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341A -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341A
KR20060093341A KR1020067008861A KR20067008861A KR20060093341A KR 20060093341 A KR20060093341 A KR 20060093341A KR 1020067008861 A KR1020067008861 A KR 1020067008861A KR 20067008861 A KR20067008861 A KR 20067008861A KR 20060093341 A KR20060093341 A KR 2006009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ule
sealing device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932B1 (ko
Inventor
정우선
Original Assignee
2-트랙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2-트랙 리미티드 filed Critical 2-트랙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9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1/00Anti-theft means

Abstract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와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물류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상품의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물류 비용을 최대한 저감하기 위해서는 물류 추적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은, (1)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Radio Frequency)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2)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봉인 장치로부터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를 전송받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3)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컨테이너 상태 정보 송수신기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위성과 통신 가능한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와, (4)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및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System for Sending Information of Container and System for Trac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관한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여 컨테이너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용 화물 정보 서비스(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은 운송 중인 화물 및 차량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화주 및 운송 사업자에게 화물의 내용 및 도착 시간 등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가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서 운전자가 휴대 전화로 운송 도중 상태를 보고하는 수동형 시스템은 그 신뢰성이 떨어지고, 화물의 선적과 하역 등의 경우에만 화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등 단점이 있었다. 또한, 컨테이너의 수송 도중의 탈취에 의한 도난 또는 제3자가 봉인되어 운송 또는 보관되는 컨테이너의 봉인을 해제하고 폭발물 등을 컨테이너를 통해 운송하는 행위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물의 하역 또는 운송 전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고,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가 해제되지 아니하였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물류 시스템에 관하여 한 국특허출원 출원공개 번호 특2003-0058978호에는 전자봉인, GPS, 단거리 전용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류 추적 및 밀수 방지 시스템 구성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출발지, 경유지, 도착지 등에만 설치되는 기지국에서만 컨테이너의 위치와 봉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화물의 위치와 정보를 확인할 수 없고, 운송 도중 또는 기지국에서 컨테이너 봉인 상태가 확인된 이후에 발생되는 봉인 해제 등을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 온도, 습도, 방사능 및 생화학물질 누출 여부 등의 컨테이너 상태 정보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물류 추적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상품의 가격상승의 요인이 되는 물류 비용을 최대한 절감하기 위해서는 물류 추적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위치와 전자 봉인의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서, 물류 추적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는, (1)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Radio Frequency)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2)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봉인장치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 및/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정의한다. 본 명세서 및/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컨테이너"는 화물 등을 포장하여 운반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쇠로 만들어진 화물 수송용 포장 용기를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 및/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전자 봉인 장치"는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한 후 컨테이너의 화물 적재 상태가 컨테이너 운반의 최종 목적지까지 유지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봉인하는데 사용되는 봉인 장치로서 봉인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전자 회로 등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봉인 상태 감지 수단에 의해 판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 및/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컨테이너 정보"는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습도, 방사능 누출 여부, 생화학 물질 누출 여부 등의 컨테이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본 명세서 및/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무선 통신 모듈"은 RF주파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 및/또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단말기를 포함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컨테이너의 운송 과정을 살펴보면, 컨테이너는 공장 등 화물이 적재되는 출발지와, 컨테이너 트럭 또는 기차 등의 지상 운송 수단과, 항구나 터미널 그리고 야적장 등의 중간 하역지, 배나 비행기 등의 해상 또는 공중 운송 수단 등을 거쳐 최종 도착지에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트럭 등의 지상 운송 수단에서는 컨테이너의 부피나 무게 등의 문제로 하나의 지상 운송 수단에 하나 또는 두개의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운반되지만, 중간 하역지나 해상 또는 공중 운송 수단이나 기차 등에는 다수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이와 같은 컨테이너의 이동 경로를 따라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가 운송되는 중에는 운송 수단에, 컨테이너가 집합되는 장소에는 컨테이너 집합장소에 배치된다. 