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073A -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및 전극 유닛 - Google Patents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및 전극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073A
KR20060093073A KR1020060015853A KR20060015853A KR20060093073A KR 20060093073 A KR20060093073 A KR 20060093073A KR 1020060015853 A KR1020060015853 A KR 1020060015853A KR 20060015853 A KR20060015853 A KR 20060015853A KR 20060093073 A KR20060093073 A KR 20060093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lamp
cathode fluorescent
cold cathode
electrode
nick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433B1 (ko
Inventor
도시카즈 스기무라
히토시 하타
하루시게 스기무라
사토시 다무라
구니오 다카하시
가즈히코 야마기시
히로아키 니시카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쇼메이 프레시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쇼메이 프레시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5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 H01J61/72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having a main light-emitting filling of easily vaporisable metal vapour, e.g. mercury

Landscapes

  • Discharge Lamp (AREA)

Abstract

냉음극 형광 램프는, 기밀하게 밀봉된 내부 공간에 적어도 희가스와 수은 가스가 봉입되고, 내벽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유리관과,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일단에 저면부가, 타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통형상 전극과, 일단이 저면부에 접합되고, 타단이 유리관의 외부에 인출된 리드선을 갖고 있다. 통형상 전극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여,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첨가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냉음극 형광 램프

Description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및 전극 유닛{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LECTRODE, AND ELECTRODE UNIT}
도 1 은,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단면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전극 유닛의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스퍼터성 개선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금속 조직의 개념도.
도 4 는,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적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음극 형광 램프 2 : 유리관
3 : 비드 유리 4 : 내벽면
5 : 내부 공간 6 : 전극 유닛
7 : 통형상 전극 8 : 저면부
9 : 리드선 10 : 개구부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58992 호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7740 호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 램프, 그리고, 냉음극 형광 램프의 일부를 구성하는 전극 및 전극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음극 형광 램프는, 소형화가 용이하고, 저소비 전력, 장수명이라는 특성에 의해, 최근,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 등에 다용되고 있다. 냉음극 형광 램프는, 일반적으로, 아르곤 등의, 희가스와 수은 가스를 충전한 유리관의 내부에, 한 쌍의 전극이 대향 배치되고, 각 전극에 리드선이 접속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전극은 컵 형상으로 성형되며, 컵의 개구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극 사이에 리드선을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면, 일방의 전극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어, 수은 원자에 충돌하고, 자외선이 발생한다. 자외선은 유리관의 표면에 형성된 형광막에 의해 가시 광선으로 변환되어, 유리관의 내부로부터 가시 광선이 방출된다. 따라서, 냉음극 형광 램프의 수명은, 수은 가스의 소모에 크게 의존한다.
전극은 통상 니켈로 제작되어, 일례를 나타내면, 니켈 99.7%, 망간 O.1%, 철 O.1%, 그 밖의 불순물 (탄소, 규소, 구리, 황) 0.1% 이다. 니켈에는 O.01% 정도의 미량의 코발트를 함유하고 있다. 이상의 혼합비는 중량% 이다. 니켈이 유리관 내부의 아르곤 가스 등의 충격을 받으면, 니켈 원자가 충돌하여, 비산한 다. 이 현상은 스퍼터링이라고 불린다. 비산한 니켈 원자는 수은 가스를 받아들여 아말감 되기 때문에, 수은 가스의 유효량이 저감된다. 이 결과, 수은 가스가 소모되어, 냉음극 형광 램프의 수명 저하로 이어진다.
그래서, 최근에는, 내스퍼터 성능이 양호한 전극을 채용하여, 냉음극 형광 램프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니켈에 비하여 낮은 일함수로 내스퍼터 성능이 우수한 몰리브덴 (Mo) 이나 니오브 (Nb) 등을 사용한 컵 형상 전극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이것들의 금속을 사용한 냉음극 형광 램프에는, 이하의 문제가 있었다. 첫번째로, 몰리브덴이나 니오브 등의 고융점 금속을 사용한 전극은, 유리관으로의 봉입시에 표면이 산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제조 공정에서는, 유리관의 단부에 전극을 배치한 후, 유리관의 일방 단부의 밀봉 유리 (비드 유리) 를, 대기 중에서 가스 버너 등에 대어, 유리관에 용착시켜 기밀하게 밀봉한다. 그러나, 비드 유리를 용융시킬 때의 열이 전극에 전해져, 그 열에 의해 전극 표면이 산화되어 버린다. 전극 표면이 산화되면, 내스퍼터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모처럼의 내스퍼터 성능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게다가, 몰리브덴이나 니오브는, 한번 산화되어 버리면 환원되기 어렵기 때문에, 후에 계속되는 공정에서, 수소 가스 등의 분위기로 환원하는 것도 어렵다.
