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843A -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843A
KR20060094843A KR1020050123805A KR20050123805A KR20060094843A KR 20060094843 A KR20060094843 A KR 20060094843A KR 1020050123805 A KR1020050123805 A KR 1020050123805A KR 20050123805 A KR20050123805 A KR 20050123805A KR 20060094843 A KR20060094843 A KR 20060094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cells
carcinoma
acid
canc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4290B1 (ko
Inventor
박광균
정원윤
박재희
김진은
박희준
김원배
정현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6009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 세포의 사멸 활성을 갖는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인 부들레자사포닌 Ⅳ(Buddlejasaponin Ⅳ)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누룩치(Pleurospermum kamtschaticum)로부터 분리한 것으로서, 사람 대장암 세포 생존률 감소효과, 사람 대장암 세포의 DNA 분절효과, 대장암 세포에서 NAG-1발현 증가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고 대장암 세포의 폐전이 동물모델에서의 암전이를 억제하므로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암, 누룩치, 부들레자사포닌 Ⅳ, 대장암 세포, 약학조성물

Description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buddlejasaponin Ⅳ isolated from Pleurospermum kamtschaticu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disease}
도 1은 부들레자사포닌 IV를 대장암 세포에 처리했을 때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부들레자사포닌 IV를 대장암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DNA 분절능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부들레자사포닌 IV를 대장암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NAG-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대장암 세포로 유도된 폐 전이에서 종양결절 생성에 대한 부들레자사포닌 IV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사람 대장암 세포 생존률 감소효과, 사람 대장암 세포의 DNA 분절 효과, 대장암 세포에서 NAG-1발현 증가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고 대장암 세포의 폐전이 동물모델에서의 암전이를 억제하는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부들레자사포닌 IV(buddlejasaponin Ⅳ)를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난치병 중의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이를 치유하기 위한 개발에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질병 사망원인 중 제 1위의 질병으로서 연간 약 10만 명 이상이 진단되고, 약 6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 이러한 암의 유발 인자인 발암물질로는 흡연, 자외선, 화학물질, 음식물, 기타 환경인자들이 있으나, 그 유발 원인이 다양하여 치료제의 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치료제의 효과 또한 각기 다르다.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는 물질들은 상당한 독성을 지니고 있으며, 암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므로, 암의 발생 후 이의 치료뿐 아니라, 암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독성이 적고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은 탄소수 20개의 프로스타노익산 (prostanoic acid)을 기본 구조로 하며 C8과 C12사이에 5개의 탄소로 된 고리를 가진 불포화 지방산으로 건선증(Smith et al., Current Opinion in Investigational Drugs, 3, pp.1-11, 1994), 흉막염, 복막염(DeWitt et al.,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95, 2A-40S-2A-46S, 1993), 관절염, 연골연화(DeWitt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5:5192-5198, 1990) 등 주로 만성 염증 질환에 관여하는 화학전달물질이며 천식 등의 알러지성 질환(Ruf el al.,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204, pp.1069-1073, 1992)에서도 대량 관찰된다.
COX(cyclooxygenase)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에 관련하는 주 효소로(Smith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1:33157-33160, 1996), 두 종류의 이성 효소, COX-1과 COX-2가 존재한다.
