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711A -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 수분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에서의 이들의 용도 - Google Patents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 수분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에서의 이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711A
KR20060090711A KR1020067007723A KR20067007723A KR20060090711A KR 20060090711 A KR20060090711 A KR 20060090711A KR 1020067007723 A KR1020067007723 A KR 1020067007723A KR 20067007723 A KR20067007723 A KR 20067007723A KR 20060090711 A KR20060090711 A KR 2006009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er
group
carbon atoms
groups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알. 뢰슬러
데렉 엘. 크로포드
커트 씨. 프리쉬
디네슈 페티야고다
카르스텐 다니엘마이어
Original Assignee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이엘 머티리얼싸이언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09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71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8Removal of water or carbon dioxide from the reaction mixture or reaction components
    • C08G18/0885Removal of water or carbon dioxide from the reaction mixture or reaction components using additives, e.g. absorb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3Compounds containing ether groups, e.g. oxyalkylated mono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8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08G18/289Compounds containing at least one heteroatom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19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3821Carboxylic acids; Esters thereof with monohydrox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5Polyethers containing two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1Monoisocyanates or monoisothiocyanates
    • C08G18/718Monoisocyanates or monoisothiocyanate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7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90/00Compositions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에 해당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혼입된 반응성 실란기 1개, 및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인 폴리에테르 분절 1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6027888957-PCT00012
(식 중,
X는 100℃ 미만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기기를 나타내되, 단 이들 기의 2개 이상은 알콕시기 또는 아실옥시기이며,
Y는 탄소 원자 1 내지 8개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1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유기기를 나타냄)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 반응성 실란기, 폴리에테르 분절

Description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에서의 이들의 용도 {POLYETHER URETHANES CONTAINING ONE REACTIVE SILANE GROUP AND THEIR USE I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관련 특허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2년 6월 18일에 출원된 USSN 제10/174,375호 (포기됨)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본 발명은 밀봉제, 접착제 및 코팅제로서 적합한 수분 경화성 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해, 반응성 실란기 2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에 관한 것이다.
실란-말단 폴리우레탄 (STP)으로도 언급되는, 반응성 실란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 밀봉제 및 접착제로서 이들의 용도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US 제5,554,709호, 동 제4,857,623호, 동 제5,227,434호, 동 제6,197,912호 및 WO 제02/06367호에 기재되어 있다. 실란-말단 폴리우레탄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한 방법으로, 실란-말단 폴리우레탄은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말단 예비중합체를 형성하고, 이후 아미노실란과 반응시켜 실란-말단 폴리우레탄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한다. 또한, 불포화 모노올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불포화 말단기를 함유하는 중간체를 형성하고, 이후 히드로실릴화에 의해 이들 불포화기를 알콕시실란기로 변환시켜 밀봉제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밀봉제는 이소시아나토실란과 폴리에테르 디올의 반응에 의해 1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밀봉제로서의 유용성을 위하여, 실란-말단 폴리우레탄은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20,000이어야 한다. 이러한 분자량을 얻는 한 방법은 KOH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분자량이 2000인 폴리에테르 디올을 사용하여 이소시아네이트-말단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우레탄기의 존재는 생성물이 고점도를 갖도록 한다. 적용하기에 적합한 점도를 획득하기 위해 보다 다량의 가소제 및 보다 소량의 충전제를 첨가하여 고점도를 감소시키지만, 이는 밀봉제 제품을 보다 고가로 만든다.
고분자량 밀봉제를 얻는 다른 방법은 불포화도가 낮으며 EP-A 제0,546,310호, 동 제0,372,561호 및 DE-A 제19,908,562호에 기재된 특정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디올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디올이 사용된 경우, 얻어진 밀봉제는 탁월한 인장 강도를 가지나, 신도가 너무 낮고 100% 탄성율이 너무 높기 때문에 이러한 밀봉제는 여러 용도에 대하여 너무 약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성 실란기를 가지며, 밀봉제, 접착제 및 코팅제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신도 및 100% 탄성율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2차 아미노-관능성 실란을 사용하여 혼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실란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반응성 실란기 2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과 블랜 딩하여 보다 높은 인장 강도 및 신도를 가지며 보다 낮은 100% 탄성율을 갖는 밀봉제 또는 접착제의 제조에 적합한 실란-말단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형성한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우레탄이 또한 낮은 점도를 갖는다는 사실 때문에, 고가의 가소제는 더 적게, 저가의 충전제는 더 많이 사용함으로써 밀봉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밀봉제를 보다 저가로 얻을 수 있다.
다관능성 및 단관능성의 실란-말단 폴리우레탄의 혼합물로부터 밀봉제의 제조는 공지되어 있으며, US 제5,554,709호, 동 제4,857,623호 및 WO 제02/0636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들은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개시하지 않는다.
