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4319A -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4319A
KR20060084319A KR1020050005144A KR20050005144A KR20060084319A KR 20060084319 A KR20060084319 A KR 20060084319A KR 1020050005144 A KR1020050005144 A KR 1020050005144A KR 20050005144 A KR20050005144 A KR 20050005144A KR 20060084319 A KR20060084319 A KR 20060084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tate
service
power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6522B1 (ko
Inventor
노응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52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를 이용하여 서비스 상태를 제어하는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생된 전원제어신호를 제어하는 제1 모듈과, 부팅시 부팅상태정보와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전원상태정보를 상기 제1 모듈로 전송하는 제2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2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부팅상태정보와 전원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전원램프의 출력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범용 입출력 포트, 멀티미디어 서비스, 위성방송 서비스, 셋톱박스

Description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CONTORL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BETWEEN DIFFERENT MODULE USING GENERAL PURPOSE INPUT OUTPUT}
도 1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서비스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모듈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이 서비스 상태인 경우의 타이밍도.
도 5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모듈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이 대기 상태인 경우의 타이밍도.
도 6은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제2 모듈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의 타이밍도.
도 7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모듈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위 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이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의 타이밍도.
도 8은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이 서비스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듈이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의 타이밍도.
도 9는 모듈간 서비스 모드 전환시의 타이밍도.
도 10은 제2 모듈이 대기상태에서 예약 켜짐이 발생한 경우의 타이밍도.
도 11은 제1 모듈(10)의 서비스 모드에서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이 발생한 경우의 타이밍도.
도 12는 도 11에서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을 취소한 경우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 모듈 20 : 제2 모듈
본 발명은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를 이용하여 서비스 상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위성방송 서비스는 각각 독립적인 하드웨 어 모듈이 통합된 셋톱박스(SetTopBox)로부터 제공되어진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Viedo On Demand : VOD), 방송 채널, 홈뷰어(Home Monitoring), 문자메시지 보내기, 생활정보 검색, 긴급호출 메시지 보내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위성방송 서비스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한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박스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1)으로부터 발생되어지는 적외선(Infrared Ray: IR)신호나 셋톱박스의 전면부(Front Panel)에 있는 버튼으로부터 발생되어지는 신호는 셋톱박스내의 마이컴(2)으로 전달되어 코드값으로 변경되어진다. 이와 같이 변경된 코드값은 유에이알티(UART)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 모듈인 제1 모듈(3)로 항상 입력되어지며,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 모듈인 제2 모듈(4)로는 서비스 상태인 경우에만 입력되어진다.
상기 서비스 등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각각의 모듈별 서비스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리모콘이나 셋톱박스에 있는 전원 버튼의 입력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전원 LED는 상기 제1 모듈(3)과 제2 모듈(4)에 공용으로 사용되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 LED를 각 모듈에서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부모듈인 제2 모듈(4)에서는 직접적으로 전원 LED를 제어하지 못하고 주모듈인 상기 제1 모듈(3)에서 만 제어를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듈(4)이 대기 상태(standby state)에 진입한 경우에도 전원 LED의 상태는 액티브 상태(Active state)를 나타내는 녹색을 유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듈(3)과 제2 모듈(4)간 범용 입출력 포트인 GPIO 포트 라인을 연결하여 상기 제1 모듈(3)로부터 제2 모듈(4)로 전원제어신호인 PWR_CTRL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2 모듈(4)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상기 제2 모듈(4)은 유에이알티(UART)를 통해 입력되어지는 전원제어신호는 처리하지 않고 무시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모듈(3)은 상기 제2 모듈(4)이 서비스 모드 상태인 경우 입력받는 전원키 값을 받아 PWR_CTRL GPIO를 통하여 상기 제2 모듈(4)로 전원제어신호인 PWR_CTRL 신호(Low:서비스상태, High:대기상태)를 전달하고 전원 LED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모듈(4)은 상기 제1 모듈(3)로부터 전달되는 PWR_CTRL GPIO의 상태값을 읽어 그 값이 로우(Low)일 경우에는 서비스 상태(Active state)가 되고 하이(High)일 경우에는 대기 상태(Standby state)로 제어된다.