대부분의 비스테로이드 소염 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의 항염증 효과는 COX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매개된다(Vane et al., Annual Review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38, pp.97-120, 1998). COX-1은 위나 신장과 같은 조직에서 일정하게 존재하는 효소로서 정상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반면, COX-2는 염증이나 기타 면역 반응 시 세포분열인자(mitogen)나 사이토카인(cytokines)류에 의해 세포 내에서 일시적이고 빠르게 발현된다. 급성 혹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만성의 염증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NSAIDs은 COX-2 효소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COX-1 효소도 억제함으로써 위장관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sferrer et a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1, pp.3228-3232, 1994; Seibert et al.,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1, pp.12013-12017, 1994).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NSAIDs 대부분이 위장 장애, 간장애, 신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여 장기간의 사용이 어려우므로, COX-2 효소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전신성 만성질환의 치료제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소염진통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COX-2 저해제는 염증 치료뿐 아니라, 암 예방 및 치료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암세포 및 악성 종양 조직에서는 COX-2의 유도가 증대되어 정상 세포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의 프로스타글란딘이 생성된다(Kargman et al., Cancer Research, 55, pp.2556-2559, 1995; Ristimaki et al., Cancer Research, 57, pp.1276-1280, 1997).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와 같은 프로스타글란딘류는 혈관 생성을 촉진하고 세포의 증식을 촉진할 뿐 아니라 면역 능력을 억제하므로 이들의 과잉 생성은 암세포의 성장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더욱이 COX-2의 과도한 발현은 아폽토시스(apoptosis)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전이 능력을 증대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결장암 실험모델인 Apc 생쥐에서도 결장암의 발생 단계인 APC 유전자의 변형 및 소실 단계에 있어 항상 COX-2 발현 및 활성의 증가가 선행되었다 (Prescott et al., Cell, 87, pp.783-786, 1996). 이 외 다양한 연구에서 COX-2가 결장암의 발생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으며, 사람의 위암 및 유방암 조직에서도 COX-2 단백질이 정상 조직에 비해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NSAIDs를 장기간 사용해온 사람들에서 결장암이 일어날 확률이 40-50% 감소되고, 가족성 대장선종(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을 가진 환자들에 있어 결장선종(colorectal polyposis)이 결장암으로 발전되는 단계가 NSAIDs계 약물에 의해 방지된다는 보고가 있었다(Peleg et al.,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4, pp.394-399, 1994). 또한, COX 저해제가 사람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동물모델에서도 유도시킨 암의 발생이 COX-2 저해제에 의해 크게 감소되었다(Noguchi et al., Prostaglandins , Leukotrienes , and Essential Fatty Acids, 53, pp.325-329, 1995; Thompson et al., Cancer Research, 57, pp.267-271, 1997). 그러므로 결장암뿐만 아니라 위암과 유방암에서도 COX-2에 대한 선택적 저해제를 이용하여 암의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COX-2 선택적 저해제는 새로운 항염증제 뿐만 아니라 항암제로 사용 가능하다.
세계적으로 매년 1,010만 명의 새로운 암 환자가 발생하고 600만 명이 암으로 사망하며, 이는 전체 사망의 12%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2003년).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면 2020년경에는 매년 1,570만 명의 암 환자가 발생하고 1,000만 명이 암으로 사망할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 역시 1983년 이후로 한국인의 사망원인으로 암이 첫 번째 원인이 된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외과 요법, 유전자치료법 등 많은 방법들이 암 치료에 사용되지만 약물을 이용하는 화학 요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 요법은 부작용이 크고 쉽게 완치되지 않아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크게 두 가지 접근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첫째는 다양한 합성 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항암제의 약효를 유지하는 한편 부작용은 현저히 줄어든 새로운 유도체를 합성, 개발하는 것이고 둘째는 암 발생 자체를 억제시키거나 암의 진행을 지연 혹은 역전시킴으로써 악성 암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 화학적 암 예방(cancer chemoprevention)이다. 최근 선진 각국에서는 독성이 없고 효능이 뛰어난 화학적 암 예방제 및 항암제를 야채, 과일, 약용식물 등의 천연자원으로부터 개발하기 위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Kelloff et al., Annals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889:1-13, 1999). 화학적 암 예방은 외형상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암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1차 예방, 양성암을 앓고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발암과정을 역전시키기 위한 2차 예방, 악성화, 전이, 합병증 등을 억제하고 암을 치료한 적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3차 예방으로 단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암 예방뿐만 아니라 치료제로서도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발암 과정은 크게 발암 물질이 생체 표적 세포의 DNA를 공격하여 돌연변이를 유도하는 암 개시단계(initiation), 개시화된 세포가 빠르게 증식하여 양성암 상태로 전환되는 암 촉진단계(promotion), 그리고 양성암이 악성암으로 변형되는 암 진행단계(progression)로 구분될 수 있다. 암 개시단계는 발암물질의 활성화를 억제하거나 해독화를 촉진시키고, DNA 복구(repair)를 증가시키며, 활성화된 발암물질이나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을 제거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 또한, ROS 제거, 염증반응 억제, 암세포의 증식 억제 및 분화 촉진, 암화에 관여하는 유전자 혹은 단백질 발현의 변화 억제를 통해 암 촉진단계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돌연변이가 발생한 암 개시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암화를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Lotan,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87, pp.1655-1657, 1995).
