, 카메라(53), 스트로브 플래시(54)가 설치되어 있다.
LCD 디스플레이(50)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고 있다. 동작 모드에 따라서 LCD 디스플레이(50)에는, 각종의 터치 키가 표시되어, 이용자에 의한 터치 키의 조작을 터치 패널 스위치(69)(도 6 참조)가 검출한다. 표시되는 터치 키에는, 곡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텐키 스위치, 곡명을 입력하기 위한 50음 키보드, 퍼스널 컴퓨터 배열의 키보드 등이 있고, 동작 모드에 대응한 것이 표시된다.
또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 중에는, LCD 디스플레이(50)에 가라오케 곡의 가사 텔롭이, 가라오케 장치(7)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하여 표시된다.
카드 리더(52)에는, 고객의 ID 카드가 세트된다. ID 카드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IC 카드이다. 카드 리더부(52)의 내부에는,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65)(도 6 참조)의 안테나가 매립되어 있다. 고객의 ID 카드가 카드 리더부(52)에 세트되면,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65)가 무선 통신으로 ID 카드와 통신하여, 이 ID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고객 ID를 판독한다. 무선 단말 장치(9)는, 판독한 ID를 LAN(5)-(페어링되어 있는 가라오케 장치(7))-라우터(4)-인터넷(2)을 통하여 센터(1)에 송신한다. 센터(1)는, 무선 단말 장치(9) 또는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고객 ID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고객의 이용 이력을 갱신함과 함께, 해당 무선 단말 장치(9) 또는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이 고객의 고객 정보를 송신한다. 무선 단말 장치(9) 또는 가라오케 장치(7)는, 센터(1)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예를 들면, 가라오케 곡의 스타트 시에 고객의 이름을 표시하는 등의 고객 개별 대응을 행한다.
또한, 이 무선 단말 장치(9)는 간략한 음원을 내장하고 있어, 악곡 데이터의 일부를 재생하여 가라오케 곡의 시청 연주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시청 연주된 악음이 스테레오 스피커(51)로부터 출력된다.
도 6은, 무선 단말 장치(9)의 블록도이다. 무선 단말 장치(9)를 제어하는 CPU(60)에는, 내부 버스를 통하여 ROM(61), RAM(62), 음원(63),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65), 무선 LAN 인터페이스(66), 주변 기기 컨트롤러(68)가 접속되어 있다.
ROM(61)에는, 이 무선 단말 장치(9)의 동작을 제어하는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ROM(61)은,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고,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속되는 외부 장치에 의해서 프로그램의 재기입이 행해진다. RAM(62)에는, 고객 정보 등의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후술하는 가사 표시 모드의 경우에는,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LAN(5)을 통하여 보내져오는 가라오케 곡의 가사 데이터를 기억한다.
음원(63)은, 가라오케 장치(7)에 내장되어 있는 것보다는 간략한 것이지만, 가라오케 곡의 악곡 데이터(악음 트랙, 가이드 멜로디 트랙)에 기초하여 악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음원(63)은, 시청 모드 시에 이용된다. 시청 모드에서는, 유저에 의해서 선택된 가라오케 곡의 악곡 데이터의 일부(악음 트랙, 가이드 멜로디 트랙의 일부)를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다운로드하고, 이 악곡 데이터의 일부를 음원(63)으로 재생한다. 음원(63)에는 앰프(64)가 접속되어 있다. 앰프(64)는, 음원(63)이 생성한 시청용의 악음을 증폭하여 스테레오 스피커(51)에 출력한다.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65)는, 카드 리더부(52)에 세트된 비접촉 매체인 ID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이 비접촉 카드 인터페이스(65)는, 전자파로 비접촉 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 및 무선으로 비접촉 카드와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66)는, 안테나(67)를 내장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8)를 통하여 이 무선 단말 장치(9)를 LAN(5)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주변 기기 컨트롤러(68)에는, 상기 LCD 디스플레이(50), 터치 패널(69), 카메라(53), 스트로브 플래시(54) 외에, 적외선 리모콘 신호를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송신하는 적외선 리모콘 송신부(70), 다른 장치와 적외선 통신을 하기 위한 IrDA(71), USB 인터페이스(72) 등이 접속되어 있다.
적외선 리모콘 송신부(70)는, 후술하는 페어링 처리 시에 이용된다. USB 인터페이스(72)는, 이 장치에 퍼스널 컴퓨터 등의 메인터넌스 장치를 접속하여 ROM(플래시 메모리)(6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펌웨어)을 재기입할 때에 사용된다.
