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398A -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398A
KR20060091398A KR1020050011932A KR20050011932A KR20060091398A KR 20060091398 A KR20060091398 A KR 20060091398A KR 1020050011932 A KR1020050011932 A KR 1020050011932A KR 20050011932 A KR20050011932 A KR 20050011932A KR 20060091398 A KR20060091398 A KR 20060091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od
angle
connector
hol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804B1 (ko
Inventor
박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인앤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인앤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인앤나인
Priority to KR1020050011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8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연결체와 제 2 연결체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의 연결구조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서 소정각도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단부(120)로 구성되는 제 1 연결체(100)와, 상기 제 1 연결체(1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체, 연결구조, 각도조정, 회동

Description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ion unit of which connecton angle can be chang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 1 연결체의 연장단부의 절개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회동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중공체결관의 절개사시도.
도 5a, 도 5b는 각각 제 1 연결체가 제 2 연결체와 일정 각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 및 부분절개 단면도.
도 6a, 도 6b는 각각 조정관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 및 부분절개 단면도.
도 7a, 도 7b는 각각 제 1연결체를 제 2연결체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 및 부분절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연결체 110 : 본체
120 : 연장단부 121(121a, 121b) : 결합편
123(123a, 123b) : 회동홈 125(125a, 125b) : 제 1기어형 나사산
127 : 축홀 130 : 가이드요홈
140 : 축핀 150 : 덮개
151 : 축홀 200 : 제 2 연결체
210 : 회동체 211 : 제 1 관통홀
213(213a, 213b) : 고정홀 215(215a, 215b) : 제 2기어형 나사산
220 : 보호띠 230 : 체결봉
231 : 삽입단부 233 : 제 2 관통홀
235(235a, 235b) : 고정홈 237 : 수나사부
238 : 스프링저지부 240 : 스프링
250 : 중공체결관 253 : 오목단부
255(255a, 255b) : 가이드돌기 257 : 스프링가압부
260 : 와샤 270 : 조정관
본 발명은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체를 구성하는 제 1 연결체와 제 2 연결체의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연결체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데 있어서, 양 연결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는 종래 널리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예가, 제 1 연결체의 단부에 가이드요홈을 형성하고, 제 2 부재의 단부를 가이드요홈에 끼워지도록 형성하고, 양 단부를 동시에 축핀이 관통하도록 하여, 축핀을 중심으로 각 부재들이 서로 회동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결구조에서는 회동시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제작시에 정해진 소정의 각도만으로 회동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손쉽게 고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회동각도가 조절 및 고정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는 연결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컨데, 회동가능한 연결체의 연결수단의 예로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어야 하는 각종 레버의 경우, 레버가 고정되지 않고, 단지 회동되어 멈추어만 있게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사소한 실수로 레버를 건드릴 경우 레버가 다른 위치로 쉽게 회동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골프채 헤드의 경우 헤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골프를 칠 경우 다양한 로프트 각도를 가진 여러개의 골프채를 소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연결체를 사용자의 원하는 각도로 회동한 후 그 각도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는 단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가이드요홈, 상기 가이드요홈의 내벽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외주에 내측기어가 형성되는 회동홈, 및 상기 가이드요홈이 형성하는 양 벽면을 관통하는 소정직경의 축홀이 형성되는 제 1 연결체, 그리고 중공 원통형체로서, 원통형면에 상기 내측기어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의 외측기어편이 형성되고, 원통형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내측기어의 높이 보가 긴 장공형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는 회동체, 상기 회동체에 연결되어 연장되며, 회동체측 일단부는 상기 제 1 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의 장공형 제 2 관통홀이 형성되고, 연장된 타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수나사부가 구비되는 체결봉, 상기 체결봉의 수나사가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체결봉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중공체결관, 및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면에 형성되는 중공관으로서 상기 중공체결관의 외측에서 상기 체결봉에 끼워지고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조정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 1 연결체와 상기 제 2 연결체가 상기 축홀,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을 통과하는 축핀을 통하여 서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연결체의 연결구조는 크게 제 1 연결체(100)와 제 2 연결체(200 ; 210, 220, 230, 240, 250, 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연결체(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일측에서 제 2 연결체(200)와 연결될 연결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단부(120)로 구성된다.