아폽토시스는 세포가 이미 분화 초기부터 특정 시기가 되거나 특정 자극에 의해 스스로 파괴되는 것을 의미하며(Kerr et al., British Journal of Cancer, 26, pp.239-257, 1972) 발생의 과정이나 성숙 개체에서 불필요하게 된 세포(잉여 세포나 노화 세포 등)나 상해를 받아 이상을 초래하고 생체에 해롭게 된 세포(암 세포, 바이러스 감염 세포 등)를 제거하는데 의의가 있다. 아폽토시스의 본질은 세포를 소거함으로써 개체를 통제하는 데에 있다. 최근 암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항암제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NAG-1(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activated gene)은 NSAIDs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로서, 2001년 처음 대장암 세포주인 HCT 116 세포에서 인도메타신(indomethacin)에 의해 유도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Baek et al., Mol . Pharmacol., 59, pp.901-908, 2001), 이후 폐암세포, 유방암세포, 전립선암세포, 위암세포에서도 그 발현이 확인되었다(Newman t al., Mol Pharmacol ., 63, pp.557-54, 2003; Jang et al., Carcinogenesis, 25, pp.1853-1858, 2004). NAG-1은 항암작용 및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기능을 가진 유전자로, NSAIDs 뿐만 아니라 퍼옥시좀 증식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수용체 감마 리간드(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ligands ; Baek et al., Biol . Chem ., 279, pp.6883-6892, 2004)와 AHPN(retinoid 6-[3-(1-adamantyl)-4 hydroxyphenyl]-2-naphthalene carboxylic acid)에 의해서도 유도된다(Newman et al., Mol . Pharmacol ., 63, pp.557-564, 2003). 또한, NAG-1은 포도의 구성성분인 레스버라트롤(resveratrol) (Baek et al., Carcinogenesis, 23, pp.425-434, 2002), 양파에 들어있는 디알릴 디설피드(diallyl disulfide ; Frank et al., J Nutr ., 132, pp.773-778, 2002), 콩에 들어있는 게니스테인(genistein ; Leigh et al., Int J Cancer ., 20105, pp.747-753, 2003), 녹차에 포함되어 있는 에피카테신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 Baek et al., Carcinogenesis, 25, pp.2425-2432, 2004)에 의해서도 유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들레자사포닌 IV(buddlejasaponin IV ; Yamamoto et al., Chem . Pharm . Bull., 39, pp.2764-2766, 1991; Li et al., Chinese, 383, pp.355-356, 1999)는 항바이러스 활성(Bermejo et al., Planta medica ., 68, pp.106-110, 2002)과 간 보호 효능(Guinea et al., Planta medica, 60, pp.163-167, 1994)을 가지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본 발명의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IV 화합물이 암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여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서 사용가능하다고 교시되거나 개시된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들레자사포닌 IV가 암세포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도하고, 암 유도 모델 동물에서 암전이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고 암세포 전이 억제활성을 갖는, 누룩치(Pleurospermum kamtschaticum)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IV를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고, 암 전이 억제 효과를 갖는 하기 화학식 (1)의 부들레자사포닌 Ⅳ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73395916-PAT00001
(1)
상기 암 질환은 일반적인 암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위암, 결장암, 유방암, 폐암, 비소세포성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 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부들레자사포닌 Ⅳ는 암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고, 암 유도 동물 모델에서 암전이 억제 효과를 갖는 부들레자사포닌 Ⅳ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들레자사포닌 Ⅳ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누룩치(Pleurospermum kamtschaticum)로부터 분리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누룩치 지상부를 음건하고 세절한 후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로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시간 