두번째로, 몰리브덴이나 니오브는 고융점 금속이기 때문에, 리드선을 전극에 용접할 때, 매우 높은 열을 가하지 않으면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다. 특히, 몰리브덴의 융점은 약 3400℃ 로, 리드선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많은 코바의 융점 (약 1550℃) 보다도 상당히 높기 때문에, 리드선을 충분히 용융시켜 전극에 접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몰리브덴의 전극은 대부분 용융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충분한 접합 강도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몰리브덴의 전극이 충분히 용융되는 온도를 가하면, 리드선에 과도한 고온이 가해져, 접합이 곤란해진다. 또한, 코바제 외관의 내부에 구리를 충전한 이중 구조의 리드선이 사용되는 경우, 구리의 융점은 약 1080℃ 로 더욱 낮기 때문에, 내부의 구리가 먼저 용융되어, 용접시에 흘러나가 버린다는 문제도 있다. 구리는, 램프 사용시에 있어서의 전극의 발열을 유리관의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구리가 흘러나가면, 코바제 외관의 내부에 구리로 충전되지 않는 공동부가 생겨, 방열 성능의 저하로 이어진다.
세번째로, 몰리브덴이나 니오브는 일반적으로 비싸고, 이들을 기재로 한 전극은 니켈제 전극에 비하여 비용이 상승 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내스퍼터성과 제작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냉음극 형광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기밀하게 밀봉된 내부 공간에 적어도 희가스와 수은 가스가 봉입되어, 내벽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유리관과,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에 저면부가, 타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통형상 전극과, 일단이 저면부에 접합되고, 타단이 유리관의 외부로 인출된 리드선을 갖고 있다. 통형상 전극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여,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첨가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한 재료에 첨가된 이들 금속은, 외부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여, 산화물의 형태로 결정입계에 편석되기 쉬운 성질이 있다. 스퍼터링은 입자끼리의 결합력이 약한 결정입계로부터 선택적으로 생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결정입계의 입자끼리의 결합을 이들 금속 산화물로 강화함으로써, 내스퍼터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또한, 융점이 낮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선과의 접합시의 가열을 저온도로 할 수 있어, 제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통형상 전극에서의 가공성이 양호하고, 재료 비용의 억제에도 유효하다.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은 티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티탄의 혼합비는 O.01∼2.0 중량% 가 바람직하다.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은 지르코늄으로 해도 되며, 지르코늄의 혼합비는 0.05∼1.1 중량% 가 바람직하다.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은 하프늄으로 해도 되며, 하프늄의 혼합비는 0.05∼1.1 중량% 가 바람직하다.
리드선은, 외주부가 도전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충전된 2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전극은, 냉음극 형광 램프에 사용되는 통형상의 전극이고, 일단에 저면부가, 타단에 개구부가 구비되어,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여,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첨가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극 유닛은, 상기 전극과, 일단이 전극의 저면부에 접합된 리드선을 갖고 있다.
리드선은, 외주부가 도전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충전된 2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니켈의 결정입계의 결합력을 개선한 재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니켈재를 윗도는 내스퍼터 특성이 실현된다. 또한, 제작성이나 경제성도 우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본 발명을 예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액정 패널의 백라이트로서의 용도에 적합하지만, 다른 용도의 냉음극 형광 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냉음극 램프의 제 1 실시형태의 구조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냉음극 형광 램프 (1) 는, 붕ㆍ규산 유리에 의해 형성된 유리관 (2) 의 양단이 밀봉 유리 (비드 유리; 3) 로 기밀하게 밀봉되어 구성되어 있다. 유리관 (2) 의 외경은, 1.5∼6.0mm 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5∼5.0mm 의 범위 내이다. 유리관 (2) 의 재료는, 납 유리, 소다 유리, 저연 유리 등이어도 된다.
