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371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371A
KR20060091371A KR1020050011893A KR20050011893A KR20060091371A KR 20060091371 A KR20060091371 A KR 20060091371A KR 1020050011893 A KR1020050011893 A KR 1020050011893A KR 20050011893 A KR20050011893 A KR 20050011893A KR 20060091371 A KR20060091371 A KR 20060091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prot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우
김웅식
최필모
송석천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371A/ko
Publication of KR2006009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cessive or insufficient pressure
    • B65D90/34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콤팩트한 사이즈를 갖는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콤팩트한 사이즈를 갖기 위해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하우징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는 제1 표시 패널 및 제1 보호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표시 패널은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1 표시 영역을 감싸는 제1 주변 영역을 갖는다. 제1 보호 부재는 제1 주변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표시 영역과는 이격된 투명한 제1 보호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제1 보호 부재를 통하여 제1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두께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 표시 패널, 보호창, 두께,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보다 콤팩트한 사이즈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영상으로 변경시킨다. 표시 장치의 하나인 액정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 방식 표시 장치(cathode ray tube type display device) 보다 두께가 얇고 및 무게가 가볍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는 포터블 컴퓨터, 통신 기기, 텔레비전 수신기 및 우주 항공 장비(aerospace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전자 장치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 포함된 액정 표시 패널은 유리와 같이 취성이 약한 기판에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깨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제점 및 제한을 실질적으로 제거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을 보호 및 표시 장치의 사이즈를 보다 감소시킨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는 제1 표시 패널 및 제1 보호 부재를 포함한다. 제1 표시 패널은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제1 표시 영역을 감싸는 제1 주변 영역을 갖는다. 제1 보호 부재는 제1 주변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1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표시 영역과는 이격된 투명한 제1 보호부를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제1 보호 부재를 통하여 제1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가 형성된다.
하우징 중 제1 개구의 주변부는 제1 보호 부재의 제1 결합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1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 보호 부재의 제1 결합부 상에 제1 완충 부재가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표시 패널 어셈블리는 제1 표시 패널에 대향 배치되고 제1 표시 패널의 표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하우징에는 제2 표시 영역을 노 출시키는 제2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패널 및 보호 부재 사이 간격을 크게 감소시켜 표시 장치를 보다 슬림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기기(500)는 통신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400) 및 정보 처리 장치(4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300)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400)에 연결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100) 및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Ⅰ-Ⅰ'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 어셈블리(100)는 제1 표시 패널(110) 및 제1 보호 부재(130)를 포함한다.
제1 표시 패널(110)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제1 영상으로 변경시킨다. 제1 표시 패널(110)은 액정을 이용해 데이터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 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은 하부 기판, 하부 기판을 마주보는 상부 기판 및 양 기판들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2 개의 기판들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됨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이 변경되고 이로 인해 액정층을 통과하는 광의 투과율이 변경되어 액정 표시 패널로부터 원하는 계조의 영상을 얻게 된다.
제1 표시 패널(110)은 제1 표시 영역(111) 및 제1 주변 영역(113)으로 구분된다. 제1 표시 패널(110)은 제1 표시 영역(111)을 통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한다. 제1 주변 영역(113)은 제1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한다. 제1 주변 영역(113)은 제1 표시 영역(111)을 둘러싸고 제1 주변 영역(113)으로 입사하는 광을 차단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주변 영역(113)에는 광을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 부재(13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1 표시 패널(110)을 보호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보호 부재(130)는 제1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되며, 제1 표시 영역(111)으로부터 출사된 제1 영상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보호 부재(130)는 제1 결합부(131) 및 제1 보호부(135)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31)는 제1 표시 패널(110)의 제1 주변 영역(113)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131)는 제1 주변 영역(113)과 접촉하며, 제1 결합부(131)와 제1 주변 영역(113)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호부(135)는 제1 결합부(1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표시 영역(111)에 대응한다. 제1 보호부(135)는 제1 표시 영역(111)과 제1 간격(D) 만큼 이격된다. 표시 장치(300)의 두께 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보호부(135)와 제1 표시 영역(111) 사이의 제1 간격(D)은 0.1 내지 1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보호 부재(130)는 제1 표시 영역(111) 및 제1 주변 영역(113)의 경계의 인근에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는 제1 보호부(135)의 에지로부터 제1 표시 패널(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측 단부가 제1 결합부(131)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패널(110)로부터 제1 보호부(135)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제1 표시 패널(110)로부터 제1 결합부(131)의 상면까지의 높이보다 크다.
하우징(200)은 표시 패널 어셈블리(100)를 수납한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100)의 수납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하우징(200)은 리어 케이스(250) 및 프론트 케이스(210)를 포함한다.