동안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반복하여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모아 진공회전농축기로 농축하여 누룩치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누룩치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키고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혼합한 후 3 내지 6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물을 얻은 후 클로로포름 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2단계 ; 상기 제 2단계의 클로로포름이 제거된 수가용성 분획물에 수포화 부탄올을 가하여 혼합한 후 3 내지 6차례 분획하여 수가용성 분획물 및 수포화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얻은 후 수포화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을 건조하여 수포화 부탄올 가용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3단계 ; 상기 제 3단계의 수포화 부탄올 가용 추출물을 전개용매로서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 7 : 3 : 1 (lower phase)의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고정상으로는 실리카겔(Silica gel 580g, 70-230 mesh)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50개의 하부 분획물로 나눈 후, 그 중 51번 내지 170번 분획물을(80㎖씩 소분하였으며, 소분한 4,080~13,600㎖의 용액) 농축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누룩치의 주성분인 조 사포닌을 수득하는 제 4단계 ; 제 4단계의 조 사포닌을 전개용매로서 메탄올 : H2O = 7 :3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95g, 5×70 ㎝, YMC gel ODS)를 수행하여, 50번 내지 550번 분획물을(소분한 450~2,750㎖) 모아 농축하여 동일조건의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1 내지 3회 실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순수 분리된 본 발명의 화합물 부들레자사포닌 Ⅳ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누룩치로부터 분리되어진 부들레자사포닌 Ⅳ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포 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암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 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화합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누룩치로부터 부들레자사포닌 IV ( buddlejasaponin IV ; BS IV )의 분리
본 실험에 사용한 누룩치(Pleurospermum camtschaticum)는 진부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표본은 상지대학교 자원식물학과에 보관하도록 하였다. 누룩치 지상부를 통풍이 잘 되는 음지에서 건조하여 건조무게 1.8kg을 세절하고 5ℓ 라운드 플라스크에 넣고 냉각수를 환류시키며 메탄올로 5시간씩 3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모두 모아 회전형 진공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농축하여 메탄올 추출물 740g를 수득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을 물 1ℓ에 현탁시킨 후, 클로로포름 800㎖를 가하여 5회 분획한 후, 클로로포름 분획은 따로 모으고, 클로로포름층이 제거된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800㎖를 가하여 다시 5회 분획하였다. 부탄올 분획만을 모두 모아 회전형 진공농축기로 농축하여 수포화 부탄올 농축물 180g를 수득하였고, 부탄올 농축물 90g를 전개용매 클로로포름 : 메탄올 : 물 = 7 : 3 : 1(하층)을 사용하여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80㎖씩 소분하였다(580g, 8×70㎝, Merck, Art 7734, 독일). 소분한 4,080~13,600㎖의 용액에 10% 황산에서 자색으로 발색되는 누룩치의 주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농축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실리카 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순상에서 얻어진 누룩치의 주성분인 조 사포닌을 전개용매 메탄올 : H2O = 7 : 3으로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하였다(95g, 5×70 ㎝, YMC gel ODS). 소분한 450~2,750㎖ 까지 모아 농축하여 동일조건의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2회 더 실시하여 순수 분리된 표 1, 표 2 및 하기 물성치를 갖는 화학식 (1)의 부들레자사포닌 Ⅳ 4g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5073395916-PAT00002
(1)
1)m.p. 245-249℃ ;
2)[α]D -6.10° (isopropyl alcohol, c=0.005) ;
3)IR max(cm-1): 3100-3500 (OH), 2929 (CH), 1454, 1362, 1363, 1000-1100 (glycosidic C-O), 906 ;
4)FABMS(positive): m/z 965.3 [M+Na]+
1H-NMR 데이터 (pyridine-d5, 500 MHz)
위치 ppma