유리관 (2) 의 내벽면 (4) 에는, 내벽면 (4) 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도시 생략된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형광체층을 구성하는 형광체는, 할로인산염 형광체나 희토류 형광체 등의, 기존 또는 신규의 형광체로부터, 냉음극 형광 램프 (1) 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형광체층은, 2 종류 이상의 형광체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형광체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내벽면 (4) 으로 둘러싸인 유리관 (2) 의 내부 공간 (5) 에는, 아르곤, 크세논, 네온 등의 희가스 및 수은이 소정량 봉입되고, 내부 압력은 대기압의 수십 분의 1 정도로 감압되어 있다.
유리관 (2) 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전극 유닛 (6) 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 유닛 (6) 은, 통형상 전극 (7) 과, 통형상 전극 (7) 의 저면부 (8) 에 접합된 리드선 (9)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극 유닛 (6) 의 통형상 전극 (7) 은, 유리관 (2) 의 내부 공간 (5) 의 길이 방향 단부보다 약간 안 쪽의 위치에, 당해 통형상 전극 (7) 의 개구부 (10) 와 타방의 전극 유닛 (6) 의 개구부 (10) 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리드선 (9) 은, 그 일단이, 대응하는 통형상 전극 (7) 의 저면부 (8) 에 용접되어 있다. 타단은, 비드 유리 (3) 를 관통하여, 유리관 (2) 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리드선 (9) 은, 코바 등의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2 는, 냉음극 형광 램프 (1) 가 구비하는 전극 유닛 (6) 을 나타내는 확 대 사시도이다. 전극 유닛 (6) 을 구성하고 있는 통형상 전극 (7) 은, 길이 방향의 일방이 개구부 (10) 로서 개구하여, 타방이 저면부 (8) 에 의해 폐색된 통상부 (23) 를 구비하고 있다. 통형상 전극 (7) 은, 금속판을 원통 형상(컵 형상)으로 프레스하여 성형된다. 리드선 (9) 은, 일방의 단면 (12) 이 통형상 전극 (7) 의 저면부 (8) 에 용접되어 있다.
통형상 전극 (7) 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서,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하, 첨가 물질이라고 한다.)이 첨가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첨가 물질로서,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을 들 수 있다. 티탄의 혼합비는 0.01∼2.0 중량% 가 바람직하고, 지르코늄의 혼합비는 0.05∼1.1 중량% 가 바람직하며, 하프늄의 혼합비는 0.05∼1.1 중량% 가 바람직하다. 각 혼합비의 상한은, 주로, 통형상 전극 (7) 의 제작성에 의존한다. 즉, 이 이상의 혼합비가 되면 , 재료가 딱딱해져 원통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을 하기가 어렵게 된다. 각 혼합비의 하한은, 내스퍼터 성능이 충분히 얻어질 수 있도록 설정하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의 조성은, 니켈 99.7%, 티탄 0.05%, 망간 0.15% 로, 그 밖의 불순물 (탄소, 규소, 구리, 황, 마그네슘, 철) 0.1% 이었다. 또한, 니켈은 O.01% 정도의 미량의 코발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금속을 혼합함으로써 통형상 전극 (7) 의 내스퍼터 성능이 향상되는 이유에 대하여,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티탄을 예로 설명하지만, 지르코늄, 하프늄에 대해서도 같다.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은, 일반적으로 다결정 구조를 갖고, 결정 (G) 의 경계면에 결정입계 (B) 가 형성된다. 결정입계 (B) 는 입자 사이의 결합이 약하기 때문에, 스퍼터링의 영향을 받기 쉽다. 스퍼터링은 주로 결정입계 (B) 로부터 발생하여, 결정 (G) 의 내부로 서서히 넓어져 간다. 몰리브덴이나 니오브의 경우도, 산화되면, 결정입계 (B) 로부터, 스퍼터링이 현저하게 진행된다. 이들의 물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산화되면 환원되기 어렵기 때문에, 내스퍼터 성능을 회복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티탄의 탈산소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즉, 니켈에 대한 첨가물은, 결정입계 (B) 에 편석되기 쉬운 경향이 있고, 티탄도 예외가 아니다. 그리고, 티탄을 결정입계 (B) 에 충분히 편석시켜, 외부로부터의 산소를 받아들임으로써, 결정입계 (B) 에서의 결정끼리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전극의 내스퍼터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전술한 혼합비의 최소치는, 내스퍼터 성능의 향상을 위해 충분한 양의 티탄이 결정입계 (B) 에 분포하기 위한 필요량이다.
