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694A -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694A
KR20060094694A KR1020050016070A KR20050016070A KR20060094694A KR 20060094694 A KR20060094694 A KR 20060094694A KR 1020050016070 A KR1020050016070 A KR 1020050016070A KR 20050016070 A KR20050016070 A KR 20050016070A KR 20060094694 A KR20060094694 A KR 20060094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drum
steam
water
out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071B1 (ko
Inventor
박석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071B1/ko
Priority to PCT/KR2005/004483 priority patent/WO2006090973A1/en
Priority to CN200580048744XA priority patent/CN101133202B/zh
Priority to AU2005328033A priority patent/AU2005328033B2/en
Priority to EP05822074.0A priority patent/EP1851374B1/en
Priority to ES05822074.0T priority patent/ES2526091T3/es
Priority to US11/629,391 priority patent/US8108959B2/en
Publication of KR2006009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3Control of cleaning or disinfection of washing machine parts, e.g. of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적은량의 세척수 및 낮은 전력 소모로도 아웃터브 및 드럼 등의 조 세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새로운 조세척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 스팀 공급부를 동작시켜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급수하는 단계; (나) 상기 공급된 스팀 및 상기 급수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조세척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다)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재급수하는 단계; (라) 순환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아웃터브 내에 급수된 세척수가 아웃터브 내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마)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척수를 최종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槽)세척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세탁 장치, 스팀 공급부, 조세척

Description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operating method in Washing machine}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한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한 또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컨트롤패널을 나타낸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11. 투입구
112. 림부 120. 아웃터브
121. 배수유로 130. 드럼
131. 통공 140. 도어
150. 온도센서 151. 커버
160. 순환펌프 170. 순환유로
180. 컨트롤패널 190. 컨트롤부
210. 발열부 220. 스팀 공급관
221. 개폐밸브 230. 분사노즐
본 발명은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량의 세탁수 소모 및 낮은 전력 소모로 드럼의 살균 및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세탁장치용 드럼 세척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장치는 드럼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펄세이터 세탁기와, 상기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세탁기로 크게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세탁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이 수평방향으로 눕혀져 있기 때문에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낙하 방식으로써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도시한 도 1 및 도 2는 전술한 드럼 세탁기의 종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 내고 있다.
즉, 상기 드럼 세탁기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에 장착된 아웃터브(20)와, 상기 아웃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드럼(30)과, 상기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의 주변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4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터브(20)는 그 외측 둘레면의 양측 저부에 댐퍼(21)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 내에서 지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아웃터브(20)의 내측 저부에는 세탁수용 히터(60)가 구비되어 세탁에 사용되는 세탁수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30)은 상기 아웃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둘레면으로는 세탁수의 유입/유출을 위한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수단은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력을 상기 드럼(30)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벨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드럼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세탁물과 일정량의 세제를 드럼(30)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컨트롤러(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시간동안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이 자동으로 진행되면서 상기 세탁물에 대한 세탁이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의 세탁 장치는 그 종류에 상관없이 세탁시 의류에서 빠진 오염물과 세제, 유연제 찌꺼기 및 그 혼합물이 드럼(30)의 내·외측벽 및 아웃터브(20) 내벽에 잔류하게 되고, 이러한 조(槽;드럼 및 아웃터브)의 오염에 기인하여 세탁시 세탁물의 재오염이 야기되어 위생면에 있어서 기기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 오염시 오염물에 기생하는 곰팡이등의 세균에 의해 냄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도 위생면에 있어서의 기기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조 세척코스가 개발되었으며, 상기 조 세척코스에 의해 드럼(30)의 내·외측벽 및 아웃터브(20) 내벽에 잔류하는 각종 오염물이 제거되도록 하여 재오염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 조 세척코스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 세척을 수행하여야 되는 시기가 되어 조 세척코스를 선택하게 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아웃터브(20) 및 드럼(30)의 내부로 조 세정용 세제와 함께 세척수(수돗물)가 대략 세탁 행정시의 수위와 동일한 정도로 공급된다.
