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167A - 냉장고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167A
KR20060086167A KR1020050007114A KR20050007114A KR20060086167A KR 20060086167 A KR20060086167 A KR 20060086167A KR 1020050007114 A KR1020050007114 A KR 1020050007114A KR 20050007114 A KR20050007114 A KR 20050007114A KR 20060086167 A KR20060086167 A KR 20060086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refrigerator
slot
guid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167A/ko
Publication of KR20060086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회로기판에 체결된 전자부품의 배선들이 포집되어 단자단이 형성되고, 이 단자단이 끼워져 상기 배선들이 상호 접속되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냉장고의 각 기기들에서 연장된 배선들이 연결된 슬롯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단을 상기 슬롯에 끼우는 것만으로 상기 냉장고의 각 기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이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회로기판의 양측단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의 선단을 지지하여 상기 회로기판과 슬롯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대의 선단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선단을 상기 슬롯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상기 고정수단에 회로기판의 선단을 걸치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과 슬롯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냉장고, 제어장치, 회로기판, 커넥터

Description

냉장고용 제어장치{CONTROL SYSTEM OF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냉장고용 제어장치의 분리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어장치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대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냉장고 11 - 도어
20 - 제어장치 30 - 커버
40 - 제어실 50 - 회로기판
51 - 단자단 60 - 슬롯
70 - 안내대 71 - 고정수단
72 - 걸림턱 73 - 후크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제어장치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냉장고의 각 부품과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냉장고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전력으로 구동되는 냉매순환기관과 모터와 센서 및 조명기기 등이 다수의 기기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냉매순환기관과 모터와 센서 및 조명기기 등의 기기는 상기 냉장고에 구비된 제어장치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는 전원을 상기 각 구성품에 인가하는 제어와, 상기 각 구성품의 작동시간 및 설정된 사항에 따른 작동제어 등의 정보가 저장되고, 이 저장된 정보에 따라 제어기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 또는 기억장치와, 상기 각 구성품과 중앙처리장치의 정보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각종 전자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처리와 각종 전자부품이 함께 조립된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구비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 등에 설정을 입력하는 버튼 또는 스위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처리사항을 외부로 표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회로기판과 각 전자부품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냉장고(10)의 도어(11) 전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상기 냉장고(10)의 저장실 내부 또는 상기 냉장고(10)의 상/하단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냉장고(10) 도어(11)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어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박스형상을 이루고 함몰된 제어실(40)이 구비되고, 이 제어실(40)의 내부에 회로기판(500)과 스위치 등의 전자부품이 상호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어실(40)이 전면에 디스플레이장치 및 버튼 등이 설치된 커버(30)가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500)은 상기 냉장고(10) 도어(11)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냉매순환기관이나, 전원 및 모터 등의 장치는 상기 냉장고(10)의 후방 하단부 등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중앙처리장치 등을 포함하는 회로기판(500)과 상기 냉장고(10)의 각 기기가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통상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가 주로 사용되며, 상기 기판커넥터는 상기 회로기판(500)에 형성된 전자부품과 연결되는 구리선 등을 외부와 연결하도록 한 지점에 포집하고, 이를 다수의 단자핀으로 구성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500) 상에 그 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내부에 다수의 단자핀이 1열 또는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커넥터는 상기 기판커넥터에 연결되도록 상기 기판커넥터에 대응되는 개수의 단자홀이 형성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10)의 모터 등 각종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실(40)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 이외에 전원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1 ~ 2개의 단자핀을 연결하도록 된 터미널 등이 별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의 조립은 상기 회로기판(500)을 상기 냉장고(10) 