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151A -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151A
KR20060080151A KR1020060052496A KR20060052496A KR20060080151A KR 20060080151 A KR20060080151 A KR 20060080151A KR 1020060052496 A KR1020060052496 A KR 1020060052496A KR 20060052496 A KR20060052496 A KR 20060052496A KR 20060080151 A KR20060080151 A KR 20060080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user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7876B1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ublication of KR20060080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특허출원 제 10-2001-0016356호를 분할 출원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으면서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보상 관련 정보를 입수하고,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보상 기준을 충족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해서만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광고 콘테츠가 사용자 정보의 합성을 허용하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전송받은 광고 콘텐츠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합성된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는 광고에 최대한 적게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광고에 대해서는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고 콘텐츠가 자신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으로 해서 광고 콘텐츠에 대한 친숙한 느낌이 배가되며, 광고주 입장에서는 광고 효과가 좋아지게 된다.
광고, 보상, 광고 합성

Description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Method on Managing Advertisement Management Program Providing Reward}
도 1 : 광고 콘텐츠가 제공되는 방식 및 사용자의 컴퓨터의 내부 구성
도 2 :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지시 콘텐츠의 구성
도 3 : 광고 DB의 한 예
도 4: 사용자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 있는 광고를 동일성 판단 후 사용자에게 출력 시켜 주는 과정
도 5 : 광고 지시 콘텐츠가 있는 경우의 작동 방식
도 6 : 오프라인 상태에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광고에 대한 시청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 활용하는 과정
도 7 : 온라인 상태에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광고에 대한 시청각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 활용하는 과정
도 8 : 광고 게재 경쟁 1 유형
도 9 : 광고 게재 경쟁 2 유형
도 10 : 사용자의 광고 정책(policy) DB의 한 예
도 11 :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호 작용의 인식 및 그 자료의 전송
도 12 : 사용자의 광고 선호 정보가 필터의 역할을 하여 광고를 선택하여 사 용자에게 노출시키는 과정
도 13 : 다 채널의 경우 광고 선호 정보에 따른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역할
도 14 : 광고 중개사이트를 이용하여 일반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흐름
도 15 : 광고관리프로그램을 통한 수요자간의 광고 중개
도 16 : 광고관리프로그램 시스템의 실시예
본 발명은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설정한 보상이 제공되지 않았을 때에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지 않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고 제공 방법을 보면, 광고의 참여자 중 컴퓨터 사용자는 자신이 오프라인(예를 들면 TV) 또는 온라인(예를 들면 www.yahoo.co.kr) 상의 광고에 접촉(contact) 또는 노출(exposure) 되고 광고를 인식(recognization)하는데 대해서 보상(compensation or payback)을 받지 못하는 것이 통상이었다. 물론, 광고를 시청 또는 배너를 클릭하면 일정액이 적립되고, 그 적립금이 일정한 액수 이상이 되었을 때 그 적립된 금액을 현금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는 있었으나 그 광고에 노출(exposure)된 데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이 통상이었다. 이 컴퓨터 사용자 또는 광고에 노출된 자에게 돌아가야 할 정당한 보상은 매체를 소유한 자(예를 들면 방송국, www.yahoo.co.kr)에게 돌아갔을 뿐 이었다. 즉, 종래의 기술 수준에서는 TV 광고, 인터넷 상의 광고를 보는데 대해서 광고에 노출된 자에게 보상하는 체계가 없거나, 미비했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에서 컴퓨터 사용자의 데이터와 디지털 콘텐츠의 합성이 미비하여, 컴퓨터 사용자의 데이터가 들어간 광고 등의 콘텐츠는 거의 없었다. 즉, 기존의 광고는 광고 소비자(advertisement consumer : 광고에 노출된 자, 광고를 보고 듣고 느끼는 등의 광고에 대해서 감각하는 자)의 데이터(예를 들면, 이름, 얼굴 사진, 선호도, 취미 등등 광고 소비자에 관계된 각종 자료)가 반영 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광고 등의 콘텐츠 제작자가 만든 콘텐츠가 그대로 광고 소비자에게 도달되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면, TV의 광고는 시청자 개개인의 기호 또는 자료가 반영되어 있지 않으며, www.yahoo.co.kr에 있는 각종의 배너 광고들은 네트워크 접속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주어지고 있다.