아글리콘 부분(Aglycone moiety) 3 11 12 16 23A 23B 24 25 26 27 28A 28B 29 30 퓨코스 부분(Fucose moiety) 1' 글루코스 부분(Glucose moiety) (퓨코스의 C-2에 연결) 1'' 글루코스 부분(Glucose moiety) (퓨코스의 C-3에 연결) 1''' 4.13(1H, dd, J=12.5, 4.0 ㎐) 5.97 (1H, br. d, J=10.0 ㎐) 5.64(1H, dd, J=10.0, 2.5 Hz) 4.49(1H, dd, J=10.0, 6.0 Hz) 3.70 (1H, d, J=11.0 Hz) 4.36 (1H, d, J=11.0 ㎐) 1.06(3H, s) 0.97(3H, s) 1.38 (3H, s) 1.10 (3H, s) 3.30 (1H, d, J=7.0 ㎐) 4.37 (1H, d, J=7.0 ㎐) 0.94 (3H, s) 0.90 (3H, s) 4.91 (1H, d, J=8.0㎐) 5.56 (1H, d, J=8.0㎐) 5.27(1H, d, J=8.0 Hz)
13C-NMR 데이터 (pyridine-d5, 125 MHz)
위치 ppm 위치 ppm
아글리콘 부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9.0 26.4 82.9 44.2 48.2 18.1 32.0 42.6 53.5 36.9 132.6 131.5 84.4 46.0 36.6 64.5 47.4 52.5 38.1 32.0 35.1 26.2 65.0 13.1 19.1 20.4 21.2 73.4 24.2 34.0 퓨코스 부분 1' 2' 3' 4' 5' 6' 글루코스 부분 (퓨코스의 C-2에 연결) 1'' 2'' 3'' 4'' 5'' 6'' 글루코스 부분 (퓨코스의 C-3에 연결) 1''' 2''' 3''' 4''' 5''' 6''' 104.5 77.6 85.2 72.4 70.9 17.6 104.4 76.7 79.2 72.6 77.9 63.5 105.6 75.8 78.8 72.0 78.9 62.9
실시예 2. 부들레자사포닌 IV 로부터 사이코게닌 A( saikogenin A)의 분리
부들레자사포닌 IV(400㎎)를 H2O-MeOH(9:1)에 녹이고 5% HCl, 80㎖를 가하여 3시간동안 환류(reflux)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EtOAc)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액을 증류수로 씻고 농축하여 가수분해 산물 120㎎을 수득하였다. 가수분해 산물을 클로로포름 : 메탄올 : 물(90 : 7 : 1, 하층)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고 ODS 박층 크로마토그래피(ODS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사이코게닌 A를 분리하였다.
사이코게닌 A (3β,16β,23,28-terahydroxyolean-11,13(18)-diene):
1)m.p. 288-290C ;
2)[α]D 23 37.6°(c=0.85, ethanol) ;
3)MS m/z(%): 472 (M+) ;
4)1H-NMR(500 MHz, pyridine-d 5) 및 13C-NMR(125 MHz, pyridine-d 5) 데이터는 문헌 참조(Shibata et al., Tetrahedron Letters, 42, pp.3783-3788, 1965).
실험예 1. 사람 대장암 세포에서 부들레자사포닌 IV 의 세포독성 ( cytotoxicity ) 측정 시험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HT-29 세포를 5x103개씩 넣고 1%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을 포함하는 10% FBS(fetal bovine serum)-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부들레자사포닌 Ⅳ가 포함된 배지를 200㎕씩 가하였다. 부들레자사포닌 Ⅳ는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인 후 혈청(serum)이 없는 DMEM 배지로 일정농도가 되게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배지 내의 DMSO의 농도는 0.1%가 되도록 하였다.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5㎎/㎖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웰당 20㎕씩 첨가하여 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지 및 MTT 용액을 완전히 제거한 후 DMSO를 200㎕씩 넣고 37℃에서 20분 배양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부들레자시포닌 IV를 포함하지 않은 배지를 가한 웰)의 흡광도에 대한 부들레자사포닌 Ⅳ를 포함한 배지를 가한 웰의 흡광도의 백분율(수학식 1)로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 = (시료를 포함한 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부들레자사포닌 IV (μM) 흡광도(4회 측정) 흡광도(평균값) 세포 생존율 (%)
0 0.861 0.848 0.858 0.856 0.856±0.007 100
0.01 0.931 0.884 0.912 0.909 0.909±0.023 106.19
0.05 0.839 0.870 0.807 0.839 0.839±0.032 98.01
0.1 0.843 0.842 0.831 0.839 0.839±0.007 98.01
0.5 0.815 0.808 0.813 0.812 0.812±0.004 94.86
1 0.842 0.806 0.725 0.791 0.791±0.060 92.41
2 0.683 0.644 0.636 0.654 0.654±0.025 76.40
3 0.354 0.328 0.338 0.340 0.340±0.013 39.72
4 0.171 0.154 0.176 0.167 0.167±0.012 19.51
5 0.149 0.149 0.163 0.154 0.154±0.008 17.99
10 0.160 0.164 0.180 0.168 0.168±0.011 19.63
대장암세포에 부들레자사포닌 Ⅳ를 2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용량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도 1에 나타내었다(IC50 : 2.73μM).