도어(11)의 제어실(40)에 삽입하여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어실(40)의 내부에 회로기판(5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실(40)에 이르도록 모터 등의 기기에서 연장된 배선의 선단에 형성된 케이블커넥터를 상기 회로기판(500) 상에 형성된 기판커넥터에 끼워 접속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장고(10)의 각 기기와 회로기판(500)이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로써 접속되도록 됨에 따라, 근래에 상기 냉장고(10)에 제빙장치, 디스펜서, 홈바 등의 다양한 기기가 더 수용되고 있고, 더 많은 제어기기와 회로의 연결이 요구되는 실정이므로, 상기 회로기판(500)에 형성된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가 증가되고, 이 증가된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의 연결작업이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증가된 기기와 회로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된 회로기판(500) 상에 더 많은 기판커넥터를 설치하도록 되어 상기 회로기판(500)이 더 크게 제작되거나, 제한된 면적에 더 복잡한 회로구성을 이루도록 되어 상기 회로기판(500)의 제작이 어려움은 물론, 상기 복잡하게 형성된 기판커넥터에 케이블커넥터를 끼우는 작업이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회로기판(500) 상에 형성된 기판커넥터에 케이블커넥터가 기울어져 끼워지는 경우, 상기 기판커넥터에 형성된 다수의 전극핀 중 일부가 상기 케이블커넥터에 형성된 전극홀과 상호 접속되지 않아, 해당 전극핀과 전극홀에 연결 된 기기 및 제어기 등이 작동되지 않아 상기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의 조립 신뢰성이 저하되고, 이와 같은 조립 오류를 방지하도록 상기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의 조립작업 시에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되어 상기 기판커넥터 및 케이블커넥터의 조립작업이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회로기판(500) 상에 증가된 냉장고(10) 기기 만큼의 기판커넥터와 이에 대응되는 케이블커넥터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기판커넥터와 케이블커넥터의 제조 및 설치에 드는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냉장고 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상기 냉장고에 설치되는 각 기기간의 연결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냉장고용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냉장고 각 기기간의 접속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냉장고용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장고 제어장치의 회로기판과 각 기기간의 접속이 보다 견고히 이루어지도록 된 냉장고용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제어장치의 회로기판에서 부수적인 커넥터 등의 부품이 제거되어 상기 부수부품의 제거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이 이루어지도록 된 냉장고용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 제어장치의 회로기판 상에 설치되는 각종 전자부품의 외부 연결단자가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단에 포집되어 단자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단에 대응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내장고의 각 기기와 연결된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측단에 형성된 단자단이 상기 슬롯에 끼워지면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슬롯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회로기판이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한 쌍의 안내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안내대의 선단에 상기 안내대에 끼워진 회로기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1 내지 도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냉장고(10) 도어(11)에 형성된 제어실(40)에 회로기판(50)이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50)이 슬롯 (60)에 끼워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50)이 안내대(7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로기판(50)이 안내대(7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10) 제어장치(20)의 회로기판(50)에 단자단(51)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50)에 형성된 단자단(51)이 슬롯(60)에 끼워져 접속된다.
상기 제어장치(20)는 냉장고(10)의 냉매순환기관과 모터와 전원 등의 각 기기를 제어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냉장고(10)의 각 기능을 외부에서 설정하도록 된 버튼과 상기 설정사항을 외부로 표시하도록 된 디스플레이장치 등이 구비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냉장고(10)의 상/하단과, 도어(11) 전면과, 냉장고(10)의 저장실 내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냉장고(10)의 도어(11) 전면에 제어장치(20)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냉장고(10) 도어(11) 전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어실(40)과, 이 제어실(40)의 전면을 덮어 막도록 형성된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실(40)은 상기 도어(11)의 전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홈 또는 개구로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10)의 냉매순화기관과 모터 및 전원 등의 각 기기에서 연장된 배선 등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제어실(40)의 전면을 덮어 막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제어장치(20)에서 제어되는 사항과 사용자의 설정사항 및 상기 냉장고(10)의 작동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된 버튼 등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어장치(20)는 회로기판(50)과 