또한,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광고 및 디지털 콘텐츠는 사용자개인정보와의 상호 연결성이 미비하여, 컴퓨터 사용자의 요구(need)에 부합하는(customizing) 경우가 거의 없었다. 즉, 기존 광고는 양방향 통신망의 일종인 인터넷의 경우에도 기존 단방향 지상파 방송의 속성을 벗어나지 못한 채 광고 소비자(Advertisement consumer : 광고에 노출된 자, 광고를 보고 듣고 느끼는 등의 광고에 대해서 감각하는 자를 포괄적으로 정의한다)의 데이터(예를 들면, 이름, 얼굴 사진, 선호도, 취미, 직업, 학력, 혼인여부, 성별, 연령, 소비성향 등등 광고 소비자에 관계된 각종 자료)가 반영 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광고 등의 콘텐츠 제작자가 만든 콘텐츠가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도달되는 방식이었다. 예를 들자면 TV 광고는 시청자 개인의 기호 또는 데이터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며 www.yahoo.co.kr에 있는 각종 배너 광고들은 네트워크 접속자의 개인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적이고 일률적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비디오 자료, 테이프 자료, 도서를 포함하는 종이 매체 자료, CD-ROM, DVD 등의 디스크(disk)로 된 자료 등)은 온라인과 연계되지 않은 채 그 콘텐츠의 소비자(contents consumer : 콘텐츠를 보거나, 듣거나, 느끼거나 기타 감각하는 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즉, 이 경우는 보통 불변 정보(invariable information, unchangeable information or untransformable information)도는 불변 콘텐츠(invariable contents, unchangeable contents or untransformable contents)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최신화(update)가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업그레이드(upgrade)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컴퓨터에 내장되며, 사용자로부터 광고 노출에 따른 보상 정책을 입력받고,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보상 정보를 입수하여 보상 정보가 보상 정책에 부합되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켜 주는 방식으로 광고 노출을 관리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광고 콘테츠가 사용자 정보의 합성을 허용하는 형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아 전 송받은 광고 콘텐츠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합성된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해 주는 콘텐츠를 입수받는 사용자 컴퓨터에 내장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관리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전송에 대한 보상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해 주는 콘텐츠를 입수하고, 상기 콘텐츠 중의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건 정보에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건 정보가 부합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 입수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는 상기 서버의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보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상기 광고 프로그램이 입수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받은 광고 콘텐츠에는 사용자 정보의 합성을 허용 하는 형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광고 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전송받은 광고 콘텐츠에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합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합성된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기호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입수 받은 평가 정보를 제3의 가상 공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란 유, 무선 통신망을 가리킨다.
오프라인(offline)은 온라인(online)의 (상대)반대개념으로서 네트워크 상에 접속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
온라인(online)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 터미널(mobile, 지리정보시스템, 통신위성을 이용한 송,수신 장치 등의 위성수신장치등을 포함) 환경을 포괄적으로 정의한다.
광고(advertisement) 콘텐츠란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임의의 콘텐츠로, 텍스트, 그림, 동영상, 배너(banner), 소리(sound), 3D(3 dimension), 홀로그램영상, 가상 현실(virtusl reality)방식으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 및 시각, 후각, 미각, 청각, 촉각 등의 5감에 대한 작용을 디지털 매체로 제공(하는)되는 콘텐츠를 매개 로 감각을 인식하게끔 하는 광고 목적의 임의의 디지털 콘텐츠를 말한다.
오프라인 매체(offline media)란 물질적 형상을 가진 매체로서, 비디오 자료, 테이프 자료, 도서를 포함하는 종이 매체 자료 등과 같은 아날로그(analog) 기록 매체 자료와 플로피 디스크(FDD), 씨디(CD-ROM),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광자기 디스크(MOD), 하드 디스크(HDD), 램(RAM), 롬(ROM), 팩(pack), 포토 매스크(photo mask) 등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로 사용되는 임의의 장치를 말한다.
연동(synchronization)이란 컴퓨터 사용자에게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디지털 콘텐츠가 상호작용(interaction)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가 연결(connection), 결합(synthesis), 병합(composition), 정보의 교환(exchange) 재구성(reorganization) 또는 전송(transfer)하는 과정을 통해 컴퓨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식을 말한다.
컴퓨터 사용자(computer user)란 컴퓨터를 사용하는 자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 컴퓨터란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 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게임기(game machine, 예를 들면 SONY사의 Play Station 등), 디지털 TV 등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된 주기기에 별도로 부착하여 물리적인 통신 단말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보조 장치로서 수치처리장치(NPU)를 내장하고 있는 장치 등, 유선, 무선을 불문하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임의의 기계를 말한다.
