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070A -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070A
KR20060085070A KR1020050005992A KR20050005992A KR20060085070A KR 20060085070 A KR20060085070 A KR 20060085070A KR 1020050005992 A KR1020050005992 A KR 1020050005992A KR 20050005992 A KR20050005992 A KR 20050005992A KR 20060085070 A KR20060085070 A KR 20060085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headset
microphone
voice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3583B1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583B1/ko
Priority to US11/336,668 priority patent/US20060165243A1/en
Priority to EP06001246A priority patent/EP1684492A3/en
Publication of KR2006008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 장치에 있어서, 이어폰과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잭접속홀을 구비하고, 이어폰이 접속되었을 경우 이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접속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스피커 단독으로 음성을 출력경로를 설정하거나 상기 이어폰접속부 모두에 음성 출력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부와, 상기 내부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와, 상기 기능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이어폰접속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헤드셋제어부로 구성된다.
헤드셋, 이어폰, 무선통신

Description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EQUIPMENT AND METHOD OF WIRELESS HEADSET}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블루투스 헤드셋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및 블루투스 헤드셋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루투스 헤드셋의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어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루투스 헤드셋 및 이어폰의 사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무선 헤드셋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 어 있으며, 사용자들은 상기 무선 헤드셋을 이용함으로써 통화의 편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손으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들고 통화하기가 어려울 경우 핸즈프리(hands-free) 상태로 통화하기 위해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다. 이러한 무선 헤드셋은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핸즈프리 상태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블루투스 헤드셋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면 블루투스모듈(115)(240)은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100)과 블루투스 헤드셋(2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115)과 블루투스 헤드셋의 내부에 구비된 블루투스 모듈(240)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콜의 송수신등을 알리는 등의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와 같이 블루투스 헤드셋 본체(200)는 마이크(225)와, 내부스피커(230)와, 통화 온/오프스위치(245)와, 상기 본체(200)내에 구비되어있는 블루투스모듈(240)이 구성된다.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 본체(200)의 하부에는 마이크(225)을 구비할 수 있는 로드(410)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200)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후크(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용 배터리나 상기 무선 헤드셋에 내장되는 충전용 배터리(4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블루투스 헤드셋(200)을 이용한 통화방법은 콜이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5)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어있는 블루투스모듈(115)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콜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후크(420)를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귀에 걸고 상기 헤드셋(200)에 구비되어있는 버튼(245)을 조작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상기 헤드셋의 제어부(205)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이크로드(41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있는 마이크(225)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사용자는 블루투스 헤드셋(200)의 하나의 내부스피커(2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노 방식의 스피커 시스템인 블루투스 헤드셋에 구비되어있는 하나의 스피커를 사용하고 다른 쪽의 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때문에 전화통화중 소음이 많은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통화품질이 저하되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이 사용자에게 작게 들리거나 소음으로 인한 통화감도가 떨어지게 들린다. 이는 스피커가 일정한 값만을 출력하기 때문에 통화음량을 높이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 환경이 열악한 곳에 위치하였을 경우 통화시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헤드셋에 구비되어있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 헤드셋에 별도의 이어폰을 삽입하여 상기 스피커와 이어폰 양쪽으로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이 많은 통화 환경이 열악한 곳으로 사용자가 이동하여도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무선 헤드셋 장치에 있어서, 이어폰과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접속홀을 구비하고, 이어폰이 접속되었을 경우 이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접속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스피커 단독으로 음성을 출력경로를 설정하거나 상기 이어폰접속부 모두에 음성 출력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부와, 상기 내부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와, 상기 기능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이어폰접속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헤드셋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무선 