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690A - 법면블럭 - Google Patents

법면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690A
KR20060086690A KR1020050007581A KR20050007581A KR20060086690A KR 20060086690 A KR20060086690 A KR 20060086690A KR 1020050007581 A KR1020050007581 A KR 1020050007581A KR 20050007581 A KR20050007581 A KR 20050007581A KR 20060086690 A KR20060086690 A KR 20060086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ne
space
block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금철
Original Assignee
임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금철 filed Critical 임금철
Priority to KR102005000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690A/ko
Publication of KR2006008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 형상의 테두리틀(20);
테두리틀(20)에 돌(10)을 각각 구분 수용하는 돌수용공간(21)과 흙을 수용하는 빈공간(22)을 번갈아 제공토록 결합된 구획벽(23,24);
상기 돌 수용공간(21)에 안치되는 돌(10)을 구획벽(23,24)과 테두리틀(20)에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법면블럭이다.
법면블록

Description

법면블럭{A block for inclined plane}
도 1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의 예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도 3 의 A-A 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돌 1;앙카볼트공 20;테두리틀 21;돌 수용공간 22;빈공간
23,24;구획벽 25;앙카볼트공 30;앙카볼트 31;너트
본 발명은 퍼즐형 돌블럭에 관한 것으로, 퍼즐형으로 조립 가능한 틀에 보강철근을 결합시키고, 보강철근과 돌에 구멍을 뚫어 앙카볼트로 상호 조립 가능토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감소시킨 퍼즐형 돌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공사(masonry/stone work)는 도로작업 등의 포장공사, 구조체 구축에 쓰이는 석축(石築)공사, 벽, 바닥 등의 마무리를 하는 내외장(內外裝)공사 등으로 대별된다.
사용되는 석재는 주로 화강암, 안산암 등의 화성암, 사암, 응회암 등의 퇴적암 또는 대리석 등이다. 천연상태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흑두기, 정다듬, 도드락다듬, 잔다듬, 물갈기, 광내기 등에 의해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밖에 대리석, 화강암 등의 쇄석(碎石)과 백색시멘트, 안료(顔料) 등을 혼합하여 물로 반죽하여 다져서 색조나 성질을 천연석재와 비슷하게 만든 인조석도 사용된다. 석재는 무겁고 단단하기 때문에 운반 및 시공 상에 있어 어려운 점이 있어 마무리공사 등에 쓰이는 비율이 가장 높다.
상기와 같이 돌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종래에는 몰탈에 크기가 서로 다른 돌을 하나씩 붙여가면서 공사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작업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법면블럭은 일정 길이체를 상호 결합하면서 공간을 확보토록 하여 풀이나 토양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도록 기능 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주로 시멘트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서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일부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내구성에 문제가 있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법면블록을 돌을 담는 수요공간을 테두리틀과 구획벽으로 조합으로 만들고, 구획벽과 테두리틀을 이용하여 앙카볼트로 돌을 결합시켜 돌을 이용한 법면블록을 제공 가능토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을 수개의 구획공간에 교대로 고정시키고, 빈 공간은 돌을 고정하는 앙카볼트를 결합시키는 공간과 흙을 매꾸는 공간으로 사용토록 하여 자연현실에 가장 근접한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법면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돌을 사용하지만 테두리틀과 구획벽에 돌이 고정되도록 하여 일정 형상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정형화된 법면블록의 제공을 가능토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원 발명은 법면블록을 일정 조립 가능한 형상의 테두리틀과, 테두리틀에 일정 간격으로 돌을 고정시키는 수용공간과, 흙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초기에 흙 수용공간을 이용하여 돌을 앙카볼트로 조립하고, 조립 후에는 흙 수용공간에 흙을 채워 자연 현실에 근접한 법면블록을 제공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다각 형상의 테두리틀;
테두리틀에 돌을 각각 구분 수용하는 돌수용공간과 흙을 수용하는 빈공간을 번갈아 제공토록 결합된 구획벽;
상기 돌 수용공간에 안치되는 돌을 구획벽과 테두리틀에 결합시키는 결합구 를 포함하여 구성한 법면블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구획벽과 테두리틀에 사용되는 결합구는 앙카볼트이고, 돌은 인접 수용공간을 건너뛰어서 결합토록 구성한다.
상기 구획벽과 테두리틀에는 앙카볼트 결합용 앙카볼트공을 형성하고, 앙카볼트공에 대응하는 돌에는 역시 앙카볼트공을 형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틀과 인접하는 구획벽에 의한 빈 공간은 인접하는 법면블럭의 테두리틀과 연장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결합시키는 공간과 토양을 담는 공간으로 사용토록 구성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원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석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단위 블록 형태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 은 도 2 를 조립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A-A 선 단면도로,
다각 형상의 테두리틀(20);
테두리틀(20)에 돌(10)을 각각 구분 수용하는 돌수용공간(21)과 흙을 수용하는 빈공간(22)을 번갈아 제공토록 결합된 구획벽(23,24);
상기 돌 수용공간(21)에 안치되는 돌(10)을 구획벽(23,24)과 테두리틀(20)에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구획벽(23,24)과 테두리틀(20)에 사용되는 결합구는 앙카볼트(30)이고, 돌(10)은 인접 수용공간을 건너뛰어서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획벽(23,24)과 테두리틀(20)에는 앙카볼트(30) 결합용 앙카볼트공 (25)을 형성하고, 앙카볼트공(25)에 대응하는 돌(10)에는 역시 앙카볼트공(11)을 형성한다.
상기 테두리틀(20)과 인접하는 구획벽(23,24)에 의한 빈 공간(22)은 인접하는 법면블럭의 테두리틀과 연장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결합시키는 공간과 토양을 담는 공간으로 사용토록 구성한다. (31)은 앙카볼트(30)의 너트이다. 본 발명에서 돌을 결합하는 결합구는 앙카볼트가 좋고, 테두리틀을 상호 결합하는 결합구는 일반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후크 등의 다른 결합수단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 발명은 도 1 과 같이 초기에 일정형상의 테두리틀(20)(도면에서는 팔각형상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원형이나 다른 다양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을 구획하는 구획벽(23,24)으로 이루어지는 돌수용공간(21)과 빈공간(22)을 교대로 이루도록 하고, 돌수용공간(21)에는 돌(10)을 안치시키고, 빈공간(22)에는 빈 공간상태로 나 두고, 나중에 법면블록 공사를 할 때 흙을 채워넣는 공간으로 활용토록 한다.
본원발명에서 돌(10)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구획벽(22,23)에는 앙카볼트공(25)을 형성하고, 돌(10)에는 역시 앙카볼트공(11)을 형성하여 빈공간(22)을 이용하여 앙카볼트(30)를 조립시킨다. 그리고 다른 법면블록을 이어 결합할 때는 도 1 과 같이 빈공간(22)을 이용하여 다른 법면블록용 테두리틀(20')의 빈공간(22')을 이용하여 앙카볼트공(25',25)을 통하여 앙카볼트(30)로 조립하면 상호 연장 결합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이어 결합하면 도 3 과 같은 형상을 이루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법면 블록을 이루도록 테두리틀을 만들고, 테두리틀에는 일정공간을 수개 만들도록 좌우로 배열된 구획벽으로 돌수용공간과 빈공간을 만들어, 돌수용공간에는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구획벽과 테두리틀에 돌을 결합시키고, 빈 공간에는 흙을 채울 수 있어, 자연현상에 가장 근접한 법면블록을 이룰 수 있고, 빈공간을 이용하여 상호 테두리틀까지 결합함으로써 법면블록을 연장시켜 조립 사용 가능하고, 돌을 지지 결합하는 수단이 단순히 테두리틀과 앙카볼트이므로 다른 중량 부가 수단이 필요 없어 보관과 이동에 유리하고 설치 시에도 시멘트 양생의 시간이 필요 없어 공사 기간이 단축된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테두리틀이 박판 형태이므로, 법면 표면에 설치할 때 토양에 쉽게 박혀 초기 설치에 따른 보강공사가 줄어들고, 자연적인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어 법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각 블록은 상호 앙카볼트로 결합함으로써 분리되지 않고 오랜세월동안 사용 가능토록 한다.
또한 빈 공간에는 흙을 채우므로, 테두리틀 등은 눈에 뜨지 않고 돌만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미감도 좋고 내구성도 좋은 법면블록의 제공을 가능토록 한다.