내부 기억 장치(inner memory device)란 내부 저장 장치(inner storing device) 와 보조기억장치(Auxiliary Storage Device) 중 읽고 쓰기가 가능한 매체를 포괄적으로 정의한 개념으로서 크게 전, 자기적 기록 방식의 매체, HDD, RAM 또는 ROM과 같은 휘발성, 비휘발성 기억 장치, CD-RW와 같은 광학적기록 방식의 기기 중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 컴퓨터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 (device)를 말한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Advertisement Managing Program)이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으며, 광고를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 ware)를 말한다. 즉,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광고를 DB로 저장하여 조직적으로 광고를 관리한다. 또한, 보상을 관리하는 경우 그 역할에 따라 보상 관리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보상이 매개되는 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보상 관리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상 관리 프로그램은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하는 역할을 포함하며, 각종 보상이 매개되는 과정과 관계되는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정보를 관리하는 경우 그 역할에 따라 정보 관리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정보가 매개되는 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정보 관리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프로그램은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하는 역할을 포함하며, 각종 정보가 매개되는 과정과 관계되는 프로그램이다. 광고 지시 콘텐츠(indicating contents)란 광고콘텐츠로 연결 또는 결합 가능한 일체의 지시자(문자열, 숫자, 그림, 동영상, 파일, 사진이미지 등 시각적으로 보여지고 분별 가능한 일체의 것)를 포괄적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그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가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지시 콘텐츠에 작용(action)을 하면, 광고 콘텐츠를 연결해 주는 콘텐츠를 말한다. 광고 콘텐츠 그 자체도 연결된 다른 콘텐츠가 있을 때 광고 지시 콘텐츠의 역할을 한다. 가령, 특정한 그림이나 배너(banner), 모바일(mobile)의 경우 동영상 지시자를 클릭하면 동영상 광고가 사용자의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된다면, 특정한 그림이나 배너 그 자체는 동영상을 지시하거나 연결해 주는 광고 지시 콘텐츠가 되고, 동영상 광고 그 자체는 통상의 광고 콘텐츠가 되며, 클릭하는 행위는 광고 지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작용이 된다.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계하는 정보가 있는 곳으로 연결하는 하이퍼링크가 결합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는 본질적으로 광고 지시 콘텐츠가 된다.
작용(action)이란 광고 보유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광고 지시 콘텐츠에 대하여 클릭 등을 포함하는 어떤 지정된 행위를 하거나, 광고 보유 사이트에 접속하자 마자 소리, 영상 등의 형식으로 된 광고 콘텐츠가 나오는 경우, 그 사이트, 그 네트워크 상의 웹페이지(web page)나, 네트워크 상의 특정한 가상 공간(cyber space)에 접속하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TV 등이 있을 경우, TV 등을 켜는 행위도 광의의 작용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호작용이라는 용어와 작용이라는 용어를 구별없이 동등한 의미로 사용한다.
상호작용(interaction) 인식(recognization)이란,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가 보거나 듣거나, 움직이거나, 특정한 동작을 취하거나, 특정한 행위를 하는 등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임의의 반응(reaction)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특히, TV, 인터넷 등에서 광고를 틀어 놓기만(play) 하고 광고를 보거나 듣지 않는 것을 가려 내는데 유용하다.
쉐어(share)란 이익을 나눈다는 개념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매개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발생하는 금전적, 비금전적 모든 이익을 본 발명의 실시에 관계하는 참여자 사이에서 분배 또는 보상한다는 의미이다.
대용량 콘텐츠(large size contents)와 소용량 콘텐츠(small size contents)란 콘텐츠를 구성하는 자료(data)의 바이트(byte)수가 상대적으로(relatively) 크거나 작은 콘텐츠를 말한다. 상대적으로 데이터의 크기가 큰 콘텐츠에는 소리, 동영상, 그림, 가상 현실 콘텐츠 등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콘텐츠에는 텍스트(text) 콘텐츠, 문서(document) 콘텐츠, 신호 콘텐츠(signal contents) 등이 있다. 다만, 이들의 절대적인 구분 기준은 없으며, 기술 수준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의된다. 가령, 현재의 ADSL, 광통신 방식에 비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평균 통신 속도가 100배 정도 빨라지면, 현재의 동영상 콘텐츠는 통신 네트워크에 거의 부담을 주지 않으므로 소용량 콘텐츠가 된다.
참여자(participant)란 디지털 콘텐츠를 매개로 하여 콘텐츠가 생산, 유통, 사용되는 일체의 과정에 개입(engaging)되는 일체의 주체(자연인과 법인을 포함한다)를 말한다.
광고 보유 사이트(site)란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광고 콘텐츠를 가지고 있거나, 광고 지시 콘텐츠를 보유하는 사이트를 말한다.
광고보유사이트(site)는 온라인 상에 구축이 가능한 하나 또는 다수의 사이 트로서 광고관리프로그램이 사용자 컴퓨터 내에 생성되어 있는 사용자 자기정보 및 광고 콘텐츠 식별자를 분석하여 광고보유사이트의 로봇과 상호 질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하여야 하는 광고 콘텐츠를 선별, 공급하는 역할 및 본 발명에 수반되는 프로그램등을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 컴퓨터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고 관리 사이트란 특정한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컴퓨터 사용자와 참여자 및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광고 콘텐츠를 포함한 각종 정보를 주고 받고, 보상을 매개하는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 및 컴퓨터 내부에 구성된 관련 DB를 말한다.
광고 콘텐츠 식별자(advertisement contents idenfier)란 특정한 광고 콘텐츠 또는 광고 지시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식별하는데 쓰이며, 그 콘텐츠와 1:1의 대응관계를 형성하는 기호, 문자 또는 이들을 결합한 것 등으로 된 것들을 말하며, 이하 간단히 '식별자'라 한다. 예를 들면,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그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구별하기 위하여 번호나 이름 등이 붙어 있을 경우, 그 번호나 이름 등이 그 광고 콘텐츠와 1:1 대응 관계를 이룬다면 그 번호나 이름 등은 광고 콘텐츠 식별자가 된다. 이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식별 정보(information for identification)라 한다.
