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497A -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497A
KR20060087497A KR1020060066352A KR20060066352A KR20060087497A KR 20060087497 A KR20060087497 A KR 20060087497A KR 1020060066352 A KR1020060066352 A KR 1020060066352A KR 20060066352 A KR20060066352 A KR 20060066352A KR 20060087497 A KR20060087497 A KR 20060087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using
contents
pumping means
bellow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2330B1 (ko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06006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3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97A/ko
Priority to PCT/KR2007/003350 priority patent/WO2008007895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단에 토출노즐이 구성되고 내부 바닥에는 가동식 바닥체가 구비되는 용기를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되 하우징과 용기의 사이에는 신축을 통해 내용적의 증감이 가능한 자바라 관체와 서로 다른 방향의 압력조건에서 개폐되는 한조의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펌핑수단을 구비시켜 용기의 가압 몰입 시 자바라 관체의 수축을 통해 펌핑수단과 가동식 바닥체사이의 압력이 증가토록 함으로써 가동식 바닥체를 위로 밀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가압력 해제 시 자바라 관체와 용기의 원상 복귀력을 통해 차기의 펌핑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펌핑압이 간접적으로 용기의 하부에 작용되도록 하여 가동식 바닥체를 밀어 내용물을 토출시킴으로써 내용물이 펌핑수단과 접하지 않게 되어 펌핑수단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고 내용물 누설방지를 위해 부품간의 높은 결합 정밀도와 기밀처리의 요구를 배제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기할 수 있으며, 펌핑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구성 부품수의 감소와 고장이 적고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원가의 절감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펌프디스펜서, 용기, 하우징, 자바라 관체, 체크밸브, 펌핑수단

Description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Pump dispen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도 및 도 5는 본 발명을 펌핑하여 내용물의 토출 작동을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기존 구조의 펌프디스펜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통공
12: 공기유입공 20: 용기
21: 가동 바닥체 30: 펌핑수단
31: 상부 밸브시터 32: 상부 밸브공
33: 상부 밸브 34: 하부 밸브시터
35: 상부 밸브공 36: 하부 밸브
40: 노즐캡 41: 토출 안내관
42: 토출구 43: 토출 노즐
본 발명은 주방용 세제나 샴푸, 린스 등의 신체 세정용품, 화장품 등의 액상 또는 겔 상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주기 위하여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단에 토출노즐이 구성되고 내부 바닥에는 가동식 바닥체가 구비되는 용기를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되 하우징과 용기의 사이에는 신축을 통해 내용적의 증감이 가능한 자바라 관체와 서로 다른 방향의 압력조건에서 개폐되는 한조의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펌핑수단을 구비시켜 용기의 가압 몰입 시 자바라 관체의 수축을 통해 펌핑수단과 가동식 바닥체 사이의 압력이 증가토록 함으로써 가동식 바닥체를 위로 밀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가압력 해제 시 펌핑수단과 가동식 바닥체사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저하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자바라 관체와 용기의 원상 복귀력을 통해 차기의 펌핑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펌핑압이 용기의 하부에 작용되어 가동식 바닥체를 밀어 올림으로써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하여 내용물이 펌핑 수단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펌핑 수단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고 내용물 누설방지를 위해 부품간의 높은 결합 정밀도와 기밀처리의 요구를 배제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기할 수 있으며, 펌핑 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구성 부품수와 고장 발생률이 감소되고 제조공정의 단축을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주방용 세제나 샴프, 린스 등의 신체 세정용품, 화장품 등의 액상 또는 겔 상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주기 위하여 용기에 결합되어 사용되고 용기내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양한 구조의 펌프 디스펜서가 알려지고 있으며, 주로 피스톤이 하단에 결합되고 내용물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중공 관체형으로 구성되며 스프링을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한 피스톤 샤프트가 실린더에 결합되며 피스톤 샤프트가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구의 상단에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노즐헤드가 연통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도 8은 기존의 펌프 디스펜서 중 하나로서 실린더 홀딩 캡과 용기 지지 캡을 통해 두 개의 실린더와 두 개의 내용물 용기를 동시에 결합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펌핑 버튼에 이중의 토출구를 구비하여 한 번의 펌핑으로 2종의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는 것이었다.
