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059B1 - 단자대 - Google Patents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059B1
KR101013059B1 KR1020080100998A KR20080100998A KR101013059B1 KR 101013059 B1 KR101013059 B1 KR 101013059B1 KR 1020080100998 A KR1020080100998 A KR 1020080100998A KR 20080100998 A KR20080100998 A KR 20080100998A KR 101013059 B1 KR101013059 B1 KR 101013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block
block body
piece
termina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942A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넉스
Priority to KR102008010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0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단자핀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단선되지 않도록 하고,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의 길이를 최소로 하면서도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자핀별로 외부의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선의 오결선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는, 단자대 몸체와;
상기 단자대 몸체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 단자편과, 상기 단자대 몸체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제2 단자편과, 상기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중 어느 하나의 단자편에 선택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진 공용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공용단자는 상기 단자대 몸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자대, 제어기기, 케이스, 노출, 매립

Description

단자대{A terminal stand}
본 발명은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단자핀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단선되지 않도록 하고,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의 길이를 최소로 하면서도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자핀별로 외부의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선의 오결선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어기기는 각종 산업 설비 및 장치 시스템의 시간을 제어하는 기기로서, 디지털 타입과 아날로그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기간산업 시설, 자동 제어 설비, 공장 자동화 라인, 수,배전반 등과 같은 산업용 설비의 시간 제어에서부터 산업용 모터의 수명 감시, 간판의 조명등 제어 등 다양한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어기기는, 케이스를 주축으로 하여 전면에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패턴과 전자부품등이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부와 조작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케이스 의 후면에는 복수의 단자핀이 구비된 단자대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단자대의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은 전원 공급이나 입출력신호의 전달을 위한 다수의 배선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단자대의 단자핀들에는 외부의 설비와 연결 전선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단자대는 외부의 설비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중간 연결 매개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기기는 취부판에 설치되는데, 이 취부판에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단자대의 단자핀들을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케이스의 내부로 매입시킬 수 있도록 단자대를 케이스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기기의 케이스에 대해 단자대를 노출시키거나 매립시키는 기술로 주식회사 오토닉스가 실용신안권리자로 되어 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공고번호 실0116407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칭함)인 제어기기의 매입/노출 전환형 단자대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개시된 단자대는,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면으로만 다수의 단자핀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취부판에 설치하는 방식에 따라, 케이스로부터 단자핀들이 노출되도록 단자대를 설치하거나 케이스내로 단자핀들이 매입되게 단자대를 설치하는데, 이때, 단자핀들이 케이스내로 매입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자핀들이 케이스의 전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단자대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180°(도) 회전 조작한 후, 단자대를 다시 케이스에 결합한 다.
그리고, 단자핀들이 케이스로부터 노출된 상태에서 케이스의 내부로 매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자핀들이 케이스의 후면 방향으로 향하도록 단자대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하여 180°(도) 회전 조작한 후, 단자대를 다시 케이스에 결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면으로만 다수의 단자핀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구조인 관계로, 단자핀들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단자대를 케이스에 대해 180°(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데, 이렇게 단자대를 케이스에 대해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단자핀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단선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전술한 배선들의 단선이 발생할 우려를 고려하여, 케이스에 대해 단자대를 충분히 180°(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배선 길이를 확보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하게 되면, 단자대를 케이스에 결합시 길이가 증가된 배선을 케이스의 내부로 수납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케이스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은 단자핀들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단자대를 케이스에 대해 180°(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케이스에 단자대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단자핀들이 케이스의 전면을 향할 때와 후면을 향할 때에 각각 그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 단자핀별로 외부의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선을 오결선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단자핀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단선되지 않도록 하고,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의 길이를 최소로 하면서도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자핀별로 외부의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선의 오결선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는, 단자대 몸체와; 상기 단자대 몸체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제1 단자편과, 상기 단자대 몸체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제2 단자편과, 상기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 중 어느 하나의 단자편에 선택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 및 연결수단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단자부로 이루어져, 상기 단자대 몸체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공용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공용단자는 상기 단자대 몸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에 따르면,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단자핀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단선되지 않도록 하고,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의 길이를 최소로 하면서도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자핀별로 외부의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선을 오결선하게 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가 제어기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로,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이 제어기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제어기기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되는 단자대중 한쪽의 단자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이 제어기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단자대가 제어기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 절취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이 제어기기 케이스의 내부로 매립된 상태로 단자대가 제어기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 절취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와 제어기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단자대를 구성하는 공용단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100)는, 크게 단자대 몸체(110)와, 공용단자(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자대 몸체(110)는 대략적인 외관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용단자(120)는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과,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중 어느 하나의 단자편에 선택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져, 단자대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로 설치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제1 단자편(121)은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부(110a)에 배 치되고, 제2 단자편(122)은 단자대 몸체(110)의 타측부(110b)에 배치된다.