도 7∼도 12는, 가라오케 장치 본체 및 무선 단말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의 (A)는, 페어링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페어링이란, 상호 LAN(5)에 접속되는 복수대의 가라오케 장치(7)와 복수대의 무선 단말 장치(9)를, 각각 개별로 대응짓는 동작이다. 단, 1대의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복수대의 무선 단말 장치(9)가 페어링 처리를 행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1대의 가라오케 장치에 대하여 복수대의 무선 단말 장치(9)가 대응지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1대의 가라오케 장치(7)와 1대의 무선 단말 장치(9)와의 상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겠지만, 1대의 가라오케 장치(7)에 복수대의 무선 단말 장치(9)가 대응지어지는 경우에는 이하의 동작이 각 무선 단말 장치(9)마다 실행된다.
페어링 처리는, 무선 단말 장치(9)를 개실에 가지고 들어가, 그 개실에 설치되어 있는 가라오케 장치(7)의 자기기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담당자에 의해서 행해진다.
담당자가 무선 단말 장치를 개실에 가지고 들어가서, 무선 단말 장치(9)의 적외선 리모콘 신호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자기의 단말기 ID를 가라오케 장치 본체에 송신한다(S1). 단말기 ID는, 무선 단말 장치(9)의 ROM(플래시 메모리)(62)에 기억되어 있다. 가라오케 장치(7)는, 적외선 통신부(25)로 이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S10), 이 단말기 ID를 갖는 무선 단말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이 단말기 ID의 장치를 검색하는 취지의 단말기 검색 메시지를 작성하고(S11), 이 단말기 검색 메시지를 LAN 경유로 브로드캐스트 송신한다(S12). 따라서, 이 단말기 검색 메시지는, LAN(5) 상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8)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모든 장치에 의해서 판독된다.
또한, 단말기 검색 메시지에는, 검색 대상인 무선 단말 장치의 단말기 ID와 함께, 송신원인 가라오케 장치의 장치 ID도 포함되어 있다.
스텝 S2에서 단말기 검색 메시지를 수신한 각 단말 장치는, 이 메시지가 자기 장치 앞의 것인가를 판단하고(S3), 자기 장치 앞의 것이 아니면, 이 메시지를 파기한다. 자기 장치 앞의 메시지이면, 즉, 단말기 검색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기 ID와 자기의 ID가 일치한 경우에는, 이 메시지는, s1에서, 적외선 신호를 송신한 송신처의 가라오케 장치로부터의 메시지인 것으로 하여, 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장치 ID를 페어의(본체로서 대응하는) 가라오케 장치의 ID로서 기억한다(S4). 이 장치 ID는, RAM(61)에 설정되어 있는 장치 ID 기억 에리어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 장치 ID의 가라오케 장치에 대하여 확인 메시지를 작성하고(S5), LAN 경유로 송신한다(S6). 대응하는 가라오케 장치(7)가, 이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S13), 이 무선 단말 장치(9)의 단말기 ID를 페어의 (자기기로서 대응하는) 무선 단말 장치(9)로서 기억함과 함께, 이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한 단말기 관리 테이블(도 7의 (C) 참조)을 작성한다(S14).
이상의 페어링 처리에 의해서, 가라오케 장치(7) 및 무선 단말 장치(9)의 쌍방이 상대 장치를 인식하여 그 ID를 기억할 수가 있어, 이후 LAN을 통하여 서로 일대일의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C)의 단말기 관리 테이블은, 하드디스크(11)에 설정되고, 단말기 ID 및 이 무선 단말 장치(9)의 가사 표시 모드의 온/오프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가사 표시 모드란, 가라오케 장치(7)로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고 있을 때, 그 가사를 무선 단말 장치(9)의 LCD 디스플레이(50)로 표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로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는 경우, 가라오케 장치(7)는, 악곡 데이터로부터 가사 트랙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무선 단말 장치(9)에 송신하고, 무선 단말 장치(9)는,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곡 스타트의 트리거나 템포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독자의 시퀀스 동작에 의해서,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하여 가사를 표시한다.
도 7의 (B)는,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 가사 표시 모드의 온/오프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유저는, LCD 디스플레이(50)의 표시에 수반하여, 터치 패널(69)을 조작함으로써, 가사 표시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다. 가사 표시 모드의 온/오프 조작이 있으면(S20), 그때 가사 표시 모드가 오프의 상태이면 가사 표시 모드의 온 메시지를 작성한다(S21). 또한, 그때 가사 표시 모드가 온의 상태이면 가사 표시 모드의 오프 메시지를 작성한다(S21). 그리고, 이 가사 표시 모드의 온/오프 메시지를, 대응하는 (페어의)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송신한다(S22). 이 가사 표시 모드의 온/오프 메시지는, LAN 경유로 송신된다.