아스파르테이트-관능성 실란으로부터 실란-말단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제조는 US 제5,364,955호 및 WO 제98/18843호에 개시된다. 이들 문헌 모두에서 폴리에테르 우레탄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에테르는 불포화도가 낮지 않다. 더욱이, 다관능성 및 단관능성의 실란-말단 폴리우레탄의 혼합물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WO 제98/18843호에서는 폴리에테르가 산화에틸렌 단위를 15 내지 40 중량% 함유해야 한다.
WO 제00/26271호는 불포화도가 낮으며 아스파르테이트-관능성 실란을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부터 실란-말단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제조를 개시한다.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디올과 반응시켜 NCO 예비중합체를 형성하고, 이후 아스파르테이트-관능성 실란으로 캡핑하여 실란-말단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형성하여 생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출원에서는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 에테르 우레탄과 디실란-말단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혼합물은 개시하지 않는다.
US 제6,265,517호는 불포화도가 낮으며 아스파르테이트-관능성 실란을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부터 실란-말단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제조하기 위한 유사한 방법을 기재한다. 상기 특허는 31 몰% 미만의 모노올 함량을 갖는 출발 폴리올을 요구하며, 모노올이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예비중합체의 가교결합 및 경화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모노올 함량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고 교시한다. 상기 특허는 또한 아스파르테이트 실란이 알킬기 각각이 탄소 원자 4개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디알킬 말레에이트로부터 제조될 것을 요구한다.
EP 제0,372,561호는 반응성 실란기를 함유하며 불포화도가 낮은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부터 제조된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개시한다. 또한,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개시한다. 상기 출원에서는 반응성 실란기를 1개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으로 반응성 실란기를 혼입하기 위해 2차 아미노-관능성 실란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동시 계류중인 USSN 제10/160,463호, 동 제10/160,479호, 동 제10/174,039호, 동 제10/173,919호 및 동 제10/160,364호는 본 발명에 따른 것들과 같이,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과 반응성 실란기 2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알콕시실란-관능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개시한다. 반응성 실란기 2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불포화도가 낮은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폴리올로부터 제조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에 해당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혼입된 반응성 실란기 1개, 및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인 폴리에테르 분절 1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1
(식 중,
X는 100℃ 미만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기기를 나타내되, 단 이들 기의 2개 이상은 알콕시기 또는 아실옥시기이며,
Y는 탄소 원자 1 내지 8개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1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유기기를 나타냄)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반응성 실란기"는 치환체 "X"에 의해 정의되는 알콕시 또는 아실옥시기 2개 이상을 함유하는 실란기를 의미한다. 알콕시 및(또는) 아실옥시기 2 또는 3개를 함유하는 실란기는 하나의 반응성 실란기인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우레탄은 우레탄 및(또는) 우레아기 1개 이상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우레탄기 1개 이상을 함유하며, 임의로 우레아기를 함유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화합물은 우레탄 및 우레아기를 모두 함유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반응성 실란기 1개 및 폴리에테르 분절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개를 함유하며, 여러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기,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 1개를 함유하는 고분자량 폴리에테르를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얻어진 생성물이 이소시아네이트기 1개를 함유하도록 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에테르의 양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반응물의 등몰 혼합물을 사용하여 모노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킬 때, 얻어진 생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평균 1개 함유한다. 모노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의 1/1 첨가생성물인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중간체 이외에, 반응 혼합물은 디이소시아네이트 1분자와 모노올 2분자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비-관능성 중합체 a) 또한 소량 함유한다. 반응 혼합물은 또한 소량의 미반응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증류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반응 혼합물에 남아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량의 모노올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응을 수행할 때, 추가량의 비-관능성 중합체 a)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합체는 반응 혼합물에 남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후속적인 사용 중에 가소제로서 기능한다.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중간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은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기, 바람직하게는 -NH기와 반응성 실란기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개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반응하여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형성한다. 반응 혼합물은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실란과 반응 혼합물에 존재하는 임의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인 중합체 b)를 함유한다. 중합체 b)는 비록 반응성 실란기 2개를 함유하지만,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일부인 것으로 고려된다.
비-관능성 중합체 a)는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중합체 a)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중합체 b)는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중합체 b)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이러한 단계를 역으로 하여,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실란과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키고, 이후 생성된 중간체와 고분자량 폴리에테르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중합체 a) 및 b)의 혼합물은 반응 단계를 이러한 순서로 수행할 때도 형성될 것이다.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공지되어 있으며, 화학식 R(NCO)2 (여기서 R은 분자량이 112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400인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제거하여 얻어진 유기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는 R이 탄소 원자 4 내지 18개인 2가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 원자 5 내지 15개인 2가 시클로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 원자 7 내지 15개인 2가 아르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 원자 6 내지 15개인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는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것들이다.