여기서,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는 서로 반대으로 향하는 부분으로, 단자대 몸체(110)가 놓인 위치에 따라 일측부(110a)는 상부를 향하는 부분일 수 있고, 타측부(110b)는 하부를 향하는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공용단자(120)를 구성하는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 및 연결수단(123)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연결수단(123)은,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a)와, 이 연결부(123a)로부터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단자부(123b)로 이루어져, 단자대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공용단자(120)를 구성하는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 및 연결부(123a)의 전체적인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자대 몸체(110)의 내부로 형성된 "ㄷ"자 형상의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공용단자(120)와 단자대 몸체(110)를 상호 보다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공용단자(120)를 단자대 몸체(110)에 삽입 결합하는 결합 구조 대신에, 사전에 미리 제작된 공용단자(120)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배열하여 금형내에 배치한 후, 2중 사출 방법을 이용하여 단자대 몸체(110)를 형성하게 되면, 이 단자대 몸체(110)의 내부에 공용단자(120)가 내장된 상태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연결수단(123)을 구성하는 돌출 단자부(123b)는 제1 단자 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대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돌출 단자부(123a) 각각에는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배선(미도시)이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121)들 또는 제2 단자편(122)들 각각에는 외부의 설비(미도시)와 연결 전선(미도시)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부(110a)에는 다수의 제1 단자편(121)을 수납하도록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111)가 요입 형성되고, 단자대 몸체(110)의 타측부(110b)에는 다수의 제2 단자편(122)을 수납하도록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112)가 요입 형성된다.
즉,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111)와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112)를 단자대 몸체(110)에 요입 형성되도록 함으로 인해,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부(110a)와 타측부(110b)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보다 컴팩트(compact)한 본 발명의 단자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111)에는 다수의 제1 단자편(121)을 구획하는 제1 단자편 구획벽(111a)이 형성되고,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112)에는 다수의 제2 단자편(122)을 구획하는 제2 단자편 구획벽(112a)이 형성된다.
즉, 제1 단자편 구획벽(111a)과 제2 단자편 구획벽(112a)에 의해 다수의 제1 단자편(121) 및 다수의 제2 단자편(122)들간의 전기적인 쇼트(short) 현상을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111) 및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112)에는 안전덮개(1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안전덮개(130)의 설치로 인해, 외부로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작업자의 감전에 대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제1 단자편(121) 및 다수의 제2 단자편(122) 각각에는 배선(300)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볼트(140)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100)를 구성하는 단자대 몸체(110)는 전후 측벽(210)과 좌우 측벽(220)으로 이루어진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좌우 측벽(220)에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가 전후 측벽(210)과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개방부(230)를 형성하고, 전후 측벽(210)에 단자대 몸체(110)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공(211)(212)을 형성하며, 단자대 몸체(110)가 개방부(230)를 통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걸림공(211)(212)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 측면(110d)에 각각 단일의 탄성 후크부(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전면 커버(FㆍC)에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공(211)(212)이 2개로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하나(211)는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212)는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하여 단일의 탄성 후크부(115)가 걸림공(212)에 걸리도록 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가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반면에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일정 길이 밀어넣어 단일의 탄성 후크부(115)가 걸림공(211)에 걸리도록 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매립 또는 매입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단자편이 노출되도록 하거나 매입되도록 하는 불편한 조작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돌출 단자부(123a)와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 스(200)에 대해 매립 또는 노출되는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그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배선 및 외부 설비와 연결되는 연결 전선들을 오결선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단자편이 노출되도록 하거나 매입되도록 하는 불편한 조작 작업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돌출 단자부(123a)와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의 길이를 최대한 줄일수 있기 때문에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사이즈를 줄일수 있는 장점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돌출 단자부(123a)들과 제어기기 케이스(200)내의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단자핀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단선되지 않도록 하고,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의 길이를 최소로 하면서도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자핀별로 외부의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선의 오결선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100)를 구성하는 단자대 몸체(110)는, 전후 측벽(210)과 좌우 측벽(220)으로 이루어진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좌우 측벽(220)에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가 