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418A - 커터 - Google Patents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418A
KR20190054418A KR1020170150643A KR20170150643A KR20190054418A KR 20190054418 A KR20190054418 A KR 20190054418A KR 1020170150643 A KR1020170150643 A KR 1020170150643A KR 20170150643 A KR20170150643 A KR 20170150643A KR 20190054418 A KR20190054418 A KR 20190054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ember
receiving groove
cutter
bla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598B1 (ko
Inventor
채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원
Priority to KR102017015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5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5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cardboard, or 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나 벽지, 인테리어 필름 등을 자르는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갖는 몸체와, 몸체의 수용홈에 수용되며 첨단부가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칼날부재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커터는 다양한 곳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수평자 없이도 벽이나 기둥의 단턱진 부분에서 인테리어 필름이나 벽지의 단부를 일정 간격 남겨놓고 커팅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커터{Cutter}
본 발명은 종이나 벽지, 인테리어 필름 등을 자르는 커터에 관한 것이다.
커터 칼은 1956년 일본의 오카다 요시다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쇄업에 종사하던 요시다는 종이를 자르는 칼이 쉽게 무뎌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판 모양의 초콜릿 칸 구분과 깨진 유리를 보고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커터 칼 이전에는 칼이 무뎌지면 칼 전체를 버려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었으나, 커터 칼의 사용으로 칼끝만 부러뜨려 잘라내고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통상의 커터 칼은 긴 리필용 칼날은 수납해야 하고 재질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니 어느 정도의 무게감이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또한 칼날이 일정 길이로 노출되다 보니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나아가, 통상의 커터 칼은 그 외형이 일률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립감이나 무게 등을 감안할 때 여러 곳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한편, 벽 또는 목재 기둥, 출입문 등에 인테리어 필름을 부착하는 경우나, 종이벽지와 같은 도배지를 벽이나 천장 등에 바르는 경우, 통상의 커터 칼이나 일반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는 칼을 사용하여 재료의 커팅을 하고 있는데, 통상의 칼을 사용할 때는 벽이나 기둥의 단턱진 부분을 작업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즉, 벽이나 기둥의 단턱진 부분에 부착되는 인테리어 필름이나 벽지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예컨대, 약 2mm 내지 6mm 정도)을 남겨두고 커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종래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수평자(두께자) 또는 지그를 벽이나 기둥의 단턱진 부분에 덧댄 후 그 수평면을 따라 칼로 그으면서 커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커팅작업을 위해서는 칼 외에 별도의 수평자를 지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한 손으로 수평자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칼을 파지해서 잘라야 하기 때문에 힘이 분산되고 집중력이 떨어져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자르기가 매우 힘들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커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이나 기둥의 단턱진 부분에서 별도의 수평자 없이도 인테리어 필름이나 벽지의 단부를 일정 간격 남겨놓고 커팅할 수 있는 커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용홈에 수용되며 첨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칼날부재를 포함하는 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몸체의 수용홈에 끼워져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칼날부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영구자석은 커팅 작업시 칼날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받쳐주는 받침대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몸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또는 챔퍼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터는, 상기 몸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터는 일단이 상기 몸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타단에 꽂이홈이 형성되는 꽂이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는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적어도 두 모서리부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두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몸체의 일면에 길이를 잴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며 소정 길이단위로 커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메인칼날부재를 포함하는 커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칼날부재의 출입구 반대쪽에 결합되며 일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갖는 보조몸체와, 상기 보조몸체의 수용홈에 수용되며 첨단부가 상기 보조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칼날부재를 포함하는 커터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칼날부재는 상기 보조몸체의 수용홈에 끼워져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며,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보조칼날부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터는 다양한 곳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에 의하면, 별도의 수평자 없이도 벽이나 기둥의 단턱진 부분에서 인테리어 필름이나 벽지의 단부를 일정 간격 남겨놓고 커팅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에 의하면, 칼날의 끝부분만 돌출되어 있어 칼날이 흔들리지 않고 칼날을 안전하게 세워서 작업하기 편리하므로 곡선을 자르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터의 사용상태도.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들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터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커터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커터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특정 용도의 커팅작업을 예시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나 소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대상물의 커팅에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a)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00a)는 몸체(200)와, 칼날부재(300)를 포함하며, 지지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0)는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별히 재질이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200)는 일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240)을 가지며, 이 수용홈(240)에 칼날부재(300)가 수용된다. 