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284A -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284A
KR20060085284A KR1020050005794A KR20050005794A KR20060085284A KR 20060085284 A KR20060085284 A KR 20060085284A KR 1020050005794 A KR1020050005794 A KR 1020050005794A KR 20050005794 A KR20050005794 A KR 20050005794A KR 20060085284 A KR20060085284 A KR 20060085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r
terminal
terminal peer
content
rendezv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586B1 (ko
Inventor
조태경
한정표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5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3Some peer nodes performing special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87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cross-functional networking aspects
    • H04L67/1091Interfacing with client-server systems or between P2P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무선 P2P(Peer to Peer)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단말 피어(Peer)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컨텐츠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1단말 피어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여 컨텐츠 등록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2단말 피어; 상기 제 2단말 피어와 연동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고 다른 단말 피어 혹은 자원들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랑데부 피어; 응답 대기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제 1단말 피어의 컨텐츠 검색 질의를 분석하여 랑데부 피어 혹은 제 2단말 피어로 전송하거나, 상기 랑데부 피어 혹은 제 2단말 피어로부터 응답을 받아 제 1단말 피어로 컨텐츠 검색의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릴레이 피어를 포함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한다.
단말 피어, 단말 상태, 모니터링, 컨텐츠, 다운로드

Description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of monitoring status of terminal pe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미리보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 1단말 피어(Minimal Peer) 200: 제 2단말 피어(Simple Peer)
300: 랑데부 피어(Rendezvous Peer) 400: 릴레이 피어(Relay Peer)
450: 가상 피어(Virtual Peer)
본 발명은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P2P(Peer to Peer)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단말 피어(Peer)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P2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PC급 이상의 컴퓨팅 자원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갖고자 하는 컨텐츠들, 예컨대 음악 파일, 문 서 파일, 기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선택한 뒤 다운로드 요청을 보낸다.
이러한 환경은 유선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요금과 시간에 대한 부담이 매우 적다. 하지만, 무선 인터넷에서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시간이 곧, 요금과 직결 되기 때문에 상대방 단말 피어의 종류와 현재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아는 것은 사용자에게 매우 유리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무선 P2P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단말 피어(Peer)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데 필요한 의사 결정을 요금과 관련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불필요한 요청을 줄임으로 단말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컨텐츠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1단말 피어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여 컨텐츠 등록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2단말 피어;
상기 제 2단말 피어와 연동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고 다른 단말 피어 혹은 자원들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랑데부 피어;
응답 대기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제 1단말 피어의 컨텐츠 검색 질의를 분석하여 랑데부 피어 혹은 제 2단말 피어로 전송하거나, 상기 랑데부 피어 혹은 제 2단말 피어로부터 응답을 받아 제 1단말 피어로 컨텐츠 검색의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릴 레이 피어를 포함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단말 피어에서 랑데부 피어로 컨텐츠 검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랑데부 피어에서 컨텐츠 검색 결과정보를 제 1단말 피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단말 피어에서 선택한 컨텐츠 정보를 제 2단말 피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단말 피어에서 설정된 응답대기 시간동안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상대방의 제 2단말 피어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판단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이동통신망(150)을 통하여 접속하여 컨텐츠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1단말 피어(Minimal Peer)(100)와; 인터넷 망(250)을 통하여 접속하여 컨텐츠 등록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2단말 피어(Simple Peer)(200);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고 다른 단말 피어나 자원들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랑데부 피어(Rendezvous Peer)(300); 제 1단말 피어(100)의 기능 지원을 위한 가상 피어(Virtual Peer)(450)와 연동되고 응답대기 시간이 설정되며, 제 1단말 피어(100)들의 컨텐츠 검색 질의를 분석하여 랑데부 피어(300) 혹은 가상 피어(450)나 제 2단말 피어(200)로 리졸버 메시지(Resolver Message)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랑데부 피어(300) 혹은 가상 피어(450)나 제 2단말 피어(200)로부터 응답을 받아 제 1단말 피어(100)로 컨텐츠 검색의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릴레이 피어(Relay Peer)(40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단말 피어(100)는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사용자 단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제 2단말 피어(200)는 다른 단말 피어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스스로 서비스 및 자원을 다른 단말 피어에 제공하는 컴퓨터(PC)를 포함한다.