적합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1,4-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카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나토-2-이소시아나토메틸 시클로펜탄, 1-이소시아나토-3-이소시아나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IPDI), 비스-(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메탄, 1,3- 및 1,4-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메탄, 2,4'-디이소시아나토-디시클로헥실메탄, 비스-(4-이소시아나토-3-메틸-시클로헥실)-메탄, α,α,α',α'-테트라메틸-1,3- 및(또는)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나토-l-메틸-4(3)-이소시아나토메틸 시클로헥산, 2,4- 및(또는) 2,6-헥사히드로-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또는)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1,5-디이소시아나토 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4-이소시아나토메틸-1,8-옥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이소시아네이트기 3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4,4',4"-트리페닐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페닐 폴리메틸렌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아닐린/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을 포스겐화하여 얻어지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비록 덜 바람직하지만,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며,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트디온, 뷰렛, 우레탄, 알로파네이트, 이미노옥사디아진 디온, 카르보디이미드 및(또는) 옥사디아진트리온 기를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첨가생성물도 적합하다.
바람직한 디이소시아네이트에는 비스-(4-이소시아나토시클로헥실)-메탄,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1,3- 및(또는) -1,4-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 및(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다. 특히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 및 2,6-톨루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b)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모노올은 수평균 분자량 3000 이상, 몇몇 경우에서는 6000 이상, 다른 경우에서는 8000 이상인 폴리에테르 모노올이다. 또한 폴리에테르 모노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20,000 이하, 몇몇 경우에서는 15,000 이하, 다른 경우에서는 12,000 이하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 모노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다양하며,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 모노올은 산화알킬렌, 비-제한적인 예로서는 산화에틸렌, 산화프로필렌 또는 산화부틸렌과 단관능성 출발 화합물의 알콕실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양태에서, 폴리에테르는 산화프로필렌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산화에틸렌이 사용되는 경우, 폴리에테르 중량을 기준으로 4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는 KOH 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금속 시안화 촉매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후자의 방법에 의해서는 불포화도가 낮은 생성물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테르는 총 불포화도 0.04 밀리당량/g (meq/g) 이하, 몇몇 경우에서는 0.02 meq/g 미만, 다른 경우에서는 0.01 meq/g 미만, 몇몇 상황에서는 0.007 meq/g 이하의 최대값을 갖는다. 불포화량은 폴리에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및 또한 폴리에테르의 분자량에 따라 변할 것이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모노올은 공지되어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적합한 출발 분자를 프로폭실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에서, 산화에틸렌을 소량 (폴리올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테르 a-i)에서와 같이, 산화에틸렌이 사용된 경우, 폴리산화프로필렌기에 대한 개시제로서 또는 폴리산화프로필렌기를 캡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출발 분자의 예에는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및 아르지방족 알콜, 페놀 및 치환된 페놀,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및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및 헥산올 이성질체, 시클로헥산올, 및 보다 고분자량 화합물, 예컨대 노닐페놀, 2-에틸헥산올 및 C12 내지 C15의 선형 1차 알콜 혼합물 (쉘 (Shell)에서 시판되는 네오돌 (Neodol) 25)이 포함된다. 알릴 알콜과 같은 불포화 알콜, 및 히드록시에틸 아세테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히드록시 관능성 에스테르 또한 적합하다. 보다 고분자량의 모노히드록시 화합물, 특히 노닐 페놀 및 C12 내지 C15의 선형 1차 알콜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모노올 대신에 모노아미노폴리에테르를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아미노폴리에테르는 공지된 방법으로 상응하는 폴리에테르 모노올을 아미노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모노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제조하는 대신, 모노올과 NCO 예비중합체를 반응시켜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NCO 예비중합체가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분절을 함유하는 경우,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중간체를 제조하기 위해 저분자량 모노올을 사용할 수 있다.
NCO 예비중합체는 과량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고분자량 폴리에테르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NCO 예비중합체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동시 계류중인 출원 [대리인 문서 번호 제MD-01-66-LS호]에 기재된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모노이소시아네이트 중간체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설명한 것들이다.
NCO 예비중합체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폴리올은 수평균 분자량 3000 이상, 몇몇 경우에서는 6000 이상, 다른 경우에서는 8000 이상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또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20,000 이하, 몇몇 경우에서는 15,000 이하, 다른 경우에서는 12,000 이하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수평균 분자량은 다양하며,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에테르는 총 불포화도 0.04 밀리당량/g (meq/g) 미만, 몇몇 경우에서는 0.02 meq/g 미만, 다른 경우에서는 0.01 meq/g 미만, 몇몇 상황에서는 0.007 meq/g 이하의 최대값을 갖는다. 불포화량은 폴리에테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및 또한 폴리에테르의 분자량에 따라 변할 것이다.