여기에서, 내스퍼터 성능이 어느 정도 향상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시료를 제작하여 스퍼터 성능을 확인하였다. 시험에서는, 니켈에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을 따로따로 첨가하고, 첨가량 (중량%) 을 바꾼 복수의 시료를 제작하여, 내스퍼터 성능과 가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순니켈과의 상대 비교로 하여, 양호한 순서대로 1, 2, 3, 4 로 하였다. 순니켈의 내스퍼터 성능은 그다지 양호하지 않기 때문에 3 으로 하고, 가공성은 양호하기 때문에 1 로 하였다. 내스퍼터 성능은 전극의 스퍼터량을 육안으로 판정하여, 스퍼터량이 적은 순서대로, 1, 2, 3 으로 하였다. 가공성은 컵 형상의 전극에 대한 성형성을, 성형된 형상의 정밀도, 결함의 유무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고 판정하여, 양호한 순서대로 1, 2, 3, 4 로 하였다. 가공성의 4 는 실용에 부적합한 정도의 가공성 밖에 없는 상태로서, 3 이하를 합격으로 하였다. 또한, 내스퍼터 성능이 3 인 시료는, 순니켈에 비해 메리트가 없으므로 채용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각 시료의 평가를 행하여, 표 1 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양호한 내스퍼터 성능과 가공성이 양립하는 시료는 No2∼5, 8, 11, 12 였다 (표 중, 흑색 표시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니켈에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을 첨가 물질로서 첨가한 전극의 내스퍼터 성능은, 종래의 니켈제의 (첨가 물질이 없다는) 전극에 비해 크게 향상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티탄을 0.05 중량% 첨가한 시료는, 내스퍼터 성능, 가공성 모두 매우 양호하였다.
Figure 112006011987433-PAT00001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내스퍼터 성능이 향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성의 개선도 가능하다. 통형상 전극 (7) 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고, 또한 첨가 물질의 혼합비는 작기 때문에, 융점은 니켈의 융점 (1455℃) 과 거의 동등하다. 통형상 전극 (7) 의 융점은, 리드선 (9) 의 재료인 코바의 융점 (1550℃) 과도 거의 동등하기 때문에, 통형상 전극 (7) 에 리드선 (9) 을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 양자가 동일한 정도로 연화되고, 서로 융화되어, 사이에 합금층을 만들어 강고히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몰리브덴이나 니오브 등의 고융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의 경우, 리드선 (9) 을 용융시켜 고정할 수 밖에 없고, 접착 강도나 접착 순서 면에서 제약이 생기기 쉬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첨가 물질의 혼합비가 작기 때문에, 비용에 대한 영향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대부분이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비용도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의 전극과 큰 차이가 없어, 경제적인 냉음극 형광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 램프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냉음극 형광 램프는, 제 1 실시형태와는 리드관의 구성이 다르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리드관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유닛 (6b) 을 구성하는 리드선 (9b) 은, 코바로 이루어지는 외측부 (33) 의 내부에, 구리 (Cu)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부 (32) 가 삽입된, 다층 구조 (2층 구조) 를 갖고 있다. 내측부 (32) 는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방열을 위해 형성되어 있다. 다층 구조부의 선단부에는, 니켈 철 합금의 주위를 구리로 피복한 쥬메트 (34) 가 결합되어 있고, 쥬메트 (34) 를 통하여, 전원장치 (도시 없음) 에 접속된다.
통형상 전극 (7) 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여, 그 기재에,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 등의,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첨가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스퍼터 성능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통형상 전극 (7) 의 융점은 니켈의 융점과 동일한 정도이고, 리드선 (9b) 의 접합에 과도한 고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용접시의 열에 의해 리드선 (9b) 의 내측부 (32) 가 과열되어, 구리가 외부로 분출될 가능성이 저감된다. 이로 인해, 리드선 (9b) 의 방열성이 충분히 확보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첨가 물질로서 티탄, 지르코늄, 하프늄을 열거하였지만, 이들을 복수종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퍼터링되기 쉬운 부위는, 통형상 전극의 통형상부 (23) 의 저면부 (8) 측의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만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을 혼합해도 되고, 이 부분에 있어서의,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의 혼합비를 높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제시하고,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의 취지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한, 여러가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내스퍼터성과 제작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냉음극 형광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기밀하게 밀봉된 내부 공간에 적어도 희가스와 수은 가스가 봉입되어, 내벽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유리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일단에 저면부가, 타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그 개구부끼리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통형상 전극, 및
    일단이 상기 저면부에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유리관의 외부로 인출된 리드선을 가지며,
    상기 통형상 전극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여,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첨가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냉음극 형광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은 티탄인, 냉음극 형광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탄의 혼합비는 0.01∼2.0 중량% 인, 냉음극 형광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은 지르코늄인, 냉음극 형광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르코늄의 혼합비는 0.05∼1.1 중량% 인, 냉음극 형광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은 하프늄인, 냉음극 형광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늄의 혼합비는 0.05∼1.1 중량% 인, 냉음극 형광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외주부가 도전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충전된 2층 구조를 갖는, 냉음극 형광 램프.
