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694B1 -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694B1
KR100430694B1 KR10-2001-0052849A KR20010052849A KR100430694B1 KR 100430694 B1 KR100430694 B1 KR 100430694B1 KR 20010052849 A KR20010052849 A KR 20010052849A KR 100430694 B1 KR100430694 B1 KR 100430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tile block
block
connecting pie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8630A (ko
Inventor
양영봉
Original Assignee
신타일블럭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타일블럭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타일블럭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2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694B1/ko
Priority to CN011394064A priority patent/CN1217065C/zh
Publication of KR2003001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vetment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 및 벽체의 마감처리에 사용되는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콘크리트판에 다수의 타일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그 측면모서리에 연결홈을 형성하여 별도의 연결편에 의해 인접한 타일블록과 맞물리도록 형성하여 보도, 광장, 공원, 터미널 등의 바닥 및 터널, 아파트벽 등의 마감처리에 사용함으로서 공사기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 후 발생되는 부분침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석재타일을 일면에 균일하게 삽입되도록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타일블록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의 각 측면모서리에 연결홈이 형성되어 별도의 연결편에 의해 인접하게 배열되는 타일블록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조립식 타일블록과, 상기 타일블록이 이용하여 노면 또는 벽면에 시공시 연결편을 상기 연결홈에 삽입하여 인접한 타일블록간에 서로 맞물리도록 시공하는 시공방법으로 구성되었다.

Description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Assembly type til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노면 및 벽체의 마감처리에 사용되는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판의 윗면에 다수의타일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판의 각 측면모서리에 연결홈을 형성하여 조립식 타일블록을 제작하며, 이렇게 제작된 조립식 타일블록을 별도의 연결편을 이용하여 인접한 타일블록과 연결함으로서 시공이 간편하며, 시공된 각각의 타일블록은 서로 연결편에 의해 맞물려있게 되어 부분침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일반적인 보도블록의 구성을 보면 사각형 또는 육각형등의 다각 형상으로 시멘트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시멘트블록을 연속적으로 지반에 배열하여 구성하였으나, 시멘트블록의 변색, 표면부식, 파손, 부분침하 등으로 인해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석재타일을 이용한 일반적인 공법으로 흙다짐을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잡기 미장을 한 다음, 먹줄로 기선을 치고 타일시멘트를 발라 압착으로 타일을 한장한장 붙이고 최소한 3일정도 밟지 않고, 그 타일이 굳은 다음에 또 다시 줄눈(메지)를 넣는 공법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고, 한장한장의 타일을 붙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며, 하절기에는 건조를 막기 위해 물을 계속 살포해 주어야 하고, 동절기 공사 시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보온 덮개를 덮어주어야 하며, 사실상 타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시공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기타 가스관, 통신전선, 상하수도와 같은 유관공사와 같은 지하공사가 필요할 경우 파손 후 재시공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타일을 한장한장 붙이는 공법은 벽면의 마감처리에도 사용되는 있으나, 시공기간이 많이 소모되고, 이에 따라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출원번호 20-1992-0026656호 및 20-1987-0003156호에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다수의 타일(100)이 부착되고,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 돌출부(102)가 형성되며, 이와 대칭되는 제 3 측면 및 제 4 측면에 요입부(101)를 형성토록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조립식 타일블록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타일블록은 시공시 인접한 타일블록의 요입부(101)에 돌출부(102)가 삽입되도록 시공함으로서 시공이 간편하며 부분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타일블록은 돌출부(102)와 요입부(101)의 결합시 이물질에 개재되면 타일블록 사이에 틈새가 벌어져 줄눈(메지)선이 휘어지고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타일블록과 유사한 구조로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소56-13102)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2 측면에는 하단부 돌출턱(103)이 형성되고, 제 3,4 측면에는 상단부 돌출턱(104)이 형성되게 타일블록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타일블록은 시공이 간편하지만, 하단부 돌출턱(103)은 인접한 타일블록과 맞물려있지 않아 부분침하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판에 다수의 타일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그 측면모서리에 연결홈을 형성하여 별도의 연결편에 의해 인접한 타일블록과 맞물리도록 형성하여 보도, 광장, 공원, 터미널등의 바닥 및 터널, 아파트 벽등의 마감처리에 사용함으로서 공사기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 후 