수용홈(240)은 몸체(200)의 모서리부(2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몸체(200)의 모서리부(230)는 칼날부재(300)가 노출 가능한 형태, 예컨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챔퍼링(chamfering; 모따기) 된 형태 또는 평면으로 챔퍼링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몸체(200)의 전체적인 형상, 폭, 길이 및 두께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칼날부재(300)는 몸체(200)의 수용홈에 수용되며, 그 첨단부(310)가 몸체(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 경우, 칼날부재(300)는 몸체(200)의 수용홈(24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고, 분리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칼날부재(300)를 손가락으로 잡고 몸체(200)의 측방에서 수용홈(240)에 끼운 다음 몸체를 손으로 잡고 커팅작업을 할 수 있고, 칼날부재(300)의 첨단부(310)가 마모되면 손가락으로 칼날부재(300)를 잡고 꺼내어 분리한 후 다른 칼날부재를 다시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칼날부재(300)는 몸체(200)와 별도로 다수가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종래 일반적으로 상용화되고 있는 커터칼에 사용되는 리필용 칼날의 마디를 미리 절단해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는 기존 커터칼의 리필용 칼날을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게 한 것이며, 이에 따라 별도 칼날 제작 또는 구매 없이 커터몸체만 구매하여 기존 리필용 칼날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200)의 수용홈(240) 형태를 기존 리필용 칼날과 다르게 별도의 형태로 형성하여 그에 대응되는 별도의 칼날부재(300)를 사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몸체(200)의 수용홈(240) 형태를 기존 리필용 칼날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기존 리필용 칼날을 사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칼날부재(300)는 몸체(200)의 수용홈(240)에 억지 끼움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커팅작업시 칼날부재의 유동이 거의 없거나 최소화되게 할 수 있다. 다만, 칼날부재(300)의 반복적 교체에 따라 수용홈(240)도 마모가 되어 헐거워짐으로써 칼날부재(300)가 사용 중 수용홈(240)에서 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칼날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400)가 몸체(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00)의 내부에는 지지부재(4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50)가 마련된다.
지지부재(400)는 칼날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용홈(240)과 인접하여 연통하는 공간부(250)에 장착된다. 따라서 수용홈(240)에 수용된 칼날부재(300)의 단부가 자력에 의해 지지부재(400)에 부착되기 때문에, 혹 수용홈(240)이 헐거워지더라도 칼날부재(300)가 수용홈(240)에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250)와 수용홈(240)는 단턱지게 연결되므로, 공간부(250)에 장착된 지지부재(400)는 단턱부에 걸려서 외측으로 빠질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지지부재(400)는 칼날부재(300)의 내측 단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커팅 작업시 칼날부재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받쳐주는 받침대 역할도 한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재(400)는 칼날부재(300)의 단부가 억지끼움되는 홈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지지부재(400)가 자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칼날부재(30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도 5 이하에서 도시되어 있다. 탄성부재(500)는 수용홈(240)에 끼워지는 칼날부재(300)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으나, 없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탄성부재(500)는 하부몸체(220)의 제1홈의 면 및/또는 상부몸체(210)의 제3홈의 면에 부착된 형태일 수 있고, 고무나 스펀지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수용홈(240)에 끼워지는 칼날부재(300)를 압박 지지함으로써, 칼날부재(300)의 사용 중 유동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a)는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용이한 커팅작업이 가능하다. 다만, 커터의 사이즈는 손 전체로 잡을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로 크게 구성될 수도 있는 등, 그 사이즈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터(100a)를 리필용 칼날의 마디 하나를 칼날부재(300)로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로 할 경우, 칼날부재(300)의 규격이 작아서 몸체(200)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고, 기존의 물건에 부착하기도 쉽다(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몸체(200)의 외부로 칼날부재(300)의 첨단부(310) 끝부분만 나오기 때문에 일반 칼이나 커터칼에 비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아이들이 사용하기에도 안전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칼날의 끝부분만 돌출되어 있어 칼날이 흔들리지 않고 칼날을 안전하게 세워서 작업하기 편리하므로 곡선을 자르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몸체(200)는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지지부재(400)가 내장된 형태로 일체 성형되어야 한다. 다른 예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는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가 결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결합은 접착, 융착, 용접, 끼움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에 의해, 칼날부재(3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240)과, 지지부재(4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50)가 형성되기 위하여,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에는 서로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예컨대, 하부몸체(220)의 일면에 소정의 폭, 길이, 깊이로 제1홈이 형성되고, 제1홈의 일측에는 제1홈(211)과 인접하여 연통하도록 제2홈이 형성되며, 하부몸체(220)의 일면과 대향하는 상부몸체(210)의 일면에도 제1홈과 제2홈과 대응되는 제3홈과 제4홈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결합시, 몸체(200) 내부에는 수용홈(240)과 공간부(250)가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부몸체(210)와 하부몸체(220)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커터(100b)는, 몸체(200b)가 테두리를 따라 도면상 상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61b)를 갖는 하부몸체(220b)와, 테두리를 따라 결합돌기(261b)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몸체(210b)가 결합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상부몸체(210b)와 하부몸체(220b)의 결합 시, 하부몸체(220b)의 결합돌기(261b)가 상부몸체(210b)의 결합홈(262b)에 끼움 결합되며, 따라서 필요 시 상부몸체(210b)와 하부몸체(220b)를 분리 개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하부몸체(220b)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부몸체(210b)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커터(100b)의 경우에는, 몸체(200b)의 수용홈(220b)의 입구를 칼날부재(300)의 첨단부(310)에 대응되도록 입구를 작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에 따라 칼날부재(300)가 수용홈(220b)에 측방으로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칼날부재(300)가 사용 중 전혀 빠질 염려가 없다. 다만, 칼날부재(300)의 마모 시 교체를 위해서는 상부몸체(210b)와 하부몸체(220b)를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면 된다.