실험예 2. 대장암 세포에서 부들레자사포닌 Ⅳ가 DNA 분절능에 미치는 영향 시험
부들레자사포닌 IV가 대장암세포에서 세포자살을 유도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자살시 관찰되는 특징인 DNA 분절능(DNA Fragmentation)을 아가로즈 젤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60π 세포배양 디쉬에서 2×106개의 세포를 1%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을 포함하는 10% FBS-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부들레자사포닌 Ⅳ가 포함된 배지를 5㎖씩 가하였다. 부들레자사포닌 Ⅳ는 DMSO에 녹인 후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0, 4, 5, 6μM이 되게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2시간이 지난 후에 세포를 스크래퍼(scraper)로 떼어낸 후 원심 분리 하였다(1500rpm, 3분, 4℃). 상등액을 버린 후 1㎖의 PBS로 세포를 잘 현탁시켜 10000rpm, 10분, 4℃에서 다시 세포를 원심분리 하였다. 상등액 900㎕는 버리고 남은 100㎕의 상등액으로 세포를 잘 현탁시킨 후 500㎕의 용해 완충액(0.6% SDS, 10mM EDTA(pH7.5)) 및 5M의 NaCl을 100㎕씩 넣고 4℃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15000rpm, 4℃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얻은 후 10㎎/㎖의 RNase를 3㎕씩 넣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페놀:클로로포름:이소아밀알코올(Phenol:chroloform:isoamylalcohol=25:24:1)을 500㎕ 씩 넣고 조심스럽게 섞어 준 후 15000rpm, 10분, 4℃로 원심분리 하였다. 투명한 상등액만 조심스럽게 다른 튜브로 옮긴 후 상기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였다. 70% 에탄올을 1㎖ 넣고 하루 동안 반응시킨 다음 15000rpm, 10분, 4℃로 원심분리 하여 공기 중에서 말렸다. 18㎕의 완충액(Tris-EDTA buffer)으로 녹이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다음 1.2% 아가로즈 젤에서 전기영동하여 DNA 분절능을 확인하였다.
대장암세포에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2시간 동안 처리했을 때 4μM 농도에서는 DNA가 거의 분절되지 않았으나 5, 6μM의 농도에서는 DNA가 분절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도 2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부들레자사포닌 Ⅳ가 대장암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대장암 세포에서 부들레자사포닌 IV NAG -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시험
사람 대장암 세포주인 HT-29 세포에서, 항암 효과가 있고 아폽토시스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진 NAG-1(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activated gene)의 발현이 부들레자사포닌 IV에 의해 증가되는지 조사하였다.
100π 세포배양 디쉬에 1%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을 포함하는 10% FBS-DMEM 배지에서 세포를 80% 내지 90% 정도 가득 차게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부들레자사포닌 IV가 포함된 배지를 10㎖씩 가하였다. 부들레자사포닌 IV는 DMSO에 녹인 후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최종농도가 0, 4, 5, 6μM이 되게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배지 내의 DMSO의 농도는 0.1%가 되도록 하였다. 2시간이 지난 후에 세포를 스크랩퍼(scraper)로 떼어낸 후 원심분리 하였다(1500rpm, 3분,4℃). 상등액을 버린 후 PBS로 다시 한번 세포를 잘 현탁하여 원심분리한 후(10000rpm, 10분, 4℃) 상등액을 버리고 용해 완충액을 200㎕씩 넣고 4℃에서 4시간 이상 방치하였다. 15000rpm, 10분, 4℃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 모아 단백질을 정량(Pierce-BCA protein assay)한 후 12% 아크릴아마이드 젤(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PVDF(Poly vinyl difluoride) 트랜스퍼 막(transfer membrane)으로 옮긴 다음 NAG-1에 대한 1차 항체(anti-NAG-1), 2차 항체(goat anti-rabbit IgG-horseradish peroxidase)를 차례대로 붙이고 화학발광시약(chemiluminescence reagents) A와 B를 1:1로 섞어 1분 동안 반응시킨 후 X-ray 필름에 노출시켜 그 발현양을 관찰하였다.