발생되는 부분침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타일블록의 각 측면모서리에 연결홈을 형성하여 타일블록을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된 타일블록을 이용하여 시공 시 별도의 연결편의 이용하여 인접한 타일블록과 연결되게 함으로서 시공 후 부분침하 등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시공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다양한 타일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타일블록에 삽입된 석재타일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시공원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종래의 조립식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종래의 조립식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종래의 조립식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타일블록 (2) : 석재타일
(3) : 연결편 (4) : 연결홈
(5′)(5″) : 삽입홈 (6′)(6″) : 고정 브라켓
(7) : 볼트 (8) : 앙카볼트
(9) : 매립턱 (11) : 모래
(12) : 경계석 (13) : 기선
(21) : 앙카볼트 구멍 (31) : 수평철골
(32) : 수직철골 (33) : 요입부
(100) : 석재타일 (101) : 요입부
(102) : 돌출부 (103) : 하단부 돌출턱
(104) : 상단부 돌출턱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시공단면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타일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5 는 다양한 타일블록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6 은 타일블록에 삽입된 석재타일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의 시공원리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를, 도 9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수의 석재타일(2)을 일면에 균일하게 삽입되도록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타일블록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의 각 측면모서리에 연결홈(4)이 형성되어 별도의 연결편(3)에 의해 인접하게 배열되는 타일블록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조립식 타일블록과, 상기 타일블록을 이용하여 노면의 마감처리를 하는 시공방법으로서 타일블록(1)이 설치될 바닥에 흙다짐을 하여 모래(11)를 깔고 가래질을 하여 면을 고른 다음, 경계석(12)을 따라 타일블록(1) 넓이만큼의 폭을 설정하여 기선(13)을 치고, 이렇게 형성된 기선(13)을 따라 타일블록을 배열하되, 인접하게 배열되는 타일블록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인접한 타일블록과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시공하는 제 1 실시예와, 타일블록의 일측면에 "L"형의 고정 브라켓(6′)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6′)을 앙카볼트(8)로 고정하여 벽면에 타일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으로서 타일블록(1′)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벽면에 일치하도록 타일블록을 배열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6′)을 앙카볼트(8)(Anchor Bolt)로 벽면에 고정하여 1단을 구성하고, 1단에 배열된 타일블록에 삽입된 연결편(3)에 또 다른 타일블록의 연결홈(4)이 일치하도록 적층하여 앙카볼트(8)로 고정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시행하는 제 2 실시예와, 타일블록이 시공될 벽면에 수평철골(31)을 설치하고 그 위로 요입부(33)가 형성된 수직철골(32)을 설치한 후, 상기 요입부(33)에 고정 브라켓(6″)을 삽입하여 타일블록에 형성된 삽입홈(5″)에 고정하며, 이때 타일블록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또 다른 타일블록과 견고하게 맞물리도록 시공하는 제 3 실시예로 구성되었다.
한편, 상기 연결편(3)은 아연도금 철판으로 도 7과 같이 인접한 4개의 타일블록에 동시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었다.
참고로, 본 발명의 타일블록에 삽입된 타일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의장출원번호 30-1998-0013120호에 제시된 타일을 사용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단에 다수의 매립턱(9)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상기 타일블록은 노면의 마감처리에 사용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면이 소정각도(3~10°)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타일블록(1)사이의 하단부에 여유공간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시공 시 타일블록(1)에 의해 모래가 밀려 타일블록 사이에 모래가 개재되어 타일블록(1)간의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었다.
도 8 은 노면에 타일블록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타일블록(1)이 시공될 노면을 진동기 또는 소형롤러을 이용하여 흙다짐은 하여 모래(11)를 깔고 면을 고르는 제 1 단계와, 이렇게 평탄화 된 모래(1)에 경계석(12)을 따라 타일블록(1) 넓이만큼의 폭을 설정하여 기선(13)을 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선(13)을 따라 타일블록(1)을 배치하되, 타일블록(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인접한 타일블록과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연결편(3)에 또 다른 타일블록의 연결홈(4)이 물리도록 배치하고 그 타측 모서리에 새로운 연결편(3)을 삽입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 4 단계를 반복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타일블록 시공시 가로등이나 신호등 기타 구조물이 존재하므로 도 5와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벽면 또는 터널내벽의 마감처리에 사용되는 타일 시공방법으로, 이때 사용되는 타일블록(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삽입홈(6′)이 형성되어 "L"형상의 고정 브라켓(6′)의 일측이 삽입되어 볼트(7)에 의해 고정되고, 그 타측이 앙카볼트(8)에 의해 벽면 또는 터널내벽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었다.