슬롯(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로기판(50)은 냉장고(10)의 작동사항이 설정된 정보 및 외부 입력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여 이에 해당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도록 된 중앙처리장치 등이 설치되며, 이 중앙처리장치와 각종 제어기 및 기기와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전자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버튼 등의 입/출력정보를 송/수신하도록 된 각종 전자부품이 구리선 등의 배선이 부착된 판 상에 설치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회로기판(50)은 상기 각종 전자부품과 외부기기가 접속되도록 단자단(51)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단(51)은 상기 회로기판(50)에 부착된 각종 전자부품에 연결된 구리선 또는 구리판 등의 배선의 일단이 상기 회로기판(50)의 일측단으로 포집되고, 이 포집된 배선들이 상기 회로기판(50)의 일측단에 1열로 배열된 판상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단자단(51)은 상기 회로기판(50)의 일측단 일면에만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회로기판(50)의 일측단 양측면에 각각 1열씩 2열이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슬롯(60)은 상기 제어실(40)에 연결된 각 기기의 배선들이 포집되고, 이 포집된 배선들이 박스체 형상의 슬롯(60)에 끼워져 고정되며, 이 슬롯(60)에 끼워진 배선들 각각에 대응되는 전극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 슬롯(60)은 상기 회로기판(50)에 형성된 단자단(51)이 삽입되도록 그 일면이 개방되고, 상기 단자단(51)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일면에 단자단(51)의 외형과 동일한 홈이 함몰되어 형성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롯(60)은 상기 단자단(51)에 형성된 다수의 전극과 상기 슬롯(60)의 전극이 상호 접속되도록 상기 단자단(51)의 전극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롯(60)에 전극이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자단(51)이 회로기판(50)의 일측단 양측면에 형성된 경우, 상기 슬롯(60)의 전극도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롯(60)의 일면에 형성된 홈의 양측 내벽면에 다수의 전극이 배열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슬롯(60)은 상기 제어실(40)에 설치되는 회로기판(50)의 설치형상에 따라 상기 제어실(4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어실(40)의 후방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60)에 끼워지는 회로기판(50)의 고정 및 상기 회로기판(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대(70)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대(70)는 상기 제어실(40)의 양측 내벽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슬롯(60)의 홈이 형성된 일면에 접합되어 상기 슬롯(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안내대(70)는 상기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쌍을 이루고 형성되며,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이 끼워지도록 그 일면에 내측으로 골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골이 형성 된 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즉 상기 슬롯(60)의 반대편 선단에 도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수단(7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71)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대(70)의 홈 선단 양측 내벽면에서 중앙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72)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대(70)의 선단을 통해 회로기판(50)의 측단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회로기판(50)의 삽입방향으로 모따기가 이루어진 삼각형 단면 형상의 돌기로 구성된다.
또, 상기 고정수단(71)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3)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73)는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홈을 덮어 막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이 상기 안내대(70) 선단 홈의 외측면 또는 상기 안내대(70) 선단 홈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동 작동되도록 힌지를 매개로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 후크(73)는 상기 안내대(70)의 홈에 끼워진 회로기판(50)이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지지하도록 상기 안내대(70) 홈 선단에 접해 고정되도록 상기 안내대(70)와 후크(73)에 각각 돌기와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후크(73)의 힌지가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중앙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73)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힌지의 체결력으로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장고용 제어장치의 조립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냉장고(10)의 각 기기에서 연장된 배선이 상기 냉장고(10)의 도어(11) 전면 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제어실(40)의 내부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실(40)의 내부로 연결된 각 기기의 배선이 포집되고, 이 포집된 배선이 박스체형상을 이루는 슬롯(60)에 끼워진다.
상기 슬롯(60)에 끼워진 배선은 상기 슬롯(60)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슬롯(60)에 형성된 다수의 전극에 접속된다.
상기 슬롯(60)이 상기 제어실(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거나,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이때 상기 슬롯(60)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실(40)의 저면에 고정된다.
