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153B1 -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153B1
KR101231153B1 KR1020110009161A KR20110009161A KR101231153B1 KR 101231153 B1 KR101231153 B1 KR 101231153B1 KR 1020110009161 A KR1020110009161 A KR 1020110009161A KR 20110009161 A KR20110009161 A KR 20110009161A KR 101231153 B1 KR101231153 B1 KR 10123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base
plate
road
st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083A (ko
Inventor
최강진
Original Assignee
최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진 filed Critical 최강진
Priority to KR1020110009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1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도와 인도 사이에서 기초면 상에 시공되는 경계석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각 경계석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부재가 인접하는 두 경계석의 결합홈에 끼워져 두 경계석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 수평의 얇은 판 형태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판형 수직 쐐기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판형 수직 쐐기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기초면 삽입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 경계석 끼리를 간편하게 연결시공함과 동시에 도로 경계석의 바닥면과 기초면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시에 도로 경계석들 간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시공을 용이하게 하여 경제적이면서 견고한 구조로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A connection structure of boundary stone of road}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경계석 끼리를 판형 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연결시공함과 동시에 도로 경계석의 바닥면과 기초면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시에 도로 경계석들 간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고 견고한 구조로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거나 또는 정원과 보도 등을 구분하기 위한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의 경우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블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 도심이나 공원 등과 같이 미관을 고려하여야 하는 장소에서는 수분 및 마모가 취약한 콘크리트 블록의 경계석과는 달리 도로 미관도 살릴 수 있는 이점을 고려하여 다소 초기 비용이 부담이 있더라도 화강암을 소재로 한 석재 경계석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경계석의 사시도로서, 경계석(1)은 직육면체의 긴 막대 형상으로 평평한 내측면(1b)과 바닥면(1c) 외에, 상부 한쪽 모서리가 라운딩 가공된 곡면으로 외측면(1a)이 형성되어 경계석의 내구성을 높이고, 도시 미관을 증진시킨다.
이러한 경계석(1)은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도로는 보도 블록(2) 및 그 아래의 인도용 기초 다짐부(4)를 포함하는 인도와 아스팔트(3) 및 그 아래의 차도용 기초 다짐부(5)를 포함하는 차도로 구성되며, 이들 인도와 차도 사이에 경계석(1)이 시공된다.
차도와 보도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안전 및 높이조절을 위해 약 1m 정도의 길이를 가진 직육면체의 화강암으로 된 경계석이 설치된다. 이런 경계석은 약150Kg 이상의 중량을 갖는 구조물로서, 이의 시공은 통상적으로 직선 또는 곡선 형태를 갖는 도로와 보도의 경계면 상에 비빔 콘크리트 또는 몰탈층을 형성한 후에, 그 비빔 콘크리트 또는 몰탈층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는 식으로 이어지게 반복 시공된다.
그리고 경계석들 사이는 후에 발생되는 경계석의 부분 파손으로 인한 교체 및 보수작업을 위한 간격을 고려하지 않고 맞대어 시공된다. 도로 경계석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면 미관불량을 초래하므로 그 사이의 공간부를 백색 시멘트 혼합 몰탈로 마감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로 경계석 시공방식은 첫째, 중량의 도로 경계석을 상호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됨이 없이 단순히 숙련된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도로 경계석의 수평 및 수직을 시행착오법에 의해 맞추고 있어, 도로 경계석 간의 불규칙한 간격과 수평 및 수직의 어긋남으로 미관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 및 지지되지 않는 상태로 단순히 몰탈층 위에 올려 놓여져 시공되므로 외력이 작용하면 변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한 바와 같이 숙련된 작업자의 감각에 의존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미숙련된 작업자는 작업이 불가능하다. 넷째, 시공시 도로 경계석들 간의 충돌로 부분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몰탈층이 어느 정도 굳은 상태에서 도로 경계석이 그 위에 올려 놓여져 시공되므로 추가조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충진이 불가능하다. 여섯째, 도로경계석 맞물림으로 부분파손에 의한 상기 도로 경계석의 교체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도로보차도 경계석의 조인트장치"가 공개특허 제2000-67469호로서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로보차도 경계석의 조인트장치"는 목판과 상.하 삽입홈, 목봉 및 끼움홈 등의 형성으로 제작 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그에 따른 인건비의 상승이 초래되고, 경계석 제작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이는 단순히 도로 경계석들 사이의 연결에만 주목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므로, 경계석과 바닥면 사이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고 있지 않다. 