한편, 운송수단이 트럭 등의 차량인 경우에는 차량의 샤시 등에 장착될 수 있고, 배인 경우에는 갑판 또는 선실 상부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비행기인 경우에는 화물칸 선단 측 등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장착 부위나 배치는 중계기의 무선 주파수 통신, 위성 통신, GPS 위성으로부터의 GPS 정보 수신 등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컨테이너 이동 경로를 고찰하여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은 각각의 컨테이너에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를 구비하도록 하고, 또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 등의 운송 수단에는 비교적 고가의 장비인 중계기를 설치하여 상기 중계기의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다수의 컨테이너가 집합되거나 운반되는 중간 하역지 또는 해상/공중 운송 수단 또는 기차 등에는 다수의 전자 봉인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을 위한 상기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중계기가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획득한 봉인 상태 정보를 상기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제3 자에게 송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중계기가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은 특히 다수의 컨테이너 정보를 실시간으로 위성을 통해 송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운송 수단이나 장소를 거쳐 운반되는 컨테이너의 위치와 봉인 상태를 추적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전체적으로 그 구축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욱 상세히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전자 봉인 장치에서 발생되는 컨테이너 봉인 상태 확인을 위한 정보가 상기 중계기에 전달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중계기의 위성 통신 모듈에 의해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를 송출할 수 있어 구축 비용이 저렴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에 장착된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 획득수단에 의한 컨테이너 위치 정보를 상기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실시간으로 컨테이너의 위치와 봉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는, (1)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2)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3)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봉인 장치 및 상기 컨테이너 상태 정보 송수신기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및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태 정보 획득 모듈은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습도, 방사능 물질 유출 여부, 생화학 물질 유출 여부 등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공되는 모듈로서, 상기 상태 정보를 감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예를 들어, 전자 온도계, 전자 습도계, 방사능 물질 검출기, 생화학 물질 검출기 등을 상기 상태 정보 획득 모듈이 포함하도록 일체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이들 전자 센서가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컨테이너 내부의 최적의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필요가 있어 상기 상태 정보 획득 모듈과 별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이들 센서와 연결되어 센서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제시되어 왔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이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도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또는 상기 중계기에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이 포함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 모듈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획득한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파손 여부, 습도, 방사능 물질 유출 여부, 생화학 물질 유출 여부 등을 상기 중계기에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에 장착되는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통해 획득되는 경우 이를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여 상기 중계기를 통해 위성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는,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2)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 모듈과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3)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상태 정보 송수신기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와, (4)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및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전술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제1, 제2 실시 형태와 달리,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가 상기 전자 봉인 장치로부터 컨테이너 봉인 상태를 전송받아, 상기 중계기로 전송 받은 봉인 상태와 컨테이너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고, 대응하는 구성 요소들에 적용되는 기술은 대동소이 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상기 중계기에 비해 근거리에 위치되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야 하는 거리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전자 봉인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전자 봉인 장치의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제2 또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위성과 위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위성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와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중계기의 파손, 훼손 등이 일어나는 경우 또는 중계기가 제공되지 않는 오지 등에서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를 통해 위성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신뢰성을 고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제1 또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전자 봉인 장치로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장애물 또는 전파 간섭에 의해 실패하거나, 중계기와의 통신 반경 밖에 상기 전자 봉인 장치가 위치 하여 실패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주위의 다른 전자 봉인 장치로 상기 컨테이너 봉인 상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하여, 이를 전달받은 상기 다른 컨테이너의 전자 봉인 장치가 전달받은 봉인 상태 정보를 상기 중계기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파 장애 등으로 인한 중계기와의 통신 실패가 있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컨테이너 봉인 상태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로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전술한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봉인 장치 간의 통신이 이루어져 중계기와의 통신이 원할하지 아니할 때 전자 봉인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과 대동소이하고, 다만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가 되는데 그 차이가 있다.