본체(11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데, 긴 막대형 연장체, 구형체등 그 제한이 없다. 일 적용예로, 골프채의 헤드부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본체(110)에서 연장되는 연장단부(120)의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요홈(130)이 형성되어, 연장단부(120)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며 이에 따라 연장단부(120)는 한 쌍의 결합편(121 : 121a, 121b)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제 1 연결체의 연장단부의 절개사시도로서, 연장단부(1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가이드요홈(130)은 제 2 연결체(200)의 단부에 결합될 후술할 회동체(210)가 삽입되어, 홈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 2 연결체(2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홈으로서, 가이드요홈(130)의 양 내벽면에는 회동체(210)가 장착될 수 있는 한 쌍의 회동홈(123)이 형성되며, 한 쌍의 회동홈(123)의 외주에는 한 쌍의 내측기어(125 ; 125a, 125b)가 형성되어, 회동체(2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외측기어편(215 ; 215a, 215b)이 각각 맞물리며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회동체(210)의 외측기어편(215)은 내측기어(125)에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동작되므로, 회동홈(123 ; 123a, 123b)은 회동체(210)의 외측기어편(215)이 내측기어(125)로부터 완전히 이격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회동홈(123a, 123b)들 중 어느 한 회동홈(123a)은 회동체(210)가 장착되게 하는 입구를 확보하기 위해 회동홈(123a)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외 부에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외부에 개방되는 회동홈(123a)은 회동체(210)가 회동홈(123a)에 장착된 이후에는 다시 덮혀져야 하므로, 이를 덮기위한 덮개(150)가 구비된다.
한편, 덮개(150) 및 외부로 개방되지 않는 결합편(123b)의 벽면에는 벽면을 관통하는 소정 직경의 축홀(151, 127)이 각각 형성되어, 축홀(151, 127)에는 후술할 축핀(14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결합편(123a, 123b)의 단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연장단부(120)측 체결봉(230)의 단부가 결합편(120) 단부의 원형에 대향하면서 오목원형으로 맞춤형성되게 하여, 제 2 연결체(200)가 제 1 연결체(100)에 대해 회동될 때에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가이드요홈(130) 사이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길이의 띠형상 보호띠(220)가 구비되어, 가이드요홈(130)에 위치되어 회동체(210)를 둘레를 감싸면서 후술할 중공체결관(250)의 가이드돌기(255)에 보호띠(220)의 각 단부가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때, 보호띠(220)는 가이드돌기(255)에 레이저용접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장단부(120)에는 제 1 연결체(100)와 제 2 연결체(200)가 이루는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연결체(200)는 회동체(210), 체결봉(230), 중공체결관(250), 스프링(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체(210)는 축핀(140)에 끼워져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 대략 원통형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회동체의 사시도로서, 회동체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따르면, 회동체(210)는 원통면에 소정크기의 삽입홈(217)과, 삽입홈(217)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기어형 나사산(215 ; 215a, 215b)과, 원통형체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제 1 관통홀(211)과, 삽입홈에 삽입되는 체결봉(230)의 단부를 회동체(210)에 고정연결시키기 위한 고정홀(213 ; 213a, 213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17)은 체결봉(230)의 삽입단부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후술할 체결봉(230)의 사각기둥형의 삽입단부가 억지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외측기어편(215)은 내측기어(125)에 맞물리는 돌기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동체(210) 삽입홈(217)의 양측에 형성된다. 회동체(210)에 형성되는 외측기어편(215)은 한 개의 기어형 나사산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도 가능하나, 보다 견고히 외측기어편(215)과 내측기어(125)가 맞물릴 수 있도록, 기어형 나사산의 돌기를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형 나사산의 돌기가 3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관통홀(211)은 축핀(140)이 관통되는 홀로서, 외측기어편(215)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으로 형성된다. 장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외측기어편(215)이 내측기어(125)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외측기어편(215)이 내측기어(125)로부터 이격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한 후 다른 홈에 끼워질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 1 관통홀(211)의 관통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고정홀(213 ; 213a, 213b)이 형성되는데, 고정홀(213)은 고정핀(218 ; 218a, 218b)이 관통되는 홀로서, 고정핀(213)은 체결봉(230)의 삽입단부(231)가 삽입홈(217)에 끼워진 후 회동체(210)와 체결봉(230)을 서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때, 고정핀(218)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용접등으로 회동체(210)와 체결봉(230)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봉(230)은 회동체(210)의 삽입홈(217)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장체로서, 회동체(210)측 삽입단부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제 1 관통홀(211)과 동일한 형상의 축핀(140)이 관통하는 장공형의 제 2 관통홀(233)과, 고정핀(218)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235 ; 235a, 235b)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봉(230)의 연장된 타단부측에는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수나사부(237)가 형성된다. 이 때 수나사부는 사용용도에 따라 왼나사 또는 오른나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골프채에 적용될 경우를 염두에 두고 왼나사를 사용하였다.