가라오케 장치(7)는, 무선 단말 장치(9)로부터 가사 표시 모드의 온/오프 메시지를 수신하면(S23), 이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 관리 테이블(도 7의 (C) 참조)의 가사 표시 모드 플래그를 반전한다(S24). 그리고, 그 때 가라오케 곡이 연주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5). 가라오케 곡의 연주 중이 면, 곡의 도중에서 가사 표시 모드의 스타트 또는 도중 정지의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도 8은, 무선 단말 장치(9)에 의한 선곡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무선 단말 장치(9)의 선곡 조작은, LCD 패널(50)에 표시된 모드 선택 화면에서 선곡 모드를 선택함과 함께, 선곡 방법을 선택하여 행한다. 즉, 곡 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선곡하는 방법, 50음 터치 패널로부터 곡명 또는 가수명을 입력하여 선곡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9)는, 이 선곡에 이용하기 위해, 가라오케 장치(7) 또는 관리 장치(6)로부터, 「곡 번호-곡명-가수명-가사의 일부」를 대응지어 기억한 선곡 테이블을 다운로드하여 소지하고 있다.
상기의 조작으로 가라오케 곡이 선곡되면(S30), 그 가라오케 곡의 곡 번호를 포함하는 선곡 메시지를 작성하고(S31), 대응하는 (페어의)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송신한다(S32). 이 선곡 메시지의 송신은, LAN 경유로 행해진다.
가라오케 장치(7)가, 선곡 메시지를 수신하면(S33), 이 선곡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곡 번호를 판독하여, 예약 리스트에 등록한다(S34).
여기서, 예약 리스트란, 무선 단말 장치(9) 또는 장치 본체의 패널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곡 번호를 입력순으로 기억해 둔 리스트이다. 시퀀서(30)는, 먼저 입력된 곡 번호의 가라오케 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주한다.
도 9는, 가라오케 장치(7)의 곡 연주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예약 리스트의 선두로부터 가라오케 곡의 곡 번호를 판독하고(S4O), 이 곡 번호로 식 별되는 악곡 데이터를 하드디스크(11)로부터 판독한다(S41). 그리고, 페어로 되어 있는 무선 단말 장치(9)를 관리하는 단말기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가사 표시 모드가 온으로 되어 있는 무선 단말 장치(9)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 가사 표시 온의 무선 단말기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의 연주 처리(도시 생략)에 진행한다. 복수의 무선 단말 장치(9)가 페어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무선 단말 장치(9)의 단말기 관리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판단 및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가사 표시 모드가 온으로 되어 있는 무선 단말 장치(9)가 있는 경우에는, 이제부터 가라오케 곡의 연주를 행하는 취지를 전하는 연주 확정 메시지를 작성하고, 그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하여 송신한다(S43). 하드디스크(11)로부터 판독한 악곡 데이터로부터 가사 트랙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사 데이터로서 편집하고(S44), 이 가사 데이터를 가사 표시 모드가 온으로 되어 있는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하여 송신한다(S45).
이때의 통신 수순은, 도 12의 중단에 도시하는 것 같은 것이다. 즉, 연주 확정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 장치(9)는,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가사 데이터(Telop data)의 작성을 요구한다. 이 후, 무선 단말 장치(9)는, 정기적으로 가라오케 장치(7)에 액세스(polling)한다. 가라오케 장치(7)는, 가사 데이터의 편집을 완료할 때까지 이 액세스를 무시하지만, 가사 데이터의 편집이 끝난 후에 액세스가 있으면, 편집한 가사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9)에 전송한다.
도 9에서, 가라오케 장치(7)는, 연주 개시의 준비가 갖추어졌을 때, 연주 스타트의 메시지를 무선 단말 장치(9)에 송신하고(S46), 연주를 스타트한다(S47).
이 연주 스타트 메시지가 도 12의 스타트 포지션 데이터(pos#)에 상당한다. 이 스타트 포지션 데이터에는, 그 스타트 포지션에 있어서의 가라오케 곡의 연주 템포(가사 텔롭의 진행 템포)를 제어하기 위한 템포 제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고, 무선 단말 장치(9)는, 이 템포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사 텔롭의 표시의 진행 템포를 제어한다.