한편, 제3 자가 컨테이너 정보를 취합하여 분류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 또는 봉인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컨테이너를 식별할 수 있는 컨테이너 식별에 필요한 정보가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 또는 봉인 상태 정보와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에는 컨테이너의 관리를 위한 고유 식별 번호가 제공되고,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제작 단계에서 별도의 고유 식별 번호가 제공된다. 이는 전자 봉인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를 조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전자 봉인 장치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컨테이너의 관리를 위해서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에서 상기 봉인 상태 확인을 위해 전송되는 봉인 상태 정보가 복수 개의 컨테이너 중 어느 컨테이너에 관한 정보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와 상기 컨테이너의 고유 식별 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는 후술할 관제부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와 상기 컨테이너의 고유 식별 번호는 후술할 봉인 스캐너에 의해 일대일 매칭되어 봉인 스캐너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부로 전달되거나, 상기 봉인 스캐너의 저장부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었다가,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관제부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에는 컨테이너에 장착될 때 컨테이너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번호가 저장되는데,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에서 상기 중계기 또는 위성으로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할 때 상기 컨테이너 고유 식별번호가 함께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계기는 차량, 기차, 선박, 비행기, 컨테이너 하역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데, 상기 컨테이너 하역장은 컨테이너에 화물이 적재되기 전 컨테이너가 임시로 보관되는 예비 야적장 또는 컨테이너에 화물이 적재되어 세관에서 봉인되는 컨테이너 적재 장소, 컨테이너를 운송 수단에 탑재하기 위한 야적장 및 터미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은,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추적하기 위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1)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Radio Frequency)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2)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과,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는 중계기와, (3) 위성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성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받는 기지국 통신부와, 상기 전송받은 컨테이너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통신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의 컨테이너 정보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관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를 상기 중계기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와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위성에 상기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송출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고, 상기 관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정보를 송출 받은 위성이 컨테이너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은 전술한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경우에도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의 컨테이너 정보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를 상기 중계기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위성에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와 컨테이너 봉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고, 상기 관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화주, 선주, 정부 등 컨테이너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는 컨테이너가 운송 중인 경우에도 그 위치에 무관하게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와 봉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열람할 수 있게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은,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식별 번호(ID)와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식별 번호(ID)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가 저장되는 봉인 스캐너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봉인 스캐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식별 번호와 상기 컨테이너에 장치되는 전자 봉인 장치의 식별 번호를 일대일 매칭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구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편, 상기 봉인 스캐너에 별도의 통신 모듈이 구비된 경우에는 이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부나 제3의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일대일 매칭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전송하거나, 혹은 봉인 스캐너에 저장된 상기 관리 정보를 인터넷 망 등을 통해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봉인 스캐너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봉인 상태를 상기 관제부를 통해 확인할 필요없이, 상기 스캐너를 통해 전자 봉인 장치의 봉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상기 봉인 스캐너를 소지하고 있는 자가 손쉽게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봉인 상태를 상기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과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봉인 스캐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의 감시 방법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간의 통신을 나타낸 예시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2: 운송 수단
3: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5: 컨테이너
10: 전자 봉인 장치 20: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30: 중계기 40: 기지국
50: 관제부 60: GPS 위성