콘텐츠 관리 프로그램(contents managing program)이란, 광고를 포함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의 임의의 콘텐츠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확장형이며, 콘텐츠 관리 프로그램이 관리할 수 있는 콘텐츠는 식별자(identifier)가 있는 콘텐츠에 한한다.이식
컴퓨터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체에 실려있는 광고를 자신의 내부 기억 장치에 인스톨 또는 복사의 방식으로 이식 시킨다(11). 이 때, 컴퓨터 사용자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14)이 내장되어 있어, 오프라인 매체로부터 이식되는 광고 콘텐츠(21-)를 조직적으로 내부 기억 장치(15)에 조직적으로 DB화 하여 저장(16)하고 관리한다. 즉,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매개로 하여 오프라인 매체에 실려 있는 광고를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사전에 설정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 내에 광고 콘텐츠를 위치 시킨다. 그리고,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각 광고 콘텐츠에 부여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 식별자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일 때에는 이 식별자 DB 자체는 기억 용량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므로 컴퓨터의 임시 기억 장치(ram) 또는 플레쉬 메모리 등에 상주시킬 수 있다.
컴퓨터 사용자가 모든 종류의 보조기억매체(Auxiliary Storage Media)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공급 또는 전송되는 광고를 사용자 컴퓨터의 내부기억장치에 설치(Install) 또는 복사의 방법으로 이식 시킨다(11).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광고는 사용자의 컴퓨터 내부기억장치(전,자기적 기록방식의 매체 또는 광학적 기록 방식의 매체, 또는 비휘발성 반도체 소자, 유, 무선 통신 단말 장치 중 비휘발성 기억 소자를 내장한 장치 등 컴퓨터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 가능하여 컴퓨터 내부 기억장치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계한 모든 종류의 기기 및 개념을 포괄적으로 정의한다)에 설치되어 있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14)에 의하여 광고 콘텐츠(21)를 내부기억장치에 조직적 DB(특정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필드로 정의된 모든 형태의 파일 형식을 포괄적으로 정의한다) 형식으로 저장(16)하고 관리한다. 광고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보조기억매체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광고가 공급되는 시점 또는 광고가 공급되는 시점 이전 또는 광고가 공급되는 시점 이후에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고관리프로그램은 광고의 설치 또는 이식 과정과 같이 모든 종류의 보조기억매체 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 컴퓨터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된 광고는 광고식별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저장된 광고를 광고식별자를 참조하여 사전에 정의된 계층적 DB 구조로 재 분류하여 저장한다.
광고 콘텐츠 경험 방식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의 외부 컴퓨터(18)에 있는 임의의 콘텐츠에 접속한 경우, 이 때 광고 콘텐츠를 경험하는 경우는 크게 다음의 3가지이다.
첫째는, 동시(at the same time) 경험으로, 그림 광고, 문자 광고 등이 접속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주어지거나, 동영상 광고 등이 접속과 동시에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경우 등이다 즉, 사용자의 별다른 작용 없이 접속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그 광고 콘텐츠가 주어지는 경우이다. 통상의 배너 광고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광고 등이 그 한 예를 이룬다.
둘째는, 이시(at the different time) 경험으로, 사용자가 광고 지시 콘텐츠에 작용했을 때만, 그 광고 지시 콘텐츠가 연결하거나, 내장하고 있는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경우이므로, 광고 콘텐츠의 요구 과정을 거쳐서 광고 콘텐츠를 경험하는 경우이다. 통상의 동영상 콘텐츠의 요구는 이러한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광고 지시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의 식별자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 으며, 이 때는 이 정보를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게 전송해 줄 수 있다.
셋째는, 상시(at all the time in using computer) 경험으로, 광고관리프로그램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가 네트워크 접속 여부와 상관없이 상시 컴퓨터 화면 또는 음성출력장치(스피커 등)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경우이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 컴퓨터 내부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의 컴퓨터 작업 내용 및 네트워크 접속 여부와 상관없이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 동안 상시 주어지게 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의미를 갖는 측면은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광고 콘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네트워크 상의 특정 서버를 광고관리프로그램에 내장된 검색엔진이 자동으로 검색하여 사용자 컴퓨터 DB의 식별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광고의 식별자를 인식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대기시간(idel time)을 분할하여 자동으로 전송 받는 것이다.
식별자의 인식
식별자를 인식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한다.
위의 첫째 경우에는 사용자의 외부 컴퓨터의 콘텐츠에 접속(41)과 동시에 그 사이트에 있는 정보들이 그 사이트의 기술 언어(markup language)의 약속된 방식에 따라 브라우저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게 전송된다(41). 이때,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 중간에서 또는 전부가 전송 된 후에 분석하여(42),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식별자의 정보를 모은다(42). 그리고, 이 정보를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부 기억 장치의 광고 DB와 비교하여 동일성이 있는 광고 콘텐츠를 찾아 낸다. 만약 동일성이 있는 콘텐츠가 있다면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44)해 준다.
