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069A -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069A
KR20060081069A KR1020050001464A KR20050001464A KR20060081069A KR 20060081069 A KR20060081069 A KR 20060081069A KR 1020050001464 A KR1020050001464 A KR 1020050001464A KR 20050001464 A KR20050001464 A KR 20050001464A KR 20060081069 A KR20060081069 A KR 2006008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ater
image panel
imag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633B1 (ko
Inventor
손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싸이텍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싸이텍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싸이텍연구소
Priority to KR1020050001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633B1/ko
Priority to US11/813,564 priority patent/US7817337B2/en
Priority to PCT/KR2006/000066 priority patent/WO2006073286A1/en
Publication of KR2006008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08Perforated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광학엔진으로부터 투사되는 투사영상을 반사 및/또는 투과시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영상 패널은, 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1 기재, 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2 기재,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대향하는 테두리부에 상호 접합하여 소정의 셀을 형성하고, 제 1 기재와 제 2 기재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밀봉하는 밀봉재 및 셀 내에 주입되고, 투명 및/또는 반투명 상태에서 투사영상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매체를 포함하고, 확산 매체가,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은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는 광 개시제 및 용매가 소정 비율로 혼합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 접합 영상 패널; 확산 매체

Description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SCREEN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 은 종래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 중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라 렌즈형 스크린의 단면도.
도 3 은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또 다른 실시례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을 적용한 프로젝션 TV 조립체의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을 적용한 프로젝션 모니터 조립체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접합 영상 패널 2 : 반사거울
3 : 영상광학엔진 4 : 렌즈부
5 : 냉각수단 6 : 회로기판
10 : 전위요소 20 : 후위요소
20a : 보호층 20b : 전반사층
20c : 반반사층 20d : 접착층
30 : 밀봉재 40 : 확산 매체
50 : 체적홀로그램 60 : 글라스 비드
70 : 글라스 비드 보호층 80 : 알루미늄 증착층
90 : 접착층 100 : 기재
110 : 프레넬 렌즈 120 : 렌티큘라 렌즈
130 : 확산재 200: 입사광선
300 : 반사광선 400: 투사광선
본 발명은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1) 투명 상태의 패널 위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이 공중에 떠 있는 것과 같은 효과, 즉 홀로그래픽(holographic) 효과를 구현하고, 2) 입사된 빛 중 일부는 투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하는 패널 위에 영상을 투사하여 전방과 후방 양 방향에서 상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3) 입사된 빛의 대부분을 반사하는 반사형 패널 위에 영상을 투사하여 전방에서 상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사된 영상을 시청공간으로 투사하는 종래의 스크린은 대표적으로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투사하는 전방 투사형 스크린,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후방 투사형 스크린 및 홀로그래픽 스크린이 사용되었다. 각각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전방 투사형 스크린은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은 스크린의 전면에서 투사된 입사광(200)이 스크린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반사광(300)의 형태로 되돌아오는 화상을 시청하도록 설계되었다. 통상적으로, 상기 스크린으로는 백색의 천, 필름 및 아크릴 등의 기재(100)를 사용하게 되는데, 스크린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재의 표면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재 표면에 미세한 흠집을 내거나, 글라스 비드(60)와 같은 미세한 입자들을 코팅하거나, 알루미늄 코팅(80)을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미설명 부호 70 은 글라스 비드 보호층을 나타내고, 90 은 접착층을 나타낸다.