70: 통신 위성 90: 봉인 스캐너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과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알아본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과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1)은 컨테이너(도시되지 아니함)의 개폐수단에 설치되는 전자 봉인 장치(10)와,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와, 상기 전자 봉인 장치(10) 또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와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통신 위성(70)으로 위성 통신을 통해 송출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앞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1)은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는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지 아니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가 장착되는 예는 특히 냉동 컨테이너와 같이 내부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 환경 유지 수단이 제공되는 고가의 컨테이너 또는 또는 방사능 물질이나 화학물질과 같이 위험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기 중계기(30)는 위치 추적 정보를 제공하는 GPS 위성(60)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상기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 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 위성(70)으로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계기(30)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의 거리는 상기 무선 통신의 통신 가능 범위내의 범위가 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를 상기 중계기(30)의 위치로 치환하더라도 큰 오차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와 같은 구성은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집합되는 하역장, 기차, 비행기, 배 등의 경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10) 또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 측에 별도의 GPS 단말기가 구축될 필요가 없어 구축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가 정확하게 파악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 측에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는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내 부 환경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부터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 습도, 방사능 물질 유출 여부, 생화학 물질 유출 여부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중계기(30)로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와 상기 컨테이너 봉인 상태정보와 함께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1)은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전자 봉인 장치(10)가 상기 중계기(30)와 통신을 수행하여 봉인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상기 컨테이너 정보송수신기(20)가 중계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1)과,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위성(70)을 통해 컨테이너 정보를 전달받는 기지국(40)으로부터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받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상기 기지국(40)과 클라이언트 단말기(도시되지 아니함)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제부(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신 위성(70)은 상기 중계기(30)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위치 정보와 상기 컨테이너 봉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위성 통신 기지국(40)으로 송출하고, 상기 기지국(40)은 상기 기지국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관제부(50)에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1)으로부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컨테이너 상태 정보, 컨테이너 봉인 상태 정보 등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게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 측에서 컨테이너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게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10)의 기계적 구성이나 봉인 상태 감시를 위한 회로 또는 봉인 상태 감지 수단(130)의 구성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공개번호 특1999-0087739호에 개시된 바있는 전자 봉인 장치, 미국 특허 6,069,563호에 개시된 바 있는 전자 봉인 장치 등을 참조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인 상태 감지 수단(130)으로부터 판별되는 봉인 상태 감시 정보를 상기 중계기 또는 주위의 다른 전자 봉인 장치(10)로 전달하기 위한 RF 통신 모듈(101)을 포함한다. 상기 봉인 상태 감지 수단(130)은 능동적으로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가 해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봉인 상태가 해제되면 해제된 것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RF 통신 모듈(101)을 통해 상기 중계기 또는 봉인 스캐너에 전송하거나, 또는 수동적으로 상기 중계기 또는 봉인 스캐너의 봉인 상태에 관한 정보 요청을 받아 봉인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중계기 또는 봉인 스캐너에 상기 RF 통신 모듈(101)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전자 봉인 장치(10)는 1회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단 제3자에 의해 봉인이 해제되어 내용물이 도난, 훼손,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3 자가 이를 은폐하기 위해 다시 봉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전자 봉인 장치(10)에는 전자 봉인 장치 ID 저장부(10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 봉인 장치 ID 저장부(107)는 전자 봉인 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각각의 전자 봉인 장치마다 다르게 입력되는 일련 번호(Serial Number)가 저장되어 그 일련 번호를 전자 봉인 장치 식별 번호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단 입력된 전자 봉 인 장치 식별 번호를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메모리에 상기 전자 봉인 장치 식별 번호가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 봉인 장치 식별 번호는 후술할 봉인 스캐너에 의해 독출될 수 있으며, 상기 봉인 스캐너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 식별 번호와, 상기 전자 봉인 장치가 장착되는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식별 번호를 일대일 매칭시켜 저장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는 컨테이너에 탑재되며, 컨테이너의 운반, 적재 등의 과정에서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컨테이너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RF 통신 모듈(201)의 RF 통신 안테나(211)과 위성 통신 모듈(250)의 위성 통신 안테나(211)는 원활한 통신의 수행을 위해 외부로 연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중계기와 RF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도 