그러나, 상기 제2 모듈(4)은 상기 제1 모듈(3)로부터 전달되는 PWR_CNTL GPIO 상태값에 의해서만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제2 모듈(4)에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액티브 상태가 되어 방송을 내보내는 예약 켜짐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2 모듈(4)이 대기 상태(Standby state)에 있거나 상기 제1 모듈(3)이 서비스 상태에 있을시 예약 시간이 되어도 예약 켜짐이 작동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2 모듈(4)이 예약 켜짐으로 동작하여 자동으로 액티브 상태(Active state)로 변경이 되더라도 PWR_CNTL GPIO 상태값이 대기 상태이면 제2 모듈(4)은 이를 감지하고 곧바로 다시 대기 상태(Standby state)로 진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를 이용하여 서비스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각 모듈의 상태에 따라 주 모듈의 제어를 받는 부 모듈의 예약 켜짐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전원 LED의 출력 상태도 정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생된 전원제어신호를 제어하는 제1 모듈과, 부팅시 부팅상태정보와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전원상태정보를 상기 제1 모듈로 전송하는 제2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2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부팅상태정보와 전원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전원램프의 출력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이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동시에 부팅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이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동시에 부팅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2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이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동시에 부팅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대기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만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2 모듈이 서비스 상태에서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대기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2 모듈의 전원상태정보에 따라 서비스 모듈을 전환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2 모듈의 전원상태정보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서비스 모듈을 상기 제2 모듈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전원램프를 제1 표시값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전원램프를 제2 표시값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2 모듈은 대기상태에서 예약 켜짐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에서 상기 제2 모듈의 예약 켜짐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사용자의 예약 시청 선택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가 예약 시청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서비스 모듈을 상기 제2 모듈로 변경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가 예약 시청을 취소한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제어신호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대기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방법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모듈이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생된 전원제어신호를 제어하는 과정과, 제2 모듈이 부팅시 부팅상태정보와 상기 제1 모듈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전원상태정보를 상기 제1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제2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부팅상태정보와 전원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전원램프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의 서비스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모듈(10)과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20)이 범용 입출력 포트(GPIO)를 통하여 연결되어진다. 즉, 제1 모듈(10)의 A 포트는 제2 모듈(20)의 X 포트와 연결되고, 제1 모듈(10)의 B 포트는 제2 모듈(20)의 Y 포트와 연결되며, 제1 모듈(10)의 C 포트는 제2 모듈(20)의 Z 포트와 연결되어진다.
하기의 표 1은 상기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간에 연결되어지는 범용 입출력 포트(GPIO)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다.
명 칭 설 명
PWR_CTRL 제1모듈에서 제2모듈의 전원을 강제로 온(active)/오프(standby)
BOOT_STAT 제2모듈의 부팅 상태를 제1모듈로 통보 High(1) : 부팅중인 상태, Low(0) : 부팅완료상태
PWR_STAT 제2모듈의 서비스/대기 상태를 제1모듈로 통보 High(1) : 대기상태(standby), Low(0) : 서비스(동작) 상태(active)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모듈(10)에서 제2 모듈(20)로 전송되어지는 PWR_CTRL은 주 모듈인 상기 제1 모듈(10)이 부 모듈인 제2 모듈(20)의 액티브 상태와 대기 상태를 강제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PWR_CTRL 제어신호는 제2 모듈(20)의 전원 자체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신호가 아니라 컴퓨터의 화면보호기능과 같이 모니터의 액티브 상태/대기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모듈(10)은 BOOT_STAT와 PWR_STAT와 달리 PWR_CTRL을 통하여 전원 상태를 보내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2 모듈(20)은 PWR_CTR 신호의 상태가 변경될 시에 전원 신호를 수신한 것으로 처리한다. 즉 제2 모듈(20)은 PWR_CTRL의 값이 0 -> 1 또는 1-> 0 으로 변경될 때마다 전원 신호를 받은 것으로 처리한다. 단, 제2 모듈(20)은 PWR_CTRL의 상태가 변경될 때에 바로 전원 신호를 처리하지 않고 일시적인 H/W Noise에 대비하여 200ms 후에 PWR_CTRL의 값을 다시 검사하여 변경된 값이 그대로 유지된 상태인 경우 전원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처리한다.
PWR_CTRL을 통하여 전원 신호를 받은 제2 모듈(20)의 드라이버에서는 키 처리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원 상태 변경을 통보하게 되며, 키 처리 태스크(Key Process Task)는 제2 모듈(20)이 변경되어야 할 상태(액티브 상태/대기 상태)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키 처리 태스크(Key Process Task)는 제2 모듈(20)의 전원 상태에 대한 처리를 하면서 제2 모듈(20)의 GPIO Z 포트인 PWR_STAT의 상태를 변경된 전원 상태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모듈(10)은 제2 모듈(2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PWR_STAT의 상태를 통해 제2 모듈(20)의 전원 상태를 감지하여 하기의 표 2와 같이 전원 LED의 출력 상태를 관리하게 된다.
