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875A -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 - Google Patents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875A
KR20060094875A KR1020060016560A KR20060016560A KR20060094875A KR 20060094875 A KR20060094875 A KR 20060094875A KR 1020060016560 A KR1020060016560 A KR 1020060016560A KR 20060016560 A KR20060016560 A KR 20060016560A KR 20060094875 A KR20060094875 A KR 2006009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nzyme
drinking
hangove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텍
Priority to PCT/KR2006/00060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91010A1/en
Publication of KR2006009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4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숙취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코엔자임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숙취 또는 홍조 등을 포함한 알코올성 장애를 제거 및 완화하는 약학적 조성물, 이를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음주 다음날 복용하여 상기 알코올성 장애를 완화하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사용하면 음주 등에 의한 사회적 부작용 등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숙취, 음주, 코엔자임 Q10, 활성산소, 항산화제

Description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oenzyme Q10 for alleviating alcohol intoxication after drinking, method for administering the same}
도 1a 및 도 1b 는 본 발명의 코엔자임 Q10 투여에 의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알코올 투여 시 혈액 내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코엔자임 Q10 및 알코올 투여 시 혈액 내 프로스타글란딘 E2 생성량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 는 음주 시 본 발명의 코엔자임 Q10 복용에 의한 홍조 억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 는 음주 시 본 발명의 코엔자임 Q10 복용에 의한 홍조 억제 효과를 나타낸 다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또는 완화용 물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혈중의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줄이는 물질을 찾으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 이유는 숙취의 기작이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알코올의 주요 대사산물로서 고반응성의 독성 물질인데, 직접적으로 신경계에 작용하여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므로, 숙취 원인 물질로서 가장 유력하다고 알려져 있다 (Sherif, S., Wahlstrom, G., Oreland, L. Alcohol. Clin. Exp. Res. 17(6):1313-1318, 1993). 그러나 숙취는 혈액 내 알코올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가 거의 제거된 음주 후 20 시간까지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음주 시 다이설피람(disulfiram, 알코올 중독증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는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 저해제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체내 농축시켜 강한 불쾌감을 유도함) 을 투여하면 음주로 인해 나타나는 홍조, 구토 등의 증상이 상당히 가중되기는 하지만, 이런 증상들이 숙취의 증상 모두라고는 볼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숙취는 단순히 아세트알데하이드만에 의해서 발생되지는 않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숙취의 주요 원인물질로 인식되어 지금까지 음주성 장애에 관하여 알코올과 체내 만들어지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빠른 분해를 유도하는 물질들을 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알코올 대사 과정에서는 상기 아세트알데하이드 외에 또 다른 독성 물질이 생산되는데, 이것이 바로 "활성산소"라고도 하는 고반응성의 산소 화합물들이다. 상기 활성산소는 음주 후 나타나고, 이에 의해 아라키돈산이 세포로부터 유리되며,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이하 "PG"라고 약칭함)을 합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yclooxygenase-2; 이하 "COX-2"라고 약칭함)가 또한 유도되고, 이로 인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가 합성되기 때문에 체내에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없을 때에도 숙취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본다.
"숙취"는 여러 가지 증상을 총체적으로 야기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되는 것이 어지러움, 두통, 위통(속쓰림)이며, 그 외 피곤함, 짜증, 메스꺼움, 설사, 목마름, 수면장애, 한기 등을 들 수 있다 (Cephalagia, 3(1), 31-36(1983)). 그리고 알코올 장애로 술을 마실 때 또는 마신 직후 홍조나 구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홍조는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산소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은 유비퀴논(ubiquinone)이라고 부르며 효소의 활동을 도와주는 조효소 Q라고도 하는 강력한 항산화 효소이다. 또한, 이는 CH3O기를 2,3-위치에 가지는 벤조퀴논 유도체로서, 생물계에 보편적으로 분포하며 세포내 미토콘드리아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그 작용은 플라빈효소 및 비헴철에서 전자를 수용하여 시토크롬 b에 전달하는 역할이다.