그러나,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경우 상기와 같이 기재 표면을 가공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외부의 자극에 의해 흠집이 생기기 쉬우며, 스크린을 세척하거나 관리 하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시야각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종래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종래의 후방 투사형 스크린 중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라 렌즈형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프레넬 렌즈 및 렌티큘라 렌즈형 스크린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투사형 스크린은 스크린의 후방에서 투사되는 화상을 투과하여 시청공간으로 투사시키는 형태로 설계되었다. 간단한 후방 투사형 스크린은 투명 필름이나 투명 아크릴의 표면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방 투사형 스크린과 같이 유리 비드 등의 미세입자를 코팅하거나, 도 2 와 같이 수많은 미세 광학렌즈, 즉 프레넬 렌즈(110, fresnel lens) 및 렌티큘라 렌즈(120, lenticular lens)를 형성시켜 후방 투사형 스크린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가장 좋은 성능을 갖는 후방 투사형 스크린인 광학 렌즈형 스크린, 즉 도 2 의 프레스넬(fresnel) 및 렌티큘라(lenticular) 렌즈형 스크린의 경우 렌즈의 특성상 시야각이 좋지 않아 측면에서 시청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미세한 인쇄기술, 압출기술 및 코팅기술을 필요로 하는 등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도로서,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후방에서 소정 각도로 투사된 입사광(200)은 체적홀로그램(50)을 통과하면서 일정 각도 굴절되어 전방으로 투과되어 투사광(400)이 시청공간으로 투사되게 된다. 이러한 홀 로그래픽 스크린은 전위요소(10)와 후위요소(20) 사이에 체적홀로그램(50)이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투과성 기재의 표면에 부조 홀로그램을 형성시키거나, 투과성 기재 내에 포토폴리머나 중크롬산염화 젤라틴, 할로겐화 은과 같은 층을 형성시킨 후 단파장의 광선(예를 들어 레이저 광선)을 이용하여 특정 방향성을 부여한 체적홀로그램(50)을 형성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대표적 예로는 독일 Pronova사의 Holopro Screen과 일본 DNP사의 Holo Screen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경우 내외부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일정한 방향성을 부여한 체적홀로그램(50)의 특성상 시야각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움으로 인해 가격이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제조 비용과 단순한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작 가능하며 접합 유리 구조로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종류의 확산 매체만으로도 전위요소 및 후위요소를 변경함으로써 전방 투사형, 후방 투사형(홀로그래픽 포함) 및 양방향 영상 패널 등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으며 영상 투사시 시야각이 넓 은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사되는 광(투사 영상)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영상 패널은, 영상광학엔진으로부터 투사되는 투사영상을 반사 및/또는 투과시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접합 영상 패널로서, 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1 기재, 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2 기재,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대향되는 테두리부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상호 밀봉 접합하여 대향되는 제 1 기재, 제 2 기재 및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셀을 형성하는 밀봉재 및 셀 내에 주입되어 투명 및/또는 반투명 상태에서 투사영상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확산 매체는,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고,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으며,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고,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인 광 개시제 및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광(光) 경화하여 생성되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재는 제 1 기재와 제 2 기재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 간재 및 이간재의 상하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접착제로는 폴리비닐 부티랄,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이소부틸렌, 실리콘, 폴리 설파이드 및 저온 용융 유리 페이스트인 프릿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밀봉재로 폴리비닐 부티랄,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이소부틸렌, 실리콘, 폴리 설파이드 및 저온 용융 유리 페이스트인 프릿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용매로는 순수, 유기용제 및 순수와 유기용제의 혼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한다.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의 유도체,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및 폴리메틸비닐에테르의 유도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광 개시제는, 벤조페논,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벤질디메틸케탈,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원,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 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및 비스아크릴포스파인 옥사이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도록 한다. 아울러, 조성물은 중합 반응시의 부피감소를 줄여주는 충진제가 더 혼합될 수 있는데, 이때 충진제는 금, 동, 알루미나, 산화철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초미립자로 이루어지고, 충진제의 농도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가 되도록 한 다. 그리고, 조성물에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향상제를 더 혼합할 수 있으며, 향상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 디메틸 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 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 메톡시실란,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케톡시실란, 비스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향상제의 농도가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5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또한, 조성물에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특성 열화를 감소시키는 산화방지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확산 매체에 대해서 0.01 내지 5 중량 % 만큼 더 혼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확산 매체의 동결을 방지하는 유기용제가 더 혼합되고 유기용제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2-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조성물 내에 혼합된 물에 대하여 0.01 내지 60 중량 %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재와 제 2 기재 사이의 간격은 0.1 내지 10 mm가 되도록 하며, 제 1 기재 및 제 2 기재 중 어느 하나의 외부 표면에는, 주변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처리,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빛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 정전기의 발생을 제거하는 대전 방지 처리, 밝기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처리 및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선택적 흡수 처리를 포함하는 기능성 표면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합 영상 패널은, 제 2 기재의 일면으로, 가시광선 반사율이 80% 이상인 전반사층 및 전반사층을 덮 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거나, 제 2 기재의 일면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선 