위의 첫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공급하는 사이트에 접속(41)함과 동시에 사이트에 있는 콘텐츠가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된다(41). 콘텐츠는 사이트와 사용자 컴퓨터간에 상호 약정된 프로토콜(protocol)과 기술언어(markup language)의 코딩 형식에 따라 웹브라우저 또는 네트워크 터미널용 에뮬레이터(mobile 용 브라우져 포함)를 매개로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전송된다(41).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정보 전송 중간 과정 또는 전송 완료 후에 분석하여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분류 기록한다(42). 그리고, 이정보를 광고 자신이 생성한 내부기억장치의 광고 DB와 비교하여 동일성 있는 광고 콘텐츠를 찾아 낸다. 만약 동일성이 있는 콘텐츠가 있다면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해 준다. 만약, 전송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와 일치하는 콘텐츠가 이미 사용자 컴퓨터 내에 저장되어 있다면,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전송 직전에 진행하게되는 광고콘텐츠 식별자 정보 확인 시 이 내용을 파악하여 전송을 중단하고 사용자 컴퓨터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된 광고콘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위의 둘째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광고 지시 콘텐츠가 연결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그 광고 지시 콘텐츠의 정보를 분석하여 연결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의 식별자를 파악한다.(52)
위의 둘째 경우에는 광고 지시 콘텐츠에 연결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가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어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광고 지시 콘텐츠의 연결정보를 분석하여 연결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의 식별자를 파악한다. 그 식별자를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를 자신의 내부 DB와 비교하여 동일성 있는 광고 콘텐츠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53) 동일한 광고 콘텐츠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광고 지시 콘텐츠에 대한 작용의 여부에 따르는데, 만약 작용을 하면 내부 기억 장치에서 광고 콘텐츠를 불러와 사용자에게 출력해 준다.(55) 이때,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광고 지시 콘텐츠에 내부 기억 장치에 동일성 있는 광고 콘텐츠가 있음을 표시(54)하여 그 광고 지시 콘텐츠를 클릭 등을 하여도 내부 기억 장치로부터 전송받으므로 그 광고를 전송받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광고관리 프로그램은 광고 콘텐츠의 식별자와 광고관리 프로그램 내부의 DB를 비교하여 동일한 광고 콘텐츠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53). 동일한 광고 콘텐츠가 있는 경우, 광고관리 프로그램은 내부 기억 장치에서 광고 콘텐츠를 불러와 사용자에게 출력해 준다.(55) 이때,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광고 지시 콘텐츠에 연결된 광고 콘텐츠가 내부 기억 장치에 이미 존재하고 있음을 표시(54)하여 그 광고 지시 콘텐츠에 작용을 하는 경우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받는 것이 아니라 내부 기억 장치로부터 광고를 출력하기 때문에 광고를 전송받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만약, 광고 지시 콘텐츠가 광고 콘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광고 지시 콘텐츠에 작용을 하면, 그 연결된 광고 콘텐츠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여 그 식별자를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광 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를 자신의 내부 DB와 비교한다. 동일한 광고 콘텐츠가 있는 경우 내부 기억 장치에서 광고 콘텐츠를 불러와 사용자에게 출력해 준다
위의 셋째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되어있는 광고콘텐츠를 사용자 작업창의 임의의 위치에 상시 출력하게 되고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 작업창에 광고콘텐츠를 출력하는 처리절차와 사용자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을 때 네트워크 상에 광고가 존재하는 광고 보유 사이트를 자동 검색하여 사이트에 존재하는 광고의 식별자와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되어있는 광고의 식별자를 비교하는 절차를 동시에 수행 한다. 비교과정에서 새로운 광고콘텐츠를 발견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대기시간(idle time)에 광고를 자동전송하고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식별자 정보를 식별자 정보 DB에 분류 기록한다.
출력의 방식
광고 콘텐츠를 내부 기억 장치에서 가져와 사용자의 출력 장치에 출력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내부 기억 장치의 콘텐츠와 네트워크 상에서 가져올 콘텐츠가 동일한 경우,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전체 콘텐츠 중에서 내부 기억 장치에 있는 광고 콘텐츠로 네트워크 상에서 다운로드 받을 동일한 광고 콘텐츠만을 대치시키는 방식으로 한다. 브라우저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받은 콘텐츠를 사용자의 출력 장치에 출력해 주는 프로그램 등은 이 대치된 콘텐츠를 사용자의 출력장치에 출력해 준다.
