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376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376A
KR20060093376A KR1020050014079A KR20050014079A KR20060093376A KR 20060093376 A KR20060093376 A KR 20060093376A KR 1020050014079 A KR1020050014079 A KR 1020050014079A KR 20050014079 A KR20050014079 A KR 20050014079A KR 20060093376 A KR20060093376 A KR 20060093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heat
driving circuit
display pan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3376A/ko
Publication of KR2006009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5Automatic devices with doors or lids activated by the animals to access feeding place or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2Pumps actuated by the drinking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소자들 중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의 주변 부품들에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보다 빨라지게 하는 소정 형상을 부가하여 단위 시간 동안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를 냉각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증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및 기부 및 상기 기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가지고, 상기 기부에서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와 결합되며,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히트싱크들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방열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방열 구성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방열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방열 구성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방열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방열 구성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방열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후방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5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110 : 케이스 12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0 : 섀시 베이스
141, 142, 143, 144, 145 : 구동회로기판
150 : 팬 155 : 발열소자
160, 260, 360, 460, 560 : 히트싱크
370, 470 : 소음판
480, 580 : 공기유동 안내판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소자들 중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의 주변 부품들에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보다 빨라지게 하는 소정 형상을 부가하여 단위 시간 동안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를 냉각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증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박형화가 가능하고 넓은 시야각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서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조물로서 작용하는 섀시 베이스를 결합시키고 그 후면 상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소자들을 실장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을 배치한 후, 이들을 케이스 등의 내부에 수납하고 필요한 추가 부품을 결합시켜 완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가동 중 구성요소들에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발생되는 열은 섀시 베이스로 전달되어 섀시 베이스의 표면에서 방출되고, 구동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소자들 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해 짧은 시간 동안 다수의 스위칭 작업을 행하는 소자들에서 발생된 열은 주변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되지 않고 장치 내부에 축적되면 장치의 구동에 대한 신뢰성 및 안정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방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구동회로기판 상의 발열 소자의 방열의 경우에는 발열 소자에 히트싱크를 결합시켜 방열 효율을 높이고, 장치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뜨거워진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하측에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다수의 개구를 형성하여 자연 대류 방식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자연 대류 방식에 의한 냉각은 장치 내부에 공기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는 여러 구조물들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제한될 수도 있고 신속하고 원활한 냉각이 수행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구동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소자들 중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의 주변 부품들에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보다 빨라지게 하는 소정 형상을 부가하여 단위 시간 동안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를 냉각하게 함으로써 국부적인 방열 성능이 증대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및 기부 및 상기 기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가지고, 상기 기부에서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와 결합되며,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히트싱크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한 쌍의 히트싱크로서, 상기 히트싱크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가 놓이도록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가 배치되고, 이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은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형상이며, 그 볼록한 형상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 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들에 결합되어 냉각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히트싱크들; 및 상기 히트싱크들 상에 결합되어 상기 히트싱크들을 덮고, 상기 구동회로기판 쪽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볼록한 형상이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 공기유동 안내판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동 안내판이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들에 결합되어 냉각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히트싱크들; 상기 히트싱크들 상에 결합되어 상기 히트싱크들을 덮어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판; 및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어 상기 소음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구동회로기판 쪽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으로서, 상기 공기유동 안내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과 상기 소음판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발열 소자와 상기 히트싱크가 놓이는, 상기 공기 유동 안내판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소음판은 상기 구동회로기판 쪽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그 볼록한 형상이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한정하는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방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섀시 베이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어 상기 후방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표면 상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으로서, 상기 공기유동 안내판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과 상기 후방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표면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을 구비한다.