본 발명자는 알코올,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에 의해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2)가 다량 유도되고, 이것이 PGE2까지 대사되면서 통증을 갖는 숙취가 유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알코올이 분해될 때 많은 열이 발생하고, 이때 미토콘드리아, 세포 조직에서 많은 활성산소가 동반 생성되는 점에 착안하여,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에 작용하여 누수의 전자를 줄이면서 세포질에서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코엔자임 Q10이 숙취 제거에 뛰어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음주에 의한 알코올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을 계속한 결과, 숙취의 원인으로 알려진 PGE2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를 유도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코엔자임 Q10을 주성분으로 하여 기타 항산화제,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저하제, COX-2 억제제 등을 추가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숙취 및 홍조 등을 포함한 알코올성 장애를 제거하거나 완화하고, 특히 코엔자임 Q10을 10 ㎎ ~ 20 g 범위의 유효량으로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음주 다음날에 복용하는 방법이 상기 알코올성 장애를 치료하는 효과가 더욱 탁월한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성공적으로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을 유 효 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엔자임 Q10에 더하여 스쿠알렌, 비타민 E, 펩타이드, 구루메, 헛개나무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갈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엔자임 Q10에 더하여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COX-2) 억제제를 첨가하되, 바람직하게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아스피린(aspirin), 타이레놀(acetaminophen), 이부푸로펜(ibuprofen), 나프록(naproxen), 페나세틴(phenacetin), 메페남산(mefenamic acid)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셀레콕시브(celecoxib), 디클로페낙(diclofenac), 에토도락(etodolac), 페노프로펜(feno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케토라락(ketoralac), 옥사프로진(oxaprozin), 나부메톤(nabumetone), 서린닥(sulindac), 톨메틴(tolmetin) 및 로페콕시브(rofecoxib)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알코올성 장애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을 10 ㎎ ~ 20 g 범위의 유효량으로, 바람직하게는 50 ㎎ ~ 1 g 범위의 유효량으로 포함하여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음주 다음날에 복용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을 10 ㎎ ~ 20g 범위의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음주 다음날에 복용하는 숙취 및 홍조 등의 알코올성 장애를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숙취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장애에 관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가 대표적인 원인물질로 추정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 그 확실한 기작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숙취 제거물질을 탐색하는 데 있어서 혈액 내의 알코올 농도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낮추는 방법이 모색되어 왔다.
그러나 숙취는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분해된 뒤에 주로 나타나고, 이때 통증물질로 알려진 프로스타글란딘 E2가 많이 생성된다. 이러한 생리현상으로부터 음주 시 알코올의 대사과정에서 나타나는 활성산소가 프로스타글란딘 E2 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활성산소가 숙취의 주요 원인물질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세포에 알코올 또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첨가하면 과산화지질이 생성되는 데, 이것은 알코올,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분해되면서 활성산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Olin, K.L., Cherr, G.N., Rifkin, E., Keen, C.L. Toxicology, 17: 110(1-3);1-8, 1996). 이렇게 생성된 활성산소에 의해 지질과산화는 물론,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2)가 유도되면서 아리키돈산이 프로스타글란딘 E2(PGE2)로 전환되고 이 PGE2 증가가 숙취의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규명한 숙취 기작에 따라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을 숙취 제거 물질로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엠자임 Q10에 더하여 다른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타 항산화제로는 스쿠알렌, 비타민 E 및 펩타이드류(peptide)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항산화제에 더하여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저하제로서 숙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 즉 구루메, 헛개나무 추출액, 오리나무 추출액 및 갈근 추출액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첨가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 COX-2)에 대한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COX-2 억제제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스피린(aspirin), 타이레놀(acetaminophen), 나프록센(naproxen), 이부프로펜(ibuprofen), 페나세틴(phenacetin), 메페남산(mefenamic acid), 페남산(mefenamic acid)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셀레콕시브(celecoxib), 디클로페낙(diclofenac), 에토도락(etodolac), 페노프로펜(feno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케토라락(ketoralac), 