중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반반사층 및 반반사층을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보호층은 투명 필름 형태 또는 코팅막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영상 패널 제조 방법은, 영상광학엔진으로부터 투사되는 투사영상을 반사 및/또는 투과시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접합 영상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1 기재와 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2 기재의 상호 대향하는 테두리부를 밀봉재로 접합하여 소정의 셀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은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는 광 개시제 및 용매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여 확산 매체용 조성물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확산 매체용 조성물을 셀에 주입하고 셀을 완전 밀봉하는 제 3 단계 및 셀을 자외선, 전자빔 및/또는 가시광선에 소정 시간 동안 노광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단계와 제 2 단계가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산 매체는, 투명 및/또는 반투명 상태에서 투사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매체로서, 소정의 조성물에 자외선, 전자빔 및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광을 소정 시간 동안 조 사하여 광 경화로 생성되며, 조성물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의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의 유도체,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및 폴리메틸비닐에테르의 유도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 중량 %의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의 용매 및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의 벤조페논,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벤질디메틸케탈,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원,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 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및 비스아크릴포스파인 옥사이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 개시제로 이루어지고, 광 개시제가 광이 조사되면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도로서,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 이, 본 발명에 따른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은, 전위요소(10) 및 후위요소(20)로 구성되는 기재(a pair of substrates) 사이에 투과형 확산 매체(40, transmissive diffusing medium)가 주입되고, 상기 전위요소와 후위요소가 밀봉재(30)에 의해 기재 간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밀봉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투과형 확산 매체(40)는 전위요소(10)와 후위요소(20)로 이루어진 한쌍의 기재에 의해 에워 싸여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투과형 확산 매체가 한쌍의 밀봉재에 의해 이루어진 셀(cell) 내에 채워져 밀봉되게 된다. 이때, 전위요소(10)와 후위요소(20)는 적어도 한 부분이 투명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한다. 투과형 확산 매체(40)가 채워지는 한쌍의 기재 사이의 간격은 제한이 없으며,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mm로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위요소(10)와 후위요소(20)로 이루어진 기재는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및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를 사용할 경우, 일반 투명 유리, 반투명 유리, 에칭 유리, 채색 유리, 강화 유리, 접합 유리, 망입유리, 열선 흡수 유리, 반사 유리, 자외선 흡수 유리, 금속 코팅 유리 또는 거울 유리 등 다양한 형태의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을 사용할 경우, 투명 또는 반투명한 아크릴 수지판(acrylic resin),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판(poly carbonate) 뿐만 아니라 일반 펫트 필름(PET film), 열선 차단 필름, 자외선 차단 필름, 금속 코팅 필름(metal coated film), 사란 필름(Saran film made by Dow Product) 또는 에이클라 필름(Aclar film made by Allied Product)과 같은 특수 필 름 등 제한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위요소(10)와 후위요소(20)로 이루어진 한쌍의 기재 중 한쪽면의 기재는 1 겹 이상의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여러 겹의 기재를 중첩하여 사용하거나 접합 영상 패널의 셀을 구성하는 기재의 외부 표면에 기능성 표면 처리(functional surface treatments)를 할 수 있다. 기능성 표면 처리로는, 주변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처리(non-glare treatment),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빛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anti-reflection treatment), 정전기의 발생을 제거하는 대전 방지 처리(anti-static treatment), 밝기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처리(prism treatment) 및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선택적 흡수 처리(selective absorption treatment)를 포함한다. 또한,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표면에 상기의 기능성 코팅(functional coatings)을 하거나 기능성 필름(functional films)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재(30)는 투과형 확산 매체(40)가 기재 사이에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외부 환경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밀봉재(30)로는 일정한 두께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일반 복층 유리 또는 접합유리 제조시 사용되는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이소부틸렌(isobutylene), 실리콘(silicon) 또는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저온 용융 유리 페이스트인 프릿트 (frit)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밀봉재는 수분 경화성, 열 경화성, 광 경화성 등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종류가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영상 패널의 제조 공정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밀봉재(30)를 제 1 기재와 제 2 기재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간재와 이간재의 상하에 도포되는 접착제로 구성하고, 접착제로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이소부틸렌(isobutylene), 실리콘(silicon),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및 저온 용융 유리 페이스트인 프릿트(frit)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또는 반투명의 확산 매체(40, diffusing medium)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water-soluble polymeric material),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light curable hydrophilic monomer), 용매 및 광 개시제(photoinitiator)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광 경화(light cure)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매체로서, 이 매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면서도 투사영상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확산 매체(40)에 사용되는 용매는 순수(purified water), 유기용제(organic solvent) 또는 이의 혼합물(its mixture) 중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용매는 확산 매체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5 중량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3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만일, 0.5 중량 % 이하 또는 35 중량 %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경우 확산 매체의 확산 특성이 부족하게 된다.