이 때 사용자의 설정 또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내부적인 설정에 의하여 임의 크기 이상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대치 과정을 거치고, 그 이하 크기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트래픽(traffic)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상기의 대치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광고와 광고 아닌 콘텐츠가 결합되어 존재하는 경우, 광고와 그 다른 콘텐츠를 병합하여 제공하거나(2000년 12월1일 현재 네트워크 상에서 자주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와 평면 배너(banner)광고 콘텐츠가 병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형태 등), 독립 방식(하나는 소리로, 다른 하나는 시각으로 하거나, 별개의 창으로 출력해 주거나, 시간 차를 두고 출력해 주는 등 두 콘텐츠를 병합하지 않고 전달해 주는 일체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 컴퓨터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광고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현재 작업창(특정 프로그램 수행 중 또는 OS(Oerating System) 상, 또는 기기 구동 펌웨어(firmware) 가 사용자 컴퓨터를 구동 시키고 있는 경우)의 임의의 위치에 중첩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동일성이 있는 경우의 표시
동시, 이시 또는 상시 경험 방식으로 광고 콘텐츠를 경험할 때, 네트워크 상의 광고 콘텐츠와 내부 기억 장치에 있는 광고 콘텐츠가 동일할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상에 있는 그 광고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음을 사용자의 출력 장치에 출력 되는 광고 콘텐츠 또는 광고 지시 콘텐츠 위에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는 특히, 동영상 광고의 경우, 이 광고를 볼 경우 금전적인 이득이 생기는 경우에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전송받을 경우 트래픽의 증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경우 사용자가 전송 요구 여부를 결정하는데 특히 도움이 된다. 표시하는 방법은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정하며, 이는 사용자가 광고 관리 프로그램 내부에서 설정하는 등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의사 또는 표시 방법 선택을 정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광고를 통해 금전적 또는 기타의 이익을 얻는 경우, 그 이익을 함께 표시해 줄 경우 특히 유용하다.
광고 콘텐츠의 구성
광고 콘텐츠(21-)는 식별 정보부(22)와 순수 광고 콘텐츠 정보부(24) 및 기타 보상 등을 포함하는 기타의 관련 정보부(25)로 구성되어 있다. 광고 식별 정보부 내부에는 그 광고의 고유한 식별자(23)가 있다. 이 때, 식별 정보부는 콘텐츠 기술 언어의 표현 방식에 따라서 순수 광고 콘텐츠와 코딩(coding) 상 어느 정도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식별 정보는 광고 콘텐츠 데이터의 곳곳에 단수 혹은 복수 개로 내재되어 있을 수 있다. 식별 정보부의 핵심은 식별자이며, 이 속에는 식별자 이외의 다른 요소도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광고 지시 콘텐츠는 순수 광고 콘텐츠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식별자의 구성
식별자는 일련의 이진비트(binary)로 구성되어 있는 정보의 집합으로서 식별자의 필드에 부여할 수 있는 속성은 수치 및 문자열의 집합이며 속성이 분리되어 연산(중앙처리장치(CPU)의 수치 및 논리연산)이 가능한 필드로 정의된 DB(Database)의 형식으로 구성된다.
식별자와 동일성
광고 콘텐츠의 식별자(23)가 일치하면 원칙적으로 동일한 콘텐츠이다. 하지 만, 이는 식별자의 구성 요소에 따라 동일성의 인정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식별자가 순수하게 콘텐츠에 대한 고유번호만이라면, 위의 원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하지만, 식별자가 순수한 고유번호를 포함하여 광고 콘텐츠가 게재되어 있는 사이트의 정보(광고주의 입장에서는 어느 사이트의 광고 게재가 더 효과적인 가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이 정보의 삽입을 요구할 수도 있다.)등 기타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이 때는 실질적인 광고 콘텐츠의 동일성을 판단하며, 이 실질적 동일성의 여부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동일성에 대한 정책(policy)에 의한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받은 광고 콘텐츠의 관리
광고 콘텐츠는 오프라인 매체를 통하여서만 사용자의 내부 기억 장치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다. 광고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타고 올 수 도 있다.(12) 즉, 사용자가 한번 전송 받은 콘텐츠를 광고 관리자가 DB로 구축해 놓을 수 있으며, 이는 오프라인 매체를 통하여 형성된 DB와 광고 콘텐츠로서의 개념 및 추후의 작동 방식은 완전히 동일하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광고 콘텐츠를 전송 받는 경우로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상에서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접속, 요구, 작용, 상호작용을 통해서 오는 방법, 광고를 매개하는 자 등이 사용자에게 전자 우편 등의 방식으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 등이 이를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내부 기억 장치에 DB로 저장하는 것,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컴퓨터의 대긴시간(idle time)에 사용자 컴퓨터의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한 번 전송 받은 광고를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조적으로 저장하고, 이후에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광고 콘텐츠를 만나는 경우,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그 동일성을 인식한 다음 네트워크상에서 다운로드 받은 방식이 아닌, 사용자의 내부 저장 장치에서 읽어들여서 사용자의 출력 장치에 출력해 주는 방법이다.
