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660A -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660A
KR20060086660A KR1020050007541A KR20050007541A KR20060086660A KR 20060086660 A KR20060086660 A KR 20060086660A KR 1020050007541 A KR1020050007541 A KR 1020050007541A KR 20050007541 A KR20050007541 A KR 20050007541A KR 20060086660 A KR20060086660 A KR 20060086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nut
material supply
electromagnet
spot we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봉춘
엄용균
서정해
Original Assignee
서정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해 filed Critical 서정해
Priority to KR1020050007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660A/ko
Publication of KR2006008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6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6Brassiér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폿용접기에 사용하는 용접소재인 너트의 용접돌기의 방향을 정렬하여 순차로 소재공급기의 공급부로 공급할수 있게 스폿용접기에 사용되는 소재공급기의 소재정렬장치에 관한것으로 고정판의 중앙에 받침판을 장치하고 그 상부에 전자석을 장치하여 전자석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띄워 진동판을 장치하되 진동판은 고정판과 진동판의 고정구를 탄편으로 결합하고 탄편은 일정각 경사로 장치하여 전자석에 전류의 인가및 차단을 반복하여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와:
진동발생부의 진동판상부에 장치되는 소재공급통의 중앙부바닥에 반구면이 형성되고 반구면에서 소재공급통의 내측주벽을 따라 나선형 이송로가 장치되고 이송로의 상측에는 다수의 걸림바를 장치하며 이송로의 상부 끝에 소재공급통의 배출구가 형성하며 이송로의 상면에 안내레일 및 안내홈을 형성하여 너트의 용접돌기의 방향이 일정하게 하여 소재공급기의 공급부로 이송함으로서 너트가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스폿용접기에 공급됨으로 사람이 육안으로 너트의 용접방향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공급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스폿용접기의 용접작업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잇점을 얻는것이다.
스폿용접기, 너트, 용접돌기, 정렬기, 용접