도 6에 도시된 커터(100c)는, 몸체(200c)가 일면에 끼움돌기(271c)가 돌출 형성되는 하부몸체(220c)와, 끼움돌기(271c)에 대응되는 끼움홈(272c)이 대향면에 형성되는 상부몸체(210c)가 결합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 상부몸체(210c)와 하부몸체(220c)의 결합 시, 하부몸체(220c)의 끼움돌기(271c)가 상부몸체(210c)의 끼움홈(272c)에 끼움 결합된다.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효과상 특징은 도 5에 도시된 커터의 경우와 동일하다. 물론, 하부몸체(220c)의 상측면에 끼움홈(272c)이 형성되고, 상부몸체(210c)의 하측면에 끼움돌기(271c)가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커터(100d)는, 몸체(200d)가 상부몸체(210d)와 하부몸체(210d)로 결합되는 구조라는 점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커터와 동일한데, 다만 하부몸체(210d)의 제2홈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281d)가 돌출 형성된 것이며, 칼날부재(300)에는 결합돌기(281d)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홀(282d)이 형성된다. 이 경우, 칼날부재(300)는 결합돌기(281d)에 의해 전후 유동이 될 염려가 전혀 없고, 또한 결합돌기(281d)를 2개 이상 적용한 경우에는 설사 수용홈(240)이 칼날부재(300)의 폭보다 크더라도 칼날부재(300)가 소정 각도로 회전될 염려도 전혀 없다.
도 7에 도시된 커터(100d)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리필용 칼날을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결합홀(282d)이 형성된 별도의 칼날부재가 제작되어야 한다. 또한, 수용홈(240)에 결합돌기(281d)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칼날부재(300)를 측방에서 끼울 수 없고 하부몸체(210d)에 안착시켜야 한다. 상부몸체(210d)와 하부몸체(220d)의 결합은 접착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커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몸체(210d)의 수용홈(240) 바닥면에 결합돌기(281d)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결합돌기(281d)가 칼날부재(300)의 결합홀(282d)을 관통하여 상부몸체(210d)의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e)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는, 몸체(200)를 작은 사이즈로 형성한 경우, 사용상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별도로 마련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00)는 몸체(200)의 타측에 고정되며,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손잡이(600)는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600)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게 된 것이면 충분하며 그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손잡이(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단면을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타원형 단면의 폭과 두께가 점점 줄어들게끔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손잡이(600)의 단면 형태와 폭, 길이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손잡이(600)와 몸체(200)는 접착이나 융착, 용접,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커터는 손잡이(600)를 손으로 파지하여 더욱 편리하게 그리고 다양한 곳에서의 커팅작업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배지(10)를 벽면에 부착하는 경우, 장식용 몰딩재(20)가 돌출되어 있으면 도배지(10)가 장식용 몰딩재(20)를 덮도록 넉넉히 부착한 후 모서리 부분을 커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도 8에 도시된 커터를 이용하여 쉽게 커팅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f)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100f)는, 몸체(200)를 작은 사이즈로 형성한 경우에 사용상 편의를 더하고자 한 것이라는 점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커터(100e)와 기본 취지는 같으나, 다른 필기구나 기타 도구를 손잡이로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100f)는 몸체(200)에 고정되는 꽂이대(7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꽂이대(700)는 그 일단이 몸체(200)의 타측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 형성되는 꽂이홈(710)을 갖는다. 몸체(200)와 꽂이대(700)는 접착이나 융착, 용접, 끼움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꽂이대(700)는 연필 등 필기구(30)를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꽂이대(700)에는 필기구(30)의 일단을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꽂이홈(710)이 형성된다. 