  9. 냉음극 형광 램프에 사용되는 통형상의 전극으로서,
    일단에 저면부가, 타단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을 기재로 하여, 탈산소 작용을 갖는 금속이 첨가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전극.
  10. 제 9 항에 기재된 전극과,
    일단이 상기 전극의 상기 저면부에 접합된 리드선을 갖는, 전극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외주부가 도전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이 충전된 2층 구조를 갖는, 전극 유닛.
KR1020060015853A 2005-02-18 2006-02-17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및 전극 유닛 KR100779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2557A JP3990406B2 (ja) 2005-02-18 2005-02-18 冷陰極蛍光ランプ、電極、および電極ユニット
JPJP-P-2005-00042557 2005-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073A true KR20060093073A (ko) 2006-08-23
KR100779433B1 KR100779433B1 (ko) 2007-11-26

Family

ID=3692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853A KR100779433B1 (ko) 2005-02-18 2006-02-17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및 전극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90406B2 (ko)
KR (1) KR100779433B1 (ko)
CN (1) CN100530514C (ko)
TW (1) TW2006348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4516B2 (ja) * 2005-05-25 2011-02-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極材料
JP4464951B2 (ja) * 2006-11-24 2010-05-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冷陰極蛍光ランプ用電極部材
JP4945803B2 (ja) * 2008-02-20 2012-06-06 Nec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冷陰極蛍光ランプ
JP4612727B2 (ja) * 2009-04-13 2011-0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リード線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7965A (en) * 1985-11-08 1988-08-30 Sanyo Electric Co., Ltd. Flat luminescent lamp for liquid crystalline display
TW200405383A (en) * 2002-07-19 2004-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ow-voltage discharge lamp and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JP2004071276A (ja) * 2002-08-05 2004-03-04 Nec Lighting Ltd 冷陰極ランプおよび冷陰極ランプ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28615A (ja) 2006-08-31
CN100530514C (zh) 2009-08-19
CN1822306A (zh) 2006-08-23
TW200634890A (en) 2006-10-01
JP3990406B2 (ja) 2007-10-10
KR100779433B1 (ko) 2007-11-26
TWI306617B (ko) 200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0324B (zh) 冷陰極螢光燈用電極構件及其製法
KR100779433B1 (ko)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및 전극 유닛
JP2004356098A (ja) モリブデン電極を備える冷陰極蛍光ランプ
JP2007128918A (ja) 冷陰極蛍光ランプ、電極、および電極ユニット
KR20070033254A (ko) 냉음극 형광 램프, 전극 유닛 및 전극 유닛의 제조 방법
JP2008251268A (ja) 電極マウ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陰極蛍光ランプ
JP2007128917A (ja) 冷陰極蛍光ランプ、電極、および電極ユニット
JP4546524B2 (ja) 電極、電極の製造方法及び冷陰極蛍光ランプ
JP4267039B2 (ja) 冷陰極蛍光ランプ
JP4625115B2 (ja) ランプ用ガラス組成物、ランプ用ガラス部品、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4347353B2 (ja) 冷陰極蛍光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84116A (ko) 냉음극 형광램프
KR100984476B1 (ko) 냉음극 방전관용 전극 및 냉음극 방전관
JP4452934B2 (ja) 冷陰極蛍光ランプ
JP4945803B2 (ja) 冷陰極蛍光ランプ
CN201576648U (zh) 冷阴极荧光灯用电极部件
CN101425447A (zh) 冷阴极荧光灯
CN101331580A (zh) 冷阴极荧光灯用电极
KR20100055316A (ko) 냉음극 방전램프 및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