제1 모듈 제2 모듈 전원 LED 출력상태
대기상태 대기상태 적색
액티브상태 대기상태 녹색
대기상태 액티브상태 녹색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이 모두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모듈(10)은 전원 LED의 출력상태가 적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며, 상기 제1 모듈(10)이 액티브 상태이고 제2 모듈(20)이 대기 상태이거나, 상기 제1 모듈(10)이 대기 상태이고 제2 모듈(20)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 LED의 출력상태가 녹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시청중인 서비스에서 전원 차단(Power Off)이 된 후 다시 전원 공급(Power On)이 될 경우 이전에 시청 중이였던 서비스 상태로 보여져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부팅 후의 서비스 모드 선택에 대한 내용은 상기 제1 모듈(10)에 저장되어지며, 제2 모듈(20)은 자신이 이전에 액티브 상태였는지 대기 상태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내용을 저장하게 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시간에 따른 GPIO 포트의 시그널 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GPIO 포트의 시그널 상태를 보여준다.
먼저, 예약 켜짐 기능으로 인하여 제1 모듈(10)에서 제2 모듈(20)의 전원 제어와 그 결과인 전원 LED 출력상태에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동작되어야 할 세부 동작을 기술한다.
도 4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모듈(10)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20)이 서비스 상태인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시에 부팅이 되고, t2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이 먼저 부팅이 완료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2 모듈(20)이 먼저 부팅이 되어도 본 알고리즘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t3 시점에서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고 제2 모듈(20)은 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어서, t4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면 t초(본 시스템에서는 3초) 후에 BOOT_STAT를 1(Booting 중인 상태)에서 0(Booting 완료된 상태)로 변경한다. 부팅이 완료된 후 곧 바로 BOOT_STAT을 0으로 변경하게 되면 후술하는 예약 켜짐 기능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t초의 여유시간을 두게 된다. 실제적으로 이 시점에서 제1 모듈(10)은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이 실행되는지를 감시하게 된다.
이어서, t5 시점에서 제2 모듈(20)은 키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를 통하여 전달받은 전원 상태(Power Status)를 GPIO Z 포트인 PWR_STAT에 액티브 상태(0)로 변경시킨다.
이어서, t6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 모듈(10)은 PWR_STAT가 0(액티브 상태)이고 BOOT_STAT가 1(Booting 중인 상태)일 때에 PWR_CTRL GPIO 라인의 상태(Status)를 변경시켜 제2 모듈(20)이 대기상태가 되도록 만든다.
이어서, t7 시점에서 제2 모듈(20)은 PWR_CTRL의 상태를 200ms 간격으로 풀링(Polling)하여 그 상태가 변경되면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t8 시점에서 상기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는 GPIO Z 포트인 PWR_STAT의 상태를 1(대기상태)로 변경시키게 된다.
도 5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모듈(10)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20)이 대기 상태인 경우의 타이밍도로서, 이러한 경우는 이전에 제1 모듈(10)이 액티브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중에 전원이 차단되어 전원을 다시 공급받아 시스템이 부팅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시에 부팅이 되어 t2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이 먼저 부팅이 완료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2 모듈(20)이 먼저 부팅이 되어도 본 알고리 즘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t3 시점에서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고 제2 모듈(20)은 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어서, t4 시점에서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면 t초후에 BOOT_STAT를 1(Booting 중인 상태)에서 0(Booting 완료된 상태)로 변경한다. 이 때, 부팅이 완료된 후 곧 바로 BOOT_STAT을 0으로 변경하게 되면 후술하는 예약 켜짐 기능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t초의 여유시간을 두게 된다. 실제적으로 이 시점에서 제1 모듈(10)은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이 실행되는지를 감시하게 된다.
이어서, t5 시점에서 제2 모듈(20)은 키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를 통하여 전달받은 전원 상태(Power Status)를 GPIO Z 포트인 PWR_STAT에 액티브 상태(0)로 변경시킨다.
이어서, t6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서비스 상태가 대기상태로 저장되어 있었으므로 대기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해서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어서, t7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은 GPIO Z 포트인 PWR_STAT에 대기상태(1)로 변경시킨 후 t8 시점에서 대기상태(1)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20)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제2 모듈(20)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1 모듈(10)과 제2 모듈(20)에 전원 이 공급되어 동시에 부팅이 되어 t2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이 먼저 부팅이 완료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제2 모듈(20)이 먼저 부팅이 되어도 본 알고리즘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어서, t3 시점에서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고 제2 모듈(20)은 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키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어서, t4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면 t초 후에 BOOT_STAT를 부팅 중인 상태(1)에서 부팅 완료 상태(0)로 변경한다.