헤드셋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 실행중 이어폰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판단결과 이어폰이 접속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내부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이어폰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내부스피커 및 상기 이어폰 모두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블루투스 헤드셋의 전체 블록 구성도로서 도 1에서 참조번호 10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참조 번호 200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말기제어부(105), 수신레벨측정부(110), 블루투스모듈(bluetooth module)(115), 키입력부(120), 메모리부(125), 데이터처리부(130), 오디오처리부(135), 마이크(140), 스피커(145), 무선처리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제어부(10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콜이 발생할 경우 블루투스헤드셋(200)과 무선통신을 통하여 블루투스헤드셋(200)에 콜 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블루투스 모듈부(130)를 통하여 송신한다. 수신레벨 측정부(110)는 단말기제어부(105)의 제어 하에 블루투스모듈부(115)의 RF수신부에 수신되는 블루투스 헤드셋(200) 신호의 파워레벨을 측정한다. 블루투스모듈부(115)는 내부에 RF송신부, RF수신부,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RF송신부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한다. 상기 RF수신부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는 단말기 제어부(105)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Host Controller Interface : 호스트 콘트롤러 인터페이스) 데이터 패킷에 엑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송신부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한다.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는 상기 RF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패킷으로 변경하여 호스트인 단말기 제어부(102)로 인가한다. 한편, 블루투 스 모듈(115)은 내부에 링크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제어부(105)로부터 인가되는 COMMAND 패킷의 명령에 의거 상기 블루투스모듈(115)을 제어한다.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헤드셋(200) 정보를 호스트인 단말기제어부(105)에 HCI 패킷으로 송신한다. 키입력부(120)는 다수의 숫자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키 데이터의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5)로 출력한다. 메모리(125)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될 수 있는 각종 벨소리, MP3, 동영상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각종 전화번호부, 메시지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오디오처리부(135)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CODER)로 구성되며, 제어부(105)의 제어 하에 구동된다. 오디오처리부(135)는 무선처리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145)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피커(145)는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35)는 마이크(140)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처리부(150)로 출력한다. 무선처리부(150)는 제어부(105)의 제어 하에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어부(105)로 출력한다. 무선처리부(150)로부터 제어부(105)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들이 된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200)은 헤드셋제어부(205), 이어폰접속감지부(210a)를 포함하는 이어폰접속부(210), 오디오처리부(215), 경로설정부(220), 마이크(225), 스피커(230), 이어폰(235), 블루투스모듈부(240), 버튼입력부(245)를 포함한다.
헤드셋제어부(205)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헤드셋(200)의 음성통화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접속부(210)로부터 이어폰(235) 접속을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헤드셋제어부(205)는 이어폰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접속된 이어폰(235)에서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신호를 경로설정부(220)에 송신한다. 이어폰접속부(210)은 이어폰접속의 유무를 판단하는 이어폰접속감지부(21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어폰접속부(210)는 콜 수신시 블루투스 헤드셋(200)을 이용하여 통화시 상기 이어폰 삽입부에 이어폰이 삽입되었음을 판단한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0)에 구비된 스피커(230)와 동시에 이어폰(235)으로도 음향을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처리부(215)는 블루투스모듈(24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230)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모드시 내부 스피커(230)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이어폰접속부(210)를 통하여 이어폰접속이 감지되었을 경우 내부스피커(230)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내부스피커(230) 및 상기 접속된 이어폰(235)모두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마이크(225)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블루투스모듈부(240)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설정부(220)는 오디오처리부(215)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오디오처리부(215)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이어폰접속부(210)에 이어폰(235)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하면 헤드셋제어부(205)로부터 음성신호의 출력을 내부스피커(230) 및 상기 이어폰(235)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이어폰(235)으로도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블루투스모듈부(240)은 RF송신부, RF수신부, 기저대역 처리부로 구성되며, 블루투스모듈(240)의 기저대역 처리부에 의해 헤드셋제어부(205)에 연결되어 단말기(100)와 HCI 패킷을 이용하여 제어명령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RF송신부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송신한다. 상기 RF수신부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로 인가한다.