또한, 확산 매체(40)에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이 되어야 하며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예를 들면,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 및 그 유도체, 그리고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및 그 유도체 등이 있다.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확산 매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3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만일, 0.5 중량 % 이하 또는 35 중량 %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경우 역시 확산 매체의 확산 특성이 부족하게 된다.
확산 매체(40)에 사용되는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상기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투명 수용액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물에 쉽게 분산하여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친수성이 바람직하며 물에 분산성이 되도록 높은 모노머가 유리하다. 또한, 모노머는 다관능성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다관능성의 모노머를 사용할 경우, 접합 투과형 패널의 기판과의 접착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다관능성 모노머들은 개시제에 의해 고분자화될 때 서로 교차 결합(cross-linking)함으로써 본래의 혼합 조성물의 부피보다 작아지는 부피 감소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접합 영상 패널의 기재(10, 20)와 밀봉재(30)로 이루어진 셀 내에서의 매체가 고분자 반응이 일어나면서 수축이 커져 수축 응력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매체가 셀의 기판과 분리되는 박리현상이 발생하여 접합 영상 패널로서 제품 품질이 저하되므로 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들은 물에 분산성이 있으면서 개시제에 의해 고분자 반응이 진행되는 선택된 친수성 모노머(hydrophilic monomer)들이 사용 가능한데,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하이드록시알킬 에스테르, 즉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ydroxybutyl 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butyl methacrylate) 및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등이 있으며,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확산 매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97.5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만일, 31 중량 % 이하 또는 98.5 중량 % 이상이 사용될 경우 역시 확산 매체의 확산 특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한편, 확산 매체(40)에 사용되는 광 개시제(photo initiator)는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어떠한 광 개시제라도 사용 가능하며, 이러한 광 개시제의 예를 들면 벤조페논(benzophenone), 에틸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ethyl4-(dimethylamino)benzoate), 벤질디메틸케탈(benzyl dimethyl ketal),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원(1-(4-(2-hydroxyethoxy)-phenyl)-2-hydroxy-2-methyl-1-propane-1-one),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원 (2-hydroxy-2-methyl-1-phenyl-propane-1-one), 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비스아크릴포스파인 옥사이드(bisacylphosphine oxide) 등이 있으며, 이 중 선택적으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광 개시제의 농도는 고분 자화될 수 있는 각각의 모노머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대략 0.1 내지 5 중량 %,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 중량 % 가 되도록 한다.
상기의 일정 비율 범위 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용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및 광 개시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도록 자외선 또는 전자빔을 조사함으로써, 상온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투사광을 확산시키는 고분자 물질, 즉 투과형 확산 매체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확산 매체(40)는 충진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데, 충진제는 중합 반응시의 부피감소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진제는 초미립자, 즉 나노미터 사이즈의 미립자로서 가시광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들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금, 동, 알루미나, 산화철 및 실리카 등의 초미립자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초미립자들은 용매에 분산된 졸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충진제의 농도는 전체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확산 매체(40)의 특성 향상, 즉 기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향상제(promoting agent)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3-글리시독시프로필 디메틸 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dimethyl 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 디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methyl diethoxysilane), 3글리시 독시프로필 트리 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케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비스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bis hydroxyethyl methacrylate phosphate)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은 투과형 스크린에서 금속이나 유리와 같은 기재가 사용될 경우 포스페이트(phosphate)와 메톡시(methoxy), 에톡시(ethoxy), 글리독시(glydoxy)와 같은 관능기(functional group)가 기재와 반응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제는 전체 모노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5 중량 %가 바람직하다. 만일, 0.1 중량 % 이하가 사용될 경우 접착력 향상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고, 25 중량 % 이상이 사용될 경우 열 감응 고분자와 모노머에 영향을 주어 분산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확산 매체(40)에는 추가적으로 여러가지 첨가제(additives)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또는 모노머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색소는 접합 투과형 스크린에 컬러 효과를 주거나 외부광을 흡수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모노머의 특성 열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물 또는 모노머에 분산성이 있어야 하고 첨가량은 확산 매체에 대해서 0.01 내지 5 중량 %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산 매체(40)가 물을 함유할 경우, 영상의 온도 뿐만 아니라 영하 의 온도에서 사용될 경우 동결되므로 이를 방지하는 유기용제를 첨가할 수 있다. 유기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2-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로 구성되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알코올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산 매체의 알코올수(alcoholic water)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물질은 동결 방지 뿐만 아니라 일부 확산 매체의 분산성 또는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유기용제의 첨가량은 동결 방지 또는 분산성 향상 등 어떤 기능에 중점을 두는지에 따라 또는 확산 매체의 농도, 상호 친화성 및 각각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확산 매체 내의 물에 대하여 0.01 내지 60 중량 %가 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가 되도록 한다.