리어 케이스(250)는 바닥판(251) 및 바닥판(251)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바닥판(251) 상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255)을 포함한다. 제1 표시 패널(110)은 바닥판(251)에 배치된다. 이때, 제1 표시 패널(110) 상에 배치된 제1 보호 부(135)재 및 제1 표시 패널(110)의 일부는 리어 케이스(25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0)는 측벽(215) 및 베젤부(211)를 포함한다. 프론트 케이스(210)의 측벽(215)은 리어 케이스(250)의 측벽(255)에 대응하고, 리어 케이스(250)의 바닥판(251)을 마주보는 베젤부(211)에는 제1 표시 패널(110)의 제1 표시 영역(111)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213)가 형성된다. 베젤부(211)는 제1 보호 부재(130)의 제1 결합부(131) 및 단차부와 밀착되고, 제1 보호 부재(130)의 제1 보호부(135) 는 프론트 케이스(210)의 제1 개구(213)를 통하여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보호 부재(130)의 제1 보호부(135)는 프론트 케이스(210)에 형성된 제1 개구(213)에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는 하우징(700) 및 표시 패널 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하우징(700)은 프론트 케이스(710) 및 리어 케리스(750)를 포함한다.
프론트 케이스(710)는 측벽(715) 및 베젤부(711)를 포함한다. 측벽(715)은 베젤부(711)의 에지로부터 연장되어 베젤부(711)의 하부에 소정의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베젤부(711)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 개구(713)가 형성된다.
리어 케이스(750)는 바닥판(751) 및 바닥판(751)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바닥판(751) 상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755)을 포함한다. 리어 케리스(750)의 측벽(755)은 프론트 케이스(710)의 측벽(715)에 대응하고 바닥판(751)은 프론트 케이스(710)의 베젤부(711)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바닥판(751)에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2 개구(753)가 형성된다.
표시 패널 어셈블리(600)는 제1 표시 패널(610), 제1 보호 부재(630), 제2 표시 패널(650) 및 제2 보호 부재(670)를 포함한다.
제1 표시 패널(610)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제1 영상으로 변경시킨다. 제1 표시 패널(610)은 프론트 케이스(710)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제1 표시 패널(610)은 액정을 이용해 데이터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패널(610)은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611) 및 제1 표시 영역(611)을 둘러싸는 제1 주변 영역(613)으로 구분된다. 제1 표시 영역(611)은 프론트 케이스(710)에 형성된 제1 개구(713)에 대응하고 제1 주변 영역(613)은 프론트 케이스(710)의 베젤부(711)에 대응한다. 제1 표시 패널(610)은 제1 주변 영역(613)에 배치되어 제1 주변 영역(613)으로 입사하는 광을 차단하는 광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주변 영역(613) 중 제1 표시 영역(611)에 인접한 부분은 베젤부(711)에 형성된 제1 개구(713)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케이스(710)의 정면에서 표시 장치(800)를 관찰하는 경우, 제1 개구(713)를 통하여 노출되는 제1 표시 영역(611)은 제1 주변 영역(613)에 형성된 광 차단 부재에 의하여 둘러 쌓인다.
제1 보호 부재(63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1 표시 패널(610)을 보호한다. 이를 위하여 제1 보호 부재(630)는 제1 표시 패널(610) 및 프론트 케이스(7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보호 부재(630)는 제1 표시 영역(611)으로부터 출사된 제1 영상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보호 부재(630)는 제1 결합부(631) 및 제1 보호부(635)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631)는 제1 표시 패널(610)의 제1 주변 영역(613)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631)는 제1 주변 영역(613)과 접촉하며, 제1 결합부(631)와 제1 주 변 영역(613)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호부(635)는 제1 결합부(6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표시 영역(611)에 대응한다. 제1 보호부(635)는 제1 표시 영역(611)과 제1 간격(D1) 만큼 이격된다.
여기서, 제1 보호 부재(630)는 일측 단부가 제1 보호부(635)의 에지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가 제1 결합부(631)에 연결된 제1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800)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보호부(635)와 제1 표시 영역(611) 사이의 제1 간격(D1)은 0.1 내지 1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는 제1 완충 부재(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640)는 외부 충격에 대하여 제1 보호 부재(630) 및 제1 표시 패널(610)을 보호한다. 제1 완충 부재(640)는 제1 보호 부재(630)의 제1 결합부(631) 및 프론트 케이스(710)의 베젤부(7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640)는 제1 표시 패널(610)의 제1 주변 영역(613) 또는 제1 보호 부재(630)의 제1 결합부(63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들 들어, 제1 완충 부재(640)는 링 형상을 갖고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표시 패널(650)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제2 영상으로 변경시킨다. 제2 표시 패널(650)은 제1 표시 패널(610)에 대향하게 배치되며 리어 케이스(750)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다. 제2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은 제1 영상이 표시되는 방향과 반대이다. 제2 표시 패널(650)은 액정을 이용해 데이터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패널(650)은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651) 및 제2 표시 영역(651)을 둘러싸는 제2 주변 영역(653)으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표시 영역(651)의 제2 평면적은 제1 표시 영역(611)의 제1 평면적보다 작다. 제2 표시 영역(651)은 리어 케이스(750)에 형성된 제2 개구(753)에 대응하고 제2 주변 영역(653)은 리어 케이스(750)의 바닥판(751) 중 제2 개구(753)의 주변부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주변 영역(653) 중 제2 표시 영역(651)에 인접한 부분은 바닥판(751)에 형성된 제2 개구(753)를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케이스(750)의 정면에서 표시 장치(800)를 관찰하는 경우, 제2 개구(753)를 통하여 노출되는 제2 표시 영역(651)은 제2 주변 영역(653)에 형성된 광 차단 부재에 의하여 둘러 쌓인다.