또한, 가라오케 장치(7)가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고 있는 도중에, 무선 단말 장치(9)의 가사 표시 모드가 온된 경우에는, 가라오케 장치(7)는, 가라오케 곡의 연주를 실행하면서, 그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하여 s44, s45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무선 단말 장치(9)에 송신되는 스타트 포지션 데이터는, 그 때의 연주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된다.
연주 동작은, 설정된 템포 클럭에 따라서, 악음의 트랙을 시퀀스함과 함께(S48), 가사 트랙을 시퀀스하는(S49) 동작이다.
이 연주 동작을 곡이 종료할 때까지 계속하는데(S53), 도중에 템포 변경의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그 지시에 따라서 템포 변경의 제어를 함과 함께(S51), 이 템포 변경의 지시를 템포 변경 메시지로서 편집하여 무선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S52).
템포 변경의 지시는, 악곡 데이터의 템포 제어 트랙(도 3의 (A) 참조)에 기입되어 있는 템포 제어 데이터를 판독했을 때, 및, 유저에 의한 템포 변경 조작이 있었을 때 행해진다. 유저에 의한 템포 변경 조작은, 템포 컨트롤(연주 템포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변경하는 조작), 연주의 앞으로 감기/되감기 등이다.
도 10은, s48, s49에서 행해지는 시퀀스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 플로우차트는, 이벤트 데이터 판독하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데이터가, 직전의 이벤트 데이터로부터의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듀레이션 데이터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듀레이션 카운터 t가 0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스타트 직후의 타이머 인터럽트에 있어서는 t=0으로 리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s65로부터 s67로 진행한다. s67에서는 트랙 상의 판독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지시하고 있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한 데이터가 이벤트 데이터인지(S68), 듀레이션 데이터인지(S69), 또는, 종료 데이터인지(S70)를 판단한다.
이벤트 데이터의 경우에는, 그 이벤트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S71), 포인터를 보진하고(S72), s67로 돌아가, 다음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벤트 대응 처리(S71)는, 통상은, 악음의 발생/소거 또는 가사 표시 데이터의 판독 등인데, 그 이벤트 데이터의 종류 및 통상의 재생을 하고 있는지 후술하는 앞으로 감기, 되감기를 하고 있는지에 따라 따르다.
판독한 데이터가 듀레이션 데이터인 경우에는(S69), 이 듀레이션 데이터의 값을 t에 세트하고(S73), 포인터를 보진하고(S74), s65로 돌아간다. s65에서는, t가 0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t>0의 경우에는 t로부터 카운트다운 스텝값 cs를 감산하고(S66) 리턴한다. 이 동작은,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 ms)마다 실행된다.
한편, 판독한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인 경우에는(S70), 올 노트 오프, 종료 표시 등의 종료 처리를 실행한 후(S75) 이 타이머 인터럽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1의 (A)는, 무선 단말 장치(9)의 가사 표시 모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연주 확정 메시지를 수신하면(S80),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가사 데이터를 요구한다(S81). 이 요구에 따라서 가라오케 장치(7)는 악곡 데이터로부터 가사 트랙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사 데이터를 작성하여 무선 단말 장치(9)에 전송한다. 무선 단말 장치(9)는, 이 가사 데이터를 수신하여(S82), RAM(62)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스타트 메시지(pos#)가 송신되어 오면(S83), 이 스타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포지션으로부터, 이 스타트 메시지에 포함되는 템포 제어 데이터에 의해 지시되는 템포로 가사 시퀀스 처리를 스타트한다(S84). 곡의 선두로부터 가사 표시를 스타트하는 경우에는, 스타트 포지션은, 곡의 선두이다.
무선 단말 장치(9)의 가사 시퀀스의 동작은, 도 10에 도시하는 가라오케 장치의 시퀀스 동작과 마찬가지이며, 설정된 템포 클럭에 따라서, 가사 트랙을 시퀀스하는 동작이다.
이 연주 동작을 곡이 종료할 때까지 계속하지만(S85), 도중에 템포 변경 메시지가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보내여져 온 경우(S86)에는, 그 지시에 따라서 템포 변경의 제어를 한다(S87).