이러한 폴리에테르 디올은 공지되어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적합한 출발 분자의 프로폭실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산화에틸렌을 소량 (폴리올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에틸렌이 사용되는 경우, 이는 폴리산화프로필렌기에 대한 개시제로서 또는 폴리산화프로필렌기를 캡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출발 분자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및 2-에틸헥산디올-1,3과 같은 디올이 포함된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 적합하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EP-A 제283 148호, US-A 제3,278,457호, 동 제3,427,256호, 동 제3,829,505호, 동 제4,472,560호, 동 제3,278,458호, 동 제3,427,334호, 동 제3,941,849호, 동 제4,721,818호, 동 제3,278,459호, 동 제3,427,335호 및 동 제4,355,188호에 기재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촉매로서 이중 금속 시안화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폴리에테르 폴리올 이외에, 분자량이 32 내지 500인 저분자량 2가 및 3가 알콜 또한 소량 (폴리올 중량을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예에는 에틸렌 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린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이 포함된다. 그러나, 저분자량 알콜의 사용은 보다 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폴리올 대신 아미노폴리에테르를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공지된 방법으로 상응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아미노화하여 아미노폴리에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실란에는 하기 화학식 Ⅰ에 해당하는 것들이 포함된다.
<화학식 Ⅰ>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2
(식 중,
X는 100℃ 미만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기기를 나타내되, 단 이들 기의 2개 이상이 일콕시 또는 아실옥시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 내지 4개인 알킬 또는 알콕시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콕시기이며,
Y는 탄소 원자 1 내지 8개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2 내지 4개를 함유하는 선형 알킬렌기 또는 탄소 원자 5 내지 6개를 함유하는 분지형 알킬렌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3개를 함유하는 선형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1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유기기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 내지 12개인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방향족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 내지 8개인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방향족기를 나타냄)
X는 메톡시,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기를 나타내며, Y는 탄소 원자 3개를 함유하는 선형 알킬렌기인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2차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화학식 Ⅰ의 적합한 아미노알킬 알콕시실란 및 아미노알킬 아실옥시실란의 예에는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 (OSI Corporation)에서 A-9669로 시판됨), N-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메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부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부틸아미노프로필-트리아실옥시실란, 3-(N-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4-(N-에틸)아미노-3,3-디메틸부틸-트리메톡시실란 및 상응하는 알킬 디에톡시, 알킬 디메톡시 및 알킬 디아실옥시실란, 예컨대 3-(N-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이 포함된다.
알콕시실란기를 함유하며 화학식 Ⅰ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특정 기는 아스파르테이트기를 함유하며 하기 화학식 Ⅱ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3
(식 중,
X 및 Y는 상기 정의된 것과 같으며,
R2 및 R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유기기,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 내지 9개인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 내지 4개인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부틸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이거나 또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하여 불활성인 유기기, 바람직하게는 수소를 나타냄)
하기 화학식 Ⅲ에 해당하는 아미노실란을 하기 화학식 Ⅳ에 해당하는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 에스테르와 반응시켜 화학식 Ⅱ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4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5
화학식 Ⅲ에 해당하는 적합한 아미노알킬 알콕시실란 및 아미노알킬 아실옥 시실란의 예에는 3-아미노프로필-트리아실옥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6-아미노헥실-트리부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5-아미노펜틸-트리메톡시실란, 5-아미노펜틸-트리에톡시실란, 4-아미노-3,3-디메틸부틸-트리메톡시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이 포함된다.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스파르테이트 실란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임의로 치환된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 에스테르의 예에는 디메틸, 디에틸, 디부틸 (예를 들어, 디-n-부틸), 디아밀, 디-2-에틸헥실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말레산 및 푸마르산의 기타 알킬기를 기재로 한 혼합 에스테르, 및 2- 및(또는) 3-위치에서 메틸에 의해 치환된 상응하는 말레산 및 푸마르산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말레산의 디메틸, 디에틸 및 디부틸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며, 디에틸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 에스테르와 일차 아민이 반응하여 화학식 Ⅳ의 아스파르테이트 실란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 US 제5,364,955호에 기재되어 있다.
아미노실란을 사용하는 대신에,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와 2차 아미노실란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히드록시 화합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제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모노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에 의해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디올을 모노올로 변환시켜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모노올을 별도 로 제조할 필요가 없다. 폴리에테르 모노올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안은 디올 1몰과 모노산 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키는 것이다. 고분자량 모노올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디이소시아네이트 1몰과 모노올 1몰 및 디올 1몰을 반응시키는 것이다. 모노올 및 디올 중 하나 또는 모두는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분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방법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테르 모노올을 상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디이소시아네이트 2몰을 최종 단계에서 사용한다면, 얻어진 생성물은 모노이소시아네이트이며, 이는 알콕시실란기를 함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화합물과 반응하여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기재된 폴리에테르 모노아민을 폴리에테르 모노올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알콕실화에 의해 폴리에테르 모노올을 제조한다. 얻어진 폴리에테르 모노올을 모노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불포화 중간체를 형성한다. 이후 이 중간체를 1차 또는 2차 아미노실란, 또는 티오실란과 반응시켜 마이클 첨가반응에 의해 실란기를 혼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반응성 실란기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과 조합하여 사용하여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은 밀봉제, 접착제 및 코팅제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2개 이상의 반응성 실란기를 함유하는 적합한 폴리에테르 우레탄에는 수평균 분자량 3000 내지 20,000, 바람직하게는 6000 내지 15,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12,000인 폴리에테르 분절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분절이 수평균 분자량 3000인 경우, 분자당 모든 폴리에테르 분절의 수평균 분자량이 평균 6000 내지 20,000이도록 이들 분절 2개 이상이 존재해야 한다.