기저대역 처리부는 헤드셋제어부(205)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패킷에 엑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RF송신부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RF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헤드셋제어부(205)로 인가한다. 버튼입력부(245)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수개의 키들이 구비될 수 있으며, 콜 수신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소정의 거리 내에 블루투스 헤드셋(200)이 존재할 경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0)에 구비되 어있는 상기 버튼입력부(245)를 조작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헤드셋의 전체 구성은 각각 블루투스 모듈부를 구비하고. 상기 모듈부를 통하여 콜의 송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구성은 이어폰접속부와 경로설정부를 구비한다. 이어폰접속부는 이어폰잭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이어폰이 접속되었을 경우 내부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이어폰으로도 출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경로설정부는 상기 이어폰 접속을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내부스피커에서 출력되고 있는 음성신호를 상기 내부스피커 및 이어폰으로 모두 출력하도록 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어폰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05)에 콜이 수신되어 콜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경우 콜 수신을 알리는 벨 소리 출력한다. 이때 블루투스 헤드셋(200)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소정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블루투스 헤드셋의 제어부(205)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구비되어있는 블루투스 모듈(115)을 통하여 블루투스 헤드셋(200)의 내부에 구비되어있는 블루투스 모듈(240)을 통하여 콜 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헤드셋제어부(205)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시에 콜 수신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40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헤드셋제어부(205)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0)에 구비되어있는 통화를 실행하도록 하는 버튼(245)의 입력을 받아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410단계를 실행한다. 이후 헤드셋제어부(205)는 통화중 이어폰접속부(210)의 이어폰접속감지부(210a)에서 사용자로부터 이어폰(235)이 접속되었는지에 대한 유무를 판단을 하는 420단계를 실행한다. 도 4의 사시도에서의 이어폰접속부는 210과 같이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0)의 측면에 일정한 크기의 접속홀로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헤드셋제어부(205)는 상기 판단결과 이어폰(235)이 상기 이어폰잭 접속홀을 통하여 이어폰이 접속되어 이어폰접속부(225)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하였을 경우 430단계로 진행한다. 430단계에서 헤드셋제어부(205)는 경로설정부(220)에 상기 접속된 이어폰(235)으로도 상기 내부스피커(225)에서 출력되고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420단계에서 이어폰잭 접속홀을 통한 이어폰 접속이 감지되지 않았을 경우 내부스피커에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한다. 이후 경로설정부(220)는 상기 헤드셋제어부(205)로부터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된 이어폰(235)으로 상기 스피커(225)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경로를 설정한다. 헤드셋제어부(205)는 상기 경로설정부(220)에서 이어폰으로 음성신호를 설정하도록 하는 경로설정이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접속된 이어폰(235)으로 상기 헤드셋의 스피커(230)와 동시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440단계를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230)와 이어폰(235)으로 동시에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의 동작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셋 및 이어폰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콜이 수신되어 상기 콜이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 동작인 500단계에서 520단계는 상기 도 3의 400단계에서 420단계의 동작과정과 유사하다. 이후 헤드셋제어부(205)는 이어폰(235)이 상기 이어폰잭 접속홀을 통하여 이어폰이 접속되어 이어폰접속부(225)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하였을 경우 상기 접속된 이어폰이 마이크를 구비하고있는 이어폰인가를 판단하는 530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이후 헤드셋제어부(205)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경로설정부(220)에 상기 접속된 이어폰이 마이크가 부착된 이어폰임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경로설정부(220)에서는 기존에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200)의 내부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도록 하는 기능을 차단하고 상기 접속된 이어폰에 부착된 마이크(235b)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또한 헤드셋 제어부(205)는 상기 530단계에서 상기 접속된 이어폰이 마이크(235b)가 부착되지 않은 이어폰임을 판단한 경우 도 3의 430에서 440단계와 유사한 과정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헤드셋제어부(205)는 상기 430단계에서 설정된 경로에 따라 440단계에서 상기 접속된 이어폰 및 헤드셋의 내부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이어폰에 부착된 마이크(235b)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도 4 및 도 5의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헤드 셋의 동작은 블루투스 헤드셋을 통하여 통화시 상기 통화시 블루투스 헤드셋에 이어폰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접속된 이어폰이 마이크가 부착된 이어폰인지를 판단한다. 이후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의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이 마이크가 부착된 이어폰임을 판단한 경우 경로설정부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의 내부마이크 기능을 차단하고 상기 접속된 이어폰의 마이크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도록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블루투스 헤드셋의 내부 스피커와 이어폰을 통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고, 상기 이어폰에 부착된 마이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블루투스 방식의 통신 방법 외에도 다양한 무선통신 방법의 헤드셋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있어서, 무선 헤드셋에 구비되어있는 내부스피커와 상기 무선 헤드셋에 별도의 이어폰을 접속하여 사용자가 상기 내부스피커 및 이어폰 모두를 통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접속된 이어폰이 마이크가 부착된 이어폰일 경우 상기 무선 헤드셋의 내부마이크 기능을 차단하고 상기 입력된 이어폰에 부착된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받도록 함으로써 소음이 많은 통화 환경이 열악한 곳으로 사용자가 이동하여도 원활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무선 헤드셋 장치에 있어서,
    이어폰과 접속하기 위한 이어폰접속홀을 구비하고, 이어폰이 접속되었을 경우 이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접속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 스피커 단독으로 음성을 출력경로를 설정하거나 상기 이어폰접속부 모두에 음성 출력경로를 설정하고, 이어폰에 마이크가 부착되어있을 경우 상기 내부 마이크의 기능을 차단하고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경로설정부와,
    상기 내부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처리부와,
    상기 기능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이어폰접속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헤드셋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어폰 접속부는 이어폰잭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이어폰잭삽입감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접속부.