Claims (4)

  1. 다각 형상의 테두리틀(20);
    테두리틀(20)에 돌(10)을 각각 구분 수용하는 돌수용공간(21)과 흙을 수용하는 빈공간(22)을 번갈아 제공토록 결합된 구획벽(23,24);
    상기 돌 수용공간(21)에 안치되는 돌(10)을 구획벽(23,24)과 테두리틀(20)에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구획벽(23,24)과 테두리틀(20)에 사용되는 결합구는 앙카볼트(30)이고, 돌(10)은 인접 수용공간을 건너뛰어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구획벽(23,24)과 테두리틀(20)에는 앙카볼트(30) 결합용 앙카볼트공(25)을 형성하고, 앙카볼트공(25)에 대응하는 돌(10)에는 역시 앙카볼트공(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테두리틀(20)과 인접하는 구획벽(23,24)에 의한 빈 공간(22)은 인접하는 법면블럭의 테두리틀과 연장 결합시키는 결합구를 결합시키는 공간과 토양을 담는 공간으로 사용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블럭.
KR1020050007581A 2005-01-27 2005-01-27 법면블럭 KR20060086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81A KR20060086690A (ko) 2005-01-27 2005-01-27 법면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81A KR20060086690A (ko) 2005-01-27 2005-01-27 법면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90A true KR20060086690A (ko) 2006-08-01

Family

ID=3717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581A KR20060086690A (ko) 2005-01-27 2005-01-27 법면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66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473289A3 (en) Self-supporting forming elements, particularly for casting masonry and other concrete structures
US20080184648A1 (en) Material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lock wall
JP2007023665A (ja) 軽量盛土構造体における壁面部材の固定方法
KR20160050226A (ko) 절토 사면 보강공법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20060086690A (ko) 법면블럭
JP5185742B2 (ja) 柵および柵の施工方法
KR100958776B1 (ko) 옹벽 블럭
KR102255652B1 (ko) 옹벽블록 및 그를 이용한 건축물시공방법
KR100708987B1 (ko) 퍼즐형 돌블럭
KR102240949B1 (ko)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KR101148228B1 (ko) 강성그리드가 구비된 옹벽블럭의 장착구조
KR102184291B1 (ko) 도로의 임시 복구를 위한 보도블록부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KR101231153B1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20030028787A (ko) 건축용 중공블록 및 그를 이용한 블록 벽체구조
KR102615726B1 (ko) 기능성 매트리스 개비온 블록
KR200495747Y1 (ko) 블록 전면의 미관 개선이 가능한 장착구조
JP2843532B2 (ja) 仕上げプレート付き網状型枠
KR200392562Y1 (ko) 옹벽 축조용 코너 블록
JP2006283393A (ja) 基礎構造体
KR200278702Y1 (ko) 건축물 축조를 위한 조립식 지반구조물
JPH09273205A (ja) 雨水貯溜槽
PL73120Y1 (pl) Wielozadaniowy panel boazeryjno-elewacyjny
KR200251458Y1 (ko) 조립블록 및 그 조립블록을 이용한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