여기서,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가지는 히트싱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발열 소자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가지는 히트싱크가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에 더 구비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놓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에 상기 발열 소자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팬은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배치된 측면 상에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의 발열 소자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실시예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며, 설명을 위해 참조하는 도면들에서 사용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방열 구성의 측 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크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5) 및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케이스(110)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115)을 한정하는 전방 케이스(111) 및 후방케이스(1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공간(115)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5)이 배치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5)은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130) 및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결합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전원 및 제어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을 구비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전방패널(121) 및 후방패널(122)을 이들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봉착하여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방패널(121)은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X전극과 Y전극을 구비한 유지전극쌍들, 상기 유지전극쌍들을 덮는 전방유전층 및 상기 전방유전층을 덮는 보호막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X전극은 주사 및 유지전극이고 상기 Y전극은 공통 및 유지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전극 및 상기 Y전극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5)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X전극 연결케이블(143a)과 Y전극 연결케이블(144a)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방패널(122)은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의 전면에 상기 유지전극쌍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후방유전층, 상기 후방유전층 상에 형성되어 방전을 일으키는 공간인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방전셀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을 구비한다.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5)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어드레스전극 연결케이블(145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구조는 교류형 3전극 면방전 구조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2전극구조, 대향방전 구조 등의 다양한 다른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섀시 베이스(130)는 장방형의 평판 부재로서 주조 또는 프레스가공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을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지지한다. 상기 섀시 베이스(130)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상기 섀시 베이스(130)는 이들 양자 사이에 열전도성 시트(미도시)를 개재시키고 그 주변을 따라서 배치된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가스방전을 발생시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전원 및 전기 신호를 인가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 상에는 소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자들 및 전기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회로기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1), 화상의 구현을 위해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논리회로부(142),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구비된 상기 유지전극쌍들 중의 하나인 X전극을 구동하는 X전극 구동부(143), 상기 유지전극쌍들 중의 다른 하나인 Y전극을 구동하는 Y전극 구동부(144) 및 어드레스전극을 구동하는 어드레스전극 구동부(1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회로기판중 일부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와 같은 연결케이블(143a, 144a, 145a)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X전극은 상기 연결케이블(143a)을 매개로 상기 X전극 구동부(1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Y전극은 상기 연결케이블(144a)을 매개로 상기 Y전극 구동부(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상기 연결케이블(145a)을 매개로 상기 어드레스전극 구동부(14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 구성은 교류형 3전극 면방전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상기 구동회로기판들(141 내지 145)의 구성 및 배치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105)의 전방에,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자파 차폐층을 구비하는 필터(125)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필터(125)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파, 적외선, 네온 발광 또는 외광의 반사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필터(125)는 필터홀더(미도시)에 의해 상기 전방케이스(111)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전방케이스(111)는 중앙에 윈도우(111a)가 형성된 대략 장방형의 프레임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케이스(112)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가 연통되도록 상측 및 하측에 다수의 개구(112a, 11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개구(112a)는 배기공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스(112)의 상면의 일부 및 후면 상측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하측 개구(112b)는 흡기공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스(112)의 후면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개구(112a, 112b)의 형태 및 배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기 성능의 향상을 위해 다양한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에서 인가된 신호가 상기 연결케이블(143a 내지 145a)을 따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배치된 전극들, 예컨대 X전극, Y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에 인가된다. 그리고, 전극에 인가된 전위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 방전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화상이 구현된다.