반응성 실란기 2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화학식 Ⅰ, Ⅱ 및(또는) Ⅲ에 해당하는 아미노실란과 상기 기재된 NCO 예비중합체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Ⅴ에 해당하는 이소시아나토실란과 NCO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상기 기재된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6
(식 중, X 및 Y는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음)
적합한 이소시아나토실란의 예에는 3-이소시아나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포함된다.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실퀘스트 (Silquest) Y-5187,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에서, 반응성 실란기 2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중 량%의 최소량으로 존재하며,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중량%의 최대량으로 존재한다.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중량%의 최소량으로 존재하며,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중량%의 최대량으로 존재한다. 상기 백분율은 2가지 유형의 폴리에테르 우레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물 또는 습기의 존재하에 경화되어 코팅제, 접착제 또는 밀봉제를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은 알콕시실란기의 가수분해로부터 "실란 축중합"에 의해 경화하여 Si-OH기를 형성하고, 후속적으로 Si-OH 또는 Si-OR기 중 하나와 반응하여 실록산기 (Si-O-Si)를 형성한다.
경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적합한 산성 또는 염기성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에는 파라톨루엔 술폰산과 같은 산,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와 같은 금속 염, 트리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렌 디아민과 같은 3차 아민, 및 이들 촉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저분자량 염기성 아미노알킬 트리알콕시실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경화를 촉진한다.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일반적으로 용매가 없거나, 특정 용도에 따라서,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의 유기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유기 용매에는 폴리우레탄 화학 또는 코팅 화학 중 하나로부터 공지된 것들이 포함된다.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공지된 첨가제, 예컨대 평활제, 습윤제, 흐름 조절제, 피막 방지제, 소포제, 충전제 (예컨대 쵸크, 라임, 분, 침강 및(또는) 발열성 실리카,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고-비점 왁스), 점도 조절제, 가소제, 안료, 염료, UV 흡수제, 및 열분해 및 산화 분해에 대한 안정화제도 함유할 수 있다.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임의로 원하는 기재, 예컨대 목재, 플라스틱, 가죽, 종이, 직물, 유리, 세라믹, 회반죽, 벽돌, 금속 및 콘크리트와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표준 방법, 예컨대 분사, 살포, 플로딩, 캐스팅, 침지, 롤링 및 압출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은 상온 또는 승온에서 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분 경화성 조성물은 상온에서 경화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적으로 예시되나, 제한되지 않으며, 모든 부 및 분율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다면 중량 기준이다.
하기 출발 성분을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실란 관능성 아스파르테이트 ( SFA 1)의 제조
US 제4,364,955호에 따라서 아스파르테이트 수지를 제조하였다. 진탕기, 열전대, 질소 주입구 및 응축기를 갖는 적하 깔때기가 설치된 5 리터 플라스크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실퀘스트 A-1110,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 1483 g (8.27 당량)을 첨가하였다. 적하 깔때기를 사용하여 디에틸 말레에이트 1423.2 g (8.27 당량)을 2시간 동안 넣었다. 반응기의 온도를 첨가 동안 25℃ 로 유지하였다. 추가로 5시간 동안 반응기를 25℃로 유지하면서 생성물을 유리 용기에 붓고 질소 블랭킷하에서 밀봉하였다. 1주일 이후, 불포화값은 0.6이 되어, 반응이 약 99% 종결되었음을 나타낸다.
Y-5187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실퀘스트 Y-5187,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
A-1110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실퀘스트 A-1110,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
히드록시 폴리에테르 1
관능가 2 및 표 1에서 설명되는 분자량을 갖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디올 (어클레임 (Acclaim) 12200, 불포화도= 0.007 meq/g, 바이엘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
히드록시 폴리에테르 2의 제조
노닐페놀 (183 g, 0.89 eq)을 스테인레스강 반응기에 충전하였다. 아연 헥사시아노코발테이트-tert-부틸 알콜 착물 (0.143 g, US 제5,482,90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제조됨)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30℃에서 1시간 동안 진공 하에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노닐페놀 출발 물질로부터 미량의 물을 제거하였다. 산화프로필렌 (5517 g, 125.4 eq)을 6시간 동안 반응기로 도입하였다. 에폭시드 첨가가 종료된 이후, 추가적인 감압이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혼합물을 130℃로 가열하였다. 생성물을 진공 스트리핑하고, 이후 반응기로부터 배출시켰다. 얻어진 폴리에테르는 OH가 8.7, 분자량 6411 및 관능가 1을 갖는다.
