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485A -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485A
KR20060084485A KR1020050005008A KR20050005008A KR20060084485A KR 20060084485 A KR20060084485 A KR 20060084485A KR 1020050005008 A KR1020050005008 A KR 1020050005008A KR 20050005008 A KR20050005008 A KR 20050005008A KR 20060084485 A KR20060084485 A KR 20060084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ixing
bars
sunsha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2106B1 (ko
Inventor
윤상인
Original Assignee
윤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인 filed Critical 윤상인
Priority to KR102005000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1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이 용이한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는, 소정 형태로 벤딩된 복수 개의 차양막 지지바(10)와, 지지바들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20)와, 고정바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건물벽 등에 고정브라켓(30)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바(40), 및 바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메꾸어주는 차양막(50)(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수직으로 된 복수개의 차양막 지지바의 끼움홈에 평판형으로 된 차양막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끼우는 단계와, 차양막이 끼워진 지지바들의 양단부를 고정바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차양막의 상하측 가장자리를 고정바의 끼움홈에 각각 삽입한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지지바의 양단부를 고정바에 고정하는 단계와, 고정바에 지지바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벤딩기를 이용하여 지지바 및 차양막을 소정 형태로 벤딩하는 단계와, 두 개의 수직바를 직교되게 결합하여 측면바를 형성하고 두 수직바의 끼움홈에 차양막을 끼우는 단계와, 차양막이 끼워진 측면바를 고정바의 양단부에 커넥터를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측면바에 고정브라켓을 고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지지바, 고정바, 고정브라켓, 측면바, 차양막, 커넥터

Description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Sunsha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에 지지바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에 차양막을 끼운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를 고정바에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를 제조공정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차양장치 10 : 지지바
20 : 고정바 30 : 고정브라켓
40 : 측면바 50, 50′: 차양막
60 : 리벳 70 : 커넥터
본 발명은 건물벽 등에 설치되어 햇빛, 눈, 비 등을 차단하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 및 조립설치가 간편한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장치는 일반주택이나 상업용 건물벽, 건물의 출입구 및 버스 승강장 등에 설치되어 햇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하거나 건물내부가 인접거리에서 보여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그 설계에 있어서 여러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사람들의 눈을 즐겁게 하는 외관을 가져야 함은 물론, 실외에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바람이나 그 밖의 열악한 기후 조건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져야 하며,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해야 한다.
종래의 차양장치는 철근이나 알루미늄 재질의 바를 임의의 형태로 절단하여 골조를 형성하고, 그 위에 캔버스지, 비닐지 혹은 나일론으로 피복한 천 등의 직물제 커버를 덮어 씌운 다음 끈 등으로 결속하거나 스크류 등을 이용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양장치는 철근이나 알루미늄 프레임을 임의로 절단하고 용접작업에 의해 골조를 제작하거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기구를 이용해 골조를 조립하고, 커버를 끈 등으로 결속해야 하는 등 작업이 번거로워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문공장에서 제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부품들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 치하는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용접이나, 재봉 등의 제작작업에 신뢰성이 좌우되고 조립 및 설치작업이 어려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양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양장치를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23581호에 ‘차양장치’라는 명칭으로 출원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차양장치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재로 압출성형한 다음 소정형상으로 벤딩한 다수개의 프레임을 사출성형품인 커넥터로 소정형상의 골조를 형성하고, 이 골조에 차양막을 끼운 다음 조임부재를 통해 조여줌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의 차양장치의 경우, 조립하는 과정에서 용접이나 재봉 등의 작업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구성부품 수가 많기 때문에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반이 용이한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소정 형태로 벤딩된 복수 개의 차양막 지지바와, 지지바들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와, 고정바의 양단부에 각각 커넥터를 매개로 결합되며 건물벽 등에 고정브라켓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바, 및 바들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에 그 가장자리가 끼우져 바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메꾸어주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지지바의 양단부는 고정바의 끼움홈중 소정위치에서 확장된 고정홈에 끼워져 리벳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측면바는, 일단이 고정바의 양단부에 각각 커넥터를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이 서로 직교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는, 수직으로 된 복수개의 차양막 지지바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평판형으로 된 차양막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끼우는 단계와, 차양막이 끼워진 지지바들의 양단부를 고정바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차양막의 상하측 가장자리를 고정바의 끼움홈에 각각 삽입한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지지바의 양단부를 고정바에 고정하는 단계와, 고정바에 지지바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벤딩기를 이용하여 지지바 및 차양막을 소정 형태로 벤딩하는 단계와, 두 개의 수직바를 직교되게 결합하여 측면바를 형성하고 두 수직바의 끼움홈에 차양막을 끼우는 단계와, 차양막이 끼워진 측면바를 고정바의 양단부에 커넥터를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측면바에 고정브라켓을 고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바에 지지바를 결합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바에 차양막을 끼운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바를 고정바에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1)는,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라운딩되게 벤딩된 복수 개의 차양막 지지바(10)와, 지지바(10)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20)와, 고정바(20)의 양단부에 커넥터(70)를 매개로 결합되며 건물벽 등에 고정브라켓(30) 등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바(40), 및 바들(10)(20)(4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10a)(10b)(20a)(41a)에 그 가장자리가 끼워져 바들(10)(20)(4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메꾸어주는 차양막(50)(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차양막 지지바(10)는 전체적으로 라운딩되게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두고 이격되어 차양막(50)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부와 배면부에 차양막(50)(50′)의 가장자리가 각각 끼워지는 끼움홈(10a)(10b)이 각 각 형성된다.
