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116A -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 Google Patents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116A
KR20060091116A KR1020050011969A KR20050011969A KR20060091116A KR 20060091116 A KR20060091116 A KR 20060091116A KR 1020050011969 A KR1020050011969 A KR 1020050011969A KR 20050011969 A KR20050011969 A KR 20050011969A KR 20060091116 A KR20060091116 A KR 20060091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utting knife
knife
main body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한
Original Assignee
박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한 filed Critical 박경한
Priority to KR102005001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116A/ko
Publication of KR2006009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Kniv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봉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지 절단기의 칼날을 골고루 사용하면서 칼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의 봉지 절단기는 본체의 일 측방으로 봉지 등의 진입을 위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의 후단으로 절단칼이 직교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가이드홈으로 진입되어진 봉지의 상단이 절단되어지는 것이어서 가이드홈의 내측단으로노출되어진 칼날이 훼손될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절단칼이 이동되어지도록 하여 절단칼을 골고루 사용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절단칼의 이동범위를 크게 하고 절단칼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의 전방을 절단칼이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토록 함으로서 칼의 기능과 봉지절단의 기능은 물론 칼을 골고루 사용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칼 기능이 부여된 봉지 절단기.

Description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A cutter for a pack with a knife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내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4A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5A는 본 발명이 또 다른 구조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봉지 절단기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본체 20: 절단칼
30: 이동수단
11: 가이드홈 12: 개구부
12a,b: 끼움수단 13: 안내수단
13a: 돌축 14: 멈춤수단
15: 이동개구부
본 발명은 손으로 쉽게 찢어지지 않는 종이나 플라스틱의 합지되어진 필름이 나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된 봉지 또는 액체나 분말 등이 충전된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된 팩이나 파우치 등의 상단부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봉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날이 이동되어져 칼날을 골고루 사용토록 함으로서 절단기를 오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칼날 이동의 폭을 크게 하여 절단기 본체의 전방으로 칼날이 출입토록 개구함으로서 칼의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음용이 가능한 음료를 비닐 팩이나 파우치 등의 봉지에 밀봉된 상태로 보관토록 함으로서 출근지나 여행지 등에서 편리하게 휴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출근지나 여행지 등에서는 이러한 봉지를 개봉할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이빨로 봉지의 상단부를 뜯어내거나 칼 등을 이용하여 봉지의 상단부를 절단시켜 개봉토록 함으로서 내용물을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봉지의 개봉은 전자의 경우 뜯어질 경우에 순간적인 힘의 전달로 내용물의 유출로 낭패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고, 칼을 사용할 경우에는 칼의 정확한 이동방향이 불가능하여 부주의에 의하여 피부 등에 손상은 물론 내용물이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도6에서 제안되어진 것이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된 본체(100)의 어느 일측으로 봉지 등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폭과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10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홈(101)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절단칼(200)을 본체에 장착하여 상기 절단칼의 칼날(201)만이 가이드홈(101)의 내측단으로 노출토록 됨으로서, 상기 가이드홈(101)에 봉지 등의 상단부를 끼운 후 이동시키면 노출된 절단칼(200)의 칼날(201)에 의하여 봉지 등의 상단부가 정확한 이동방향으로 절단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봉지는 그 상단부가 가이드홈(101)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 거의 정확하게 절단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봉지 