옥사프로진(oxaprozin), 나부메톤(nabumetone), 서린닥(sulindac), 톨메틴(tolmetin) 및 로페콕시브(rofecoxib)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은 코엔자임 Q10 을 10 ㎎ ~ 20 g 범위의 유효량으로, 바람직하게는 50 ㎎ ~ 1 g 범위의 유효량으로 포함하여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음주 다음날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을 음주 전후의 활성산소의 제거에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엔자임 Q10을 복용하여 알코올성 장애를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엔자임 Q10에 더하여 다른 항산화제를 추가로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항산화제로서 스쿠알렌, 비타민 E 및 펩타이드류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복용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엔자임 Q10, 상기 항산화제에 더하여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저하제로서 숙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 즉 구루메, 헛개나무 추출액, 오리나무 추출액 및 갈근 추출액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복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엔자임 Q10, 상기 항산화제,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저해제에 더하여,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COX-2에 대한 억제제를 추가로 복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COX-2 억제제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스피린(aspirin), 타이레놀(acetaminophen), 나프록센(naproxen), 이부프로펜(ibuprofen), 페나세틴(phenacetin), 메페남산(mefenamic acid), 페남산(mefenamic acid)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셀레콕시브 (celecoxib), 디클로페낙(diclofenac), 에토도락(etodolac), 페노프로펜(feno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케토라락(ketoralac), 옥사프로진(oxaprozin), 나부메톤(nabumetone), 서린닥(sulindac), 톨메틴(tolmetin) 및 로페콕시브(rofecoxib)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COX-2 억제제는 음주 다음 날 숙취를 느낄 때 복용하는 것보다 음주 시 또는 음주 전후에 바로 복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엔자임 Q10, 항산화제,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의 저해제 , 활성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COX-2에 대한 억제제에 더하여, 키토산, 비타민 B1, 비타민 B2 및 비타민 C 등의 복합체를 추가로 복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알코올성 장애를 제거하거나 완화시키는 치료 방법은 코엔자임 Q10을 10 ㎎ ~ 20 g 범위의 유효량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음주 다음날에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안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에 첨가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은 해당 용도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독립적으로 또는 약품 첨가제로 사용되거나, 사람에게 투여하기 적합한 기타 모든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로는 증량제, 고섬유 첨가제, 캡슐화제 및 지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들의 예는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 어 있다.
본 발명의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진행 정도, 나이, 성별, 신체 상태, 투여 기간, 투여 방법, 환자의 체중, 식사, 배출 속도 등에 따라 용량을 달리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코엔자임 Q10은 체중 1 kg 당 0.1 ㎎ ~ 0.2 g 범위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엔자임 Q10 투여 후 체내 과산화지질의 측정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이 활성산소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랫트(체중 450 g)를 10 마리씩 두 군으로 나누고, 한 군에는 50% 에탄올 3 ㎖만 그리고 다른 한 군에는 50% 에탄올 3 ㎖ 및 코엔자임 Q10 0.08 g을 녹여 함께 투여하였다. 그 후 시간 간격을 두고 채혈하고, 지질과산화물을 티오바부투릭산(thiobarbuturic acid) 방법을 통해 정량하였다 (Yagi, K. Biochem. Med. 15: 212-216, 1976). 혈액 내 알코올 농도는 헤드스페이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headspace gas chromatography) 분석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J. Anal. Toxicol., 4(1): 43-45. 1980).
도 1a 및 도 1b 에 상기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a 에서 □는 에탄올만 투여한 경우, ○는 코엔자임 Q10을 함께 투여한 경우에서 혈액 내 과산화 지질의 (LPO) 농도를 측정한 것이고, 도 1b 의 □는 에탄올만 투여한 경우, ○는 코엔자임 Q10을 함께 투여한 경우에서 혈액 내 알코올의 농도(blood alcohol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엔자임 Q10을 함께 투여한 경우, 알코올만 투여한 경우보다 알코올 분해속도가 빨랐으며, 과산화지질의 생성 정도도 많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코엔자임 Q10을 알코올과 함께 투여하면 체내 활성산소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코엔자임 Q10 투여 시 프로스타글란딘 E 2 의 변화 조사
본 발명은 알코올 섭취 후 혈액 내 프로스타글란딘 (PGE2)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300 g 정도의 랫트를 12 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3 g/㎏ 양의 알코올을 경구 투여하였다. 그 후 시간 경과에 따라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혈액 내 PGE2의 양을 시판 PGE2 측정용 키트(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혈액 내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실시예 1의 과정에 따라 측정하였다.