한편,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소자들 중 외부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짧은 시간동안 다량의 신호를 처리하도록 스위칭 작업을 행하는 발열 소자(155)에서는 과다한 스위칭 작업으로 인해 다량의 열이 발생한다. 이 경우, 상기 발열 소자(155)의 방열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발열 소자(155)가 오작동을 일으켜, 상기 플라즈마 디 스플레이 패널(120)이 외부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구현하지 못하거나 왜곡된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고열로 인한 문제가 장기간 지속되면 결과적으로 상기 소자(155)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품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155)의 방열을 원활히 하도록 발열 소자(155)와 결합하는 히트싱크(160)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히트싱크(160)는 소자(155)와 결합하는 기부(160a) 및 상기 기부(160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복수개의 방열판(160b)을 구비한다. 상기 발열 소자(155)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히트싱크(160a)로 전달되고 상기 히트싱크의 방열판(160b)의 표면에서 주변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방출된다. 열을 흡수하여 뜨거워진 공기는 상방으로 상승되어 상기 배기공(112a)을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후방케이스(112)의 상하측에 형성된 흡기공(112b) 및 배기공(112a)인해 유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공간(115)에서의 자연 대류 현상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 대류 현상은 공기의 유동 속도가 완만하므로 신속하고 원활한 빠른 방열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구동회로기판(140) 위로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150)이 방열이 필요한 구동회로기판(140) 상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팬(150)을 설치함으로써 강제적인 공기 유동을 통해 상기 발열 소자(155) 및 이와 결합한 히트싱크(160)를 충돌 냉각방식으로 직접 냉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구성이 도 2에 도시된 도 1의 A부분의 상세도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트싱크(160)는 방열판(160b)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방열판(160b)들 사이의 공간의 어느 한 쪽으로 유입한 팬(15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 방해받지 않고 유동할 수 있도록 팬(15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히트싱크(16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히트싱크(160)의 방열판(160b)들은 각기 양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공기 유동(F)이 상기 방열판들(160b)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그 중앙 부분에서 유속이 증가되어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공기의 유동이 통과할 수 있으므로 방열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하면 유체는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유속이 증가하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유속이 감속하면서 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판(160b)의 단면 형상을 공기 유동 방향(F)에 대하여 점차 단면적이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즉, 방열판(160b) 개개의 단면 형상을 외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방열판(160b)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한 공기는 방열판(160b)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점차 유속이 증가하다가 방열판(160b) 사이의 공간을 빠져나오면서 다시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결국, 방열판(160b)들 사이의 공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방열판(160b) 표면에서의 방열 성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160b)의 단면 형상은 양측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어느 한 측면만이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 예컨대 에어포일(airfoil)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방열 구성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방열 구성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히트싱크의 배치 및 구성에서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열을 위한 히트싱크(260, 260')는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상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발열 소자(155)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히트싱크(260, 260')의 방열판(261)들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팬(15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F)이 방해받지 않고 통과하도록 공기 유동 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히트싱크(260, 260')가 배열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히트싱크(260, 260') 사이에 상기 발열 소자(155)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260, 26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방열 소자(155)가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들 히트싱크(260, 260')의 방열판(261)들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 지고 있다.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260, 26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260a, 260'a)은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면들(260a, 260'a)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단면적은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하여 점차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260, 260') 사이로 유입한 공기 유동(F)은 서로 마주보는 면들(260a, 260'a) 사이로 통과하면서 그 감소하는 단면적으로 인해 점차 유속이 빨라지다가 중앙을 지난 후 다시 유속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260, 26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260a, 260'a)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에 위치한 발열 소자(155)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F)은 보다 증가된 유속을 가지고 통과하게 되므로,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양의 공기 유동(F)이 상기 발열 소자(155)를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서로 마주보는 면들(260a, 260'a)이 또한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하여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표면 형상을 취하고 있으므로, 서로 마주보는 면들(260a, 260'a)의 표면을 통과하는 공기 유동(F)의 유속이 빨라질 것이고, 이는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양의 공기 유동이 서로 마주보는 면들(260a, 260'a)의 표면을 통과하게 되어 상기 히트싱크(260, 260')의 방열 성능이 또한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260, 260')의 방열판(261)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히트싱크(260, 260')의 방열 성능이 보다 더 증대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사시도로서 방열 구성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방열 구성의 측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히트싱크 상에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소정 형상의 판이 제공되어 있고 이 판이 공기 유동의 유속을 증대시키는 구성을 갖는 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히트싱크(160) 상에는 열전도성 접착수단(375)을 통해 소정 형상의 판, 예컨대 소음판(370)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발열 소자(155)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중 열뿐만 아니라 상당한 수준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 진동은 주변 공기를 진동시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킬 수 있는 높은 주파수의 소음을 유발한다. 