절단기는 절단칼(200)의 칼날(201)이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어 가이드홈(101)의 내측단으로 노출되어 진 칼날(201)의 폭이 좁기 때문에 반복적인 사용으로 칼날(201)이 훼손될 경우에 봉지절단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절단칼이 이동되어지도록 하여 절단칼의 칼날을 골고루 사용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절단칼의 이동범위를 크게 하면서 절단칼을 수용하고 있는 본체의 전방을 절단칼이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토록 함으로서 절단칼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한 형상을 갖는 본체(10)의 어느 일 측방으로 봉지 등(1)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폭만큼 개방되어진 공간을 갖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의 개방되어진 후단으로는 개방되어진 가이드홈(11)에 거의 직교된 상태의 절단칼(20)이 본체(10)에 수납된 상태로 가이 드홈(11)의 내측단(11a)으로 절단칼(20)의 칼날(21)의 일 부분만이 노출되고, 상기 본체(10)의 어느 일면을 절단칼이 빠지지 않고 이동수단(3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개구시켜 본체(10)내에 수용되어진 절단칼(20)의 일 측단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이동수단(3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는 절단칼(20)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12)를 형성하여 개구부(12)로 절단칼(20)이 노출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판상(10a)(10b)으로 성형되어 각각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지는 한 쌍의 끼움수단(12a)(12b)에 의하여 맞물림 결합되어지거나 접착 등의 방식(미 도시됨)으로 결합되는 것이고, 이러한 결합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를 구성하는 판상(10a,10b)의 어느 일측 또는 대응되는 양측의 내면에는 절단칼(20)의 전후 이동의 안정성 및 좌우 유동 방지를 위한 절단칼 안내수단(13)이 형성되어 개구부(12)로 연장되어지는 것이고, 이때 안내수단(13)으로는 절단칼이 수용되어질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토록 하거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돌축(13b)을 절단칼이 이동되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이격되게 형성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돌축을 동시에 본체의 결합을 위한 끼움수단으로 사용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안내수단은 후진시에 절단칼이 본체의 내부로 완전하게 수용되어질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수단(13)의 폭은 본체의 일측방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1)과 연통되어지게 형성되어 안내수단에 수납되어 전후진될 경우에 가이드홈(11)의 내측단으로 절단칼(20)의 칼날(21)이 노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수단(30)이 절단칼(20)과 연결될 경우에 상기 본체(10)의 어느 일 측면으로는 이동개구부(15)를 형성시켜 이동개구부(15)를 통한 이동수단(30)의 노출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노출된 이동수단(30)을 손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림에 의하여 절단칼(20)의 이동이 가능토록 되는 것으로, 이때 이동개구부(15)는 이동수단(30)의 이동 폭을 제한 할 정도의 폭을 갖도록 이동수단(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이동수단(30)의 상단부에는 손으로 밀고 당길 때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돌기등을 형성하는 것이고, 이러한 것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이동수단(30)의 이동된후 정지되어지도록 이동수단에는 다양한 정지수단(32)이 형성되고 상기 정지수단과 맞물리도록 이동개구부(15)에도 멈춤수단(14)이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정지수단(32)은 탄성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멈춤수단(14)은 요철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시켜 이동수단(30)을 손으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면 이때 작용되는 가압력의 방향에 따라 정지수단(32)이 탄동되어져 요철로 된 멈춤수단(14)을 타고 넘으면서 이동수단(30)이 이동되어지면소 정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30)에는 절단칼(20)의 고정을 위한 고정수단(31)이 형성되고 이때 고정수단(31)은 돌축의 형태로 형성시키고, 절단칼(20)에는 고정수단(31)에 끼워 고정토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22)을 구멍이나 홈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는 접착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절단할 경우에 절단된 봉지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본체의 가이드홈의 외측면으로는 경사홈(16)이 형성되어짐으로서 절단된 봉지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의 봉지 절단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칼(20)의 직상향으로 위치되어지는 본체(10)의 상단부가 개구되어 있어 본체(10)의 이동개구부(15)를 통하여 노출되어진 이동수단(30)을 손으로 밀거나 당기면 이동수단(30)에 고정되어 있던 절단칼(20)이 안내수단(13)내에서 이동되면서 가이드홈(11)으로 노출되어지는 절단칼이 이동되어지는 것이고, 또한 이동수단을 전방으로 더 밀게 되면 본체(10)의 전방으로 개구된 개구부로 