도 9 는 터널내벽에 타일블록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타일블록이 설치될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앙카볼트 구멍(21)을 천공하는 제 1 단계와, 타일블록(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고 터널내벽에 일치하도록 타일블록(1′)을 배열하여 앙카볼트(8)를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6′)을 앙카볼트 구멍(21)에 고정하여 1단을 구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연결편(3)에 또 다른 타일블록(1′)의 연결홈(4)이 물리도록 적층하고 그 타측에 새로운 연결편(3)을 삽입하며 앙카볼트(8)를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6′)을 고정하는 제 3 단계로 구성되며, 제 3 단계를 반복하여 터널내벽에 타일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터널내부에는 환기구 및 다수의 터널등이 존재하므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다양한 모양으로 제작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벽면 또는 터널내벽에 대한 타일블록시공에 관한 것으로, 수평·수직 철골프레임(31,32)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철골(32)에 타일블록(1″)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타일블록(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삽입홈(5″)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에 고정 브라켓(6″)이 삽입되어 볼트(7)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6″)의 타측은 수직철골(32)에 형성된 요입부(33)에 삽입토록 구성되었다.
도 10 은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수평철골(31)을 벽면에 설치하고 그 위에 요입부(33)가 형성된 수직철골(32)을 설치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요입부(33)에 고정 브라켓(6″)을 삽입하고 타일블록(1″)을 배치하여 고정 브라켓(6″)과 타일블록(1″)을 볼트(7)로 연결·고정하고, 각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1단을 구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연결편(3)에 또 다른 타일블록(1″)의 연결홈(4)이 물리도록 적층하고, 그 타측 모서리에 새로운 연결편(3)을 삽입하며 고정 브라켓(6″)과 타일블록(1″)을 연결하여 2단을 구성하는 제 3 단계로 구성되며, 제 3 단계를 반복하여 벽면 또는 터널내벽에 대한 타일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타일이 삽입되어 구성된 일체형 타일블록의 측면 각 모서리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타일블록을 노면, 벽면, 터널내벽등의 마감처리에 사용할 경우, 연결홈에 별도의 연결편을 삽입하여 시공함으로서 한장한장의 타일블록은 서로 견고하게 연결편에 의해 물려있어 장마철에도 부분침하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시공이 간편함과 동시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역순 분해 재조립이 가능하므로 개보수가 용이하고, 가스관, 통신전선, 상하수도와 같은 유관공사가 필요한 경우 역순 분해 후 재조립이 가능하여 종래에 파손에 의한 건설폐기물 및 예산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타일(2)을 일면에 균일하게 삽입되도록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타일블록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의 각 측면모서리에 연결홈(4)이 형성되어 별도의 연결편(3)에 의해 인접하게 배열되는 타일블록과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은 각 측면이 소정각도 내측하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되어 시공시 타일블록사이의 하단부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블록의 일측면에 삽입홈(5′,5″)이 형성되어,
    타일블록 설치 시 상기 삽입홈(5′,5″)에 고정 브라켓(6′,6″)의 일측을 고정하고, 그 타측을 벽면 또는 철골에 고정하여 타일블록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블록.
  4. 조립식 타일블록을 이용하여 노면에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타일블록이 시공될 노면을 진동기 또는 소형롤러을 이용하여 흙다짐은 하여 모래(11)를 깔고 면을 고르는 제 1 단계와,
    이렇게 평탄화 된 모래(11)에 경계석(12)을 따라 타일블록(1) 넓이만큼의 폭을 설정하여 기선(13)을 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선(13)을 따라 타일블록(1)을 배치하되, 타일블록(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인접한 타일블록과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연결편(3)에 또 다른 타일블록(1)의 연결홈(4)이 물리도록 배치하고 그 타측에 새로운 연결편(3)을 삽입하는 제 4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 4 단계를 반복하여 시공을 완료토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블록을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5. 조립식 타일블록을 이용하여 벽면 및 터널내벽에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타일블록이 설치될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앙카볼트 구멍(21)을 천공하는 제 1 단계와,
    타일블록(1′)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5′)에 "L"형의 고정 브라켓(6′)을 고정하고, 상기 타일블록(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터널내벽에 일치하도록 타일블록(1″)을 배열한 후 앙카볼트(8)를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6′)을 앙카볼트 구멍(21)에 고정함으로서 1단을 구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연결편(3)에 또 다른 타일블록(1′)의 연결홈(4)이 물리도록 적층하고 그 타측에 새로운 연결편(3)을 삽입하며 앙카볼트(8)를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6′)을 고정하는 제 3 단계로 구성되며,
    제 3 단계를 반복하여 타일블록을 적층함으로서 터널내벽에 타일시공을 완료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블록을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6. 조립식 타일블록을 이용하여 벽면 및 터널내벽에 타일을 시공함에 있어서,