상호작용 인식의 방법
상호작용 인식은 광고 콘텐츠를 감각하는 시청자가 광고를 보거나 듣거나, 움직이거나, 특정한 동작을 취하거나, 특정한 행위를 하는 등의 임의의 반응에 대한 광의적 정의이다. 협의적 정의로서의 상호작용의 인식이란 본 발명의 사상에서 정의하는 쉐어(share)의 개념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 데이터의 생성 과정을 말한다. 구체적 데이터의 생성이라 함은 광고 콘텐츠의 동시, 이시, 상시 경험과정에서 광고관리프로그램에 의하여 dB 형식의 파일이 생성됨을 말한다. 파일의 생성원리와 주요 인식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일의 구성은 이산적 데이터로서 문자, 숫자 속성을 갖는 dB 형식으로 구성된다. 각 필드에 정의되는 주요 속성은 시간에 따라 이산적으로 변하는 변량의 통계이다. 예를 들자면 시청한 광고의 식별자 정보, 광고를 시청한 년월일시 등이 있을 수 있다.
둘째, 상호작용 인식의 과정은 광고관리프로그램내의 특정 루틴에 의하여 처리된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컴퓨터 사용자가 식별자가 부여된 광고콘텐츠를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하거나 또는 사용자 컴퓨터 내부기억장치로부터 출력하여 시청하 는 경우 광고콘텐츠를 시청한 년월일시와 광고의 식별자 정보를 별도의 dB 파일로 저장한다.
셋째, 본 발명의 사상에서 정의하는 쉐어(share)의 개념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각 단계별로 참여자의 역할이 분명하여야 한다. 즉, 광고 콘텐츠를 공급하는 자는 쉐어(share)의 매개체가 되는 광고콘텐츠를 적절하게 공급하여야 하며 사용자는 광고콘텐츠를 시청하여야 쉐어(share)의 개념이 성립한다. 이 부분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사용자가 광고콘텐츠를 과연 시청하였는가의 여부이며 광고콘텐츠를 시청할 때 작성되는 상호작용인식과정의 dB가 신뢰성을 갖을때만이 쉐어(share)의 개념이 성립된다. 사용자에게 광고콘텐츠를 시청하게 하는 물리적 방법은 컴퓨터 화면상에 일정크기의 광고콘텐츠 창을 구성하여 항상 모든 창의 최전면(윈도우 기반 OS의 경우)에 출력하여야 하며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마우스 포인터 등의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 등을 이용하여 광고 시청 창을 닫는 등의 작용을 하게되는 경우 이는 광고 시청을 중단한 경우 이므로 반드시 식별자에 의하여 분별되는 단일 광고 콘텐츠의 시청이 종료되는 경우에 한하여 시청여부를 파일 형태로 기록하여야 한다. 또한, 광고를 시청하면서 다른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광고관리프로그램내에 화면에 출력되는 광고콘텐츠 출력 창이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의 움직임과 반대로 이동하도록 하는 루틴을 설계할 수 있는데 이유로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작업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포인팅 장치를 이동하기 때문에 그 반대 방향으로 포인팅 장치의 포인터(마우스 커서 등)을 움직여 주게 되면 사용자 작업을 방해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역할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형식
광고관리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목적에서 정의한 컴퓨터의 내부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광고 콘텐츠를 매개로 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및 광고 관리 사이트와 매개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 구동용 OS(Operating System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서 정의한 컴퓨터를 구동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기 구동프로그램을 말한다)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롬(ROM)에 저장된 펌웨어(또는 프로그램) 상태 또는 하드웨어 적으로 프로그램 된 것이 컴퓨터 칩의 배선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컴퓨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의 광고를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컴퓨터가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일정한 가상 공간에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이 경우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컴퓨터의 종류가 달라질 경우, 또는 사용자가 다양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관리 프로그램을 이식하거나, 업그레이드하거나, 컴퓨터마다 일일이 갱신할 필요가 줄어든다. 사용자 컴퓨터 사용환경(기기 및 네트워크 구성 상태, 기기 구동 OS)가 달라지는 경우 네트워크 상의 광고관리 프로그램은 그 사용자 컴퓨터 사용환경에 맞추어 그 형식을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란, PC, PDA, 노트북(notebook), 팜탑(palm top), e북(e- book), 워크 스테이션(work station), 미니 컴퓨터(mini computer), 수퍼 컴퓨터(super computer), 핸드폰(cellular phone, mobile phone), 호출기(beeper), 게임기(game machine, 예를 들면 SONY사의 Play Station 등), 디지털 TV 등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중앙처리장치(CPU)를 갖추 주기기의 보조기기로 특정 연산을 수행하는 수치처리장치(NPU)를 가지고 있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임의의 기계를 말하므로, 한 사용자가 이 중 2 이상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각 컴퓨터 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일일이 관리하는 것은 성가신 일이다. 물론, 각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여 광고 관리 프로그램 및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광고관리프로그램이 컴퓨터의 구동을 원격지에서 제어 또는 특정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각 컴퓨터가 관련된 개개의 보상을 모을 수 있다. 예를 들면, PC와 텔레비젼 2 컴퓨터에서 얻은 보상을 네트워크 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통하여 모아서 광고 관리 사이트 등에 보상을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에서 정의한 쉐어(share)의 대상이 되는 참여자는 광고관리프로그램에서 부여하는 개인 식별 체계(ID, 또는 번호와 같은 체계로 타 참여자와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식별 체계)와 1:1 대응하므로 보상의 대상이 되는 참여자, 특히 컴퓨터 사용자가 어떠한 경로 및 매체를 통하여 광고를 시청하였는지의 정보가 개개의 보상을 모을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셋째, 네트워크 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컴퓨터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한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송 받거나 전 송할 수 있다.