이 때에는, 상기 드럼(30)이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세척 행정이 진행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아웃터브(20)의 내벽면 및 드럼(30)의 내·외벽면에 잔류하는 각종 오염물이 분리되고, 계속해서 상기 아웃터브(20) 및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의 배수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분리된 오염물을 배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과정이 완료되면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세척수를 상기 아웃터브(20) 및 드럼(30)의 내부로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드럼(30)을 회전시켜 헹굼 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상기 헹굼 행정이 완료되면 최종 배수 후 탈수 행정을 수행함으로써 조 세척코스가 종료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 세척코스는 최초의 세척 행정 뿐만 아니라 헹굼 행정시 사용되는 세척수의 양이 과도하게 많기 때문에 물과 전력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조 세척코스의 초기 과정은 장시간 동안 드럼이 세척수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만 아웃터브(20) 및 드럼(30)에 붙은 오염물의 분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세척수가 필요시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세척수의 온도는 높지 않기 때문에 상기 드럼(30)을 세척수에 잠긴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이 길어야만 상기 오염물의 분리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해당 코스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 역시 가진다.
물론, 드럼(30)의 내부 온도를 충분히 높여주어 아웃터브(20) 및 드럼(30)의 세척을 위한 조건이 최적화된다면 세척수의 공급량을 적게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드럼(30) 내부의 온도 상승을 위해 히터(도시는 생략됨)의 발열이 오랜 시간동안 이루어져야만 함으로써 과도한 전력 소모로 인해 실효를 얻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대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량의 세척수 및 낮은 전력 소모로도 아웃터브 및 드럼 등의 조 세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세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세척 운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 장치는 아웃터브가 내설된 본체; 상기 아웃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 공급부; 상기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며, 스팀을 이용한 조세척 모드의 선택을 위한 선택부를 가지는 컨트롤패널;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과 연계되게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패널를 통해 조세척 모드의 선택 발생시 조세척 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팀 공급부 및 상기 온도센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세탁 장치에는 상기 아웃터브 내로 급수된 세척수의 배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동작되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가 상기 아웃터브 내부의 드럼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순환유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세척 운전 방법은 (가) 스팀 공급부를 동작시켜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급수하는 단계; (나) 상기 공급된 스팀 및 상 기 급수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조세척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다)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재급수하는 단계; (라) 순환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아웃터브 내에 급수된 세척수가 아웃터브 내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마)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척수를 최종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세척 운전 방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3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 장치는 크게 본체(110)와, 아웃터브(120)와, 드럼(130)과, 스팀 공급부와, 온도센서(150)와, 순환펌프(160)와, 순환유로(170)와 컨트롤패널(180)과, 컨트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드럼식 세탁기를 그 실시예로 한다.
이 때, 상기 본체(110)는 드럼 세탁기의 외관을 이루면서 그 전면에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브(120)는 상기 본체(110) 내에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가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40)가 장착되며, 상기 투입구(111)의 내측 둘레면으로는 상기 도어(140)와 상기 투입구(111) 간의 밀폐를 위한 림부(112)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브(120)의 하단에는 세척수(혹은,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유로(12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30)은 상기 아웃터브(12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의 투입구(111)를 향하여 개구된 측이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이 때, 상기 드럼(13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통공(131)이 형성되어 아웃터브(120) 내로 공급되는 세척수 및 스팀이 상기 드럼(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 공급부는 상기 아웃터브(120) 및/혹은, 드럼(130) 내부로 소정량의 스팀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한 스팀 공급부는 고온의 열기로 물을 증기화하여 상기 아웃터브(120) 및/혹은, 드럼(130) 내로 제공하도록 설치되며, 고온의 열기를 제공하여 물을 증기화하는 발열부(210) 및 상기 발열부(210)에 의해 증기화된 스팀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스팀 공급관(22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팀 공급부는 상기 스팀 공급관(220)을 통해 유동하는 스팀을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130) 내부로 발산하는 분사 노즐(23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분사 노즐(230)은 스팀의 원활한 발산이 가능하도록 노즐(nozzle)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스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상기 분사 노즐(230)의 끝단은 아웃터브(120) 내부를 향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첨부된 도 4와 같이 상기 스팀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분사 노즐(230)의 끝단을 림부를 관통하여 드럼(130)의 내부와 직접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스팀 공급부는 선택적인 스팀의 발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스팀 공급관(220)의 관로 상에 그 관로의 개폐를 위한 개폐밸브(22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센서(150)는 아웃터브(120) 내의 어느 한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온도센서(150)에 의해 센싱되는 온도는 스팀 공급부의 동작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특히, 상기 온도센서(150)는 그 정확한 온도의 센싱을 위해 상기 스팀 공급부에 의해 아웃터브(120) 내부로 제공되는 스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센서(150)의 둘레측 중 상기 스팀이 분사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측 및 상부 둘레측에는 별도의 커버(151)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160)는 상기 아웃터브(120)에 연결된 배수유로(121)상에 구비되며,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로 급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순환시키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유로(170)는 상기 순환펌프(160)와 연결되며, 상기 순환펌프(160)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의 순환 유동을 안내하는 관로이다.