⊙ 용기(1)내의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펌핑 수단으로서, 실린더(2), 피스톤(3), 피스톤 샤프트(4), 펌핑버튼(5), 코일스프링(6), 다수의 오링(7), 판 밸 브(8)등 많은 수의 구성 부품이 요구되어 전체적으로 펌핑 수단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이로 인해 제조공정이 길어지며 고장 발생률이 증가되어 원가 상승과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였으며,
⊙ 또한 내용물이 펌핑 수단인 판밸브(8)와 실린더(2) 및 피스톤 샤프트(4)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펌핑버튼(5)의 노즐을 통해 토출되면서 내용물이 펌핑수단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관계로 특히 판밸브(8)와의 접촉으로 밸브의 주 기능인 기밀성을 저해하여 펌핑수단의 작동 불량이 초래되고, 내용물의 이동 통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 부품간의 높은 결합 정밀도와 다수의 실링부재의 적용 등 고도의 기밀처리가 요구되어 제조공정이 길어지고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제품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 또한 상대적으로 많은 중량 비율을 갖는 펌핑 수단이 장치의 상부에 편중되어 있게 됨으로써 내용물의 소모량에 따라 장치의 무게중심이 상승되어 안정된 세움이 어려워지게 되어 취급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압이 용기의 하부에 작용되어 가동식 바닥체를 밀어 올림으로써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하여 내용물이 펌핑수단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펌핑 수단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고 내용물 누설방지를 위해 부품간의 높은 결합 정밀도와 기밀처리의 요구를 배제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기할 수 있으며, 펌핑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구성 부품수와 고장 발생률이 감소되고 제조공정의 단축을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에 토출 노즐이 구성되고 내부 바닥에는 가동식 바닥체가 구비되는 용기를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되 하우징과 용기의 사이에는 신축을 통해 내용적의 증감이 가능한 자바라 관체와 서로 다른 방향의 압력조건에서 개폐되는 한조의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펌핑수단을 구비시켜 용기의 가압 몰입 시 자바라 관체의 수축을 통해 펌핑수단과 가동식 바닥체 사이의 압력이 증가토록 함으로써 가동식 바닥체를 위로 밀어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고 용기의 가압력 해제 시 펌핑수단과 가동식 바닥체 사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저하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자바라 관체와 용기의 원상 복귀력을 통해 차기의 펌핑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동 전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도 및 도 5는 본 발명을 펌핑하여 내용물의 토출 작동을 보이는 요부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방 중앙과 연부에 각각 통공(11)과 다수의 공기유입공(12)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저부에 기밀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바닥체(21)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용기(20)와;
상기 하우징(10)과 용기(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2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다수의 상부 밸브공(32)을 관통 구비하는 상부 밸브시터(31)와, 이 상부 밸브시터(31)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밸브(33)와,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다수의 하부 밸브공(35)을 관통 구비하는 하부 밸브시터(34)와, 이 하부 밸브시터(34)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밸브(36)와, 상기 상, 하부 밸브시터(31)(34)의 양단에 기밀 상태로 결합되는 신축성을 갖는 자바라 관체(37)로 구성되는 펌핑수단(30)과;
상기 용기(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용기 캡(22)을 통해 용기(20)와 결합 구성되며 토출 안내관(41)의 토출구(42)를 통해 용기(20)의 내부와 연결되는 토출 노즐(43)을 구비하는 노즐 캡(4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작동 전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용기(20)는 자바라 관체(37)의 자체 탄성력으로 최대한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부 밸브(33)와 하부 밸브(36)는 상, 하부 밸브공(32)(35)을 막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노즐 캡(40)의 상단을 눌러 도 4에서와 같이 용기(20)를 하우징(10)의 내부로 몰입시켜주면 자바라 관체(37)의 내용적이 수축되면서 자바라 관체(37)의 내부 압력의 상승과 팽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조상 내부 압력의 외부로의 배출은 가능하고 반대로 외부 