Description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Sorting device of spot welding appointment weld nut}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소재공급통의 사시도
도 4는 도2의 A부 확대예시도로서 이송로의 상측에 안내레일을 형성한 사시도
도 5의 가" 는 용접돌기가 안내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나" 는 너트의 낙하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6은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것으로 이송로의 일측에 너트낙하홈을 형성한 예시도.
도 8의 다"는 이송로의 안내레일을 장치한 단면예시도
라"는 이송로의 낙하홈을 형성한 단면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고정판 201 : 받침판
202 : 전자석 2a,3a : 고정구
3 : 진동판 4 : 탄편
5 : 소재공급통 501 : 반구면
502 : 내주벽 503 : 이송로
504 : 배출구 505 : 걸림바
506 : 안내레일 507 : 낙하홈
6 : 용접너트 601 : 용접돌기
본 발명은 스폿용접기에 사용되는 소재공급기의 소재정렬장치에 관한것으로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폿용접기에 사용하는 소재인 너트를 정렬하여 순차로 소재공급기의 공급부로 공급할수 있게 함으로서 스폿용접기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게 한것이다.
스폿용접기는 프레스로 가공성형된 철판가공물을 서로 용접하기 위하여 일부분을 용접하거나 가공물을 다른부품과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 및 너트를 철판가공물에 용접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은 스폿용접기에 너트를 공급하는 소재공급기의 소재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렬된 소재를 소재공급기의 이송장치에 공급함으로서 스폿용접기에 정렬된 소재를 공급하여 스폿용접의 소재공급을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폿용접기는 용접소재의 극히 일부분만을 용접함으로서 스폿용접기의 소재로 사용되는 너트는 도 6 에서와 같이 너트의 용접부에는 용접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폿용접기는 성형철판가공물에의 용접부에 너트의 용접돌기를 접촉시켜 접촉된 용접돌기를 녹여서 용착하게 된다.
따라서 스폿용접기는 너트의 용접방향 즉 용접돌기가 형성된 용접면을 구분하여 스폿용접기에 너트를 공급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는 너트의 용접돌기가 하향되게 선별하여 정렬하는 장치가 없어서 사람이 너트의 용접돌기 방향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수작업으로 너트를 스폿용접기에 공급함으로서 스폿용접기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여 소재공급부와 함께 장치되어 스폿용접기에 소재를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게한 소재공급기의 너트선별장치를 발명한 것으로 소재공급통에 투입되는 너트가 진동에 의해 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며너트의 용접돌기가 일정방향으로 이송로에 안착한 너트만을 이송하고 용접돌기의 방향이 다른 너트는 낙하시켜 재정렬이 되게함으로서 너트의 용접돌기의 방향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하고 이를 정렬하여 공급할수 있게하는 스폿용접기용 소재공급장치의 용접너트의 선별장치를 제안한 것이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단에 진동발생장치(1)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소재공급통(5)을 형성하며 소재공급통(5)의 내주벽(502)에는 나선형으로 이송로(503)가 형성하여서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동발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진동장치는 고정판(2)의 중앙에 받침판(201)을 장치하고 그 상부에 전자석(202)을 장치하여 전자석(202)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띄워 진동판(3)을 장치하되 진동판(3)은 고정판(2)과 진동판(3)의 고정구(2a)(3a)를 탄편(4)으로 결합하고 탄편(4)은 일정각 경사로 장치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소재공급통(5)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소재공급통(5)은 진동판(3)의 상부에 장치되며 소재공급통(5)의 중앙부바닥에 반구면(501)이 형성되고 반구면(501)에서 소재공급통(5)의 내주벽(502)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송로(503)가 장치되며 이송로(503)의 끝에 소재공급통(5)의 배출구(504)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로(503)의 상측에는 다수의 걸림바(505)를 장치하고 이송로(503)의 배출구(504)측에 너트(6)의 정렬방향에 따라 안내레일(506) 및 낙하홈(507)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며 용접돌기(601)가 하향으로 정렬되는 너트(6)의 정렬은 도 5의 가"와 나"에 도시되어 있다.
즉 소재공급통(5)의 내측에서 외주벽(502)을 따라 나선형으로 장치되는 이송로(503)의 상면에 용접돌기(601)의 폭에 대응하는 안내레일(506)을 형성하되 안내 레일(506)은 시작부에서 그 높이가 점차 상승하여 배출부에서 너트(6)의 용접돌기(601)높이와 동일하게 하며 이송로(503)는 도 9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로(503)의 시작부의 상면이 소재공급통(5)의 외주벽(502)을 향해 일정량의 경사면을 갖게 되며 이송로(503)가 배출부 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송로(503)는 소재공급통(5)의 중앙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비틀림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되는 소재공급통(5)의 이송로(503)는 선별되지 않은 너트(6)가 이송로(503)를 따라 이송시에 이송로(503)와 외주벽(502)을 따라 이송이 진행되고 일정위치 즉 이송로(503)의 비틀림에 의해 이송로가 소재공급통(5)의 의 내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면 소재공급통(5)의 진동에 의해 용접돌기(601)가 상향하는 너트(6)는 소재공급통(5)으로 낙하하게 되고 용접돌기(601)가 하향하는 너트(6)는 용접돌기(601)가 안내레일(506)에 걸려서 계속이동하게 됨으로서 용접돌기(601)가 하향하는 너트(6)만을 선별하여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너트(6)의 용접돌기(601)가 상향하는 너트(6)만을 선별하여 정렬할 수 있게 한것으로 이송로(503)는 외주벽(502)을 따라 이송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이송로(503)의 끝에는 다수의 낙하홈(507)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되는 소재공급통(5)의 이송로(503)는 이송로의 상면이 일정각 외주벽을 향하여 경사로 장치되어 경사면에 의해 너트(6)가 외주벽(502)에 밀착되며 이송되게 되고 낙하홈(507) 형성부에 닿으면 용접돌기(601)가 하향하는 너트(6)는 용접돌기(601)가 낙하홈(507)에 의해 걸리게 되고 걸려진 너트(6)는 낙하홈(507)의 형상을 따라 이송로(503)의 외측 즉 소재공급통(5)의 중앙부로 이송되게 되며 다음 낙하홈(507)에서 이송로(503)를 이탈하여 소재공급통(5)으로 낙하하게 되며 용접돌기(601)가 상향하는 너트(6)는 낙하홈(507)을 통과하여 배출구(504)로 이송됨으로 용접돌기(601)가 상향하는 너트(6)만을 선별하여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발명은 용접돌기(601)가 형성된 너트(6)를 용접돌기(601)의 방향이 일치하도록 너트(6)를 선별하고 정렬하여 소재공급기의 공급부로 이송함으로서 너트(6)가 일방향으로 정렬되어 스폿용접기에 공급됨으로 사람이 육안으로 너트(6)의 용접방향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공급하는 불편을 해소하여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스폿용접기의 용접작업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있점을 얻는것이다