도 2 에 상기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 에서 ○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의 농도이고, △는 혈액 내 알코올 농도이며, □는 혈액 내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blood acetaldehyde concentration)이다. 도 2 에 보는 바와 같이, PGE2는 알코올 섭취 직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혈액 내에 알코올이 검출되지 않는 8 시간 경과 이후에도 높은 생성량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알코올 섭취 후 20 시간까지도 숙취 증상이 남아있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코엔자임 Q10을 1 g/㎏ 양으로 투여하였는데, 그 중 1/3은 알코올 투여 1 시간 전에 먼저 투여하고, 나머지는 알코올에 녹여 투여하였다. 도 3 에 상기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 에 의하면 PGE2가 매우 낮은 값을 보이므로 코엔자임 Q10에 의해 PGE2의 생성이 상당히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3 에서는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도 2 에 나타난 것보다 약간씩 더 낮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들 농도도 코엔자임 Q10을 복용하면 빨리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코엔자임 Q10 에 의한 숙취 증상의 억제 효과 조사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에 의한 숙취 증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2 개월 동안 한국 전통 증류주인 소주를 5 회 이상 섭취(알코올 함량 80 ~ 120 ㎖)하였을 때 매번 숙취 증상을 느꼈던 대학생 16 명을 대상으로 숙취 증상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각 숙취를 느끼는 정도의 소주, 대략 1 병±0.5 병을 섭취하고 코엔자임 Q10 1 g 을 2 시간 동안 알코올 섭취 30 분 간격으로 나누어 복용시켰다. 다음날 숙취가 심한 상태를 10으로 정하고 숙취가 없는 상태를 0으로 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플라세보(placebo)인 비투여군은 베타-카로틴을 1% 혼합한 밀가루를 복용하도록 하였다.
표 1 에 상기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통, 위통, 메스꺼움 및 현기증의 경우 코엔자임 Q10 투여 그룹에서는 모두 거의 나타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컸다. 또한 얼굴 홍조, 화끈거림은 음주 직후 바로 관찰하였는데, 표 1 에 보는 바와 같이 상당히 억제되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컸다. 그 외도 피곤함, 짜증, 설사, 목마름, 수면장애, 한기 등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들에서 코엔자임 Q10을 투여한 경우 모든 알코올성 장애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것은 활성산소 소거능력이 뛰어났기 때문이라 판단되었다.
음주 시 코엔자임 Q10 투여에 의한 숙취제거 효과
구 분 대 조 군 코엔자임 Q10
두통(Headache) 8.5 0.5*
위통(Stomach pain) 7.7 0.5*
얼굴홍조(Flushing) 7.9 2.0*
얼굴화끈거림(Heat in face) 8.5 2.0*
메스꺼움(Nausea) 7.5 0.5*
불쾌감(Malaise) 8.3 0.6*
현기증(Dizziness) 9.0 0.6*
* 기준군과 비교 시 p < 0.05
실시예 4. 코엠자임 Q10 의 투여 시간에 따른 숙취 제거 효과의 조사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투여 시간에 따른 숙취 제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소주(알코올 농도 22%) 1/2 병(180 ㎖)을 마셔도 언제나 숙취를 느끼는 사람 2 명을 그룹 1과 2로 나누고, 1 병(360 ㎖)을 마셔야 숙위(취로)를 느끼는 사람 2 명을 그룹 1과 그룹 2로 각각 나누었다. 그 다음 코엔자임 Q10 (500 ㎎)을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그리고 음주 다음날 숙취 시 투여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고, 다음날 숙취 정도를 관찰하였다. 