이 때, 상기 순환유로(170)의 끝단인 세척수가 토출되는 측은 림부(112)를 관통하여 드럼(130)의 내측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순환유로(170)의 끝단인 세척수가 토출되는 측은 아웃터브(120)를 관통하여 드럼(130)의 외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180)은 상기 본체(110)의 외면에 구비되며, 스팀을 이용한 조세척 모드의 선택을 위한 선택부(181)를 가진다.
이 때, 상기 선택부(181)는 첨부된 도 7과 같이 회전되면서 각 운전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놉(Rotary Knob)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선택버튼을 추가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는 조세척 모드는 기존의 세척수로만 수행되는 조세척 모드 및 스팀을 이용한 조세척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190)는 상기 컨트롤패널(180) 및 상기 온도센서(150)와 연계되게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패널(180)을 통해 조세척 모드의 선택 발생시 조세척 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팀 공급부 및 상기 온도센서(15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컨트롤부(190)는 해당 세탁 장치의 여타 구성 요소 예컨대, 모터, 급수밸브 등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드럼식 세탁기의 구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세척 운전 방법을 첨부된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컨트롤부(190)는 컨트롤패널(180)과 연계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패널(180)의 선택부(181)를 통해 입력되는 내용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팀을 이용한 조세척 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짐으로 확인된다면 상기 컨트롤부(190)는 스팀 공급부를 동작시켜 아웃터브(120) 및/ 혹은, 드럼(13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급수한다.
이 때, 상기 스팀은 발열부(210)의 발열에 의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스팀은 스팀 공급관(220) 및 분사노즐(23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기 아웃터브(120) 및/혹은, 드럼(130)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의 과정에서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드럼(130)의 최하단측 표면이 닿을 수 있을 정도의 수위로 설정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세척수의 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세척수의 양이 최소화되더라도 세척 효과가 향상될 수 있음은 스팀으로 인해 아웃터브(120)의 내부가 고온 다습한 환경을 이루기 때문에 단시간 내에 드럼(130)의 내·외벽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이 원활히 분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오염물의 분리를 위해 드럼(130) 전체를 세척수에 장시간 동안 잠기도록 동작됨에 따라 발생되는 세척수 낭비 및 시간 낭비는 해결된다.
또한, 전술한 급수가 진행되는 도중 컨트롤부는 드럼(130)이 계속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상기 드럼(130)은 세탁 행정시의 회전 속도에 비해 느린 속도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드럼(130)의 회전 속도가 세탁 행정시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복적으로 좌우 반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 다.
하지만, 해당 행정이 조세척을 위한 행정임을 고려할 때 고온의 스팀이 드럼(130)의 표면에 붙은 오염물과 충분히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세척수에 의한 상기 드럼의 적심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럼(130)이 느린 속도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함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실질적인 조세척 행정을 진행한다.
이 때, 상기 조세척 행정은 상기 드럼(130)을 소정 시간동안 정상적인 회전 속도 즉, 일반적인 세탁 행정시와 동일한 회전 속도로 좌우 반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상기 스팀이 이루는 고온의 열기와 상기 스팀이 가지는 수분에 의해 아웃터브(120) 및/혹은, 드럼(130) 내부를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드럼(130)의 계속적인 회전을 통해 조세척 행정이 수행(S130)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드럼(130)은 전술한 스팀의 공급 및 세척수의 급수시 회전 속도에 비해서는 빠르되 일반적인 세탁 행정시의 드럼 회전 속도와 대략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반복적으로 좌우 반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드럼(130)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드럼(130)의 계속적인 회전은 상기 드럼(130)의 전체 부위에 고른 스팀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균일한 살균 및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 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드럼(130)의 내·외벽면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세척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로 공급되는 스팀은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대의 범위에 도달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설정 온도대의 범위라 함은 대략 60℃∼100℃ 사이의 범위이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아웃터브(120)의 내벽면이나 드럼(130)의 내·외벽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등이 살균될 수 있는 정도의 온도 즉, 80℃ 이상의 온도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아웃터브(120)의 내벽면이나 드럼(130)의 내·외벽면에 붙은 오염물이 원활히 분리될 수 있는 온도인 60℃ 이상의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일, 아웃터브(120) 및/혹은, 드럼(130)의 내부가 전술한 온도 범위대에 도달되면 스팀 공급부의 동작 중단(S140) 즉, 발열부(210)의 발열이 중단된다.