히드록시 폴리에테르 3의 제조
노닐페놀 175 g (0.80 eq) 및 산화프로필렌 5625 g (127.8 eq)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히드록시 폴리에테르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히드록시 폴리에테르 3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폴리에테르는 OH가 7.7, 분자량 7295 및 관능가 1을 갖는다.
이소시아나토실란으로부터 실란 -말단 폴리우레탄 ( STP ) 1-2의 제조
1 리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진탕기, 질소 주입구, 응축기, 가열기 및 적하 깔때기를 설치하였다. 표 1에 나열된 히드록시 폴리에테르 중량 및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실퀘스트 Y-5187,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 중량,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05 g을 플라스크에 충전하였다. IR 스펙트럼에 의해 측정시 NCO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반응물을 4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1.24 g을 습기 제거제로서 첨가하였다.
아미노실란으로부터 실란 -말단 폴리우레탄 ( STP ) 3-4의 제조
5 리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진탕기, 질소 주입구, 응축기, 가열기 및 적하 깔때기를 설치하였다. 표 1에 나열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중량 및 히드록시 폴리에테르 중량,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8 g을 플라스크에 충전하였다. 이론적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에 도달할 때까지 반응물을 3시간 동안 60℃로 가열하였다. 표 1에 나열된 적합한 아미노실란 중량을 첨가하였다. IR 스펙트럼에 의해 측정시 NCO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플라스크를 추가로 1시간 동안 60℃에서 가열하였다.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19.9 g을 습기 제거제로서 첨가하였다.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7
실란 밀봉제의 제조
하기 전형적인 조성 및 절차를 사용하여 STP를 밀봉제로 제조하였다. 이들 조합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2관능성 STP를 단독으로 및 단관능성 STP와 조합하여 제조하였다.
절차
하기는 모든 디올 및 디올/모노올 혼합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밀봉제/접착제 조성 및 절차이다. 각각의 화학식 성분에 대하여 주어진 값은 총 화학식 중량의 중량%이다. 고속 원심분리 혼합기를 사용하여 하기 주어진 단계에서 조성 성분을 혼합하였다. 각각의 혼합 시간은 2200 rpm의 속도에서 1분이었다.
단계 1:
깨끗한 건조 혼합 용기에 하기 성분을 충전하였다.
STP (혼합물) 37.5
가소제 17.5
접착 촉진제 0.8
촉매 0.1
건조제 0.5
성분들을 1분 동안 2200 rpm에서 혼합하였다.
단계 2:
충전제 일부를 혼합 용기에 첨가하였다.
충전제 23.6
성분들을 1분 동안 2200 rpm의 속도에서 혼합하였다.
단계 3:
나머지 충전제를 혼합 용기에 첨가하였다.
충전제 20.0
성분들을 1분 동안 2200 rpm의 속도에서 혼합하였다.
단계 4:
혼합 용기의 측면을 스크래핑하고, 성분들을 추가로 1분 동안 2200 rpm의 속도로 혼합하여 모든 충전제를 혼합물로 혼입하였다.
단계 5:
얻어진 생성물을 충분한 진공 (> 28 mm Hg)하에서 1시간 동안 50℃에서 탈기하였다. 상기 물질을 즉시 사용하였다.
엑손 제이플렉스 (Exxon Jayflex) DIDP를 가소제로서 사용하였다. 아미노실란 (실퀘스트 A-1120,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을 접착 촉진제로서 사용하였다. 비닐트리메톡시실란 (실퀘스트 A-171, 오에스아이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됨)을 건조제로서 사용하였다. 사용된 충전제는 스페셜티 미네랄스 울트라 피 플렉스 (Specialty Minerals Ultra P Flex) 침전 탄산칼슘 (평균 입도 0.07 미크론)이었다. 사용된 촉매는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이었다.