도 4 의 접합 영상 패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전위요소(10)와 후위요소(20)로 이루어진 한쌍의 기재와 밀봉재(30)로 셀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형성된 셀의 빈 공간 내에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확산 매체용 조성물을 주입한 후 밀봉시킨다.
밀봉이 끝난 패널을 자외선, 전자빔 또는 가시광선에 일정 시간 동안 노광시키면 셀 내에 있는 투과형 확산 매체용 조성물이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반응이 완료된 패널은 상온에서는 영상을 구현하는 접합된(laminated) 영상 패널이 된다.
이러한 공정으로 제조된 패널에 프로젝터로 영상을 비추게 되면, 투명 상태 의 확산 매체 및 기재가 사용될 경우에는 홀로그래픽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반투명 상태의 확산 매체 및 기재가 사용될 경우에는 후방 투사형의 선명한 투사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조 공정을 기반으로 하여 일부 공정을 가감함으로써 도 5a, 도 5b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또 다른 실시례의 단면도로서, 도 5a 및 도 5b 는 전방 투상형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도로서, 역시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의 단면 중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먼저,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도 5a)의 경우, 후위요소(20) 기재의 한쪽면에, 가시광선을 대부분 반사(가시광선 반사율 약 80% 이상)시키는 전(全)반사층(20b)과 전반사층(20b)을 보호하는 보호층(20a)을 갖는 반사거울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의 또 다른 실시례(도 5b)의 경우, 후위요소(20) 기재의 한쪽면에 가시광선을 대부분 반사시키는 전반사층(20b)이 투명 필름 형태의 보호층(20a)에 형성하고, 전반사층(20b)을 접착층(20d)에 의해 후위요소(20)의 내부 표면에 접착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도 6)의 경우, 후위요소(20)의 기재로서 한쪽면을 반사유리로 형성하게 된다. 즉, 후위요소(20)로 사용되는 유리의 한쪽면에, 입사되는 가시광선 중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반(半)반사층(20c)과 반반사층(20c)을 보호하는 보호층(20a)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전방에서 프로젝터로 영상을 투사하게 되면 전방 및 후방 양쪽에서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 및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을 제조하는 실시례를 제시하면 이하와 같다.
실시례 1(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폴리메틸비닐에테르 188.9 중량부,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55.8 중량부, 광 개시제로 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24 중량부, 순수 211.1 중량부를 균일 혼합 및 분산시킨 조성물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4 mm 두께와 30 cm2 의 맑은 유리(가시광선 투과율 88.6%) 2 장을 두께 1.6 mm의 스페이서 겸 밀봉재로 유리판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셀로 만들고, 상기 셀의 내부 공간에 준비된 상기의 조성물을 주입한 후 주입구를 실리콘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셀을 200W의 자외선 램프에 약 50분간 노광하여 접합 영상 패널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접합 영상 패널은 실내 온도가 24℃ 가량 되는 환경하에 후방에서 빔 프로젝터를 비추었을 때 투명한 패널(transparent panel)의 전면에 영상이 구현되면서 마치 공중에 떠 있는 듯한 홀로그래픽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180°의 시야각을 나타내었다.