RF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후자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의 RF 통신 주파수와 상기 중계기와의 RF 통신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의 상기 RF 통신 모듈(201)은 복수 개의 주파수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 단말기(209)를 포함하여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가 상기 GPS 수신부(209)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에는 별도의 GPS 수신부(209)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는 컨테이너의 운송 과정을 기록하는 Black Box(20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Black Box(205)에는 각 시간에 대응하는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 시간에 따른 컨테이너 내부 환경 정보 등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요한 시간 정보는 Real Time Clock 등으로부터 전달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lack Box(205)는 많은 양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도록 대용량 Flash Memory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0)는 RF 통신 모듈(201), GPS 수신부(209), Black Box(205) 등 각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어부(203)는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203)를 구성하는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메모리에는 컨테이너 ID가 저장될 수 있는데, 상기 컨테이너 ID는 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컨테이너의 고유 식별 번호와 동일하게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위성 통신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21)와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상기 중계기가 제공되지 아니하는 장소나 운송 수단에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컨테이너 정보를 위성으로 송신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이도록 구성된다. 한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컨테이너 내부환경 감지 센서(7)로부터 컨테이너 내부환경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중계기로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컨테이너 내부 환경 감지 센서(7)는 전자 온도계, 전자 습도계, 방사능 물질 검출기, 생화학 물질 검출기 등으로 구성되어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나 습도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내부 환경 감지 센서(7)와 상기 컨테이너 상태 감지 모듈(270)이 분리되어 구성되는 경우 상기 감지 모듈(270)은 상기 감지 센서(7)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컨테이너 상태 감지 모듈(270)이 상기 내부 환경 감지 센서(7)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가 특히 냉동 컨테이너인 경우 또는, 컨테이너 내부의 화물이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제작된 특수 컨테이너인 경우 운송 업자, 화주, 선주 등이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가 원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컨테이너 내부에 방사능 물질이나 생화학 물질이 적재되는 경우, 이들 위험 물질의 유출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 또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를 통해 획득한 컨테이너의 정보를 위성을 통해 송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컨테이너 운송 수단, 컨테이너 하역장, 비행기, 배 등에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 가능 범위 내에 배치되 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하역장이나 선박 등 광범위한 지역에 복수개의 컨테이너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 가능 범위를 고려하여 복수 개의 컨테이너의 컨테이너가 적절히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30)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 또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RF 통신 모듈(301)과, 중계기(30)의 각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3)와, Black Box(305)와, 위성 통신 모듈(307)과, GPS 수신부(309)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계기의 각 구성 요소들은 도 3에서 설명한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바, 다만, 복수 개의 전자 봉인 장치 또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로부터 정보를 취합하여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각 구성들의 처리 용량이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의 구성들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봉인 스캐너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봉인 스캐너(90)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봉인 상태를 위성을 통해 전달받지 아니하고, 컨테이너가 위치하는 장소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산업용 PDA(Personal Disital Assistant)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RF 통신 모듈의 통신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로 통신 가능한 RF 통신 모듈(90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관제부 와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모듈(9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제부 통신 모듈(913)은 CDMA, 무선 랜, 위성 통신 모듈 등 광대역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봉인 스캐너(90)에 상기 관제부 통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봉인 스캐너(90)를 유선 통신 케이블에 연결하여 상기 저장부(907)에 저장된 내용을 인터넷, 전화선 등의 통신 망을 이용하여 관제부 등 봉인 상태 점검 기록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에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봉인 스캐너(90)는 컨테이너의 측벽에 식별가능한 문자로 제공되는 컨테이너 고유 번호와 상기 RF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 봉인 장치로부터 독출하는 전자 봉인 장치 고유 번호를 일대일 매칭시켜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고유 번호는 키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봉인 스캐너(90)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인 스캐너(90)의 저장부(907)에는 상기 전자 봉인 장치로부터 전달 받은 봉인 상태에 관한 정보와 봉인 상태를 확인한 시각과 컨테이너 식별 번호와 전자 봉인 장치 식별 번호와 전자 봉인 장치가 장착된 컨테이너 식별 번호의 일대일 매칭 데이터 등이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상기 RF 통신 모듈(903)이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로부터 컨테이너 위치 정보, 컨테이너 내부 환경 정보 등을 함께 입력받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의 감시 방법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수단(2) 등에 배치되는 중계기(30)가 컨테이 너(5)에 장착되는 전자 봉인 장치(10) 또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컨테이너 봉인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중계기(30)의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 위성(70)으로 전송하면, 상기 위성(70)은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위성 통신 기지국(40)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성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받은 관제부(50)는 컨테이너 정보를 정부 기관, 선사, 화주 등이 컨테이너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달하도록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이 구성된다. 