또한, 무선 단말 장치(9)로부터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연주 템포의 변경이나 앞으로 감기, 되감기의 조작을 할 수 있는데, 가사 표시 모드의 동작에서는, 무선 단말 장치(9)에서, 이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도, 가라오케 장치(7)로부터 템포 제어 데이터가 보내져 올 때까지, 가사 텔롭의 표시 시퀀스의 템포를 변경하 지 않는다. 이에 의해, 이 무선 단말 장치로부터의 조작에 의한 템포 변경의 처리 동작, 가라오케 장치(7)의 패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한 템포 변경의 처리 동작, 악곡 데이터에 포함되는 템포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는 템포 변경의 처리 동작을 일원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 장치(9)는,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폴링(액세스)하여, 그 때의 가라오케 곡의 연주 위치(가사 텔롭의 표시 진행 상황)를 나타내는 포지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포지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무선 단말 장치(9)에 있어서의 가사 텔롭의 표시 시퀀스의 위치를 수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1의 (B)는, 그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무선 단말 장치(9)가,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가라오케 장치(7)에 액세스하고(S90), 그 때의 포지션 데이터를 수신한다(S91). 그리고, 이 포지션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사 텔롭의 표시 시퀀스를 수정한다(S92).
도 12는, 가사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 장치(9)와 가라오케 장치(7)의 통신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가라오케 장치(7)가 가라오케 곡의 연주를 행할 때, 가라오케 장치(7)는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하여 연주 확정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연주 확정의 메시지에는 곡 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무선 단말 장치(9)는, 이 곡 번호로 곡명을 도출하여 LCD 디스플레이(50)에 표시한다. 무선 단말 장치는, 리퀘스트 접수를 위해서 곡 번호-곡명 대응 테이블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곡 번호로 이 테이블을 검색하여 곡명을 도출할 수 있다.
연주 확정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 단말 장치(9)는, 가라오케 장치(7)에 대하여 가사 데이터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요구한다. 그 후, 정기적으로 가라오케 장치를 액세스(polling)하여, 가사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한다. 가라오케 장치는 악곡 데이터로부터 가사 트랙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사 데이터를 편집하는 작업이 완료할 때까지는, 이 액세스를 무시하지만, 가사 데이터의 편집이 완료하면, 이 액세스에 따라서 가사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하여 전송한다. 이 전송 처리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에 유사한 수순으로 행해진다.
가사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하면, 가라오케 장치는, 표시 개시 위치(가사 데이터 상의 판독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스타트 포지션 데이터(POS#)를 무선 단말 장치(9)에 통지한다. 가라오케 곡의 연주 중, 무선 단말 장치(9)는,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가라오케 장치(7)에 액세스하여, 그때의 포지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가라오케 장치는, 각종의 템포 변경의 지시에 따라서, 가라오케 곡의 연주 템포를 변경함과 함께, 무선 단말 장치(9)에 대하여 템포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하여, 무선 단말 장치가 독자적으로 가사 데이터를 시퀀스하여 가사를 표시하기 때문에,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무선 단말 장치에 가사 텔롭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어서, 영상 케이블을 접속하거나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 문에, 무선 단말 장치를 무선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장치를 가반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무선 단말 장치는,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포지션 데이터나 템포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사 표시의 시퀀스를 제어하기 때문에,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정확하게 동기한 가사 텔롭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0)

  1.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는 가라오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가라오케 곡의 가사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스타트 포지션 데이터, 템포 제어 데이터를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타트 포지션이 지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템포 제어 데이터가 지시하는 템포로 상기 가사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한 가사 텔롭을 발생하고, 이 가사 텔롭을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상기 가라오케 곡의 가사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새로운 템포 제어 데이터를 수신했을 때, 상기 가사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템포를 그 새로운 템포 제어 데이터가 지시하는 템포로 변경하는 무선 단말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액세스하고, 그 때의 연주 포지션을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한 연주 포지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사 데이터의 판독 포지션을 수정하는 무선 단말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가사 텔롭의 배경 영상으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무선 단말 장치.