실시례 2(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
4 mm 두께와 30 cm2 의 맑은 유리(가시광선 투과율 88.6%) 1 장, 6 mm 두께와 30 cm2 의 반사유리(가시광선 투과율 41%, 반사율 15%) 1 장을 두께 1.6 mm의 스페이서 겸 밀봉재로 유리판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셀로 만들고, 상기 셀의 내부 공간에 실시례 1과 같은 조성물을 주입한 후 주입구를 실리콘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셀을 200W의 자외선 램프에 약 50분간 노광하여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은 실내 온도가 24℃ 가량 되는 환경하에 후방에서 빔 프로젝터를 비추었을 때 패널의 전면과 후면 양쪽 모두에서 영상이 구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례 3(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
4 mm 두께와 30 cm2 의 맑은 유리(가시광선 투과율 88.6%) 1 장, 5 mm 두께와 30 cm2 의 거울유리(가시광선 반사율 94%) 1 장을 두께 1.6 mm의 스페이서 겸 밀 봉재로 유리판 가장자리를 밀봉시켜 셀로 만들고, 상기 셀의 내부 공간에 실시례 1의 조성물을 주입한 후 주입구를 실리콘으로 밀봉한다. 밀봉된 셀을 200W의 자외선 형광등에 약 50분간 노광하여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은 실내 온도가 24℃ 가량 되는 환경하에 전방에서 빔 프로젝터를 비추었을 때 패널의 전면에서 영상이 구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도 4, 도 5a, 도 5b 및 도 6 의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적용분야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구조를 갖는 접합 영상 패널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 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영상 패널(laminated image panel)을 적용한 영상 투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특히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을 이용하여 프로젝션 TV와 프로젝션 모니터의 스크린으로 응용한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을 적용한 프로젝션 TV 조립체의 구성도이고, 도 8 은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을 적용한 프로젝션 모니터 조립체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을 적용한 프로젝션 TV 및 프로젝션 모니터의 영상 투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회로기판(6)에서 전송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음극선관(CRT), 액정(LCD) 또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DMD) 칩으로 구성된 영상광학엔진(3)에서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영상광학엔진(3)에서 구현된 영상은 렌즈부(4)를 통해 반사거울(2)로 투사된다.
반사거울(2)에 의해 반사된 영상은 접합 영상 패널(1)의 후면으로 투사되고, 접합 영상 패널이 후방 투사형 접합 영상 패널이므로 투사된 영상은 접합 영상 패널(1)을 투과하여 전면에서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접합 영상 패널(1)의 후면에 선택적으로 프레넬 렌즈 시트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영상 패널의 전체 면적에 더욱 고르게 영상이 투사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영상광학엔진(3)은 많은 열을 발생하게 되므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5)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은 전방 투사형, 후방 투사형 및 양방향의 접합 영상 패널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은,
첫째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둘째로, 접합 유리 구조를 통해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셋째로, 전위요소 및 후위요소를 변경함으로써 한 종류의 확산 매체만으로도 전방 투사형, 후방 투사형(홀로그래픽 포함) 및 양방향 접합 영상 패널 등 다양한 형태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고,
넷째로, 영상 투사시 시야각이 넓은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투사 영상 스크린 뿐만 아니라 유리 문, 사무실 칸막이, 쇼 윈도우와 같은 미적 디자인 및 광고분야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어 응용의 폭이 넓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8)

  1. 영상광학엔진으로부터 투사되는 투사영상을 반사 및/또는 투과시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접합 영상 패널로서,
    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1 기재;
    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2 기재;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의 대향되는 테두리부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면서 상호 밀봉 접합하여 대향되는 제 1 기재, 제 2 기재 및 테두리부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셀을 형성하는 밀봉재; 및
    상기 셀 내에 주입되어 투명 및/또는 반투명 상태에서 상기 투사영상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확산 매체는,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고,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으며,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고,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인 광 개시제; 및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광(光) 경화하여 생성되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순수(purified water), 유기용제(organic solvent) 및 상기 순수와 상기 유기용제의 혼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 물질은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 폴리 N-이소프로필 아크릴 아마이드의 유도체, 폴리메틸비닐에테르 및 폴리메틸비닐에테르의 유도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는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h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ydroxybutyl acrylate), 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hydroxybutyl methacrylate) 및 디메틸아크릴아마이드(dimethyl