이들은 2 주 간격으로 실험하였으며, 플라세보와 설문방법은 실시예 3 에 기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으나, 숙취의 경우는 표 1 과 같이 상세히 각각으로 하지 않고 전체적인 정도를 답하는 식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 2 에 보는 바와 같이, 코엔자임 Q10을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에 복용하는 경우는 다음날 숙취가 거의 없었으나, 다음날 숙취를 느낄 때 복용하는 경우는 복용 후 약 30 분 후에 메스꺼움, 피로감 등은 70% 이상 사라지나 두통 제거에는 약 40% 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엔자임 Q10은 음주 시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숙취 시 복용해도 상당히 숙취를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코엔자임 Q10의 투여 시간에 따른 숙취 제거 효과
투 여 시 간 숙취 정도(점)
코엔자임 Q10 비투여 8
음주 전 투여 1
음주 중 투여 1
음주 직후 투여 1
숙취 시 투여 3
실시예 5. 코엔자임 Q10 의 투여 농도에 따른 숙취 제거 효과의 조사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투여 농도에 따른 숙취 제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알코올 22%짜리 소주 1 잔(45 ㎖)만 마셔도 얼굴에 홍조가 나타나는 등 술을 거의 못 마시는 사람 4 명을 2 명씩 두 군으로 나누었다. 이들에게 코엔자임 Q10을 5 ㎎, 10 ㎎, 20 ㎎, 50 ㎎, 100 ㎎, 1 g, 20 g 양으로 복용시키고, 숙취가 나타나는 정도를 실험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1 회 실험에서는 코엔자임 Q10을 무첨가, 5 ㎎ 첨가로, 2주 후 코엔자임 Q10을 10 ㎎, 20 ㎎ 첨가로, 다음 2 주 후 코엔자임 Q10을 50 ㎎, 100 ㎎ 첨가로, 그 다음 2 주 후 코엔자임 Q10을 1 g, 20 g 첨가로 투여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플라세보와 설문방법은 실시예 3 및 4 에 기술한 바와 같이 수행하였으나, 밀가루 첨가량을 조절하여 전체 투여량은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표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엔자임 Q10은 10 ㎎ 이상 투여에서는 숙취의 제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얼굴 홍조와 구토도 많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투여 농도의 상한선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20 g이면 대부분의 숙취를 제거할 수 있었고, 바람직하기에는 50 ㎎ 에서 1 g 범위의 농도가 적합하였다.
코엔자임 Q10의 투여 농도에 따른 숙취 제거 효과
첨 가 량 숙취 정도(점)
코엔자임 Q10 무첨가 8
5 mg 8
10 mg 6
20 mg 6
100 mg 4
1 g 0.5
2 g 0
20 g 0
실시예 6. 코엠자임 Q10 과 다른 첨가물의 혼합 첨가에 의한 숙취 제거 효과의 조사
본 발명은 다른 첨가물의 혼합 첨가가 숙취 제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술에 약한 사람 10 명에게 소주 1/2 병과 각 첨가물들을 2 시간 동안 나누어 마시도록 하여, 실시예 4 와 동일한 과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코엔자임 Q10은 200 ㎎으로 하고, 스쿠알렌은 1 g, 비타민 E는 1000 IU, 실크 펩타이드는 2 g, 과체류 발효농축 저분자인 구루메는 3 g, 아스피린은 500 ㎎, 타이레놀은 500 ㎎, 헛개나무, 오리나무, 갈근은 각각 5 g을 추출하여 함께 복용하도록 하였다. 플라세보군은 자스민차에 카라멜을 섞어 색을 진하게 한 것을 마시도록 하였다.
표 4 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혼합 첨가에 의해서는 숙취에 해당되는 어지러움, 두통, 위통(속쓰림), 피곤함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술 마실 때나 후에 나타나는 홍조나 메스꺼움도 거의 없었다. 그리고 항산화제나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저하제들은 홍조나 메스꺼움에도 효과적이었으며, 아스피린이나 타이레놀은 이들 증상을 억제하는 데에는 약하였으나, 다음날 숙취제거에는 아주 뛰어났다. 물론 이들은 복합적 투여로도 효과가 좋았으며, 키토산, 비타민 B, C 복합체(비타민 B1 16 ㎎, 비타민 B2 10 ㎎, 비타민 C 300 ㎎) 투여도 좋았다.