체결봉(230)에는 스프링(240)이 끼워지는데, 체결봉(230) 상에는 스프링(240)이 끼워질 경우 스프링이 일정위치 이상으로 전진되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240)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프링저지부(238)가 체결봉(230) 본체 일구간에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저지부(238)는 스프링(240)이 끼워지는 구간에서의 체결봉(2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소정구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환형의 저지링을 끼워 체결봉(230)과 일체로 고정시키는 방법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스프링저지부(238)를 형성할 수 있다.
체결봉(230) 상에는 먼저 중공체결관(250)이 끼워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른 중공체결관의 절개사시도로서, 중공체결관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1과 도 4에 따르면, 중공체결관(250)은 체결봉(230)의 수나사가 소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도록 체결봉(230)의 길이 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고, 중공체결관(250)의 연장단부측 오목단부(253)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연장단부(120)의 원형 단부에 맞춤형상되는 형상 즉, 오목한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 때, 연장단부(120)측 체결봉(230) 단부에는 가이드요홈(130)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가이드돌기(255 ; 255a, 255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체결봉(230)이 보다 안정되게 가이드요홈(130)을 따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공체결관(250)의 연장단부측 오목단부(253)와 반대방향의 조정관측 단부에는 스프링(240)을 가압할 수 있는 스프링가압부(257)가 형성된다. 스프링가압부(257)는 후술할 조정관(270)을 후진시킬 경우 중공체결관(250)이 조정관을 따라 후진될 수 있도록 스프링(240)이 중공체결관(25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체결관(250)의 조정관측 단부에 둘레에 중공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가압구간(257)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제공되었다.
중공체결관(250)의 외측에는 체결봉(230)에 나사식으로 끼워지는 중공체인 조정관(270)이 제공된다. 조정관(270)의 체결봉(230)측 단부 일구간에는 중공체결관(250)의 수나사에 끼워지는 암나사가 내벽면에 형성되어 체결봉(230)의 수나사부 (237)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조정관(270)과 중공체결관(250) 사이에는 와샤(260)를 설치하여 보다 유연하게 조정관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 연결구조의 동작 및 기능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도 5b는 각각 제 1 연결체가 제 2 연결체와 일정 각도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 및 부분절개 단면도이고, 도 6a, 도 6b는 각각 조정관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 및 부분절개 단면도이고, 도 7a, 7b는 각각 제 1연결체를 제 2연결체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상태를 보이는 동작도 및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일정한 각도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연결체(100)의 각도를 변경하기 위해서 조정관(27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조정관(270)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조정관(270)의 암나사가 체결봉(230)의 수나사부(237)로부터 풀려지게 되어 조정관(27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조정관(27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조정관(270)에 의해 연장단부의 결합편(121)에 붙어 있던 중공체결관(250)이 그 내부에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24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정관(270)에 밀착되는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연장단부(120)와 간격을 형성하게 된다. 연장단부(120)과 중공체결관(250)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조정관(270)을 연장단부(120) 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 2 연결 체(200) 전체가 밀리게 되는데, 이는 회동체(210)의 제 1 관통홀(211)이 장공형상이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때 체결봉(230)의 단부에 연결된 회동체(210)의 외측기어편(215)이 연장단부(120) 회동홈(123)의 내측기어(125)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해제된다.
외측기어편(215)이 내측기어(125)에서 해제되면, 회동체(210)는 축핀(14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므로, 회동체(210)에 연결되는 중공체결관(250)으로 감싸진 체결봉(230)을 연장단부(120)에 형성된 가이드요홈(130)을 따라 회동시킴에 따라 제 2 연결체(200)와 제 1 연결체(100)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중공체결관(250)의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55)는 보다 안정되게 체결봉(230)이 회동될 수 있게 한다.