상기 발열 소자(155)에서 발생한 진동은 이 발열 소자(155)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히트싱크(160)로 전파되고, 상기 히트싱크(16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방열판(160b)들에서의 진동에 의해 주변 공기가 진동되어 음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음파는 여러 매질을 거치면서 감소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트싱크(160) 상에 별개의 판 형상 부재, 즉 소음판(370)을 결합시킴으로써 소정 수준 이하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소음판(370)은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을 향하는 표면(370a)이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 며, 그 볼록한 형상이 공기 유동(F) 방향에 횡방향으로 놓이도록 상기 히트싱크(160)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음판(370)이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쪽으로 볼록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소음판(370)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F)은 점차 유속이 증가하다가 중앙 부분을 지난 후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소음판(370)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이 형성하는 공기 유동 통로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다가 중앙 부분을 지나 다시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소음판(370)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이 형성하는 공기 유동 통로는 그 중앙 부분에서 유속이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중앙 부분에 위치한 히트싱크(160) 및 발열 소자(155)에는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공기 유동이 통과할 수 있게 되어 방열 성능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160)의 방열판(160b)이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방열 성능은 보다 더 증대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로서 방열 구성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방열 구성의 평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음판이 제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음판이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소음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공기 유동의 유속을 증대시키는 구성을 갖는 공기유동 안내판이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소음판(470)은 히트싱크(160)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소음판(470)은 평판형의 부재로서 상기 히트싱크(160)와 열전도성 접착수단(미도시)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발열 소자(155)로부터의 진동에 의한 음파를 저감하고 상기 히트싱크(160)로부터 전달된 열을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음판(470)은 좌우측 가장자리가 서로를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서로 볼록한 좌우측 가장자리에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480, 480')이 제공되어, 상기 팬(15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국부적 발열 부위, 예컨대 구동회로기판(141) 상의 발열 소자 및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 쪽으로 안내한다.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480, 480')은 상기 소음판(47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서로 마주하는 표면(480a, 480'a)은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480, 480')은 이들 사이에 국부적 발열원, 예컨대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가 놓이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480, 480')과 상기 소음판(470)과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가 놓이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480, 480')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팬(15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은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480, 480')과 상기 소음판(470)과 상기 구동회로기판 (141)으로 이루어지는 통로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480, 480')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480a, 480'a)이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통로의 단면적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따라서 점차 감소하다가 그 중앙 부분을 지나 다시 증가한다. 따라서, 공기 유동 또한 이 통로를 지나면서 유속이 증가하다가 그 중앙 부분을 지난 후 다시 유속이 감소한다. 결국, 중앙 부분에서는 팬(150)에 의한 공기 유동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공기 유동량이 증대되어 중앙 부분에 놓인 국부적 열원, 예컨대 발열 소자(155) 및/또는 히트싱크(160)에 충돌하는 공기 유동량이 증대되어 방열 성능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160)의 방열판(261)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방열 성능은 보다 더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판(480)은 상기 제3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소음판(380)과 같이 상기 구동회로기판(141)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소음판(480)의 구동회로기판을 향해 볼록한 표면(참조부호 없음)은 유선형의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공기 유동이 통과하는 통로의 중앙 부분의 단면적이 보다 좁아지게 되어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양의 공기 유동이 통과할 수 있어 방열 성능이 더 증대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후방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 을 안내하는 공기유동 안내판이 소음판이 아닌 후방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표면 상에 제공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팬(15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580, 580')은 이들 사이에 국부적 발열원인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가 놓이도록 후방 케이스(112)의 내부공간(115)에 면하는 표면 상에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580, 580')과 상기 후방 케이스(112)의 내부공간(115)에 면하는 표면이 이루는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가 놓이도록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580, 580')이 상기 후방 케이스(112)의 내부공간(115)에 면하는 표면 상에 제공된다.
또한,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580, 580')의 서로 마주하는 표면(580a, 580'a)은 서로를 향해 볼록하며 유선형의 표면을 가진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580, 580') 및 상기 후방 케이스(112)의 표면이 이루는 통로의 공기 유동 방향에서의 단면적은 점차 감소하다가 중앙 부분을 지난 후 다시 증가하게 되며, 이에 의해 통로를 지나는 공기 유동 또한 중앙 부분을 지나면서 유속이 증대되어 중앙 부분에 놓이는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에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양의 공기 유동이 충돌하게 되어 방열 성능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히트싱크(160)의 방열판(261) 또한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방열 성능은 보다 더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열 소자(155)와 히트싱크(160)는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팬(150)은 상기 구동회로기판(141) 상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팬(150)은 상기 섀시 베이스(130) 상에 국부적 발열원인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에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팬(150)의 개수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하나가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둘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 중 전원공급부(141) 상에 실장된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를 팬(150)에 의해 직접 냉각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자들을 실장하고 있는 구동회로기판(141 내지 145) 중 발열 소자가 실장된 구동회로기판, 예컨대 X전극 구동부(143) 또는 Y전극 구동부(144)에도 발열원을 직접 냉각하도록 팬(150)에 의한 냉각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물론 이 경우에도 발열원의 주변 부품에 상기 제1 내지 제5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성을 채택할 수 있음을 당연하다.