상기 관제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공하는 GIS(501)와, 가공된 정보를 웹으로 제공하는 웹 서버(503)와, 디지털화하여 제작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기록되는 디지털 맵(505)과,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인 DBMS(507)과, C/S 방식의 관제 프로그램(509)와, 웹 페이지(511)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봉인 스캐너(90)는 상기 DBMS(507)에 전자 봉인 장치(10)의 고유 식별 번호와 컨테이너(5)의 고유 식별 번호를 일대일 매칭 시킨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유/무선 통신 망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 간의 통신을 나타낸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10a, 10b, 10c, 10d)는 상기 중계기(30)와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 다른 전자 봉인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복수 개의 컨테이너(5a, 5b, 5c, 5d)가 집중되는 하역 장, 배, 기차 등의 경우에 있어서 전자 봉인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 가능 거리, 통신 주파수 간섭 등으로 인한 통신 장애가 일어나 중계기와의 통신이 수행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중계기(30)로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이와 같이 구성된다. 전자 봉인 장치(10a, 10b, 10c, 10d)에는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제어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중계기(30)로부터의 신호를 인터럽트(interrupt)신호로 사용하여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지 아니하는 경우 등 이벤트의 발생에 의해 다른 전자 봉인 장치로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이를 중계기(3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계기와의 통신에 장애가 있는 컨테이너 (5a)를 예로 들면, 전자 봉인 장치(10a)가 상기 중계기(30)의 통신 가능 범위 S 밖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계기(30)와의 통신에 의한 인터럽트 신호가 소정 시간 이상 발생하지 아니하고, 전자 봉인 장치 제어부는 이를 판별하여, 다른 컨테이너 (5d)의 전자 봉인 장치(10d)로 컨테이너 (5a)의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전자 봉인 장치(10d)는 자신이 장착되어 있는 컨테이너 (5d)의 컨테이너 정보와 다른 전자 봉인 장치(10a)가 전송한 컨테이너 (5a)의 컨테이너 정보를 중계기(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자 봉인 장치(10a, 10b, 10c, 10d)간 데이터 전송 방식은,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간의 테이터 전송 방식에 그대로 응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의 기계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분해 조립도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10)는 기계적 구성에 있어서 종래 봉인 장치의 기계적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데, 삽입구를 포함하는 하우징(130)과 상기 하우징(130)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키(120)로 구성된다. 일단 상기 하우징(130)에 상기 키(120)가 삽입되면, 상기 키(120)를 절단하지 아니하고는 상기 키(12U)와 상기 하우징(130)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하우징(130)의 상기 삽입구의 내부에는 홈이 제공되고, 상기 키(120)에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봉인 장치는 상기 키(120)에 소정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기 키(120)가 절단되어 전류가 차단되면, 이를 감지하여 봉인 상태가 해제된 것으로 판별하도록 봉인 상태 판별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계적 구성 또는 봉인 상태 판별 수단의 구성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공개번호 특1999-0087739호에 개시된 바있는 전자 봉인 장치, 미국 특허 6,069,563호에 개시된 바 있는 전자 봉인 장치 등을 참조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결정됨이 명백하며, 도면 또는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정보를 제3 자에게 송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컨테이너의 정보를 추적하는 서비스를 제3 자에게 제공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등을 구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Radio Frequency)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2.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봉인 장치 및 상기 컨테이너 상태 정보 송수신기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 계기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및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3.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기 위한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 모듈과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와,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컨테이너 상태 정보 송수신기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중계기와,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 및 중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위성 통 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위성으로 상기 컨테이너의 상태 정보와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송출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전자 봉인 장치로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송신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는 상기 중계기와의 통신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의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다른 컨테이너 정보 송수신기로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송신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차량, 기차, 선박, 비행기, 컨테이너 하역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9. 컨테이너의 위치 및 봉인 상태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추적하기 위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에 장착되며 무선 통신(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봉인 장치와,