Claims (3)

  1. 고정판(2)의 중앙에 받침판(201)을 장치하고 그 상부에 전자석(202)을 장치하여 전자석(202)의 상면과 일정간격을 띄워 진동판(3)을 장치하되 진동판(3)은 고정판(2)과 진동판(3)의 고정구(2a)(3a)를 탄편(4)으로 결합하고 탄편(4)은 일정각 경사로 장치하여 전자석(202)에 전류를 통전및 단전을 반복하므로서 상측방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와:
    진동발생부의 진동판(3)상부에 장치되는 소재공급통(5)의 중앙부바닥에 반구면(501)이 형성되고 반구면(501)에서 소재공급통(5)의 외주벽(502)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송로(503)가 장치되고 이송로(503)의 상측에는 다수의 걸림바(505)를 장치하며 이송로의 끝에 소재공급통(5)의 배출구(50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이송로(503)의 상면에 용접돌기(601)의 폭에 대응하는 안내레일(506)을 형성하되 안내레일(506)은 시작부에서 그 높이가 점차 상승하여 배출부에서 너트(6)의 용접돌기(601)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며 이송로(503)는 이송로의 시작부의 상면이 소재공급통(5)의 외주벽(502)을 향해 일정량의 경사면을 갖게 되며 이송로(503)가 진행됨에 따라 이송로(503)가 끝나는배출부측에는 이송로(503)가 소재공급통(5)의 중앙을 향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비틀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3. 이송로(503)는 외주벽(502)을 따라 일정기울기를 갖는 이송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이송로(503)의 배출부에는 다수의 낙하홈(507)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KR1020050007541A 2005-01-27 2005-01-27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KR20060086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41A KR20060086660A (ko) 2005-01-27 2005-01-27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541A KR20060086660A (ko) 2005-01-27 2005-01-27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660A true KR20060086660A (ko) 2006-08-01

Family

ID=3717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541A KR20060086660A (ko) 2005-01-27 2005-01-27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66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7669A (zh) * 2019-03-15 2020-09-22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异形件错位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7669A (zh) * 2019-03-15 2020-09-22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异形件错位机构
CN111687669B (zh) * 2019-03-15 2022-04-15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异形件错位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652B2 (en) Vibration-type parts feeding method and device
KR101640010B1 (ko) 부품 공급장치
CN101402143B (zh) 一种车床的送料装置
KR101823335B1 (ko) 차량용 브라켓 부품 자동 용접시스템
US7905342B2 (en) Supply unit
US10239698B1 (en) Vibratory bowl feeder
KR101677181B1 (ko) 프로젝션 용접기의 너트피더
KR20060086660A (ko) 스폿용접기용 용접너트의 선별장치
JP2008273688A (ja) ナットフィーダ
KR101366222B1 (ko) 너트피더기 공급용 너트 방향 검출 장치
WO2016024428A1 (ja) シュート
JP2004142940A (ja) 振動式部品供給装置
JP5274137B2 (ja) 粒状物体払い出し装置
JPH07215429A (ja) 物品自動供給装置用シュート
CN219525366U (zh) 一种焊钉自动筛选输送通道
KR200346440Y1 (ko) 전자부품용 핀 선별장치
JP7166097B2 (ja) 円筒型回転式選別装置
JP6502277B2 (ja) 搬送物供給構造
CN109732305B (zh) 螺旋式振动送料机自动送料通道
CN211945024U (zh) 往复式振动送料机
JP3546476B2 (ja) 部品の整送装置
JP2018072058A (ja) 組合せ秤への物品供給装置
CN218318814U (zh) 供料装置及分选机
KR101432676B1 (ko) 원형톱 및 밴드톱용 팁 고주파 용접장치의 컨베이어 공급구조를 갖는 팁 공급장치
JP2000198525A (ja) パ―ツフィ―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