절단칼이 노출되어지면서 절단칼로서의 기능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봉지 절단기는 봉지의 절단 기능과 동시에 절단칼의 칼날을 골고루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절단칼의 이동폭을 크게 함으로서 일반 절취용 칼 기능을 모두 갖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일정한 형상을 갖는 본체(10)의 어느 일 측방으로 봉지 등(1)의 상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폭만큼 개방되어진 공간을 갖는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의 개방되어진 후단으로는 개방되어진 가이드홈(11)에 거의 직교된 상태의 절단칼(20)이 본체(10)에 수납된 상태로 가이드홈(11)의 내측단(11a)으로 절단칼(20)의 칼날(21)의 일 부분만이 노출되고, 상기 본체(10)의 어느 일면을 절단칼이 빠지지 않고 이동수단(3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개구시켜 본체(10)내에 수용되어진 절단칼(20)의 일 측단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이동수단(30)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는 절단칼(20)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12)를 형성하여 개구부(12)로 절단칼(20)이 노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2개의 판상(10a)(10b)으로 성형되어 각각의 내면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지는 한 쌍의 끼움수단(12a)(12b)에 의하여 맞물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를 구성하는 판상(10a,10b)의 어느 일측 또는 대응되는 양측의 내면에는 절단칼(20)의 전후 이동의 안정성 및 좌우 유동 방지를 위한 절단칼 안내수단(13)이 형성되어 개구부(12)로 연장되어짐을 특 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13)은 절단칼이 수용되어질 정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서로 맞물리는 돌축(13b)을 절단칼이 이동되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이격되게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의 이동후 정지되어지도록 이동수단에는 다양한 정지수단(32)이 형성되고 상기 정지수단과 맞물리도록 이동개구부(15)에도 멈춤수단(14)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32)은 탄성체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멈춤수단(14)은 요철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이드홈의 외측면으로는 경사홈(16)이 길게 형성되어짐으로서 절단된 봉지의 제거가 용이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KR1020050011969A 2005-02-14 2005-02-14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KR20060091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69A KR20060091116A (ko) 2005-02-14 2005-02-14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69A KR20060091116A (ko) 2005-02-14 2005-02-14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16A true KR20060091116A (ko) 2006-08-18

Family

ID=3759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969A KR20060091116A (ko) 2005-02-14 2005-02-14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1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18A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제이원 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18A (ko) *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제이원 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85932A1 (en) Cutter
KR20060091116A (ko)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KR100625187B1 (ko) 봉투 절단기
US20070102305A1 (en) Ophthalmic lens package with a frangible pouch and methods of its use
JP6291893B2 (ja) 詰替え容器
US5531358A (en) Flexible dispensing package
WO2008063037A1 (en) The opening of beverage vessel with stopper
KR100523070B1 (ko) 절단칼의 이동성을 갖는 봉지 절단기
BRPI0806881A2 (pt) Dispensador para sachês
US20110162215A1 (en) Letter opener
EP1725134B1 (fr) Systeme d&#39;ouverture/fermeture etanche destine a des sacs d&#39;emballages
KR200383356Y1 (ko) 콘돔과 젤을 함께 내장한 포장팩
KR200310385Y1 (ko) 비닐봉투개봉기구
FR2501635A1 (fr) Systeme de poignee pour emballage
JP3137842B2 (ja) フィルム状袋容器の内容物排出構造
KR200314106Y1 (ko) 파우치형 밀봉팩
JP2002179086A (ja) 合成樹脂製チャック付の袋体
JP4919373B2 (ja) スパウト付包装体及びスパウト付包装袋
KR20090094687A (ko) 절취부가 구비된 비닐봉지
CN211281713U (zh) 一种压膜机构及纵封装置及包装机
KR101257312B1 (ko) 물티슈용 포장팩
KR200314379Y1 (ko) 소형 개구부가 형성된 지퍼부착 밀봉팩
KR200315056Y1 (ko) 테이프체 부착 밀봉팩
KR200319330Y1 (ko) 테이프체가 부착된 밀봉팩
JP2014218304A (ja) 切断刃を有する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