세포를 2시간 동안 4, 5, 6μM의 부들레자사포닌 IV로 처리했을 때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용량 의존적으로 NAG-1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실험예 4. 부들레자사포닌 IV 의 암전이 억제 효능 시험
생쥐 대장암 세포주인 CT-26 세포를 1%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을 포함하는 10% FBS-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실험동물은 Balb/c(4주령, 수컷)를 사용하였으며, (주)오리엔트(한국, 경기도 가평)에서 분양받은 후 1주일 동안 적응시켜(22±2℃, 12h light/dark cycle) 실험하였다. 각 그룹당 3마리의 생쥐를 사용하였고 독립적으로 2회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CT-26 세포를 칼슘과 마그네슘이 없는 살린(phosphate-buffered saline)에 5×105 세포/㎖로 잘 현탁시킨 후, 200㎕씩 꼬리 정맥으로 주입하였다. 부들레자사포닌 IV는 에탄올 : 트윈20(tween 20) : PBS(=1:1:8)을 용매로 하여 녹이고, CT 26 세포를 정맥주사하기 30분 전과 후 2주 동안 하루에 한번씩 0, 0.01, 0.1, 1, 2㎎/㎏(체중 1㎏당)가 되게 복강 주사하였다. 생쥐를 희생시킨 후 폐를 떼어내 무게를 측정한 다음, 보우인(Bouin) 용액으로 염색하여 해부현미경으로 폐에 생긴 종양결절(tumor nodule)의 수를 세었다.
Balb/c 생쥐의 꼬리 정맥으로 생쥐 대장암 세포인 CT-26 세포를 주입하면 암세포가 폐로 전이되어 폐에서 암세포가 증식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부들레자사포닌 IV가 대장암 세포에 의한 폐전이(lung metastasis)를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부들레자사포닌 IV를 매일 생쥐에 복강주사 한 군에서 폐 전이가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폐를 떼어내서 관찰한 결과, 부들레자사포닌 IV를 투여하지 않고 대장암 세포만을 꼬리정맥으로 주입한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부들레자사포닌 IV를 매일 복강 주사한 군에서 종양결절의 크기가 더 작을 뿐만 아니라 종양결절의 수도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여 표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대장암 세포가 전이되어 현저히 증가된 폐의 무게도 부들레자사포닌 IV를 투여한 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쥐 대장암 세포로 유도된 폐전이 모델에서 부들레자사포닌 IV의 종양결절 생성 및 폐의 무게 증가에 대한 억제 효과
부들레자사포닌 IV (㎎/㎏, 체중 당 투여량) 전이가 일어난 폐의 무게(g) 종양결절(tumor nodule) 의 수 암전이 억제능 (%)
배지+용매 0.17 ± 0.01 0
CT26 세포 0.57 ± 0.03 462 ± 7.8
CT26 세포+부들레자사포닌Ⅳ 0.01 0.57 ± 0.73 396 ± 25.1 14.1
CT26 세포+부들레자사포닌Ⅳ 0.1 0.53 ± 0.03 303 ± 5.0 34.3
CT26 세포+부들레자사포닌Ⅳ 1 0.57 ± 0.18 302 ± 6.5 34.5
CT26 세포+부들레자사포닌Ⅳ 2 0.38 ± 0.04 212 ± 16.3 52.9
실험예 5. 대장암 세포의 폐전이 동물모델에서 부들레자사포닌 IV 부들레자사포닌 IV 비당부(aglycon)인 사이코게닌 A의 효능 비교 시험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들레자사포닌 IV은 1.0, 2.0㎎/㎏(체중 1㎏ 당), 사이코게닌 A는 체중 1㎏당 1.0 ㎎/㎏로 복강 주사하였다.