압력의 내부 유입은 차단하는 상부 밸브(33)는 상부 밸브공(32)을 열어주고 반면에 구조상 외부 압력의 내부로의 유입은 가능하고 내부 압력의 외부 유출은 차단하는 하부 밸브(36)는 하부 밸브공(35)을 폐쇄되게 되어 자연히 자바라 관체(37)의 상승되는 내부 압력은 열려진 상부 밸브공(32)을 통해 가동 바닥체(21)의 저부로 배출되어 그 압력으로 가동 바닥체(21)를 위로 밀어 줌으로써 내용물이 노즐캡(40)의 토출 안내관(41)과 토출구(42) 및 토출 노즐(43)을 거쳐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내용물의 토출이 종료되어 노즐 캡(40)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수축되었던 자바라 관체(37)가 자체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대적으로 내용적이 증가되게 됨으로써 자바라 관체(37)의 내부는 대기압보다 낮아져 외부 공기를 흡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구조상 외부 압력의 내부 유입은 차단하는 상부 밸브(33)는 상부 밸브공(32)을 닫아주고 반면에 구조상 외부 압력의 내부로의 유입은 가능한 하부 밸브(36)는 하부 밸브공(35)을 열어주게 되어 하우징(10)의 바닥 연부에 외부에 노출되게 구성되는 공기 유입공(12)과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자연스럽게 자바라 관체(37)의 내부로 유입되어 자바라 관체(37)내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자바라 관체(37)의 원상복귀를 신속히 함과 동시에 가동 바닥체(21)를 작동시킬 차기의 압력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기 용기(20)를 양분시켜 서로 다른 2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동시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20)의 내부와 노즐 캡(40)의 토출 안내관(41)의 내부에 각각 공간을 격리 상태로 양분하는 용기 격판(50)과 노즐 격판(51)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 격판(50)을 통해 구획된 용기(20)의 내부에는 각기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한 조의 가동 바닥체(21')를 적용 설치하도록 한 것으로, 노즐 격판(51)과 용기 격판(50)을 통해 서로 다른 이종의 내용물을 용기(20)내에 수용할 수 있고 분할된 두개의 가동 바닥체(21')를 통해 동시에 두 종류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외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도 1내지 도 4의 구성에서와 동일한 작용과 효과가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펌핑압이 용기의 하부에 작용되어 가동식 바닥체를 밀어 올림으로써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하여 내용물이 펌핑수단과 접촉하지 않게 되어 펌핑수단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고 내용물 누설방지를 위해 부품간의 높은 결합 정밀도와 기밀처리의 요구를 배제할 수 있어 제조공정의 단축을 기할 수 있으며, 펌핑수단의 구조가 간단하여 구성 부품수와 고장 발생률이 감소되고 제조공정의 단축을 통해 원가 절감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하방 중앙과 연부에 각각 통공(11)과 다수의 공기유입공(12)을 구비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며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저부에 기밀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바닥체(21)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용기(20)와;
    상기 하우징(10)과 용기(2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20)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펌핑수단(30)과;
    상기 용기(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용기 캡(22)을 통해 용기(20)와 결합 구성되며 토출 안내관(41)의 토출구(42)를 통해 용기(20)의 내부와 연결되는 토출 노즐(43)을 구비하는 노즐 캡(40)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30)은,
    다수의 상부 밸브공(32)을 관통 구비하는 상부 밸브시터(31)와,
    이 상부 밸브시터(31)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밸브(33)와,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다수의 상부 밸브공(35)을 관통 구비하는 하부 밸브시터(34)와,
    이 하부 밸브시터(34)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밸브(36)와,
    상기 상, 하부 밸브시터(31)(34)의 양단에 기밀 상태로 결합되는 신축성을 갖는 자바라 관체(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0)의 내부와 노즐캡(40)의 토출 안내관(41)의 내부에 각각 공간을 격리 상태로 양분하는 용기 격판(50)과 노즐 격판(51)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격판(50)을 통해 구획된 용기(20)의 내부에는 각기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한 조의 가동 바닥체(21')를 적용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KR1020060066352A 2006-07-14 2006-07-14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KR100782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352A KR100782330B1 (ko) 2006-07-14 2006-07-14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PCT/KR2007/003350 WO2008007895A2 (en) 2006-07-14 2007-07-11 Pump dispenser having telescopic ves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352A KR100782330B1 (ko) 2006-07-14 2006-07-14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97A true KR20060087497A (ko) 2006-08-02