이는 경계석에 대해 측면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경계석이 쓰러지게 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도로 경계석의 연결구조에서 야기되는 각종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한 경계석들을 하나의 판형 쐐기를 삽입하여 간편하게 연결 결합 시공함과 동시에 경계석의 바닥면과 기초면 사이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쉽게 파손됨이 없이 미관이 수려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파손된 경계석을 제거하고 새로운 경계석으로 다시 시공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의 도로 경계석을 상호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시공시 숙련자가 아니어도 도로 경계석의 수평 및 수직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경계석 간의 불규칙한 간격과 수평 및 수직의 어긋남으로 인한 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접한 경계석 끼리 서로 연결 및 지지되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변위가 발생하지 않고, 시공시 도로 경계석들 간의 충돌로 부분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는, 차도와 인도 사이에서 기초면 상에 시공되는 인접 경계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각 경계석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부재가 인접하는 두 경계석의 결합홈에 끼워져 두 경계석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 수평의 얇은 판 형태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판형 수직 쐐기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판형 수직 쐐기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기초면 삽입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형 수직 쐐기부는 사각형 형태의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형 수직 쐐기부는 반달형 형태의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초면 삽입봉은 상기 베이스부에 통공에 형성하고 이 통공에 볼트를 조립 결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베이스부, 판형 수직 쐐기부 및 기초면 삽입봉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접한 경계석들을 연결 겹합하여 시공함으로써 쉽게 파손됨이 없이 미관이 수려하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파손된 경계석을 제거하고 새로운 경계석으로 다시 시공하는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도로 경계석을 상호 연결 및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시공시 숙련자가 아니어도 도로 경계석의 수평 및 수직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어 경계석 간의 불규칙한 간격과 수평 및 수직의 어긋남으로 인한 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경계석 끼리 서로 연결 및 지지되어 외력이 작용하여도 변위가 발생하지 않고, 동시에 경계석과 그 바닥면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어, 도로 경계석들 간의 충돌로 부분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 경계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경계석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사각형의 판형 수직 쐐기부(24)를 가지는 결합부재(20)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있어서 경계석에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있어서 도로 폭을 따라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있어서 도로 길이를 따라 자른 단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반달형형의 판형 수직 쐐기부(34)를 가지는 결합부재(30)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는 차도와 인도 사이에서 기초면(6) 상에 시공되는 경계석(1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이다. 특히 이 연결고정 구조는 인접하는 두 개의 경계석(10)을 서로 연결하며, 뿐만 아니라 두 개의 경계석(10)의 바닥면(10c)과 그 아래의 기초면(6) 사이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연결고정 구조는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결합부재(20, 3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경계석(10)의 바닥은 기초면(6) 상에 시공되는데, 기초면(6)은 지표면일 수도 있고, 또는 콘크리트로 타설하는 기초공사가 이루어진 면일 수도 있다.
경계석(10)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화강암, 대리석, 인조 대리석 등으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경계석(10)의 바닥면(10c)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1)이 형성된다. 결합홈(11)은 사각형의 측면을 가지는 깊은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원의 4분의 1의 형태를 가진 부채꼴의 측면을 가지는 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기초면(6)에도 결합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기초면에 형성되는 결합홈(61)은 경계석의 결합홈(11)과는 달리 깊이 파인 수직봉 형태의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기초면이 다져진 흙바닥이거나 아직 완전히 경화되지 아니한 콘크리트 타설면인 경우에는, 결합홈(61)이 미리 별도로 만들어지지 않아도, 결합부재 중에서 기초면(6)에 삽입되는 부분을 박아 넣는 식으로 이 결합홈(6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재(20)는 수평의 얇은 판 형태의 베이스부(22)와 이 베이스부(22)의 중앙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판형 수직 쐐기부(24)를 포함하며, 이 판형 수직 쐐기부(24)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부(22)에서 돌출 형성되는 네 개의 기초면 삽입봉(26)을 포함한다. 여기서 판형 수직 쐐기부(24)는 인접하는 두 경계석(10)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기초면 삽입봉(26)들은 기초면(6)에 삽입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 결합부재(20)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재질과 동일한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라면 합성수지와 같은 다른 재질의 것도 역시 사용가능하다.
결합부재(20)의 베이스부(22)는 도시된 예와 같이 얇은 판의 형태로서 사각형일 수 있지만, 반드시 사각형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양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24, 26)들을 지지하고 연결하는 기능만을 충족시키면 되며, 반드시 이러한 형태여야 한다는 제한은 없다.