상기 제어실(40)의 내부에 슬롯(60)이 구비된 상태에서 중앙처리장치 등의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전자부품에 연결된 배선이 일측단에 포집되며 다수의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형성된 단자단(51)이 구비된 회로기판(50)이 상기 슬롯(60)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50)의 일측단 일면 또는 양면에 다수의 전극이 배열되어 단자단(51)이 형성되고, 이 단자단(51)의 각 단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롯(60)의 홈에 전극들이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을 상기 슬롯(60)의 홈에 끼움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50) 단자단(51)의 각 전극과 상기 슬롯(60)의 홈에 형성된 각 전극이 상호 접속된다.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이 상기 슬롯(60)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50)과 냉장고(10) 제어장치(20)의 접속이 완료되며, 상기 회로기판(50) 또는 슬롯(60)을 상기 제어실(40)의 일측단에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50)과 슬롯(60)의 고정은 상기 회로기판(50) 또는 슬롯(60) 중 어느 한 부품이 상기 제어실(40)의 내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회로기판(50)과 슬롯(60) 모두가 상기 제어실(4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을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50)과 슬롯(60)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안내대(7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내대(70)는, 상기 회로기판(50)이 설치되는 제어실(40)이 내부에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슬롯(60)의 양측단에 상기 슬롯(60)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대(70)는 상기 제어실(40)의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50)이 삽입될 정도의 간격을 이루고 배열된 한 쌍의 슬롯(60)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을 상기 안내대(70)의 각 홈에 끼움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이 상기 제어실(40)의 내부에 고정되고, 이 고정된 회로기판(50)이 단자단(51)에 상기 슬롯(60)을 끼움으로서 상기 회로기판(50)과 슬롯(60)의 접속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롯(60)과 안내대(7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슬롯(60)의 양측단에 안내대(70)가 접합되어 형성된 경우,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홈에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을 끼워 넣어 상기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이 안내대(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슬롯(60)의 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이 지속적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이 상기 슬롯(60)의 홈에 끼워져 상기 회로기 판(50)이 상기 제어실(40)의 내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과 상기 슬롯(60)이 상호 접속된다.
또한, 상기 안내대(70)의 홈 내부로 회로기판(50)이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홈에 형성된 걸림턱(72)의 내측에 상기 회로기판(50)의 선단이 접해 지지되면서 상기 회로기판(50)이 상기 안내대(70)의 홈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안내대(70)와 슬롯(60)이 상호 접합되어 형성된 경우,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걸림턱(72) 내측에 걸쳐 진 회로기판(50)은 상기 안내대(70)가 상기 회로기판(50)의 양측단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걸림턱(72)의 내측에 상기 회로기판(50)의 선단이 걸쳐 지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이 상기 슬롯(60)의 홈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안내대(70)의 선단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3)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안내대(70)의 홈 내부로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대(70)의 선단에 후크(73)가 덮어지고 지지됨에 따라,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홈 외측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슬롯(60)과 안내대(7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상기 후크(73)를 안내대(70)의 선단에 덮는 것으로 상기 안내대(70)의 선단홈 외측으로 돌출된 회로기판(50)을 상기 슬롯(60)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상기 회로기판(50)이 정위치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슬롯(60)과 완전히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0)의 회로기판(50)과 각 기기의 연결이 상기 회로기판 (50)의 일측단에 형성된 단자단(51)을 상기 각 기기에 연결된 배선이 포집된 슬롯(60)에 끼우는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로기판(50)과 각 기기의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회로기판(50)과 각 기기의 배선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 등이 폐지된다.
또, 상기 회로기판(50)의 양측단이 안내대(70)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어 상기 회로기판(50)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며, 상기 안내대(70)와 슬롯(60)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회로기판(50)을 상기 안내대(70)의 홈에 끼우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과 상기 슬롯(60)이 상호 접속을 이루도록 되어 상기 회로기판(50)과 슬롯(60)의 접속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내대(7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72)의 내측으로 삽입된 회로기판(50)은 상기 걸림턱(72)에 의해 상기 슬롯(60)의 방향으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50)이 걸림턱(72)의 내측에 걸쳐짐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이 상기 슬롯(60)의 홈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각 전극들이 상호 접속되도록 되어 상기 회로기판(50)과 슬롯(60)의 접속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진다.