마지막으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된 히트싱크(160)는 단지 일 예로서 설명한 것으로, 발열 소자(155) 및/또는 이에 결합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는 히트싱크(160, 260)는 설계 상의 이유로 여러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이들의 임의의 배치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제1 내지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공기 유동 통로의 가상의 단면적이 공기 유동 방향에 따라 점차 감소하다가 중앙 부분을 지난 후 다시 증가하며 그 중앙 부분에 국부적 발열원이 놓여 냉각 대상인 국부적 발열원에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공기 유동을 통과시켜 방열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형상을 국부적 발열원인 발열 소자의 주변 부품에 또는 발열 소자와 결합되는 히트싱크 자체에 또는 발열 소자 및/또는 히트싱크를 덮을 수 있는 임의의 부재에 부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구동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소자들 중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의 주변 부품들에 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보다 빨라지게 하는 소정 형상을 부가하여 단위 시간 동안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소자를 냉각하게 함으로써 방열 성능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및
    기부 및 상기 기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고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가지고, 상기 기부에서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와 결합되며,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하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히트싱크들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를 사이에 두도록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한 쌍의 히트싱크로서, 상기 히트싱크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가 놓이도록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가 배치되고, 이들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은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형상이며, 그 볼록한 형상이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히트싱크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들에 결합되어 냉각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히트싱크들; 및
    상기 히트싱크들 상에 결합되어 상기 히트싱크들을 덮고, 상기 구동회로기판 쪽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볼록한 형상이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 공기유동 안내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 안내판이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판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향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섀시 베이스;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지지된 측면과 대향된 측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들에 결합되어 냉각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히트싱크들;
    상기 히트싱크들 상에 결합되어 상기 히트싱크들을 덮어 상기 발열 소자들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하는 소음판; 및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어 상기 소음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구동회로기판 쪽으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으로서, 상기 공기유동 안내판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과 상기 소음판과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발열 소자와 상기 히트싱크가 놓이는, 상기 공기 유동 안내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판은 상기 구동회로기판 쪽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고, 그 볼록한 형상이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놓이도록 배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구비하며, 상기 팬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도록 배향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서로 결합되어 내부공간을 한정하는 전방 케이스 및 후방 케이스로 구성되는 케이스;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가스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방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고, 후방에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도록 다수의 소자들이 실장된 복수개의 구동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섀시 베이스;
    상기 구동회로기판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어 상기 후방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표면 상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서로를 향해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으로서, 상기 공기유동 안내판의 서로 마주하는 면들과 상기 후방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면하는 표면이 이루는 공기 유동 통로의 중앙 부분에 상기 소자들 중 발열 소자가 위치되는,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가지는 히트싱크가 더 구비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발열 소자에 결합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일측 또는 양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측으로 볼록한 유선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방열판들을 가지는 히트싱크가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에 더 구비되며,
    상기 히트싱크는 상기 방열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의 유동이 통과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한 쌍의 공기유동 안내판 사이에 놓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8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에 상기 발열 소자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8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섀시 베이스의 상기 구동회로기판이 배치된 측면 상에 상기 구동회로기판 상의 발열 소자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14079A 2005-02-21 2005-02-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3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079A KR20060093376A (ko) 2005-02-21 2005-02-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079A KR20060093376A (ko) 2005-02-21 2005-02-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376A true KR20060093376A (ko) 2006-08-25

Family

ID=3760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079A KR20060093376A (ko) 2005-02-21 2005-02-2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33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5719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276759A (ja) 画像表示装置
JP4309706B2 (ja) 平面型表示装置
KR2006009337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4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4514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726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72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92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93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79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33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1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8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2262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086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837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63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48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10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9319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697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7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