결합부재(20)의 판형 수직 쐐기부(24)는 베이스부(22)의 중앙선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며 도시된 예에서 사각형의 판 형태를 가진다. 이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경계석(10)에 삽입됨으로써 두 경계석(1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결합부재(20)의 기초면 삽입봉(26)은,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봉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예를 들어 베이스부(22)에 개구를 형성하고 여기에 볼트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초면 삽입봉(26)은 모두 4개만 형성되어 있으나, 기초면 삽입봉의 수는 반드시 4개만을 포함할 필요는 없고 구체적인 적용예에 따라 더 적게 또는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다른 방식으로 결합부재(20)의 베이스부(22), 판형 수직 쐐기부(24) 및 기초면 삽입봉(26)들은 예컨대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판형 수직 쐐기부(34)가 사각형이 아니라 반달형인 다른 실시예의 결합부재(30)를 도시한다. 이 결합부재(30)는 사각형의 판상의 베이스부(32)와 봉 형태의 기초면 삽입봉(36)을 가질 수 잇다. 이렇게 반달형의 판형 수직 쐐기부(34)는 경계석(10)에 형성되는 결합홈(11)이 둥근 회전 연마 도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계석 연결고정 구조를 채용한 도로 경계석의 시공하는 구체적이지만 한정적이지는 않은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로 경계석(10)을 제작한다. 이때에는 결합부재(20)의 형태에 대응하여 경계석(10)의 바닥면(10c)에 사각형 또는 원형의 부분의 형태를 가지는 결합홈(11)을 형성한다.
다음에는 경계석(10)의 설치부분을 청소하고 정리한다. 그후 경계석(10)이 놓일 부분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층을 이용하여 기초면(6)을 형성한다. 콘크리트 또는 몰탈층이 완전히 굳어버리기 전에 결합부재(20, 30)의 기초면 삽입봉(26, 36)을 박아 배열한 후 결합부재(20, 30)의 판형 수직 쐐기부(24, 34)가 경계석(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도록 하여 인접 경계석(10) 들을 배치한다.
이어 마감공정으로 경계석(10)과 차도 및 보도 사이의 공극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층을 채워 경계석(10)의 시공을 마무리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6 : 기초면
10 : 경계석
10c: 경계석 바닥면
11, 61: 결합홈
20, 30 : 결합부재
22, 32 : 베이스부
24, 34 : 판형 수직 쐐기부
26, 36 : 기초면 삽입봉

Claims (5)

  1. 차도와 인도 사이에서 기초면 상에 시공되는 인접 경계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서, 각 경계석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결합부재가 인접하는 두 경계석의 결합홈에 끼워져 두 경계석을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
    수평의 얇은 판 형태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판형 수직 쐐기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판형 수직 쐐기부가 돌출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베이스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기초면 삽입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형 수직 쐐기부는 사각형 형태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형 수직 쐐기부는 반달형 형태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면 삽입봉은 상기 베이스부에 통공에 형성하고 이 통공에 볼트를 조립 결합시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베이스부, 판형 수직 쐐기부 및 기초면 삽입봉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1020110009161A 2011-01-31 2011-01-31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10123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161A KR101231153B1 (ko) 2011-01-31 2011-01-31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161A KR101231153B1 (ko) 2011-01-31 2011-01-31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83A KR20120088083A (ko) 2012-08-08
KR101231153B1 true KR101231153B1 (ko) 2013-02-07

Family

ID=46873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161A KR101231153B1 (ko) 2011-01-31 2011-01-31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556B1 (ko) * 2019-02-15 2023-12-01 김희환 녹지용 경계지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961Y1 (ko) * 2003-08-27 2003-11-19 한광수 경계석 연결장치
KR20100000269U (ko) * 2008-06-30 2010-01-07 최강진 도로 경계석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961Y1 (ko) * 2003-08-27 2003-11-19 한광수 경계석 연결장치
KR20100000269U (ko) * 2008-06-30 2010-01-07 최강진 도로 경계석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83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18622A1 (en) Precast hollow block wall system and form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26003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20240125120A1 (en) Modular Slab, Slab System, Pi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90110483A1 (en) Paving Stones, Method for Laying Pavement with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231153B1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101231179B1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100286282B1 (ko) 도로보차도 경계석의 조인트장치
KR101727688B1 (ko)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CN111827184A (zh) 现浇钢筋混凝土地袱石材栏杆及其安装方法
KR100430694B1 (ko)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KR101036177B1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6194062A (ja) 束石と束柱の連結具
KR200452831Y1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구조
KR20120088084A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KR20090006320A (ko) 도로확장형 옹벽 구조
KR20210043983A (ko) 태양광 발전을 위한 도로형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50856B1 (ko) 상단에 슬래브 블록이 일체로 구성되는 i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090006812A (ko) 도로확장형 옹벽 구조
CN212506016U (zh) 现浇钢筋混凝土地袱石材栏杆
WO2024189418A1 (en) A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puzzle without the use of mortar
JP3185413U (ja) 間仕切り壁
JPH11323958A (ja) 建築物の施工方法とこれ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製品
KR200233681Y1 (ko) 방수턱 시공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푸집
JP3643343B2 (ja) 建物用基礎の施工方法
CN104278636A (zh) 普通公路桥梁快速修建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