acrylamide)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가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간재 및 상기 이간재의 상하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로는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이소부틸렌(isobutylene), 실리콘(silicon),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및 저온 용융 유리 페이스트인 프릿트(frit)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폴리비닐 부티랄(polyvinyl butyral),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이소부틸렌(isobutylene), 실리콘(silicon), 폴리 설파이드(polysulfide) 및 저온 용융 유리 페이스트인 프릿트(frit)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는 중합 반응시의 부피감소를 줄여주는 충진제가 더 혼합되고, 상기 충진제는 금, 동, 알루미나, 산화철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초미립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제 1 기재 및 상기 제 2 기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향상제(promoting agent)가 더 혼합되고, 상기 향상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 디메틸 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dimethyl 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 디에톡시실란(3-glycidoxypropyl methyl diethoxysilane),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 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 trimethoxysilane),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aminoethylaminopropyl trimethoxysilane), 3-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케톡시실란(3-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비스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bis hydroxyethyl methacrylate phosphate)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특성 열화를 감소시키는 산화방지제 및/또는 자외선 흡수제가 상기 조성물의 전체 용량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 % 만큼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확산 매체의 동결을 방지하는 유기용제가 더 혼합되고,
    상기 유기용제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2-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조성물 내에 혼합된 물에 대하여 0.01 내지 60 중량 %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 사이의 간격이 0.1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 및 상기 제 2 기재 중 어느 하나의 외부 표면에,
    주변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는 눈부심 방지 처리, 조명이나 햇빛에 의한 빛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 방지 처리, 정전기의 발생을 제거하는 대전 방지 처리, 밝기를 향상시키는 프리즘 처리 및 특정 파장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선택적 흡수 처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능성 표면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상 패널이,
    상기 제 2 기재의 일면으로,
    가시광선 반사율이 80% 이상인 전반사층; 및
    상기 전반사층을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상 패널이,
    상기 제 2 기재의 일면으로,
    입사되는 가시광선 중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반반사층; 및
    상기 반반사층을 덮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투명 필름 형태 또는 코팅막 형태 중 선택된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16. 제 1 항의 접합 영상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투사 시스템.
  17. 영상광학엔진으로부터 투사되는 투사영상을 반사 및/또는 투과시켜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접합 영상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1 기재와 후위요소로 이루어진 제 2 기재를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시킨 후, 테두리부를 밀봉재로 접합하여 소정의 셀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고,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과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으며,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고,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인 광 개시제 및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용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조성물을 상기 셀에 주입하고 상기 셀을 완전 밀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조성물에 자외선, 전자빔 및 가시광선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을 소정 시간 동안 조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가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영상 패널 제조 방법.
  18. 투명 및/또는 반투명 상태에서 투사광을 균일하게 확산시키는 확산 매체로서,
    소정의 조성물에 자외선, 전자빔 및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광을 소정 시간 동안 조사하여 광 경화하여 생성되며,
    상기 조성물이,
    물에 용해되어 투명한 용액을 형성하고,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수용성 고분자 물질;
    친수성이고 물에 분산성이 높으며,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1 내지 98.5 중량 %인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고,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인 광 개시제; 및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35 중량 %인 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광 개시제에 광이 조사되면 상기 광 경화형 친수성 모노머와 작용하여 고분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 매체.