제2 보호 부재(67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2 표시 패널(650)을 보호한다. 이를 위하여 제2 보호 부재(670)는 제2 표시 패널(650) 및 리어 케이스(75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보호 부재(670)는 제2 표시 영역(651)으로부터 출사된 제2 영상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보호 부재(670)는 제2 결합부(671) 및 제2 보호부(675)를 포함한다. 제2 결합부(671)는 제2 표시 패널(650)의 제2 주변 영역(653)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671)는 제2 주변 영역(653)과 접촉하며, 제2 결합부(671)와 제2 주변 영역(653)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보호부(675)는 제2 결합부(67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2 표시 영역(651)에 대응한다. 제2 보호부(675)는 제2 표시 영역(651)과 제2 간격(D2) 만큼 이격된 다. 여기서, 제2 보호 부재(670)는 제2 보호부(675)의 에지로부터 제2 표시 패널(6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 단부가 제2 결합부(671)에 연결된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800)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2 보호부(675) 및 제2 표시 영역(651) 사이의 제2 간격(D2)은 0.1 내지 1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는 제2 완충 부재(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완충 부재(680)는 외부 충격에 대하여 제2 보호 부재(670) 및 제2 표시 패널(650)을 보호한다. 제2 완충 부재(680)는 제2 보호 부재(670)의 제2 결합부(671) 및 리어 케이스(750)의 바닥판(75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완충 부재(680)는 제2 표시 패널(650)의 제2 주변 영역(653) 또는 제2 보호 부재(670)의 제1 결합부(67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들 들어, 제2 완충 부재(680)는 링 형상을 갖고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보호 부재는 표시 패널에 직접 결합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로부터 보호 부재까지의 이격 간격을 0.1 내지 1 mm 정도로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을 수납하는 케이스에 표시 패널의 보호 부재를 결합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표시 장치를 보다 슬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패널 및 보호 부재의 사이 간격이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보호 부재를 통과하는 광의 휘도 감소량이 크게 감 소된다. 그 결과, 보호 부재를 통과하는 광의 휘도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감싸는 제1 주변 영역을 갖는 제1 표시 패널 및 상기 제1 주변 영역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마주보는 투명한 제1 보호부를 갖는 제1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제1 보호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중 상기 제1 개구의 주변부는 상기 제1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결합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보호 부재의 상기 제1 결합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상기 제1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제1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부는 상기 제1 표시 패널로부터 0.1 내지 1 mm 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 부재는 상기 제1 보호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1 표시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결합부에 연결된 제1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표시 패널과 대향 배치되며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감싸는 제2 주변 영역을 갖는 제2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주변 영역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과 마주보는 투명한 제2 보호부를 갖는 제2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2 보호 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표시 패널 어셈블리를 수납하며 상기 제2 개구가 형성된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보호 부재의 상기 제2 결합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하여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제2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부는 상기 제2 표시 패널로부터 0.1 내지 1 mm 만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호 부재는 상기 제2 보호부의 에지로부터 상기 제2 표시 패널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결합부에 연결된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0011893A 2005-02-14 2005-02-14 표시 장치 KR20060091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893A KR20060091371A (ko) 2005-02-14 2005-02-14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893A KR20060091371A (ko) 2005-02-14 2005-02-14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371A true KR20060091371A (ko) 2006-08-21

Family

ID=3759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893A KR20060091371A (ko) 2005-02-14 2005-02-1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3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08B1 (ko) * 2007-08-29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463683B1 (ko) * 2013-03-29 2014-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08B1 (ko) * 2007-08-29 2008-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463683B1 (ko) * 2013-03-29 2014-1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28043B (zh) 屏幕组件及电子装置
KR102604087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80053852A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portable device
US9885899B2 (en) Display device
EP2424234A1 (en) Display apparatus
JP2007019021A (ja) 液晶表示装置
JP2001242440A (ja) フロント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251241A (ja) 表示素子の取付け構造及び表示素子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
JP2006189856A (ja) 表示装置
KR101834941B1 (ko)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장치
EP1283391B1 (en) Planar illumination apparatus with protection cover
JP2007264365A (ja) 両面表示型液晶モジュール
EP2351361B1 (en) Display device
KR20060091371A (ko) 표시 장치
KR102065031B1 (ko)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197174A (ja) 医療用モニター、電子機器、及び映像表示ユニット
JP2009042641A (ja) 電子機器
CN113823197B (zh) 一种显示设备及电子设备
US20150022759A1 (en) Display with Radioluminescent Backlight Unit
CN212965691U (zh) 一种显示装置
KR200403712Y1 (ko) 휴대폰용 투명보호케이스
KR101296507B1 (ko) 표시모듈 고정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96768B1 (ko) 표시장치용 수납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15696A (ko) 탑 샤시와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11039422A (ja) 表示装置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