이어서, t5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키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는 전원 상태(Power Status)를 표시하는 GPIO Z 포트인 PWR_STAT의 상태를 액티브 상태(0)로 변경시키게 되고 t6 시점에서 액티브 상태(0)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모듈(10)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20)이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의 타이밍도로서, 이러한 경우는 상기 도 5의 설명에서 제1 모듈(10)이 서비스 모드 상태이고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20)이 대기 상태인 경우와 그 동작이 동일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2 모듈(20)이 리셋 신호에 의해 다시 부팅이 되어 부팅이 완료되면 t2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은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키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어서, t3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면 t초후에 BOOT_STAT를 1(Booting 중인 상태)에서 0(Booting 완료된 상태)로 변경한다. 이 때 부팅이 완료된 후 곧 바로 BOOT_STAT을 0으로 변경하게 되면 후술하는 예약 켜짐 기능과 혼동될 수 있으므로 t초의 여유시간을 두게 된다. 실제적으로 이 시점에서 제1 모듈(10)은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이 실행되는지를 감시하게 된다.
이어서, t4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은 키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를 통하여 전달받은 전원 상태(Power Status)를 GPIO Z 포트인 PWR_STAT에 액티브 상태(0)로 변경시킨다.
이어서, t5 시점에서 제1 모듈(10)은 서비스 모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모듈(20)은 대기 상태로 저장된 상태로 부팅이 완료된다. 즉, 상기 제2 모듈(20)은 대기상태가 되기 위해서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다시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t6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는 전원 상태(Power Status)를 표시하는 GPIO Z 포트인 PWR_STAT의 상태를 대기상태(1)로 변경시키게 되며 t7 시점에서 대기상태(1)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위성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모듈(20)이 서비스 모드 상태에서 제2 모듈(20)이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2 모듈(20)만 리셋 신호에 의해 다시 부팅이 되어 t2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t3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은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를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전달한다.
이어서, t4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부팅이 완료되면 t초 후에 BOOT_STAT를 부팅 중인 상태(1)에서 부팅 완료 상태(0)로 변경한다.
이어서, t5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이 액티브 상태에서 다시 부팅을 한 것이므로 상기 제2 모듈(20)의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는 전원 상태(Power Status)를 표시하는 GPIO Z 포트인 PWR_STAT의 상태를 액티브 상태(0)로 변경시키게 되고 t6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은 액티브 상태(0)를 유지하게 된다.
도 9는 모듈간 서비스 모드 전환시의 타이밍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1 모듈(10)은 PWR_CTRL GPIO을 통하여 제2 모듈(20)의 전원 상태를 변경시킨다. 즉, 제1 모듈(10) 서비스 모드에서 서비스 모드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나, 제2 모듈(20) 서비스 모드에서 전원 버튼이나 서비스 모드 전환 버튼이 눌러진 경우이다.
이에 따라, t2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은 PWR_CTRL GPIO의 신호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전원 키 값을 받은 것으로 처리하여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로 통보한다.
이어서, t3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 는 서비스/대기 상태를 표시하는 GPIO Z 포트인 PWR_STAT의 상태를 액티브 상태(0) 또는 대기상태(1)로 변경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 모듈(10)은 PWR_STAT을 통하여 제2 모듈(20)의 액티브/대기 상태를 파악하여 처리할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제1 모듈(10)이 서비스 모드인 경우, 서비스 전환의 결과로 PWR_STAT가 액티브 상태(0)로 변경될 때는 제1 모듈(10)은 서비스 모드를 제2 모듈(20)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모듈(10)은 PWR_STAT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술한 표 2의 경우에 따라 전원 LED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도 10은 제2 모듈(20)이 대기상태에서 예약 켜짐이 발생한 경우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 시간이 되면 t2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에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가 전달된다.
이어서, t3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가 GPIO Z 포트에 PWR_STAT의 상태를 액티브 상태(0)로 변경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t4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은 상기 제2 모듈(20)의 PWR_STAT가 액티브 상태(0)이고 BOOT_STAT가 부팅 완료 상태(0)일 때에는 PWR_CTRL GPIO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도 11은 제1 모듈(10)의 서비스 모드에서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이 발생한 경우의 타이밍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을 취소한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 시간이 되면 t2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에 파워키 이벤트(Power Key Event)가 전달된다.
이어서, t3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의 키 프로세스 태스크(Key Process Task)가 GPIO Z 포트에 PWR_STAT의 상태를 액티브 상태(0)로 변경시킨다.