제 2 연결체(200)를 회동시켜 제 1 연결체와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킨 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조정관(270)을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조정관(27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조정관(270)이 제 1 연결체(100) 측으로 이동되면서, 중공체결관(250)을 제 1 연결체(100)측으로 밀게 되고, 연장단부(120)과 중공체결관(250) 사이의 이격은 없어지며, 회동체(210)의 외측기어편(215)은 회동홈(123)의 내측기어(125)에 맞물리게 되어 제 2 연결체(200)는 더 이상 회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다음에는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체 연결구조의 조립법에 대해 설명한다.
연장단부(120)과 본체(110)가 일체로 형성된 제 1 연결체(100)를 조립위치에 준비시키고, 보호띠(220)를 가이드요홈(130)에 삽입한다. 다음, 외부에 개방된 회동홈(123a)를 통해 회동체(210)를 가이드요홈(130)의 벽면에 형성되는 회동홈들(123) 사이에 장착시키고, 체결봉(230)을 회동체(210)의 삽입홈(217)에 삽착시켜, 제 1 관통홀(211)과 제 2 관통홀(233) 및 고정홀(213)과 고정홈(235)을 각각 서로 일치시킨 후, 고정핀(218)을 고정홀(213) 및 고정홈(235)으로 통과시켜 체결봉(230)과 회동체(210)를 연결한다. 체결봉(230)에는 스프링(240)을 끼우고, 그 상부에 중공체결관(250)을 끼우는데 가이드돌기(255)가 가이드요홈(130)에 삽착되도록 끼운다. 중공체결관(250) 위에는 다시 와샤(260)와 조정관(270)을 끼운다. 이 때, 조정관(270)은 체결봉(230)의 수나사부(237)와 나사결합된다. 마지막으로, 덮개(150)를 덮고, 축핀(140)을 덮개(150)의 축홀(151), 회동체의 제 1 관통홀(211), 체결봉(230)의 제 2 관통홀(233), 결합편(121)의 축홀(127)을 나란히 관통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주로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예컨데, 연장단부 형상의 변경, 기어형 나사산 형상의 변경, 스프링 대용 탄성연결체의 사용각종 핀 및 홀의 형상의 변경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변경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체의 연결구조가 적용된 연결체는 사용자의 원하는 각도로 연결체를 회동한 후 그 각도에서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다양 한 분야에서 다양한 응용이 이루어질 것이 예상된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Claims (9)

  1. 단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가이드요홈(130),
    상기 가이드요홈(130)의 내벽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둘레에 내측기어(125; 125a, 125b)가 형성되는 회동홈(123 ; 123a, 123b), 및
    상기 가이드요홈(130)이 형성하는 양 벽면을 관통하는 소정직경의 축홀(151, 127)이 형성되는 제 1 연결체(100);
    중공 원통형체로서, 원통형면에 상기 내측기어(125)와 맞물리도록 외측기어편(215 ; 215a, 215b)이 형성되고, 원통형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내측기어(125)의 높이 보다 긴 장공형의 제 1 관통홀(211)이 형성되는 회동체(210),
    상기 회동체(210)에 연결되어 연장되며, 상기 회동체측 일단부에는 상기 제 1 관통홀(211)과 동일한 형상의 장공형의 제 2 관통홀(233)이 형성되고, 연장된 타단부에는 수나사부(237)가 구비되는 체결봉(230),
    상기 체결봉(230)의 수나사가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상기 체결봉(230)의 둘레에 끼워지는 중공체결관(250), 및
    상기 수나사부(237)에 결합되는 암나사가 내면에 형성되는 중공관으로서 상기 중공체결관(250)에 인접하여 상기 체결봉(230)에 끼워지는 조정관(2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 연결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 1 연결체(100)와 상기 제 2 연결체(200)가 상기 축홀(151, 127), 제 1 관통홀(211) 및 제 2 관통홀(233)을 통과하는 축핀(140)을 통해 서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봉(230)에는 스프링(240)이 더 끼워지고,
    상기 체결봉(230)의 일구간에는 상기 스프링(240)의 위치를 결정하는 스프링저지부(238)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230)의 상기 조정관측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240)을 가압할 수 있는 스프링가압부(257)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체(100)의 연장단부(12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단부측 체결봉 단부(253)는 대향하는 상기 연장단부(120)의 원형 형상에 맞춤형성되는 오목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부측 체결봉 단부(253)에는 상기 가이드요홈(130)에 끼워져 제 1 연결체(100)와 제 2 연결체(200)간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돌기(255 ; 255a, 255b)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 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부(120)에는 상기 제 1 연결체(100)와 제 2 연결체(200)가 이루는 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237)는 왼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체결봉(2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체(210)를 감싸면서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체결봉(230)의 타측에 연결되는 보호띠(22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결관(250)과 