꽂이대(700)의 전체적인 외관과 폭, 길이 등의 규격, 그리고 꽂이홈(710)의 형태 및 규격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도 10에는 꽂이대(700)의 형태로 원통형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꽂이대(700)에 끼워지는 것으로 필기구를 도시하였으나, 필기구 외에도 꽂이대(700)의 꽂이홈(710)에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적절한 길이를 갖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커터(100f)에 의하면, 평소에는 꽂이대(700)에 꽂힌 필기구(30)를 사용하여 메모나 선 긋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다가, 커팅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뒤집어서 칼날부재(300)의 첨단부(310)로 대상물을 커팅할 수 있다. 이 경우, 꽂이대(700)의 일 측면을 벽면에 접촉 지지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면 꽂이대(700) 두께만큼 일정 간격을 남겨놓은 상태로서 인테리어 필름이나 벽지를 커팅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실시예에 따른 커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커터(100g)의 몸체(200g)와, 칼날부재(300) 등은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7의 커터의 경우와 기술적 특징이 대동소이하며, 이하에서는 특별한 차이가 있는 사항만 기술한다.
몸체(200)는 상부몸체(210g)와 하부몸체(220g)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상부몸체(210g)와 하부몸체(220g)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몸체(210g)와 하부몸체(220g)는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적어도 두 모서리부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두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용홈(240)이 형성되어, 칼날부재(300)는 몸체(200)의 모서리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몸체(210g)와 하부몸체(220g)는 각각 소정 두께, 예컨대 2mm와 4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수용홈(240)에 결합된 칼날부재(300)는 상부몸체(210g)와 하부몸체(220g)의 접촉면과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200)를 잡고 커팅을 할 경우, 상부몸체(210g) 또는 하부몸체(220g)의 두께만큼 일정 간격이 남아있도록 하면서 커팅을 하는 작업이 대단히 용이해지며, 상부몸체(210g)와 하부몸체(220g)의 두께를 위와 같이 2mm와 4mm로 달리함으로써 원하는 간격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커팅할 수 있다. 이 경우, 몸체(200)의 한쪽 모서리에 위치하는 칼날부재(300)로 커팅할 때 하부몸체(220g)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남아있게 하면서 커팅할 수 있다면, 그 반대쪽 모서리에 위치하는 칼날부재(300)로 커팅할 때는 뒤집어서 사용해야 하므로 상부몸체(210g)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남아있게 하면서 커팅할 수 있다.
한편, 상부몸체(210g)와 하부몸체(220g)는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상부몸체(210g)가 더 작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몸체(210g) 및 하부몸체(220g)의 모서리부(230)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챔퍼링(chamfering)될 수 있다는 사항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하부몸체(220g)의 일면에는 길이를 잴 수 있도록 모서리를 따라 길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눈금(8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눈금자와 커터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갖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커터는 특히 인테리어 필름 시공시에 큰 기능을 발휘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테리어 필름을 부착할 때, 벽이나 기둥의 단턱진 부분에 부착되는 인테리어 필름을 정리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남겨두고 커팅하고자 할 때, 도 11에 도시된 커터를 이용하여 상부몸체(210g) 또는 하부몸체(220g)의 두께만큼의 간격(예컨대, 2mm 또는 4mm)을 일정하게 남겨놓으면서 커팅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종래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는 수평자를 별도로 지참해야 하거나 한 손으로 수평자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커터를 잡고 자르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터에 관한 것인데, 이는 종래 커터칼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4에 도시된 커터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몸체(900)와, 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며 소정 길이단위로 커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메인칼날부재(910)를 포함하는 종래의 커터에, 보조몸체(200h)와 보조칼날부재(300)를 부가한 것이다.