그 작용을 살펴보면, 제 1단말 피어(100) 혹은 제 2단말 피어(200)의 컨텐츠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ContentUploadQuery 메시지를 랑데부 피어(3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메시지 내용에는 자신의 피어 형태(PeerType)를 표시하는 부분이 포함되며, 이동통신 단말은 VP라 표시하며, PC는 SP라 표시한다.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제 1단말 피어(100)가 검색할 경우 ContentSearchPageQuery를 릴레이 피어(400)로 전송하며, 그에 대한 응답으로 ContentSearchPageResponse 메시지 내에 PeerType 정보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PeerType을 이용해서 단말 피어의 종류를 알 수 있게 된다. [표 1]은 ContentSearchPageResponse의 메시지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Name Value Description Type Size
0.ResponseType ContentSearchPageResponse Response 타입 String
1.RequestID Id Integer
2.Count 목록의 수 Integer
3.Kind (Count 수 만큼 반복) String
4.ContentID id(Count 수 만큼 반복) 컨텐츠 아이디 String
5.UserID id(Count 수 만큼 반복) 등록자 아이디 String
6.Title (Count 수 만큼 반복) 제목 String
7.PeerID id(Count 수 만큼 반복) 컨텐츠 등록자 피어 아이디
8.PeerType (Count 수 만큼 반복) String
9.EndpointAddr (Count 수 만큼 반복) String
10.ReturnCode 별도 정의 Integer
여기서, 상기 제 2단말 피어(200)의 상태는 항상 변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인터넷 망)에 접속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단말 피어에서 매우 유용하다. 제 1단말 피어(100)에서 검색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미리보기(미리듣기)를 하기 위해서 릴레이 피어(400)에 요청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릴레이 피어(400)와 제 1단말 피어(100)의 연결은 타임 아웃을 가지게 된다. 이는 타임 아웃이 없을 경우 제 2단말 피어(200)가 블록된(blocked) 상태에서 무기한 대기 상태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타임 아웃을 10초로 두고 있고, 10초 내에 어떠한 응답 메시지도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에 상대방의 단말 피어가 네트워크에 없다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미리보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 1단말 피어(Minimal Peer)(100)나 제 2단말 피어(Simple Peer)(200) 에서 자신의 컨텐츠를 등록한다. 상기 컨텐츠 등록한 후, 제 2단말 피어(200)는 P2P 네트워크에서 빠져 나온 상태로 가정한다.
그 상태에서, 제 1단말 피어(100)가 컨텐츠를 검색(컨텐츠 미리보기 포함)하기 위해서 릴레이 피어(400)를 거쳐 랑데부 피어(200)로 ContentSearchPageQuery 정보를 전송한다(S10).
그러면, 상기 랑데부 피어(300)는 검색 결과인 ContentSearchPageResponse 정보를 릴레이 피어(400)로 전송하며, 릴레이 피어(400)에서는 다시 제 1단말 피어(100)로 전송한다(S20).
이 때, 상기 ContentSearchPageResponse 정보에는 각종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와 컨텐츠를 등록한 단말 피어의 피어 형태(Peer Type) 데이터가 존재한다.
상기 제 1단말 피어(100)에서는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ContentDownloadQuery 정보를 컨텐츠 등록 제 2단말 피어(200)로 전송한다(S30).
그러면, 상기 컨텐츠를 등록한 제 2단말 피어(200)는 현재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아무런 응답을 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 1단말 피어(100)에서는 응답대기 시간동안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상대방 제 2단말 피어(200)가 네트워크에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S40).