  3. 무선 헤드셋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 실행중 이어폰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이어폰이 접속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내부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내부스피커 및 상기 이어폰 모두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의 동작방법.
  4. 무선 헤드셋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통화모드 실행중 이어폰 접속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어폰이 접속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이어폰이 마이크가 부착된 이어폰인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마이크가 부착된 이어폰일 경우 내부스피커 및 상기 이어폰 모두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출력 및 상기 무선 헤드셋의 내부마이크에 기능을 차단하며, 상기 부착된 이어폰의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의 동작방법.
KR1020050005992A 2005-01-21 2005-01-21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663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992A KR100663583B1 (ko) 2005-01-21 2005-01-21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36,668 US20060165243A1 (en) 2005-01-21 2006-01-20 Wireless headse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06001246A EP1684492A3 (en) 2005-01-21 2006-01-20 Wireless headset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992A KR100663583B1 (ko) 2005-01-21 2005-01-21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070A true KR20060085070A (ko) 2006-07-26
KR100663583B1 KR100663583B1 (ko) 2007-01-02

Family

ID=3616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992A KR100663583B1 (ko) 2005-01-21 2005-01-21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165243A1 (ko)
EP (1) EP1684492A3 (ko)
KR (1) KR1006635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510B1 (ko) * 2007-10-08 2009-09-02 (주)와이즈앤블루 무선 헤드셋,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 및 무선 헤드셋의사용방법
KR101218822B1 (ko) * 2006-11-15 2013-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KR101231112B1 (ko) * 2006-11-06 201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헤드 셋 및 그의 오디오 신호제어 방법
KR101511125B1 (ko) * 2014-12-31 2015-04-10 김종대 블루투스 헤드셋
KR101528621B1 (ko) * 2014-06-23 2015-06-17 (주)샤론테크 분리형 보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7372B2 (en) * 2003-09-30 2007-08-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luetooth enabled hearing aid
KR20060110063A (ko) * 2005-04-19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블 접속형 스테레오 헤드 셋
KR100703327B1 (ko) * 2005-04-1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형 스테레오 헤드 셋 시스템
US7930007B2 (en) * 2006-06-02 2011-04-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dio output device selec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014865A1 (en) * 2006-06-16 2008-01-17 Pinnacle Peak Holding Corporation (Dba Setcom Corp.) Radio and public address accessory system with wireless interface
US7280849B1 (en) * 2006-07-31 2007-10-09 At & T Bls Intellectual Property, Inc. Voice activated dialing for wireless headsets
US8010171B2 (en) * 2006-09-01 2011-08-30 Pinnacle Peak Holding Corporation Wireless portable radio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00103B1 (ko) * 2007-02-01 2008-01-31 디지아나 주식회사 헤드셋
KR100827613B1 (ko) 2007-05-04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90023479A1 (en) * 2007-07-17 2009-01-2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phone call audio through handset or headset
KR20090081170A (ko) * 2008-01-23 2009-07-28 (주)드림텍 문자메시지 출력기능을 갖는 무선 헤드셋 및 문자메시지출력방법
US8369548B2 (en) 2008-05-09 2013-02-05 Sure Best Limited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US20090279722A1 (en) * 2008-05-09 2009-11-12 Pi-Fen Lin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SG163453A1 (en) 2009-01-28 2010-08-30 Creative Tech Ltd An earphone set