상기 조정관(270) 사이에는 와샤(2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210)에는 상기 체결봉(230)의 회동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원통면에 형성되는 삽입홈(217)과, 상기 삽입홈(217)의 수직방향으로 양단부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13 ; 213a, 213b)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봉(230)의 회동체측 단부에는 상기 체결봉(2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홀(213 ; 213a, 213b)과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고정홈(235 ; 235a, 235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213)과 상기 고정홈(235)을 통과하는 고정핀(218 ; 218a, 218b)으로 상기 회동체(210)와 상기 체결봉(23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KR1020050011932A 2005-02-14 2005-02-14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KR100715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32A KR100715804B1 (ko) 2005-02-14 2005-02-14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32A KR100715804B1 (ko) 2005-02-14 2005-02-14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398A true KR20060091398A (ko) 2006-08-21
KR100715804B1 KR100715804B1 (ko) 2007-05-10

Family

ID=3759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932A KR100715804B1 (ko) 2005-02-14 2005-02-14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8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15A2 (ko) * 2009-12-23 2011-06-30 주식회사 아모럭스 등기구의 설치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등기구 조립체
KR20160073828A (ko) * 2014-12-17 2016-06-27 (주)파이빅스 핑거탭
WO2019022543A1 (ko) * 2017-07-27 2019-01-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원 모듈
KR20190040113A (ko) * 2018-06-12 2019-04-17 강희진 가방 개폐용 경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88B1 (ko) 2011-10-17 2013-06-27 이상기 천막의 원터치 연결구
KR101388183B1 (ko) 2012-02-14 2014-04-24 안정기 천막의 원터치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399U (ko) 1975-09-02 1977-03-10
JP2681257B2 (ja) * 1994-04-20 1997-11-26 株式会社川口技研 物干装置
JP2002017640A (ja) 2000-07-04 2002-01-22 Teramoto Corp 清掃用具のヘッドホル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8515A2 (ko) * 2009-12-23 2011-06-30 주식회사 아모럭스 등기구의 설치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등기구 조립체
WO2011078515A3 (ko) * 2009-12-23 2011-10-13 주식회사 아모럭스 등기구의 설치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등기구 조립체
KR20160073828A (ko) * 2014-12-17 2016-06-27 (주)파이빅스 핑거탭
WO2019022543A1 (ko) * 2017-07-27 2019-01-3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광원 모듈
KR20190040113A (ko) * 2018-06-12 2019-04-17 강희진 가방 개폐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804B1 (ko)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804B1 (ko)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KR100627243B1 (ko) 로프트 각도가 조절되는 골프채 헤드
US8782853B2 (en) Rot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JP2006503673A5 (ko)
US20030234327A1 (en) Tripod
US8250709B2 (en) Rotating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N101180515A (zh) 水准仪
US7343652B1 (en) Lace adjuster
US7178200B2 (en) Hinge structure
WO2020111034A1 (ja) 小動物用運動器具
TWI742888B (zh) 扭力結構
CN107345543A (zh) 同步器滑块及同步器
KR200384070Y1 (ko) 로프트 각도가 조절되는 골프채 헤드
KR200427059Y1 (ko) 라이각이 조절되는 퍼터 및 치퍼겸용 골프채 헤드
CN108425617A (zh) 扭转助力组件
KR19980023945A (ko) 골프용 스탠스 교정구
DE2940969C2 (de) Zeigermeßwerk
DE202020102031U1 (de) Verbesserter Schraubenschlüssel mit Schwenkkopf
JP4511292B2 (ja) レバーハンドル軸嵌合構造
CN111786105B (zh) 过线旋转机构和通信天线
EP1188388A1 (en) Watch and bracelet connection structure and watch comprising said structure
TW201930023A (zh) 扭力套筒結構
JP3393704B2 (ja) 扉用ハンドル
US20050265776A1 (en) Connecting rod for tricycles or the like and a tricycle with such a connecting rod
JPS5927139Y2 (ja) 時計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