KR100782330B1 KR100782330B1 (ko) 2007-12-06

Family

ID=3717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352A KR100782330B1 (ko) 2006-07-14 2006-07-14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82330B1 (ko)
WO (1) WO200800789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88B1 (ko) * 2007-01-26 2008-03-24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246B1 (ko) * 2013-07-22 2014-12-18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구조
GB2586671B (en) * 2020-02-18 2021-10-27 Mr And Mrs Oliver Ltd A substance dispenser and a method of providing a substance dispenser
KR102419788B1 (ko) * 2021-09-08 2022-07-13 이선재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653A1 (de) * 1990-02-15 1991-08-22 Alfred Von Schuckmann Fluessigkeitsspruehvorrichtung
DE4120644C1 (ko) * 1991-06-22 1993-03-25 Raimund Andris Gmbh & Co Kg, 7730 Villingen-Schwenningen, De
DE4206524C2 (de) * 1992-03-02 1997-04-24 Andris Raimund Gmbh & Co Kg Dosierpumpe für zähflüssige, insbesondere pastenartige Stoffe
DE29506682U1 (de) * 1995-04-19 1995-06-29 Megaplast Dosiersysteme Gmbh Abgabepumpe aus Kunststoff für pastenartige Stoffe
DE29513716U1 (de) 1995-08-26 1995-10-19 Peter Gartner Behälter in Form einer Flasche oder Dose mit einem an der Oberseite vorgesehenen Sprühventil
WO1999064319A1 (en) 1998-06-12 1999-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piston, dual product pump dispenser with lightweight reinforced post design
DE20304731U1 (de) * 2003-03-25 2003-06-26 Megaplast Gmbh & Co Kg Dosierpumpe aus Kunststof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88B1 (ko) * 2007-01-26 2008-03-24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07895A3 (en) 2008-05-29
WO2008007895A2 (en) 2008-01-17
KR100782330B1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4945B2 (ja) 2つ以上の材料を分与するための用量分与ポンプ
KR100701225B1 (ko) 튜브형 유체용기용 밸브 메커니즘
JP4006332B2 (ja) 流動体貯留容器
KR101521849B1 (ko) 공기압에 의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JP2005021826A (ja) ピストンおよびこのピストンを使用した流動体容器
KR100782330B1 (ko) 용기 출몰식 펌프디스펜서
MXPA05005607A (es) Bomba de precompresion de altura reducida.
KR101884508B1 (ko) 액체 배출 장치
JP2005280712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JP2002066401A (ja) 流動体吐出ポンプ
KR102272109B1 (ko) 샴푸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KR102338575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535161B1 (ko)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102517074B1 (ko) 에어리스 펌프형 화장품 용기
KR200312903Y1 (ko)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200402391Y1 (ko) 용기
US7055721B2 (en) Finger-operated spray pump ejaculating fluid in fixed quantity
JP4294398B2 (ja) 流動体容器
KR102062002B1 (ko) 펌프 용기
JP2002005114A (ja) 流動体容器のシリンダ機構
US20030155377A1 (en) Finger-operated spray pump ejaculating fluid in fixed quantity
KR102419788B1 (ko)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KR102297663B1 (ko) 펌프 용기
JP2019059514A (ja) 二つの液体収容室を備えた容器
KR102625263B1 (ko) 펌프형 샴푸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