또, 상기 안내대(70)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73)가 상기 안내대(70)의 선단에 덮어 짐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50)이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홈을 통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더불어, 상기 후크(73)가 상기 안내대(70)의 선단에 밀착되면서 상기 안내대(70)의 선단 홈 외측으로 돌출된 회로기판(50)의 선단을 상기 슬롯(60)의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회로기판(50)의 단자단(51)이 상기 슬롯(60)의 홈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회로기판의 일측단을 각 기기에서 제어실로 연장되고 포집되어 이루어진 슬롯에 끼우는 것만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조립 및 회로기판과 기기의 접속이 이루어져 상기 회로기판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냉장고 회로기판의 양측단이 안내대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회로기판이 보다 견고히 고정되고, 냉장고 제어실에 고정된 안내대에 회로기판이 끼워지면서 상기 회로기판이 냉장고 제어실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제어실 내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안내대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 및 후크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안내대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상기 걸림턱과 후크의 내측에 회로기판의 선단이 걸쳐짐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단이 슬롯의 홈 내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슬롯이 보다 완벽하게 접속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장고의 각 기기를 제어하도록 다수의 전자부품으로 구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의 각 전자부품에 연결된 배선이 회로기판의 일측단으로 포집되고 다수의 전극에 연결되어 형성된 단자단과;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단이 삽입되는 홈과, 상기 홈에 냉장고의 각 기기로부터 연장된 배선이 접속된 전극이 상기 단자단의 전극들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슬롯;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양측단이 끼워지도록 상기 회로기판 방향 일면에 홈이 형성되고, 냉장고에 고정된 한 쌍의 안내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양끝단에 안내대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대의 선단에 안내대의 홈에 끼워진 회로기판의 선단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에 걸쳐 회로기판의 선단이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의 단자단이 상기 슬롯의 홈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양측단에 대응되는 길이로 안내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어장치.
KR1020050007114A 2005-01-26 2005-01-26 냉장고용 제어장치 KR20060086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114A KR20060086167A (ko) 2005-01-26 2005-01-26 냉장고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7114A KR20060086167A (ko) 2005-01-26 2005-01-26 냉장고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167A true KR20060086167A (ko) 2006-07-31

Family

ID=3717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114A KR20060086167A (ko) 2005-01-26 2005-01-26 냉장고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61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8544A (zh) * 2013-08-23 2013-11-2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显示控制组件及家用电器
CN104949462A (zh) * 2015-06-25 2015-09-3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主控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8544A (zh) * 2013-08-23 2013-11-20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显示控制组件及家用电器
CN103398544B (zh) * 2013-08-23 2016-06-15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显示控制组件及家用电器
CN104949462A (zh) * 2015-06-25 2015-09-30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主控盒
CN104949462B (zh) * 2015-06-25 2018-05-1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及其主控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332358A (ja) コネクタ装置
JP6161409B2 (ja) コネクタ
JP2001273011A (ja) Dinレールバックプレーン及びデバイスモジュールを相互に連結する固定手段を備える論理制御装置
US6976877B2 (en) Multilayer electric connector
CN101807755A (zh) 电连接器组件
EP1403973A2 (en) Module connector
US6179650B1 (en) Modularized electric connector
TWI789383B (zh) 點字終端機及用於點字終端機之模組
KR20060086167A (ko) 냉장고용 제어장치
CN111526689B (zh) 电子装置
US7094073B2 (en) Relay connection circuit and relay connector
JPH0590989U (ja) 空調制御装置
CN210576862U (zh) 连接器固定结构、显示面板及家用电器
JP2005183822A (ja) バスバー基体と印刷配線基板との接続構造
JP2007286862A (ja) 制御装置
US5062805A (en) Structure of cable connector for matching with IC mounting seat
CN114429888B (zh) 一种便于模块化装配物联网断路器的配电系统
KR200189842Y1 (ko) 오디오 외부접속 커넥터
US20080060922A1 (en) Modularized push button switch
JP5009830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3545605B2 (ja) プリント配線板収納構造
KR101013059B1 (ko) 단자대
JP2589695Y2 (ja) 検出スイッチ接続用ターミナル
KR200392238Y1 (ko) 전선 연결용 멀티탭
KR200144659Y1 (ko) 전자제품의 디스 플레이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