전후 측벽(210)과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개방부(230)를 형성하고, 좌우 측벽(220)측의 내측면에 요입 형성된 나사공(221)을 형성하며, 단자대 몸체(110)가 개방부(230)를 통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나사공(221)에 일치하도록, 단자대 몸체(11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중 어느 하나가 상기 나사공(211)에 선택적으로 일치하도록 단자대 몸체(11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개방부(230)를 통해 삽입한 상태에서, 공용 스크류부재(240)로 나사공(221)과 일치하는 제1 및 제2 체결공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나사공(221)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단자대 몸체(110)가 상기 좌우 측벽(2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전면부(F)에는 표시부와 조작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은 한조로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중 어느 하나(116)는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117)는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하여 제1 체결공(116)을 나사공(221)에 일치되도록 한 후, 공용 스크류부재(240)로 이들을 결합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가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반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일정 길이 밀어넣어 제1 체결공(116)을 나사공(221)에 일치되도록 한 후, 공용 스크류부재(240)로 이들을 결합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매립 또는 매입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단자편이 노출되도록 하거나 매입되도록 하는 불편한 조작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돌출 단자부(123a)와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대해 매립 또는 노출되는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그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배선 및 외부 설비와 연결되는 연결 전선들을 오결선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단자대(100)를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단자편이 노출되도록 하거나 매입되도록 하는 불편한 조작 작업을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돌출 단자부(123a)와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미도시)의 길이를 최대한 줄일수 있기 때문에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사이즈를 줄일수 있는 장점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돌출 단자부(123a)들과 제어기기 케이스(200)내의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이 단자핀 또는 회로기판으로부터 단선되지 않도록 하고, 단자핀들과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들의 길이를 최소로 하면서도 제어기기의 케이스를 소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각 단자핀별로 외부의 설비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전선의 오결선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판(500)에 설치공(510)을 형성하여, 제어기기 케이스(200)를 설치공(510)에 삽입하여 전면커버(FㆍC)의 후면 테두리부에 취부판(500)이 접촉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매립 또는 매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결 전선(미도시)을 제1,2 단자편(121)(122)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설비와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판(600)에 제어기기 케이스(2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FㆍC)의 반대측 배면부(250)를 별도의 부착수단(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경우에는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이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연결 전선(미도시)을 제1,2 단자편(121)(122)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설비와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 후크부(115) 및 제1,제2 체결공(116)(117)를 갖는 실시예의 구성과, 공용 스크류부재(240) 및 걸림공(211)(212) 및 나사공(221)를 갖는 구성이 모두 구비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가 제어기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로,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이 제어기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제어기기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되는 단자대중 한쪽의 단자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이 제어기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단자대가 제어기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 절취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자편과 제2 단자편이 제어기기 케이스의 내부로 매립된 상태로 단자대가 제어기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부 절취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대와 제어기기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자대를 구성하는 공용단자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자대 110 : 단자대 몸체
110a : 일측부 110b : 타측부
110c : 양단부 110d : 측면
120 : 공용단자 121 : 제1 단자편
122 : 제2 단자편 123 : 연결수단
123a : 연결부 123b : 돌출 단자부
111 :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 112 :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
111a : 제1 단자편 구획벽 112a : 제2 단자편 구획벽
115 : 탄성 후크부 116 : 제1 체결공
117 : 제2 체결공 130 : 안전덮개
140 : 단자볼트 200 : 제어기기 케이스
210 : 전후 측벽 211,212 : 걸림공
220 : 좌우 측벽 221 : 나사공
230 : 개방부 240 : 공용 스크류부재

Claims (12)

  1. 단자대 몸체(110)와;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부(110a)에 배치되는 제1 단자편(121)과,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타측부(110b)에 배치되는 제2 단자편(122)과, 상기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중 어느 하나의 단자편에 선택적으로 전선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12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 및 연결수단(123)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123)은, 상기 제1 단자편(121)과 제2 단자편(122)을 연결하는 연결부(123a)와, 상기 연결부(123a)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단자부(123b)로 이루어져,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공용단자(120)를 포함하며,