코엔자임 Q10과 다른 첨가물의 혼합 첨가에 의한 숙취 제거 효과
구 분 숙취정도(점)
코엔자임 Q10 3.0
스쿠알렌 0
비타민 E 1.0
대두펩타이드 0.5
구루메 0
아스피린 0
타이레놀 0
헛개나무 0.5
오리나무 0.5
갈근 0.5
실시예 7. 안주 형태의 코엠자임 Q10 의 숙취 제거 효과 조사
본 발명은 안주 형태의 식품에 함유된 코엔자임 Q10이 숙취 제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4 와 동일한 과정으로 실험하면서 코엔자임 Q10을 캅셀(capsule)로 만들어 가벼운 스낵과 섞어 안주로 먹게 하는 방법으로 숙취 실험을 하였다. 플라세보로 비투여군은 베타-카로틴을 1% 로 혼합한 밀가루를 캅셀화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그 결과, 표 2 에 보는 바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음주시 안주로 만들어 먹어도 알코올성 장애 제거 혹은 완화효과는 같았다.
실시예 8. 음주 전 복용 시 음주로 인한 홍조 완화 효과 조사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홍조 완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소주(알코올 농도 22도) 1 잔(50 ㎖) 음용으로도 언제나 얼굴이 홍조가 되는 사람 2 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에게 소주를 초기 음주 시 108 ㎖, 30 분 후 72 ㎖, 45 분후 90 ㎖, 1 시간 후 90 ㎖를 마시도록 하였다. 이렇게 마시는 동안 초기 음주 후 약 15 분이 지나자 얼굴에 홍조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는 도 4a 및 도 5a 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사진들은 음주 전과 음주 시로부터 2 시간 지나서 찍은 것으로, 두 사람 모두 얼굴에 홍조가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주일 후 동일한 방법으로 음주 시 시판되는 코엔자임 Q10(Co-Q10 총 섭취량 : 600 ㎎)을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 섭취 방법은 음주 1 시간 전 200 ㎎ 섭취, 음주 30 분 전 200 ㎎ 섭취, 초기 음주 시 100 ㎎ 섭취, 음주 30 분 후 100 ㎎ 섭취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그리고 소주는 1 회 째 실험과 동일하게, 초기 음주 시 108 ㎖, 30 분 후 72 ㎖, 45 분 후 90 ㎖, 1 시간 후 90 ㎖를 마시도록 하였다. 그리고 3 시간 동안 얼굴 변화를 관찰하였다. 코엔자임 Q10을 복용한 경우는 3 시간 동안 얼굴에 홍조가 나타나는 경우가 없었다. 그러나 알코올로 인하여 얼굴에서 열은 난다고는 하였다. 도 4b 및 도 5b 의 사진들은 각각 음주 전과 음주 시 코엔자임 Q10을 복용한 경우에 홍조가 나타나지 않음을 음주 후 1 시간 지나 찍은 것이다.
이러한 코엔자임 Q10에 의한 홍조 억제는 음주 후 홍조가 나타났을 때 복용하여도 복용 후 30 분 이상 지나면 홍조가 없어지거나 복용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홍조가 절반(1/2) 이하로 떨어졌다. 물론 이러한 점은 음주량과 코엔자임 Q10의 복용량에 큰 영향을 받았다.