이어서, t4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은 제2 모듈(20)의 PWR_STAT가 액티브 상태(0)이고 BOOT_STAT가 부팅 완료 상태(0)일 때에는 PWR_CTRL GPIO의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이어서, t5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에서 제2 모듈(20)의 예약 켜짐을 알리는 대화박스를 디스플이하게 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기와 같이 2가지의 과정이 진행되어진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t6 시점에서 사용자가 제2 모듈(20)의 시청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t7 시점에서 제1 모듈(10)은 서비스 모드 상태를 제2 모듈(20)로 변경시키게 된다.
그러나,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t6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 시청을 취소하고 계속 제1 모듈(10)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t7 시점에서 상기 제1 모듈(10)은 제2 모듈(20)을 대기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PWR_CTRL의 상태를 변경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t8 시점에서 상기 제2 모듈(20)은 PWR_CTRL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여 대기상태(1)로 변경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 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독립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간 범용 입출력 포트(GPIO)를 이용하여 서비스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각 모듈간 서비스 전환시 동작이나 주 모듈의 제어를 받는 부 모듈의 예약 켜짐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른 전원 LED의 출력 상태도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Claims (15)

  1.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생된 전원제어신호를 제어하는 제1 모듈과,
    부팅시 부팅상태정보와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전원상태정보를 상기 제1 모듈로 전송하는 제2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2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부팅상태정보와 전원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전원램프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이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동시에 부팅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이 대기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동시에 부팅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이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동시에 부팅이 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대기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이고 상기 제2 모듈만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이 서비스 상태에서 리셋되어 재부팅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 은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대기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2 모듈의 전원상태정보에 따라 서비스 모듈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2 모듈의 전원상태정보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서비스 모듈을 상기 제2 모듈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이 대기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전원램프를 제1 표시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과 제2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모듈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전원램프를 제2 표시값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대기상태에서 예약 켜짐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액티브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이 서비스 상태에서 상기 제2 모듈의 예약 켜짐 신호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사용자의 예약 시청 선택 여부에 따라 서비스 모듈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예약 시청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모듈은 서비스 모듈을 상 기 제2 모듈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예약 시청을 취소한 경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1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제어신호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전원상태정보를 대기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시스템.
  15.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듈이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발생된 전원제어신호를 제어하는 과정과,
    제2 모듈이 부팅시 부팅상태정보와 상기 제1 모듈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전원상태정보를 상기 제1 모듈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제2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부팅상태정보와 전원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전원램프의 출력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 방법.
KR1020050005144A 2005-01-19 2005-01-19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144A KR100656522B1 (ko) 2005-01-19 2005-01-19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144A KR100656522B1 (ko) 2005-01-19 2005-01-19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319A true KR20060084319A (ko) 2006-07-24
KR100656522B1 KR100656522B1 (ko) 2006-12-11

Family

ID=3717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144A KR100656522B1 (ko) 2005-01-19 2005-01-19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26B1 (ko) * 2006-08-30 2014-02-04 에이저 시스템즈 엘엘시 포트를 활성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이하는 방법, 통신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26B1 (ko) * 2006-08-30 2014-02-04 에이저 시스템즈 엘엘시 포트를 활성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전이하는 방법, 통신장치에서 이용하기 위한 장치 및 데이터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6522B1 (ko) 2006-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19423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CN1893327B (zh) 数字广播接收装置及其动作控制方法
CN1157946C (zh) 由设备和外部设备构成的系统
EP1493272A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switching to an interactive application mode from a television program mode
US20110187698A1 (en) Power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apparatus
KR100656522B1 (ko) 범용 입출력 포트를 이용한 이기종 모듈간 서비스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4579766B2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101410507B1 (ko)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JPH077679A (ja) 映像信号切換装置
KR20060101674A (ko) 단일 리모콘을 통한 dtv stb와 ready tv의제어 방법
KR19980051050A (ko) 리모콘 멀티 제어방법
KR100249238B1 (ko) 텔레비전의 예약 켜짐 제어 방법
KR20120126775A (ko) 다중 대기모드를 갖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200152803Y1 (ko) 예약 녹화시의 케이블 티브이 콘버터 파워 제어회로
JP2002041329A (ja) 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JP4082927B2 (ja) 放送受信装置
JP2714813B2 (ja) Catvシステムの端末制御装置
KR19990025327A (ko) 모니터 제어 장치를 갖는 컴퓨터
KR0126264B1 (ko) 텔레비젼 수상기
KR100246758B1 (ko) 바로k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CN114679556A (zh) 全球多制式合一智能系统电视
JPH0440091A (ja) Catvシステムの端末制御装置
KR20080064670A (ko) 텔레비전의 간이 전원 오프 장치 및 그 방법
JPH04246994A (ja) 自動映像割り込みユニット
JPH05219504A (ja) 緊急放送対応catv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