여기에서, 보조몸체(200h)는 메인몸체(900)의 메인칼날부재(910)의 출입구 반대쪽에 결합되며, 일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240)을 갖는다. 그리고 보조칼날부재(300)는 보조몸체(200h)의 수용홈(240)에 수용되며, 첨단부(310)가 보조몸체(200h)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보조칼날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400)가 마련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280은 메인칼날부재(910)를 소정 길이단위로 부러뜨리고자 할 때, 메인칼날부재(910)의 단부를 끼워넣는 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보조몸체(200h), 보조칼날부재(300) 및 지지부재(400)의 기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몸체 및 칼날부재의 기술적 특징과 대동소이하며, 여기에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커터에서, 칼날부재는 종래의 리필용 칼날을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칼날부재 없이 커터몸체만 제작하여 별도로 판매될 수도 있을 것인데, 칼날부재 없는 커터몸체만에 관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100e : 커터 200~200e : 몸체
230 : 모서리부 240 : 수용홈
250 : 공간부 300 : 칼날부재
310 : 첨단부 400 : 지지부재
500 : 탄성부재 600 : 손잡이
700 : 꽂이대 800 : 눈금

Claims (11)

  1. 일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갖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수용홈에 수용되며, 첨단부가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칼날부재를 포함하는 커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몸체의 수용홈에 끼워져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칼날부재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몸체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또는 챔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몸체의 타측에 고정되며, 타단에 꽂이홈이 형성되는 꽂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는 대응되는 길이를 가져 적어도 두 모서리부의 위치가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두 모서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일면에 길이를 잴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1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며 소정 길이단위로 커팅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메인칼날부재를 포함하는 커터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의 칼날부재의 출입구 반대쪽에 결합되며, 일 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갖는 보조몸체; 및
    상기 보조몸체의 수용홈에 수용되며, 첨단부가 상기 보조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조칼날부재를 포함하는 커터.
  11. 칼날부재가 측방에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면에 형성되되 칼날부재가 수용된 경우 첨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칼날부재가 수용된 경우 외부 이탈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커터몸체.
KR1020170150643A 2017-11-13 2017-11-13 커터 KR102102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43A KR102102598B1 (ko) 2017-11-13 2017-11-13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643A KR102102598B1 (ko) 2017-11-13 2017-11-13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18A true KR20190054418A (ko) 2019-05-22
KR102102598B1 KR102102598B1 (ko) 2020-04-21

Family

ID=6667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643A KR102102598B1 (ko) 2017-11-13 2017-11-13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5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804Y1 (ko) * 2004-03-29 2004-11-09 정철 눈금자를 구비한 커터칼
KR20060091116A (ko) * 2005-02-14 2006-08-18 박경한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KR20130074916A (ko) * 2011-12-27 2013-07-05 오상근 탄성 칼날돌출식 안전커터
US20140173912A1 (en) * 2012-12-19 2014-06-26 Thomas Scimone Pocket cutter
KR20140115769A (ko) * 2013-03-22 2014-10-01 강영준 다기능 커터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804Y1 (ko) * 2004-03-29 2004-11-09 정철 눈금자를 구비한 커터칼
KR20060091116A (ko) * 2005-02-14 2006-08-18 박경한 칼 기능을 갖는 봉지 절단기
KR20130074916A (ko) * 2011-12-27 2013-07-05 오상근 탄성 칼날돌출식 안전커터
US20140173912A1 (en) * 2012-12-19 2014-06-26 Thomas Scimone Pocket cutter
KR20140115769A (ko) * 2013-03-22 2014-10-01 강영준 다기능 커터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598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723B2 (ja) 媒体切断装置
US6467174B1 (en) Combination scoring and marking apparatus for sheet goods and methods of use
KR100718331B1 (ko) 절단용 티자
US5283954A (en) Knife
US2605545A (en) Blade and toolholder
US20070173394A1 (en) Paper cutting device with a cutting blade unit and a folding line maker
US6434838B1 (en) Protective sheath for saw teeth of a handsaw
US8635781B2 (en) Dual-blade film-cutting device
KR20190054418A (ko) 커터
JP2942920B2 (ja) 手持ちカッター工具
US20190217657A1 (en) Marking blade
US5287625A (en) Sandpaper cutting guide
KR200495797Y1 (ko) 교체형 가압구가 구비되는 다기능 커터
CA2197101A1 (en) A safety knife or cutter
KR200328267Y1 (ko) 벽지를 일정하게 절단하는 도배용 칼 어셈블리
CN206105907U (zh) 一种美工刀
US20230321779A1 (en) Router Guide
WO1982000018A1 (en) Mitre block
CN210749600U (zh) 一种义齿修磨刀
KR200479776Y1 (ko) 컷팅가이드용 절개홈을 구비한 헤라
JPH0728152Y2 (ja) 手動刃物等の収納ケ−ス
EP2911888B1 (en) Marking blade
JPS6329508Y2 (ko)
JP2023111026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JPH08290373A (ja) 手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