실시예 9. 음주 중간 및 음주 후에 복용 시 홍조 완화 효과의 조사
본 발명은 코엔자임 Q10의 홍조 완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음주시 얼굴에 홍조를 동반하는 사람 4 명에게 소주(알코올 농도 22 도) 180 ㎖를 1시간에 걸쳐 복용시켰을 때 모두 얼굴에 홍조가 나타났다. 이때 두 사람에게는 코엔자임 Q10 500 ㎎을 복용시켰다. 그 후 약 30분이 지나면서 홍조가 약해지면서 1 시간 뒤에는 대부분 홍조가 사라졌다. 그러나 코엔자임 Q10을 복용하지 않은 사람들은 홍조가 그대로 남아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숙취제거 혹은 완화에 코엔자임 Q10을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다음날 숙취 시 복용함으로 숙취를 획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알코올성 장애 제거 내지는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시되면 알코올로 인한 사회 부작용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코엔자임 Q10(coenzyme Q10)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스쿠알렌, 비타민 E, 펩타이드, 구루메, 헛개나무 추출물, 오리나무 추출물, 갈근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억제제를 첨가하되, 상기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아스피린(aspirin), 타이레놀(acetaminophen), 이부푸로펜(ibuprofen), 나프록(naproxen), 페나세틴(phenacetin), 메페남산(mefenamic acid)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셀레콕시브(celecoxib), 디클로페낙(diclofenac), 에토도락(etodolac), 페노프로펜(feno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케토라락(ketoralac), 옥사프로진(oxaprozin), 나부메톤(nabumetone), 서린닥(sulindac), 톨메틴(tolmetin) 및 로페 콕시브(rofecoxib)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장애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코엔자임 Q10을 10 ㎎ ~ 20 g 범위의 유효량으로 음주 전, 음주 중간, 음주 후 또는 음주 다음날에 복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성 장애의 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60016560A 2005-02-26 2006-02-21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 KR20060094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0605 WO2006091010A1 (en) 2005-02-26 2006-02-22 Composition comprising coenzyme q10 as effe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243 2005-02-26
KR20050016243 2005-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875A true KR20060094875A (ko) 2006-08-30

Family

ID=376025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560A KR20060094875A (ko) 2005-02-26 2006-02-21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
KR1020060016561A KR20060094876A (ko) 2005-02-26 2006-02-21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제거 및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561A KR20060094876A (ko) 2005-02-26 2006-02-21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제거 및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6009487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876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llessen et al. Silymarin as supportive treatment in liver diseases: A narrative review
KR100877600B1 (ko) 메타독신 및 마늘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지방간 및 지방간성 간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110014285A1 (en) N-acetyl cysteine compositions and methods to improv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acetaminophen
CA304932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alleviation of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CA2461661A1 (en) Use of histamine to treat liver disease
JP2004534094A (ja) 二日酔いに有効な組成物及びそのための使用
RU2003122061A (ru) Антиатеросклеро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каротиноиды, и способ ингибирования окисления липопротеина низкой плотности (ldl)
US10500182B2 (en) Compositions of ketogenic sources, micronutrients and phytochemicals for prophylaxis and mitigation of migraine headache
KR101326413B1 (ko) 숙취예방, 숙취해소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유발 질환 예방용 조성물
Shetty et al. Mechanisms and therapeutics of n-acetylcysteine: a recent update
NO20001717L (no) Serotonin-inneholdende formulering for oral administrering og anvendelse av samme
EP2274000B1 (fr)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dietetique comprenant des extraits aqueux de nigella sativa et d&#39;olea europea et/ou phyllantus amarus
US11458155B1 (en) Active ingredient complexe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ngover relief and to ameliorate alcohol-induced liver damage
JP2007246478A (ja) アセトアルデヒド代謝促進剤
JP3479986B2 (ja) アルコール性肝障害予防用組成物
KR20060094875A (ko) 코엔자임 큐텐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장애의제거 및 완화제용 약학적 조성물과 그의 복용 방법
US5670549A (en) Prevention and amelioration of liver toxicity with beta-carotene
JP4896531B2 (ja) 血中CoQ10量を増加させる医薬組成物
US20070028930A1 (en) Active agent and formulations to minimize or alleviate bladder urgency and irritation and/or to enhance sexual function
JPS61134313A (ja) アルデヒドの毒性抑制剤
US20060148898A1 (en) Curing and prophylactic agent applied during the use of alcohol and psychoactive substances
KR20170026241A (ko) 경구용 복합제제
EP3357541B1 (en) Methylsulfonylmethane composition for reducing blood alcohol content
WO2022005848A1 (en) Combinations of carnosine and zinc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ral infections
EP2958627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