이 때, 지지바(10)는 수직으로 된 바로 일차 성형된 후 그 양측부의 끼움홈에 평판으로 된 차양막이 끼워진 다음 벤딩기에 의해 차양막과 더불어 벤딩된다.
전술한 고정바(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의 단부 및 차양막(50)의 후단이 끼워지는 끼움홈(20a)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끼움홈(20a)의 소정위치에는 지지바(10)의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끼움홈(20a)보다 넓이가 넓게 확장된 고정홈(20b)이 형성된다. 지지바(10)의 양단부는 고정홈(20b)에 삽입된 후 리벳(6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된다.
전술한 측면바(40)는 일단이 고정바(20)의 양단부에 커넥터(70)를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이 서로 직교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수직바(41)로 이루어진다.
이 때, 측면바(40)의 각 수직바(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그 사면에는 차양막(5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끼움홈(41a)이 각각 길게 형성된다.
커넥터(70)는 수직바(41)의 일단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사면에는 수직바(41)의 사면에 끼움홈(41a)을 형성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1b)가 삽입되는 돌출부 삽입홈(70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커넥터(70)의 내측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며 폐쇄된 상면에는 고정바(20)의 양단부에 형성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홀(미도시)에 각각 삽입되어 수직바(41)의 회전을 방지하는 한 쌍의 회전방지돌기(71)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폐쇄된 상면 중심에는 커넥터(70)를 고정바(20)의 양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관통되는 나사 관통홀(70b)이 형성된다. 한편, 커넥터(70)는 수직바(41)의 일단에 삽입된 후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전술한 차양막(50)(50′)은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으로, 차양막(50)(50′)중 지지바(10)에 의해 지지되는 차양막(50)은 지지바(10)와 마찬가지로 벤딩기를 이용해 지지바(10)와 함께 라운딩되게 벤딩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80은 한 쌍의 고정바(20)중 상측 고정바(20)에 설치되어 상측 고정바(20)를 건물벽에 고정하기 위한 ㄱ자형 앵글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를 조립하는 공정을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된 복수 개의 지지바(10)와 평판형으로 된 복수 개의 차양막(50)을 각각 배열한 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의 양측부에 형성된 끼움홈(10a)에 차양막(50)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끼운다.
그리고 나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의 양단부를 고정바(20)의 고정홈(20b)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차양막(50)의 전후단 가장자리는 고정바(20)의 끼움홈(20a)에 각각 끼운 후, 리벳(60)을 이용하여 지지바(10)의 양단부를 고정바(20)에 견고히 고정한다.
이처럼, 지지바(10), 차양막(50) 및 고정바(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벤딩기를 이용하여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0) 및 차양막(50)을 라운딩되게 벤딩한다.
한편, 지지바(10), 차양막(50) 및 고정바(20)의 조립과는 별도로 한 쌍의 수직바(41)를 서로 직교되게 결합하여 측면바(40)를 조립한다.
위와 같은 조립공정은 제작공장에서 행해지게 되며, 지지바(10), 차양막(50) 및 고정바(20)를 서로 조립한 조립물과, 측면바(40) 등은 차량에 적재하여 설치장소로 운반하게 된다.
설치장소로 조립물들이 운반되면, 상측 고정바(20)의 내면에 고정바(20)를 건물벽에 고정하기 위한 ㄱ자형 앵글(80)을 고정하고, 측면바(40)에 측면바(40)를 건물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30)을 나사를 이용해 고정한다.
또한, 커넥터(70)의 회전방지돌기(71)를 고정바(20)의 양단부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각각 삽입한 후 나사를 이용해 커넥터(70)를 고정바(20)의 양단부에 견고히 고정하고, 커넥터(70)를 측면바(40)의 각 수직바(41) 단부에 각각 끼운 다음 나사를 이용해 커넥터(70)와 수직바(41)를 서로 견고히 고정한다.