    수평철골(31)을 벽면에 설치하고 그 위에 요입부(33)가 형성된 수직철골(32)을 설치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요입부(33)에 고정 브라켓(6″)을 삽입하고 타일블록(1″)을 배치하여 고정 브라켓(6″)과 타일블록(1″)을 볼트(7)로 연결·고정하고 각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홈(4)에 연결편(3)을 삽입하여 1단을 구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연결편(3)에 또 다른 타일블록(1″)의 연결홈(4)이 물리도록 적층하고 그 타측 모서리에 새로운 연결편(3)을 삽입하며 고정 브라켓(6″)과 타일블록(1″)을 볼트(7)로 고정하여 2단을 구성하는 제 3 단계로 구성되며,
    제 3 단계를 반복하여 타일블록을 적층함으로서 벽면 또는 터널내벽에 대한 타일시공을 완료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타일블록을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KR10-2001-0052849A 2001-08-30 2001-08-30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KR10043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49A KR100430694B1 (ko) 2001-08-30 2001-08-30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CN011394064A CN1217065C (zh) 2001-08-30 2001-11-20 组合式贴面砖砌块及其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849A KR100430694B1 (ko) 2001-08-30 2001-08-30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24U Division KR200255961Y1 (ko) 2001-08-30 2001-08-30 조립식 타일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630A KR20030018630A (ko) 2003-03-06
KR100430694B1 true KR100430694B1 (ko) 2004-05-10

Family

ID=197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849A KR100430694B1 (ko) 2001-08-30 2001-08-30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0694B1 (ko)
CN (1) CN121706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67B1 (ko) * 2018-11-16 2019-07-08 남정권 조립식 타일 시공방법
KR101997475B1 (ko) * 2018-11-16 2019-07-08 남정권 조립식 타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10B1 (ko) * 2007-12-20 2010-04-26 양영봉 일체형 석재블럭 및 그 제조장치
KR100895868B1 (ko) * 2008-11-10 2009-04-30 주식회사 금양테크 내마모용 바잘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575439B (zh) * 2009-10-26 2015-12-16 林先优 道路修复块体
CN102936870A (zh) * 2012-11-26 2013-02-20 山东职业学院 特大型人行道拼装板块
CN103072201B (zh) * 2013-01-06 2015-12-02 长沙远大住宅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预制混凝土构件贴磁砖新工艺
CN107059525A (zh) * 2017-04-25 2017-08-18 浙江华鼎市政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透水道路结构及其施工工艺
CN107675851A (zh) * 2017-09-19 2018-02-09 惠安泉福艺雕有限公司 一种瓷砖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67B1 (ko) * 2018-11-16 2019-07-08 남정권 조립식 타일 시공방법
KR101997475B1 (ko) * 2018-11-16 2019-07-08 남정권 조립식 타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7065C (zh) 2005-08-31
CN1403655A (zh) 2003-03-19
KR20030018630A (ko) 200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6706B (zh) 一种插接式组合房屋
KR100993538B1 (ko) 건축물의 내외장용 석재패널 시공구조
KR101001208B1 (ko) 샌드위치 피씨-월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US20180010337A1 (en) Concrete module with reinforcing sheet shaped to provide anchors
KR101281070B1 (ko) 저류조용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US20140260038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RU235909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ооружен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0430694B1 (ko) 조립식 타일블록 및 이를 이용한 타일 시공방법
KR101272601B1 (ko) 옥상 조형물의 피씨 접합 구조
KR100579440B1 (ko) 거푸집-철근 일체형 피씨패널 및 그 조립구조
US20210017755A1 (en) Composite wall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 composite wall
KR200255961Y1 (ko) 조립식 타일블록
KR100722237B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1056395B1 (ko) 조립식 저류조 구조물 및 상기 저류조 구조물의 시공방법
AU668058B2 (en) Building blocks and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CN109371984B (zh) 一种拼装式可回收的深基坑支护系统及其施工工艺
US3955332A (en) Method of building a structure from bricks and mortar
RU2109896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сборно-монолит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в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е и опалуб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311724B1 (ko) 건축물 외벽의 치장벽돌 조적시공방법 및 그 조적구조
KR200452831Y1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구조
KR102637537B1 (ko) 벽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CN214833471U (zh) 砖石混砌干挂拱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CN220644525U (zh) 一种砖砌雨水检查井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