    상기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 또는 컨테이너가 집합되어 있는 집합 장소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통신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위성 통신 모듈과,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는 중계기와,
    위성과 위성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위성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전송받는 기지국 통신부와, 상기 전송받은 컨테이너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통신부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의 컨테이너 정보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상기 컨테이너 정보를 송출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관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봉인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를 상기 중계기에 전달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컨테이너의 봉인 상태와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정보를 위성에 상기 위성 통신 모듈을 통해 송출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달하고, 상기 관제부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의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송출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자 봉인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식별 번호(ID)와 상기 전자 봉인 장치의 식별 번호(ID)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가 저장되는 봉인 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KR1020067008861A 2003-11-14 2004-11-12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KR100815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441 2003-11-14
KR1020030080441A KR20050046841A (ko) 2003-11-14 2003-11-14 컨테이너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341A true KR20060093341A (ko) 2006-08-24
KR100815932B1 KR100815932B1 (ko) 2008-03-21

Family

ID=365894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441A KR20050046841A (ko) 2003-11-14 2003-11-14 컨테이너 감시 시스템
KR1020067008861A KR100815932B1 (ko) 2003-11-14 2004-11-12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441A KR20050046841A (ko) 2003-11-14 2003-11-14 컨테이너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32547A1 (ko)
EP (1) EP1683280A4 (ko)
JP (1) JP2007511951A (ko)
KR (2) KR20050046841A (ko)
CN (1) CN1883132A (ko)
WO (1) WO20050484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14B1 (ko) * 2009-02-17 2011-06-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 시스템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1147683B1 (ko) * 2009-10-08 2012-05-22 최운호 생체인식 카드와 csd를 활용한 컨테이너 및 물류추적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1495B2 (en) * 2002-08-27 2008-08-12 Hi-G-Tek Ltd. Smart container monitoring system
KR100723042B1 (ko) * 2005-07-22 2007-05-30 갤럭시게이트(주) 저궤도 위성을 이용한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CN100383831C (zh) * 2005-09-06 2008-04-23 大连海事大学 一种内河船舶信息系统
US7702358B2 (en) * 2005-11-14 2010-04-20 System Plann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of cargo containers in a container security system using wireless ad-hoc networking techniques
US7522043B2 (en) * 2006-01-20 2009-04-21 The Boeing Company Mobile wireless mesh technology for shipping container security
US7737840B2 (en) * 2006-04-10 2010-06-15 The Boeing Company Container security system
KR100812769B1 (ko) 2006-05-02 2008-03-12 주식회사 이피아테크 Rf를 이용한 컨테이너 위치추적 및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100750512B1 (ko) * 2006-06-01 2007-08-20 주식회사 사라콤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구비한 컨테이너 환풍구용 커버
US20080020724A1 (en) * 2006-07-19 2008-01-24 John Robert Orrell Establishing a data link between stacked cargo containers
WO2008045791A1 (en) * 2006-10-06 2008-04-17 Transcore Link Logistics Corporation Wireless interface module
US20090096586A1 (en) * 2007-10-12 2009-04-16 Icontrol, Inc. Radiofrequency Tracking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456302B2 (en) 2009-07-14 2013-06-04 Savi Technology, Inc. Wireless tracking and monitoring electronic seal
EP2465101A2 (en) * 2009-08-10 2012-06-20 Solvay SA Control and monitoring method
SG178484A1 (en) 2009-08-17 2012-04-27 Deal Magic Inc Contextually aware monitoring of assets
US8314704B2 (en) * 2009-08-28 2012-11-20 Deal Magic, Inc. Asset tracking using alternative sources of position fix data
NL2004192C2 (en) * 2010-02-04 2011-08-08 Aciss Internat B V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goods transport.
CN101980458A (zh) * 2010-09-10 2011-02-23 北京工业大学 一种高速列车无线通信装置与方法
US20130324148A1 (en) * 2012-05-31 2013-12-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Product position tracking system
US9939822B2 (en) 2013-02-11 2018-04-10 Graco Minnesota Inc. Remote monitoring for fluid applicator system
US10969805B2 (en) 2013-02-11 2021-04-06 Graco Minnesota Inc. Paint sprayer distributed control and output volume monitoring architectures
US10175040B2 (en) * 2015-03-20 2019-01-08 Process Metrix Characterization of refractory lining of metallurgical vessels using autonomous scanners
CN104915780A (zh) * 2015-06-16 2015-09-16 葛洲坝集团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rfid的混凝土运输车辆自动化统计系统和方法