밀봉제 조성물의 STP 부에서의 디올 대 모노올의 중량비는 하기 표에 설명된 것과 같이 다양하였다. 상기 중량비는 조성물 중 STP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란 밀봉제의 경화 및 시험
밀봉제 조성물을 0.25 인치 두께 폴리에틸렌 시트상에 캐스팅하고, 20℃, 상대 습도 50%의 표준 조건에서 2주 이상 동안 경화한 후, 시험하였다. ASTM D-412에 따라서 인장 강도, 신장율 및 100% 탄성율을 측정하였다. ASTM D-624에 따라서 다이 "C" 인열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8
표에 기재된 특성들은 2차 아미노실란으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단관능성 STP를 사용하여 밀봉제 5-7을 제조하였을 때 얻어진 이점을 나타낸다. 이들 밀봉제는 비교 밀봉제 2-4 및 8-10에 비하여 개선된 극한 인장 강도, 100% 신도에서의 보다 낮은 탄성율 및 보다 높은 신도를 제공한다. 비교 밀봉제는 단관능성 STP 2 및 4를 함유하며, 이들은 각각 이소시아나토실란 및 1차 아미노실란으로부터 제조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관능성 STP에 대한 추가적인 이점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는 동시 계류중인 출원 [대리인 문서 번호 제MD-01-112-LS]에 나타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예시를 목적으로 상세히 기재되었으나, 이러한 상세한 내용은 오직 이러한 목적만을 위한 것이며, 청구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Ⅰ에 해당하는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혼입된 반응성 실란기 1개, 및 수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5,000이며, 총 불포화도의 최대값이 0.04 밀리당량/g (meq/g) 미만인 폴리에테르 분절 1개 이상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화학식 Ⅰ>
    Figure 112006027888957-PCT00009
    (식 중,
    X는 100℃ 미만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동일하거나 상이한 유기기를 나타내되, 단 이들 기의 2개 이상은 알콕시기 또는 아실옥시기이며,
    Y는 탄소 원자 1 내지 8개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기를 나타내며,
    R1은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유기기를 나타냄)
  2. 제1항에 있어서,
    X는 탄소 원자 1 내지 4개인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Y는 탄소 원자 2 내지 4개를 함유하는 선형 라디칼 또는 탄소 원자 5 내지 6 개를 함유하는 분지형 라디칼을 나타내며,
    R1은 탄소 원자 1 내지 12개인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방향족기를 나타내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성 실란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하기 화학식 Ⅱ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로서 혼입된 폴리에테르 우레탄.
    <화학식 Ⅱ>
    Figure 112006027888957-PCT00010
    (식 중,
    R2 및 R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유기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이거나 또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불활성인 유기기를 나타냄)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성 실란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하기 화학식 Ⅱ에 해당하는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로서 혼입된 폴리에테르 우레탄.
    <화학식 Ⅱ>
    Figure 112006027888957-PCT00011
    (식 중,
    X는 탄소 원자 1 내지 4개인 동일하거나 상이한 알길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Y는 탄소 원자 2 내지 4개를 함유하는 선형 라디칼 또는 탄소 원자 5 내지 6개를 함유하는 분지형 라디칼을 나타내며,
    R2 및 R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탄소 원자 1 내지 4개인 알킬기를 나타내며,
    R3 및 R4는 수소를 나타냄)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분절이 수평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인 폴리에테르 우레탄.
  6. 제2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분절이 수평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인 폴리에테르 우레탄.
  7. 제3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분절이 수평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인 폴리 에테르 우레탄.
  8. 제4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분절이 수평균 분자량 3000 내지 12,000인 폴리에테르 우레탄.
KR1020067007723A 2003-10-22 2004-10-20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 수분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에서의 이들의 용도 KR200600907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90,931 2003-10-22
US10/690,931 US6998459B2 (en) 2002-06-18 2003-10-22 Polyether urethanes containing one reactive silane group and their use i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711A true KR20060090711A (ko) 2006-08-14

Family

ID=3454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23A KR20060090711A (ko) 2003-10-22 2004-10-20 반응성 실란기 1개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 수분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에서의 이들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98459B2 (ko)
EP (1) EP1678228A1 (ko)
JP (1) JP2007526355A (ko)
KR (1) KR20060090711A (ko)
CN (1) CN1867599A (ko)
AU (1) AU2004285899A1 (ko)
BR (1) BRPI0415252A (ko)
CA (1) CA2542944A1 (ko)
MX (1) MXPA06004396A (ko)
NO (1) NO20062113L (ko)
RU (1) RU2006117196A (ko)
TW (1) TW200514796A (ko)
WO (1) WO2005042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PA05006508A (es) 2002-12-20 2005-11-16 Bayer Materialscience Llc Uretanos de polieter curables por humedad con grupos terminales urea ciclicos/silano reactivos y su uso como obturadores, adhesivos y recubrimientos.
US20040122200A1 (en) 2002-12-20 2004-06-24 Roesler Richard 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with terminal cyclic urea/reactive silane groups
US7060750B2 (en) 2004-04-28 2006-06-13 Bayer Materialscience Llc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and their use in sealant, adhesive and coating compositions
DE102004040386A1 (de) * 2004-08-19 2006-03-02 Heraeus Kulzer Gmbh Zusammensetzungen auf Basis silanterminierter Polyether und deren Verwendung
DE102005041954A1 (de) * 2005-09-03 2007-03-08 Bayer Materialscience Ag Alkoxysilan- und spezielle Allophanat-und/oder Biuretgruppen aufweisende Prepolymer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US8481668B2 (en) * 2005-09-16 2013-07-09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Silane-containing adhesion promoter composition and sealants, adhesives and coatings containing same
JP5004465B2 (ja) * 2005-12-12 2012-08-22 キヤノン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ポリウレタン成型品の成型方法及び金型用離型剤
US20100286333A1 (en) * 2006-02-14 2010-11-11 Bostik S.A. One-component, water-free coating composition for sealing built structures and flat roofs
JP5016266B2 (ja) * 2006-06-30 2012-09-05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プライマー
ES2339996T3 (es) * 2006-07-03 2010-05-27 Dow Corning Corporation Junta de perfil espaciador termico "todo en uno" de endurecimiento quimico.