이처럼, 설치장소에서의 추가적인 조립공정이 모두 완료되면, ㄱ자형 앵글(80) 및 고정브라켓(30)을 건물벽에 맞대고 고정볼트 등을 이용해 고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양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지지바, 차양막 및 고정바를 일차적으로 측면바와 별도로 조립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지지바, 차양막 및 고정바를 조립한 일차 조립물과 측면바를 각각 운반한 후 설치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지지바, 차양막 및 고정바를 조립한 상태에서 지지바와 차양막을 소정형태로 벤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지지바와 차양막을 각각 벤딩하는 것에 비해 제작공정이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 사용되었던 다수개의 연결프레임 대신 하나의 고정바를 이용하고 있고, 복수개의 너트부재 및 볼트 대신 리벳으로 지지바를 고정바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구성부품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제작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4)

  1. 건물벽 등에 설치되어 햇빛이나 눈, 비 등을 차단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소정 형태로 벤딩된 복수 개의 차양막 지지바;
    상기 지지바들의 양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바;
    상기 고정바의 양단부에 각각 커넥터를 매개로 결합되며 건물벽 등에 고정브라켓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바; 및
    상기 바들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에 그 가장자리가 끼우져 바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메꾸어주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는 상기 고정바의 끼움홈중 소정위치에서 확장된 고정홈에 끼워져 리벳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바는, 일단이 상기 고정바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커넥터를 매개로 결합되며 타단이 서로 직교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4. 수직으로 된 복수개의 차양막 지지바 양측에 형성된 끼움홈에 평판형으로 된 차양막의 양측 가장자리를 각각 끼우는 단계;
    상기 차양막이 끼워진 상기 지지바들의 양단부를 고정바의 고정홈에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차양막의 상하측 가장자리를 상기 고정바의 끼움홈에 각각 삽입한 후 체결부재를 이용해 상기 지지바의 양단부를 상기 고정바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바에 지지바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벤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바 및 차양막을 소정 형태로 벤딩하는 단계;
    두 개의 수직바를 직교되게 결합하여 측면바를 형성하고, 두 수직바의 끼움홈에 차양막을 끼우는 단계;
    차양막이 끼워진 측면바를 상기 고정바의 양단부에 커넥터를 이용하여 각각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측면바에 고정브라켓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장치 제조방법.
KR1020050005008A 2005-01-19 2005-01-19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62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08A KR100662106B1 (ko) 2005-01-19 2005-01-19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008A KR100662106B1 (ko) 2005-01-19 2005-01-19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485A true KR20060084485A (ko) 2006-07-24
KR100662106B1 KR100662106B1 (ko) 2006-12-28

Family

ID=3717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008A KR100662106B1 (ko) 2005-01-19 2005-01-19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21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689B1 (ko) * 2013-01-14 2013-09-03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101367660B1 (ko) * 2013-04-19 2014-02-28 박경식 차양시스템용 차양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689B1 (ko) * 2013-01-14 2013-09-03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101367660B1 (ko) * 2013-04-19 2014-02-28 박경식 차양시스템용 차양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2106B1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562B1 (ko)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차양 시스템
EP2351896B1 (en) Column system and screen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such column systems
WO2017132776A1 (fr) Ombrières modulaires pouvant etre équipées d&#39;un toit retractable, procédés de fabrication, procédés d&#39;assemblage et utilisations correspondantes
KR20140100729A (ko) 구조물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0662106B1 (ko) 차양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4308402A (ja) 簡易構造物
KR101051701B1 (ko) 메쉬망 지지틀을 갖는 메쉬 펜스
KR102094636B1 (ko) 캐노피 결합구조
EP2333194B1 (en) Canopy structure
KR101560353B1 (ko) 커튼 월의 차양장치
KR102102431B1 (ko) 조립식 차양
KR20160031708A (ko)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KR20120003554U (ko) 파이프형 차양용 빗물받이
KR101269488B1 (ko)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KR101887597B1 (ko)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KR20160031705A (ko) 차양시스템
KR101827989B1 (ko) 덮개바 및 차양시스템
KR102095788B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KR101240869B1 (ko) 루버 시공용 브라켓
KR200311189Y1 (ko) 창틀의 방충망레일 조립구조
KR100455604B1 (ko) 차양장치
KR20080074675A (ko) 대형텐트용 천막의 고정구조
EP2345771A2 (en) Mounting of a screen in a screen device
KR100579476B1 (ko) 격자창 문살 고정구.
KR20180089221A (ko) 차양 조립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