물론, 상기 제 2단말 피어(200)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인 경우 해당 컨텐츠 정보를 릴레이 피어(400)를 통해 제 1단말 피어(100)로 전송하게 된다(S5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에 따르면, 단말 피어에서 컨텐츠를 검색 및 다운로드 할 때 목적 컨텐츠가 제 2단말피어(PC)에서 등록한 것인지 아니면 제 1단말 피어(이동통신단말)에서 등록한 것인지를 확인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를 등록한 단말 피어가 현재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지, 참여하고 있지 않은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무선 P2P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단말 피어(Peer)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데 필요한 의사 결정을 요금과 관련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불필요한 요청을 줄임으로 단말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컨텐츠 검색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1단말 피어와;
    인터넷 망을 통해 접속하여 컨텐츠 등록 및 다운로드를 위한 제 2단말 피어;
    상기 제 2단말 피어와 연동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고 다른 단말 피어 혹은 자원들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랑데부 피어;
    응답 대기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제 1단말 피어의 컨텐츠 검색 질의를 분석하여 랑데부 피어 혹은 제 2단말 피어로 전송하거나, 상기 랑데부 피어 혹은 제 2단말 피어로부터 응답을 받아 제 1단말 피어로 컨텐츠 검색의 결과 메시지를 전송하는 릴레이 피어를 포함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단말 피어는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사용자 단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며, 제 2단말 피어는 컴퓨터(P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피어에는 제 1단말 피어의 기능 지원을 위한 가상 피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단말 피어에서 랑데부 피어로 컨텐츠 검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랑데부 피어에서 컨텐츠 검색 결과정보를 제 1단말 피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단말 피어에서 선택한 컨텐츠 정보를 제 2단말 피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단말 피어에서 설정된 응답대기 시간동안 아무런 응답이 없는 경우 상대방의 제 2단말 피어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판단하고, 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정보에는 컨텐츠 미리보기가 포함되며, 다수의 컨텐츠 데이터와 컨텐츠 등록 단말 피어의 피어 형태(Peer Type)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방법.
KR1020050005794A 2005-01-21 2005-01-21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09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794A KR101094586B1 (ko) 2005-01-21 2005-01-21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794A KR101094586B1 (ko) 2005-01-21 2005-01-21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284A true KR20060085284A (ko) 2006-07-26
KR101094586B1 KR101094586B1 (ko) 2011-12-15

Family

ID=3717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794A KR101094586B1 (ko) 2005-01-21 2005-01-21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2961A1 (en) * 2006-11-24 2008-05-29 Nhn Corporation Peer management server in p2p system and peer management method
KR100953594B1 (ko) * 2007-12-18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34258A1 (en) * 2001-01-22 2002-07-30 Sun Microsystems, Inc. Peer-to-peer network computing platform
US7769881B2 (en) * 2003-01-24 2010-08-03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 peer acces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2961A1 (en) * 2006-11-24 2008-05-29 Nhn Corporation Peer management server in p2p system and peer management method
KR100836619B1 (ko) * 2006-11-24 2008-06-10 엔에이치엔(주) P2p 시스템에서 피어 관리 서버 및 피어 관리 방법
KR100953594B1 (ko) * 2007-12-18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586B1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700B1 (ko) 메시지 버스 서비스 디렉토리
EP2223559B1 (en) Automatically provisioning a wwan device
US9137316B2 (en) Controlling receipt of electronic advertising
EP1435721A2 (en) Automatic and dynamic service information delivery to data terminals in an access network
EP1398914A2 (en) Advertising and controlling the advertisement of wireless hot spots
US20140348152A1 (en) Terminal and a manager for discovering and accessing local services via wifi hotspots
JP424087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端末、情報提供装置、判定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提供方法
JP200027000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サーバ及び端末装置
KR20120089100A (ko) 앱스토어와 무선 ap를 활용한 모바일 기기용 기업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CN109302437A (zh) 一种重定向网站的方法和装置
JP2016184853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11129005A (ja) 認証方法、変換装置、中継装置、及び該プログラム
JP5520262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システ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方法
KR101094586B1 (ko) 단말 피어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5004766A (ja) 携帯端末機の非標準mimeタイプ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5323093A (ja) Webサーバを利用した遠隔操作制御プログラム
FI119169B (fi) Yhdistetty kartta- ja paikannuspalvelu liikkuvalle päätelaitteelle ja palvelin sen toteuttamiseksi
JP2009239614A (ja) ブラウザ搭載装置・電話連携方法、ブラウザ搭載装置・電話連携システム、およびブラウザ搭載装置・電話連携装置
US7743091B2 (en) Context management system for a network including a heterogenous set of terminals
US20090296149A1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storage device, management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1129092B1 (ko)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웹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05138A (ko)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간의 데이터 공유방법
JP2003115795A (ja) 通信システム、この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サーバ、エージェント制御方法、エージェント制御プログラム
JP2005086426A (ja) 携帯情報端末、並びにソフトウェア入れ替え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463836B1 (ko) 무선 단말기 특성의 그룹화를 통한 컨텐츠 변환 및 캐슁시스템과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