  6. 상호 무선으로 통신하는 가라오케 장치와 무선 단말기 장치를 갖는 가라오케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라오케 장치는,
    악음을 발생하기 위한 악음 데이터 및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가사 데이터를 포함하는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지정된 템포로 악음 데이터를 판독하고 가라오케 곡의 악음을 발생함과 함께, 상기 지정된 템포로 가사 데이터를 판독하여 가사 텔롭을 표시하는 연주 수단과,
    악곡 데이터로부터 가사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 가사 데이터를 무선 단말 장치에 송신함과 함께, 연주 스타트 시에 스타트 포지션 및 템포 제어 데이터를 포함 하는 스타트 메시지를 송신하고, 템포가 변경될 때마다 템포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가라오케 곡의 가사 데이터, 스타트 포지션, 템포 제어 데이터를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스타트 포지션이 지시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템포 제어 데이터가 지시하는 템포로 상기 가사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의한 가라오케 곡의 연주와 동기한 가사 텔롭을 발생하고, 이 가사 텔롭을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가라오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제어 수단은,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액세스하고, 그 때의 연주 포지션을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한 연주 포지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사 데이터의 판독 포지션을 수정하는 가라오케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적절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상기 가라오케 장치에 액세스하고, 그 때의 연주 포지션을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그 수신한 연주 포지션에 기초하여, 상기 가사 데이터의 판독 포지션을 수정하는 무선 단말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가사 텔롭의 배경 영상으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무선 단말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가사 텔롭의 배경 영상으로서 상기 표시 수단에 출력하는 무선 단말 장치.
KR1020060018054A 2005-02-25 2006-02-24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 KR100721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50226A JP4475139B2 (ja) 2005-02-25 2005-02-25 無線端末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JP-P-2005-00050226 2005-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907A true KR20060094907A (ko) 2006-08-30
KR100721886B1 KR100721886B1 (ko) 2007-05-25

Family

ID=3693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054A KR100721886B1 (ko) 2005-02-25 2006-02-24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75139B2 (ko)
KR (1) KR100721886B1 (ko)
CN (1) CN18254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6787B2 (ja) * 2006-09-29 2010-11-24 ヤマハ株式会社 生演奏カラオケシステム
CN101183524B (zh) * 2007-11-08 2012-10-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歌词文字的显示方法及系统
CN101217032B (zh) * 2007-12-29 2011-10-19 沈侃 一种可移动的便携式演唱系统
CN101197128B (zh) * 2007-12-29 2011-10-19 沈侃 一种带有监听功能的便携式演唱系统
JP5434408B2 (ja) 2009-05-15 2014-03-0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JP5459522B2 (ja) * 2012-04-27 2014-04-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プログラム
CN103559731B (zh) * 2013-10-29 2015-05-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锁屏状态下歌词显示的方法及终端
CN104618383B (zh) * 2015-02-12 2018-05-29 刘肖兵 一种大型的多场地平台、分布式广场舞的通信及管理系统
CN106205657B (zh) * 2016-07-27 2019-11-0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歌词显示方法和装置
CN207199290U (zh) * 2017-06-16 2018-04-06 张君莉 点唱装置
CN108109609B (zh) * 2017-11-21 2021-07-20 北京小唱科技有限公司 音视频的录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442A (zh) * 1996-05-09 1997-11-19 株式会社福特威尔电子 无线伴奏装置
CN2305736Y (zh) * 1997-07-11 1999-01-27 林嘉恺 便携式字幕机
CN1275035A (zh) * 1999-05-19 2000-11-29 邦毅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播音显示系统及方法
KR100511786B1 (ko) * 2002-12-24 2005-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노래 반주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25428A (zh) 2006-08-30
KR100721886B1 (ko) 2007-05-25
CN1825428B (zh) 2011-05-25
JP2006235268A (ja) 2006-09-07
JP4475139B2 (ja)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886B1 (ko) 무선 단말 장치 및 가라오케 시스템
JP2003509729A (ja) ディジタル音楽ファイルに基づいて楽器を演奏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0286812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KR100829295B1 (ko) 기억매체, 음악 게임 처리 방법, 음악 게임용 처리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억매체, 음악 게임 장치 및 휴대통신단말
KR20010016009A (ko) 디지털 음악 파일을 악기별로 연주가 가능한 연주용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음악 연주시스템
JP2007093820A (ja) 合奏システム
JP2004205818A (ja) カラオケ装置
JP4453580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2007199417A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4205819A (ja) カラオケ装置
JP5969421B2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JP5345809B2 (ja) 楽器型演奏装置及び楽器演奏システム
JP6601615B2 (ja) 動画処理システム、動画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JP4586787B2 (ja) 生演奏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7256755A (ja) 電子楽器システム
JP4360338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6208959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JP2002366142A (ja) 演奏支援装置
JP4456566B2 (ja) カラオケ装置
JP4161714B2 (ja) カラオケ装置
JP4382631B2 (ja) ハーモニー歌唱ガイドシステム
JP2007193150A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情報処理のプログラム
JP2009080372A (ja) カラオケ装置
JP2000148168A (ja) 楽器演奏習得装置及びカラオケ装置
JP4407558B2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