FR3049099B1 (fr) * 2016-03-16 2018-03-30 Pa.Cotte Sa Systeme d'acheminement d'objets par des individus d'une communaute, mettant en œuvre un systeme de tracabilite spatio- temporelle
CN105976184A (zh) * 2016-05-02 2016-09-28 成都荣为信息技术有限公司 应用卫星技术基于产地的食品质量安全调查装置系统
DE102017010735A1 (de) * 2017-11-20 2019-06-06 Iqs Holding Gmbh Schließsystem und Verfahren zum Schließen eines Containers
US10262319B1 (en) * 2018-07-11 2019-04-16 Capital One Services, Llc Automatically activating a transaction card by detecting a change associated with a package that carries the transaction card
HK1256427A2 (zh) * 2018-08-07 2019-09-20 First Dragon Development Ltd 跟踪設備
CN109655855A (zh) * 2018-12-20 2019-04-19 北京华力方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集装箱的定位装置及集装箱
WO2020239223A1 (en) * 2019-05-29 2020-12-03 Greif International Holding B.V. Method for providing a transport container, transport container, method for identification and/or tracking and/or tracing of a transport container and computer-readable media
US11276315B1 (en) * 2021-07-12 2022-03-15 Beta Air, Llc Electric aircraft configured to implement a layered data network and method to implement a layered data network in electric aircraft
KR102629015B1 (ko) * 2021-09-03 2024-01-25 주식회사 지엔테크놀로지스 복수의 단말들을 이용한 금속 차폐공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85930A1 (en) 1997-04-07 1998-10-29 Tss Traffic Supervision Systems A/S A method of localizing storage devices, a monitoring system for localizing storage devices for goods, and use of the monitoring equipment
KR100708927B1 (ko) * 2000-08-21 2007-04-1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피에스와 인터넷을 통한 컨테이너의 위치추적방법 및 그시스템
JP2002161657A (ja) * 2000-11-24 2002-06-04 Nippon Denki Information Technology Kk 電子錠システム
US6577921B1 (en) * 2000-11-27 2003-06-10 Robert M. Carson Container tracking system
KR20020071174A (ko) * 2001-03-05 2002-09-12 동부건설 주식회사 물류운송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WO2003023439A2 (en) * 2001-09-10 2003-03-20 Digital Angel Corporation Container having integral localization and/or sensing device
US20030179073A1 (en) * 2002-03-20 2003-09-25 Ohanes Ghazarian Electronic secure locking system
WO2004001550A2 (en) * 2002-06-24 2003-12-31 Gounder Manickam A Cargo container locking system and method
GB2411304B (en) * 2002-10-08 2006-05-10 Henry Ulrich Cargo tracking system
US20040143505A1 (en) * 2002-10-16 2004-07-22 Aram Kovach Method for tracking and disposition of articles
KR20030058978A (ko) * 2003-04-30 2003-07-07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전자 봉인, gps, 단거리 전용 무선 통신을 이용한 물류 추적 및 밀수 방지 시스템 구성 방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14B1 (ko) * 2009-02-17 2011-06-1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보안 시스템 및 보안 관리 방법
KR101147683B1 (ko) * 2009-10-08 2012-05-22 최운호 생체인식 카드와 csd를 활용한 컨테이너 및 물류추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11951A (ja) 2007-05-10
EP1683280A4 (en) 2006-11-02
WO2005048481A1 (en) 2005-05-26
KR100815932B1 (ko) 2008-03-21
CN1883132A (zh) 2006-12-20
KR20050046841A (ko) 2005-05-19
EP1683280A1 (en) 2006-07-26
US20070132547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932B1 (ko) 컨테이너 정보 송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추적 시스템
US20020061758A1 (en) Mobi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for automating fleet operations
US10679173B2 (en) End to end logistic chain tracking and control of shipping containers
US6826514B1 (en) Monitoring of controlled mobile environments
US70987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ainer security
US6975224B2 (en) Reusable self containe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n-transit cargo visibility
CN100573609C (zh) 用于监控集装箱以保证其安全性的方法及系统
CA2439614C (en) Electronic lock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11978015B1 (en) Continuous inventory management
US20080231459A1 (en) Cargo Container Monitoring Device
US20080231438A1 (en) Cargo Container Monitoring System
US7728727B2 (en) Dynamic inventory during transit
US201000665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container
US20040246104A1 (en) Method for monitoring goods
US93492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rming an asset is associated with a given transportation structure
US20100012653A1 (en) Container for sending object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container
US200402155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elative movement of maritime containers and other cargo
US20100066561A1 (en) Sensor transponder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it
EP2149127B1 (en) Method for monitoring a package, sentinel indicator system and logistics system
JP5883997B2 (ja) 統合トラッキ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813703A (zh) 利用多传感器监视集装箱安全性、内容物和状态的方法及系统
KR100779200B1 (ko) 컨테이너 부착용 단말기
AU763698B2 (en) Monitoring of controlled mobile environments
KR20200005180A (ko) IoT 기반 국가간 물류 배송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A22529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he transportation and positioning of mov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