실험결과, 비당부(aglycon)인 사이코게닌 A보다 배당체인 부들레자사포닌 IV가 더 뛰어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용량 (㎎/㎏ 체중 1㎏당 투여) 전이가 일어난 폐의 무게(g) 종양결절(tumor nodule) 의 수 암전이 억제능 (%)
배지+용매 0.16 ± 0.01 0
CT26 세포 0.57 ± 0.03 462 ± 7.8
CT26 세포+BS Ⅳ 1 (1 μmol) 0.57 ± 0.18 302 ± 6.5 34.5
CT26 세포+BS Ⅳ 2 (2 μmol) 0.38 ± 0.04 212 ± 16.3 52.9
CT26 세포+SA 1 (2 μmol) 0.53 ± 0.04 345 ± 14 25.4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부들레자사포닌 IV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부들레자사포닌 IV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부들레자사포닌 IV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부들레자사포닌 IV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부들레자사포닌 IV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부들레자사포닌 IV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 (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인 부들레자사포닌 IV는 누룩치(Pleurospermum camtschaticum)로부터 분리한 것으로서 사람 대장암 세포 생존률 감소효과, 사람 대장암 세포의 DNA분절 효과, 대장암 세포에서 NAG-1발현 증가효과를 나타내어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며 대장암 세포의 폐전이 동물모델에서의 암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도하며, 암 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하기 화학식 (1)의 부들레자사포닌 Ⅳ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Figure 112005073395916-PAT00003
    (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누룩치(Pleurospermum camtschaticum)로부터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1항 있어서, 상기 암질환은 위암, 결장암, 유방암, 폐암, 비소세포성폐 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인 약학조성물.
  4. 암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제 1항의 부들레자사포닌 Ⅳ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50123805A 2005-02-25 2005-12-15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24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16150 2005-02-25
KR1020050016150 2005-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843A true KR20060094843A (ko) 2006-08-30
KR100724290B1 KR100724290B1 (ko) 2007-06-04

Family

ID=376025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805A KR100724290B1 (ko) 2005-02-25 2005-12-15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50123804A KR100648617B1 (ko) 2005-02-25 2005-12-15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804A KR100648617B1 (ko) 2005-02-25 2005-12-15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724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5867B (zh) * 2021-01-05 2022-02-08 中国农业大学 垫状棱子芹在杀螨杀虫方面的用途及其生物防治药剂和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617B1 (ko) 2006-11-23
KR100724290B1 (ko) 2007-06-04
KR20060094842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1747C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ervical cancer including gypenoside lxxv
KR100465113B1 (ko)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조성물
KR102132525B1 (ko) 관동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투실라곤 화합물을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16191B1 (ko) 제주 재래 감귤인 팔삭, 당유자 또는 이예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128920B1 (ko) 지페노사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675930B1 (ko) 겨우살이, 갈근, 및 산수유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0874778B1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673574B1 (ko) 향나무로부터 분리된 세드롤을 함유하는 암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24290B1 (ko) 누룩치로부터 분리된 부들레자사포닌 ⅳ을 함유하는 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90799B1 (ko) 대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리신을 포함하는 식품
KR100784628B1 (ko) 암 세포의 사멸작용을 갖는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ㆍ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215797B1 (ko)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01607B1 (ko) 토포아이소머라제 i 저해 활성을 갖는 구지뽕나무로부터분리된 쿠드라플라바논 a를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102515226B1 (ko) 풋귤 및 검정무의 혼합발효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189959B1 (ko)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6592A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070111335A (ko) 신규한 흑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220075860A (ko) 해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71954A (ko) 혈관신생 억제활성을 갖는 사간 추출물 및 이로부터분리된 텍토리게닌 및 텍토리딘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047502A (ko) 개면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3343B1 (ko)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테모졸로마이드의 항암활성 증진용 조성물
KR101553059B1 (ko) 사마플라이신 화합물 또는 해면동물 수베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30084852A (ko) 직장암에 대한 신보조화학방사선요법에서 미슬토 추출물의 종양 감축 용도
KR20220144778A (ko)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189684B1 (ko) 퀴논 산화환원효소 유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