KR1020050001464A 2005-01-07 2005-01-07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64A KR100676633B1 (ko) 2005-01-07 2005-01-07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1/813,564 US7817337B2 (en) 2005-01-07 2006-01-06 Screen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06/000066 WO2006073286A1 (en) 2005-01-07 2006-01-06 Screen for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64A KR100676633B1 (ko) 2005-01-07 2005-01-07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069A true KR20060081069A (ko) 2006-07-12
KR100676633B1 KR100676633B1 (ko) 2007-01-31

Family

ID=3664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464A KR100676633B1 (ko) 2005-01-07 2005-01-07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17337B2 (ko)
KR (1) KR100676633B1 (ko)
WO (1) WO20060732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12B1 (ko) * 2005-05-10 2006-11-14 손창민 반사형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6143B1 (ko) * 2007-09-12 2011-05-24 손창민 투명 열 차단 접합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4250B (zh) * 2010-12-15 2014-04-11 Au Optronics Corp 可撓性顯示面板
CN104749870B (zh) * 2013-12-25 2017-07-25 常州亚玛顿股份有限公司 双面投影幕及包含彼的双面投影显示系统
JP2016009150A (ja) * 2014-06-26 2016-01-18 平岡織染株式会社 透過投映スクリーン
JP2016009149A (ja) * 2014-06-26 2016-01-18 平岡織染株式会社 透過投映スクリー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54401A1 (de) * 1980-12-23 1982-03-17 Ludwig Drechsel Projektionsschirm fuer optische zwecke
JPS6238431A (ja) 1985-08-13 1987-02-19 Canon Inc 光変調方法
JPH03200949A (ja) * 1989-10-13 1991-09-02 Sumitomo Chem Co Ltd 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
JPH06201906A (ja) 1992-11-10 1994-07-2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反射体、エンコーダ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07101A (ja) 1993-12-02 1995-08-08 Sumitomo Chem Co Ltd 光拡散性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39420A (ja) 1996-07-19 1998-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US20020171929A1 (en) * 1997-06-30 2002-11-21 Lg Chemical Ltd Methods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lenses
KR100234301B1 (ko) * 1997-12-16 1999-12-15 윤종용 프로젝터용 스크린
EP1152286A4 (en) 1998-12-18 2002-05-15 Mitsubishi Rayon Co REVIEW SCREEN
JP3915339B2 (ja) 1999-09-10 2007-05-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調光ガラス
JP3993980B2 (ja) 1999-12-22 2007-10-17 株式会社きもと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US6660326B2 (en) * 2000-08-04 2003-12-09 Tomoegawa Paper Co. Ltd. Production method for monolayer powder film and production apparatus therefor
JP3699045B2 (ja) 2001-01-15 2005-09-28 株式会社クラレ 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において用いられる前面板、前面板付き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及び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
JP2002214433A (ja) 2001-01-16 2002-07-31 Nitto Denko Corp 光拡散板、光学素子及び液晶表示装置
US6819486B2 (en) 2001-01-17 2004-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jection screen having elongated structures
KR20030012452A (ko) * 2001-08-01 2003-02-12 손창민 열 감응 고분자로 구성되는 필름을 채택한 광 조절구조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0458664B1 (ko) 2002-02-28 2004-12-03 최해용 커브형 고휘도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JP2004034325A (ja) 2002-06-28 2004-02-05 Hitachi Chem Co Ltd 表面凹凸形成方法、それにより得られる光学フィルム及び拡散反射板並びに拡散反射板の製造方法
CN100456128C (zh) 2002-07-11 2009-01-28 索尼公司 图像显示器屏幕、图像显示器屏幕的制造方法和图像显示器
JP2004361923A (ja) 2003-05-15 2004-12-24 Sony Corp 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12B1 (ko) * 2005-05-10 2006-11-14 손창민 반사형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6143B1 (ko) * 2007-09-12 2011-05-24 손창민 투명 열 차단 접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3187A1 (en) 2008-05-29
KR100676633B1 (ko) 2007-01-31
WO2006073286A1 (en) 2006-07-13
US7817337B2 (en)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772B1 (ko) 투과형 스크린
JP5176958B2 (ja) 光拡散層形成用塗布液および光拡散板
JPWO2007004679A1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用スクリーン
US7212339B2 (en) Transmissive screen and rear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KR100676633B1 (ko)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19692A1 (en) Projection screen
TWI270692B (en) Transmitting screen-use light diffusing member
CN113692350B (zh) 具有光聚合物层和pdlc元件的复合玻璃板
JP2006208610A (ja) 透光性基板及び透過型光学部材
JP2007225972A (ja) 光拡散フィルム、光学部材、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ディスプレイ装置
CN114280843A (zh) 背光模组与显示模组
JPS62249134A (ja) 背面投影スクリ−ン
KR100709020B1 (ko)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94455B1 (ko) 투과율 가변형 투명 기재 구조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59529A1 (ja) 映像投影システム
KR20070110173A (ko) 투사 스크린
JP2007293288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用光制御膜積層体、その製造方法、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2012058606A (ja) 視認性向上シート
KR20050000595A (ko) 수직 및 수평으로 광시야각을 갖는 영상표시용 스크린 및이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텔레비전
JP2009157250A (ja) 光制御膜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ション用スクリーン
JP2007316415A (ja) シート状部材、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3270261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背面投写型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
JPH05273655A (ja) ビーズスクリーン
JP2006065185A (ja) 透過型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100646012B1 (ko) 반사형 접합 영상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