US8029854B2 (en) * 2007-07-26 2011-10-04 Bayer Materialscience Llc Concrete repair process
DE102009028640A1 (de) * 2009-08-19 2011-02-24 Evonik Goldschmidt Gmbh Härtbare Masse enthaltend Urethangruppen aufweisende silylierte Polymere und deren Verwendung in Dicht- und Klebstoffen, Binde- und/oder Oberflächenmodifizierungsmitteln
JP5769929B2 (ja) * 2010-03-17 2015-08-26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樹脂
US10016454B2 (en) 2012-12-04 2018-07-10 Cohera Medical, Inc. Silane-containing moisture-curable tissue sealant
DE102013208356A1 (de) * 2013-05-07 2014-11-13 Evonik Industries Ag Vernetzung von IPMS Addukten mit Aminosilanen
CN109535366B (zh) * 2018-11-16 2021-05-07 上海东大化学有限公司 一种仲氨基硅烷改性聚醚聚合物及其制备方法
EP4100452A1 (en) 2020-02-03 2022-12-14 DDP Specialty Electronic Materials US, LLC Polyurethane based thermal interface material comprising silane terminated urethane pre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9237A1 (de) * 1986-08-28 1988-03-03 Henkel Kgaa Alkoxysilanterminierte, feuchtigkeitshaertende polyurethane sowie ihre verwendung fuer klebe- und dichtungsmassen
US5068304A (en) 1988-12-09 1991-11-26 Asahi Glass Company, Ltd. Moisture-curable resin composition
DE4029505A1 (de) * 1990-09-18 1992-03-19 Henkel Kgaa Feuchtigkeitshaertende, alkoxysilanterminierte polyurethane
JPH05125272A (ja) 1991-11-01 1993-05-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硬化性組成物
US5227434A (en) * 1992-08-26 1993-07-13 Olin Corporation Moisture curable polymers
DE4237468A1 (de) * 1992-11-06 1994-05-11 Bayer Ag Alkoxysilan- und Aminogruppen aufweisende Verbindungen
AU4999997A (en) 1996-10-31 1998-05-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isture curable alkoxysilane functional poly(ether-urethane) based sealants
DE19908562A1 (de) 1998-03-25 1999-10-07 Henkel Kgaa Polyurethan und polyurethanhaltige Zubereitung
DE19849817A1 (de) * 1998-10-29 2000-05-04 Bayer Ag Alkoxysilan-Endgruppen aufweisende Polyurethanprepolymer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Dichtstoffen
US6197912B1 (en) * 1999-08-20 2001-03-06 Ck Witco Corporation Silane endcapped moisture curable compositions
US6265517B1 (en) * 1999-09-07 2001-07-24 Bostik, Inc. Silylated polyether sealant
US6498210B1 (en) * 2000-07-13 2002-12-24 Adco Products, Inc. Silylated polyurethanes for adhesives and sealant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DE10204523A1 (de) 2002-02-05 2003-08-07 Bayer Ag Alkoxysilan- und OH-Endgruppen aufweisende Polyurethanprepolymere mit erniedrigter Funktionalität,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8228A1 (en) 2006-07-12
CA2542944A1 (en) 2005-05-12
MXPA06004396A (es) 2006-06-14
JP2007526355A (ja) 2007-09-13
US6998459B2 (en) 2006-02-14
NO20062113L (no) 2006-07-14
TW200514796A (en) 2005-05-01
BRPI0415252A (pt) 2006-12-12
US20040132949A1 (en) 2004-07-08
CN1867599A (zh) 2006-11-22
WO2005042608A1 (en) 2005-05-12
RU2006117196A (ru) 2007-12-10
AU2004285899A1 (en)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8225B1 (e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with reactive silane groups and their use as sealants, adhesives and coatings
EP1685171B1 (e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with reactive silane groups and their use as sealants, adhesives and coatings
KR20060094086A (ko) 반응성 실란기를 갖는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밀봉제, 접착제 및 코팅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KR20060086951A (ko) 반응성 실란기를 갖는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 및밀봉제, 접착제 및 코팅제로서의 이들의 용도
KR20060090712A (ko) 반응성 실란기를 갖는 수분 경화성 폴리에테르 우레탄의제조 방법, 및 밀봉제, 접착제 및 코팅제로서의 이들의용도
US6998459B2 (en) Polyether urethanes containing one reactive silane group and their use i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EP1578830A1 (e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with terminal cyclic urea/reactive silane groups and their use as sealants, adhesives and coatings
US20030232950A1 (en) Moisture-curable, polyether urethanes with reactive silane groups and their use as sealants, adhesives and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