물론, 상기 스팀 공급부의 동작이 중단되더라도 아웃터브(120) 및/혹은, 드럼(130)의 내부는 조세척을 위한 바람직한 환경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드럼(130)의 지속적인 회전으로 조세척 행정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아웃터브(120) 및 드럼(130)에 대한 조세척 행정이 완료되면, 드럼(130)의 회전이 중단됨과 더불어 상기 아웃터브(120) 내의 스팀에 의해 발생된 물기 즉, 오염물이 함유된 세척수의 배수(S150)가 이루어진 다.
물론, 상기 오염물이 함유된 세척수의 양은 많지 않기 때문에 그 배수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후 행정이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배수가 완료되면 컨트롤러에 의해 아웃터브(120)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가 급수(S160)된다.
이 때, 상기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는 첨부된 도 10과 같이 순환펌프(16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세척수의 순환이 가능할 정도의 수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설정된 시간이라 함은 상기 세척수를 이용하여 아웃터브(120) 및 드럼(130)의 헹굼을 위한 세척 행정이 이루어지는 시간이다.
또한, 전술한 급수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드럼(130)이 계속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드럼(130)의 표면에 잔류하는 오염물이 씻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드럼(130)의 회전 속도는 세탁 행정시의 회전 속도에 비해 느린 속도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드럼(130)의 회전 속도가 세탁 행정시의 회전 속도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복적으로 좌우 반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해당 행정이 헹굼을 위한 행정임을 고려할 때 드럼(130)의 표면에 붙은 오염물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도록 느린 속도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 어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의 급수가 완료되면 드럼(130) 및 아웃터브(120)의 잔류 오염물에 대한 세척 즉, 실질적인 헹굼 행정이 진행된다.
이 때, 상기 헹굼 행정은 순환펌프(16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순환펌프(16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아웃터브 내로 급수된 세척수의 펌핑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펌핑된 세척수는 순환유로(170)를 따라 유동되면서 드럼(130)의 내부를 향해 분사(S170)됨으로써 드럼(130)의 내벽면 잔류하는 오염물에 대한 헹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헹굼 행정시에도 드럼(130)의 회전 제어가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드럼(130)은 소정 시간동안 정상적인 회전 속도 즉, 일반적인 세탁 행정시와 동일한 회전 속도로 좌우 반전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실질적인 헹굼 행정이 진행(S180)된다.
상기에서 소정 시간이라 함은 스팀을 이용한 조세척 행정 시간에 비해 짧은 시간이며, 대략 3분 내지 7분 이내의 시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한 드럼(130)의 회전 및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드럼(130)의 내·외벽면에 대한 헹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헹굼 행정의 진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된다면 상기 드럼(130)의 회전이 중지됨과 더불어 순환펌프(160)의 동작이 중단되고, 계속해서 상기 아웃터브(120) 내부의 세척수가 배수(S190)됨으로써 조세척 모드가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 헹굼 행정이 완료된 후 세척수의 배수를 통해서만 조세척 모드 가 완료된다면 드럼(130)의 벽면 및 아웃터브(120)의 벽면에 미량의 오염물이 잔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세척수의 배수가 완료될 경우 드럼(130)을 고속 회전시켜 상기 드럼(130) 내에 잔존하는 오염물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는 최종 탈수 행정을 더 진행(S200)함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아웃터브(120) 내벽면에 잔존하는 미량의 오염물은 상기 드럼(130)의 고속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의 외부로 분출되는 세척수에 씻겨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세척 모드의 운전 방법은 굳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과정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각 행정 중 스팀에 의한 조세척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 순환펌프의 구동 제어를 통해 드럼 내부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헹궁 행정이 진행되는 도중 스팀 발생부를 제어하여 드럼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사상은 전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지는 않을 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은 드럼식 세탁기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펄세이터형 세탁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운전 방법은 조세척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스팀을 이용하여 드럼 내부가 고온 다습한 환경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으로부터 오염물이 쉽게 분리되며, 이로 인해 세척수의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운전의 진행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4)

  1. 아웃터브가 내설된 본체;
    상기 아웃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 공급부;
    상기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 구비되며, 스팀을 이용한 조세척 모드의 선택을 위한 선택부를 가지는 컨트롤패널;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계되게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해 조세척 모드의 선택 발생시 조세척 운전을 수행하도록 상기 스팀 공급부 및 상기 온도센서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브 내로 급수된 세척수의 배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동작되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가 상기 아웃터브 내부의 드럼을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순환유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의 끝단인 세척수가 토출되는 측은
    상기 드럼의 내측 벽면을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