    상기 공용단자(120)는 상기 단자대 몸체(110)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일측부(110a)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단자편(121)을 수납하도록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111)가 요입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타측부(110b)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단자편(122)을 수납하도록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112)가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111)에는 상기 다수의 제1 단자편(121)을 구획하는 제1 단자편 구획벽(11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112)에는 상기 다수의 제2 단자편(122)을 구획하는 제2 단자편 구획벽(11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편 수납 공간부(111) 및 제2 단자편 수납 공간부(112)에는 안전덮개(1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단자편(121) 및 다수의 제2 단자편(122) 각각에는 배선(300)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볼트(14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8.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몸체(110)는 전후 측벽(210)과 좌우 측벽(220)으로 이루어진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좌우 측벽(220)에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가 상기 전후 측벽(210)과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개방부(230)를 형성하고, 상기 전후 측벽(210)에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삽입 방향으로 일정 간격되게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공(211)(212)을 형성하며,
    상기 단자대 몸체(110)가 상기 개방부(230)를 통해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걸림공(211)(212)에 선택적으로 록킹되도록,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 측면(110d)에 각각 단일의 탄성 후크부(1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211)(212)은 2개가 형성되되, 이중 어느 하나(211)는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212)는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몸체(110)는 전후 측벽(210)과 좌우 측벽(220)으로 이루어진 제어기기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좌우 측벽(220)에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가 상기 전후 측벽(210)과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삽입되도록 개방부(230)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측벽(220)측의 내측면에 요입 형성된 나사공(221)을 형성하며,
    상기 단자대 몸체(110)가 상기 개방부(230)를 통해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상기 나사공(221)에 일치하도록, 상기 단자대 몸체(11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을 관통 형성하며,
    상기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중 어느 하나가 상기 나사공(221)에 선택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단자대 몸체(110)를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개방부(230)를 통해 삽입한 상태에서, 공용 스크류부재(240)로 상기 나사공(221)과 일치하는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나사공(221)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단자대 몸체(110)가 상기 좌우 측벽(220)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은 한조로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양단부(110c)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공(116) 및 제2 체결공(117)중 어느 하나(116)는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117)는 상기 단자대 몸체(110)의 제1 단자편(121) 및 제2 단자편(122)이 상기 제어기기 케이스(2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대.
KR1020080100998A 2008-10-15 2008-10-15 단자대 KR101013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998A KR101013059B1 (ko) 2008-10-15 2008-10-15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998A KR101013059B1 (ko) 2008-10-15 2008-10-15 단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942A KR20100041942A (ko) 2010-04-23
KR101013059B1 true KR101013059B1 (ko) 2011-02-14

Family

ID=4221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998A KR101013059B1 (ko) 2008-10-15 2008-10-15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0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974U (ko) * 1997-11-14 1999-06-05 윤여관 간편 조립용 터미널블럭
KR20010016407A (ko) * 2000-12-08 2001-03-05 김지헌 포장상자용 내장재 제조방법과 그 물품
KR20010086922A (ko) * 2000-03-04 2001-09-15 천두진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974U (ko) * 1997-11-14 1999-06-05 윤여관 간편 조립용 터미널블럭
KR20010086922A (ko) * 2000-03-04 2001-09-15 천두진 아이디씨형 사선단자블록의 구조
KR20010016407A (ko) * 2000-12-08 2001-03-05 김지헌 포장상자용 내장재 제조방법과 그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942A (ko)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496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7336497B2 (en) Electronics housing
US10085355B2 (en) Housing mountable on a mounting rail for receiving an electronics module
US7247033B2 (en) Plug connector for circuit board connection
EP1887704B1 (en) A chassis
US7731547B2 (en) Electrical contact device
KR20170060032A (ko) 접근점 확보용 통합 록 바디 장치
KR101013059B1 (ko) 단자대
US20070015383A1 (en) Plug-in connector
RU2005127858A (ru) Корпус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печатных плат, монтаж которых образует,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ы
JPH081990B2 (ja) 電子機器用筺体
JP5538562B2 (ja) 一列の筐体を接続部材に接続するための接続機構
US20200259301A1 (en) Plug connector
EP1300912A1 (en) Electrical outlet sockets
JP3243280B2 (ja) 配線装置
JP4776718B2 (ja) ソケット
KR20060086167A (ko) 냉장고용 제어장치
JPH05176433A (ja) 配線装置
JP3812244B2 (ja) 入出力ユニット
JPH0454701Y2 (ko)
JP2015204279A (ja) 端子装置及び分電盤
RU67782U1 (ru) Вилка двухэтажная наборная
JP2005183266A (ja) 車載多重通信用終端回路ユニット
JP2006059539A (ja) 中継コネクタ
JP2000003207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