US20120244812A1 (en) * 2011-03-27 2012-09-27 Plantronics, Inc. Automatic Sensory Data Routing Based On Worn State
US20130328667A1 (en) * 2012-06-10 2013-12-12 Apple Inc. Remote interaction with siri
CN103024621B (zh) * 2012-11-16 2015-08-05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和利用蓝牙耳机通信的方法
US20140328485A1 (en) * 2013-05-06 2014-11-06 Nvidi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tereoisation and enhancement of live event audio
US20150222981A1 (en) * 2014-02-04 2015-08-06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headset
TWI554117B (zh) * 2014-03-27 2016-10-11 元鼎音訊股份有限公司 語音輸出之方法及耳機
TW201625020A (zh) * 2014-12-30 2016-07-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耳機及利用所述耳機控制手持裝置的系統及方法
US10506404B2 (en) * 2015-04-16 2019-12-10 Motorola Mobility Llc Voice call management in a modular smartpho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2476B2 (en) * 1997-02-18 2006-07-04 Matech, Inc. Audio headset
US6519448B1 (en) * 1998-09-30 2003-02-11 William A. Dress Personal, self-programming, short-range transceiver system
JP2002112383A (ja) * 2000-10-02 2002-04-12 Toshiba Corp 音楽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プレーヤとヘッドフォン
US7233808B2 (en) * 2001-09-05 2007-06-19 Agere Systems Inc. Smart BLUETOOTH interface gateway to mate a non-BLUETOOTH wireless device with a BLUETOOTH headset
US20030073460A1 (en) * 2001-10-16 2003-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dular headset for cellphone or MP3 player
EP1670283A1 (en) * 2004-12-08 2006-06-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luetooth headse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112B1 (ko) * 2006-11-06 201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헤드 셋 및 그의 오디오 신호제어 방법
KR101218822B1 (ko) * 2006-11-15 2013-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KR100914510B1 (ko) * 2007-10-08 2009-09-02 (주)와이즈앤블루 무선 헤드셋, 무선 헤드셋의 사용시스템, 및 무선 헤드셋의사용방법
KR101528621B1 (ko) * 2014-06-23 2015-06-17 (주)샤론테크 분리형 보청기
KR101511125B1 (ko) * 2014-12-31 2015-04-10 김종대 블루투스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583B1 (ko) 2007-01-02
EP1684492A2 (en) 2006-07-26
US20060165243A1 (en) 2006-07-27
EP1684492A3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583B1 (ko) 무선 헤드셋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U2009342798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hearing aid
US20020039424A1 (en)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udio player, and headphone
KR101122767B1 (ko)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100713474B1 (ko) 휴대단말기와 헤드셋간에 정보 송수신 방법
JP2002009918A (ja) 送受話装置および受話装置
KR200247585Y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핸즈프리장치
JP2006174290A (ja)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制御方法、携帯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100594017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잠금기능 구현방법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65493A (ja) 携帯電話と補聴器との間で近接場通信(nfc)を確立する方法,nfc利用可能補聴器およびnfc利用可能携帯電話
KR200301204Y1 (ko) 충전크레들을 이용한 무선통신장치
KR20040058655A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194803Y1 (ko) 무선 헤드셋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EP1154628B1 (en) Signalizing an incoming call from a mobile phone to a portable stereo set
JP438335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20001345A (ko) 수신감도 표시방법
KR20060061679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다용도 무선 이어폰 장치 및 방법
KR200187431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JPH09321843A (ja) 携帯電話機着信信号報知装置
KR200184857Y1 (ko) 핸드폰 호출기능내장형 이어폰 어댑터
KR200164205Y1 (ko) 핸즈프리형 이어마이크폰 휴대장치
KR101348715B1 (ko) 이동통신단말의 착신음 출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