  4. (가) 스팀 공급부를 동작시켜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급수하는 단계;
    (나) 상기 공급된 스팀 및 상기 급수된 세척수를 이용하여 조세척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다) 상기 아웃터브 내부로 소정량의 세척수를 재급수하는 단계;
    (라) 순환펌프를 동작시켜 상기 아웃터브 내에 급수된 세척수가 아웃터브 내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헹굼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
    (마) 상기 아웃터브 내의 세척수를 최종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槽)세척 운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아웃터브 및/혹은, 드럼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될 때까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온도는 60℃∼100℃ 사이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 및 (나)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에는
    드럼이 계속적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에서의 드럼의 회전 속도는
    일반적인 세탁 행정시의 드럼 회전 속도에 비해 느린 속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의 드럼의 회전 속도는
    상기 (가) 단계에서의 드럼의 회전 속도에 비해서는 빠르되 일반적인 세탁 행정시의 드럼 회전 속도와 대략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어되거나 혹은, 반복적으로 좌우 반전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 단계에서 진행되는 헹굼 행정은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은
    상기 (나) 단계에 비해 짧은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시간은 3분 이상 7분 이내의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가 완료될 경우 드럼을 고속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에 잔존하는 오염물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하는 최종 탈수 행정이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KR1020050016070A 2005-02-25 2005-02-25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KR10117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070A KR101176071B1 (ko) 2005-02-25 2005-02-25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PCT/KR2005/004483 WO2006090973A1 (en) 2005-02-25 2005-12-22 Washing a tub or a drum in a washing machine
CN200580048744XA CN101133202B (zh) 2005-02-25 2005-12-22 清洗洗衣机中的洗衣桶或滚筒
AU2005328033A AU2005328033B2 (en) 2005-02-25 2005-12-22 Washing a tub or a drum in a washing machine
EP05822074.0A EP1851374B1 (en) 2005-02-25 2005-12-22 Method for washing a tub or a drum in a washing machine
ES05822074.0T ES2526091T3 (es) 2005-02-25 2005-12-22 Procedimiento para lavar una cuba o un tambor de una lavadora
US11/629,391 US8108959B2 (en) 2005-02-25 2005-12-22 Washing a tub or a drum in a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070A KR101176071B1 (ko) 2005-02-25 2005-02-25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694A true KR20060094694A (ko) 2006-08-30
KR101176071B1 KR101176071B1 (ko) 2012-08-24

Family

ID=3760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070A KR101176071B1 (ko) 2005-02-25 2005-02-25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74B1 (ko) * 2008-04-02 2014-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청소 운전 제어 방법
WO2021002720A1 (ko) * 2019-07-04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129B1 (ko) 2015-04-27 2022-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1814A1 (de) * 1996-12-06 1998-06-10 Heiko Wolff Waschmaschi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774B1 (ko) * 2008-04-02 2014-11-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청소 운전 제어 방법
WO2021002720A1 (ko) * 2019-07-04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10004337A (ko) * 2019-07-04 202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1952697B2 (en) 2019-07-04 2024-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071B1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335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RU2303667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бака для стирки (варианты)
KR100763386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EP1555339A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102962A (ko) 증기분사식 드럼세탁기의 세탁방법
KR100672322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US8365333B2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8007665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160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29646A (ko) 스팀 컨벡션 오븐의 자동세척 시스템
KR100848908B1 (ko) 세탁 장치
KR100698304B1 (ko) 드럼 세탁기의 세척조 세정 방법
KR20080081521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88274A (ko) 세탁기의 운전방법
KR101176071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KR100606801B1 (ko) 세탁 장치의 리프레쉬 운전을 위한 제어 방법
KR100672590B1 (ko) 세탁 장치의 세탁 방법
KR101176070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KR100672323B1 (ko) 세탁 장치의 조세척 운전 방법
JP2014223130A (ja) 洗濯機
KR101033588B1 (ko) 세탁기의 운전 방법
KR101552831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10004337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721132B1 (ko) 세탁기
KR101095552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