넷째, 각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 존재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각 컴퓨터가 네트워크 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 접속하는 경우, 이 네트워크 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매개로 하여 각 컴퓨터 개개에게 광고 콘텐츠를 통합하여 배포하거나, 어느 하나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 들어가 있는 광고 콘텐츠를 다른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로 옮길 수 있다. 물론, 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컴퓨터간에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본질적으로 사용자의 각 컴퓨터 상에 있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하는 작업을 대체, 병합, 상호보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전 컴퓨터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광고 관리에 대한 통합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즉, 통합적인 업무 수행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각 컴퓨터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전체로서 보유하고 있는 각 컴퓨터별 광고 관련 정보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각 컴퓨터별로 관리하고 있는 광고 관련 정보의 하부 단위로서 속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 해당하는 기억 공간이 네트워크 상의 가상 공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광고관리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면서 사용자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컴퓨터 내에 광고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컴퓨터 사용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광고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 내부에 광고관리 프로그램의 일부가 이식이 되어 있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고관리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경우 사용자컴퓨터 내부에 이식되어 있는 일부의 프로그램 및 파일 등을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광고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갱신, 추가, 삭제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관리하는 광고의 형태
오프라인의 저장 매체를 통하여 공급되거나, 온라인 상에서 각종 광고사이트가 전송하는 광고의 형태는 동영상,텍스트,그래픽 이미지, 말소리,효과음,음악,소리 상표,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 등이 가능하며, 이는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관리하는 광고DB가 되며, 각각의 광고 개체는 광고관리프로그램에 의해 개별적인 존재로 인식된다.
이러한 광고 DB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브라우징할 때, 오프라인 상태에서 작업 등을 수행할 때, 콘텐츠와 더불어 화면에 표시되는데,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이들 각각의 광고 개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시간과 빈도수 등을 카운팅하고 축적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가능하기 위하여, 동영상,텍스트,그래픽 이미지, 말소리,효과음,음악,소리 상표, 또는 이들 각각의 조합 등은 광고관리프로그램이 식별할 수 있는 개별적인 식별자를 달고 있다. 만약, 콘텐츠에 융합되어 개체로서의 분리가 무의미한 경우에는 각 콘텐츠의 단위별로 광고식별자를 달고, 이의 가치가 평가되고 계산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 각 광고는 광고의 제작자, 중개자, 광고관리사이트, 광고관리프로그램 등에 공통 적용 되는 양식으로 식별자를 달 수 있다.
광고의 수요자 측면에서 모든 광고는 광고의 제공자 정보와 광고개체의 식별 자가 함께 관리되어야 하며, 공급자 측면에서 광고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체의 광고관리프로그램과 광고개체의 식별자 정보 혹은 최종수요자인 광고관리프로그램에 광고를 제공하는 사이트 정보와 개체의 광고관리프로그램과 광고개체의 식별자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개별 사용자인 홍길동이 자신이 사용하는 광고관리프로그램을 통하여 삼송그룹의 광고를 보았다고 하자. 홍길동의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삼송그룹의 냉장고 광고(광고 식별자 넘버 #111110001라고호 하자)가 홍길동에게 노출된 횟수와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이 광고를 중개한 광고관리사이트 등에 넘긴다. 광고관리사이트는 홍길동 혹은 홍길동의 광고관리프로그램의 고유번호로 그를 인식하고, 광고 식별자와 광고관리프로그램이 넘긴 광고 노출 데이터를 저장하여 향후 보상의 근거 데이타로 삼게된다. 이 때, 보상의 재원은 삼송그룹 등의 광고주가 마련하게 되므로, 이러한 광고 노출데이타는 광고주에게도 전달된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과 쉐어 및 보상 관리
광고는 본질적으로 광고주가 광고를 집행하는 매체에 일정한 금전적, 비금전적 대가를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이때, 지금까지는 광고를 접하는 사용자들이 자신이 광고를 접하는 것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 또는 광고를 매개하는 자가 누리는 이익에서 정당한 쉐어를 얻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광고비 만큼의 상품가격 상승분과 광고를 시청하기위한 시간 손실 등을 감수하여야 하는 정당하지 못한 과정으로 결국 광고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사용자의 정당한 이익을 광고 매개자가 가져가는 형태가 되었다. 광고 관리 프로그 램은 이 문제를 해결한다.
첫째, 광고 콘텐츠에는 사용자가 이 광고 콘텐츠를 보거나 듣거나 느끼거나 냄새 맡을(가상 현실 시스템이 도입되면 광고를 느끼는 시대가 오며, 냄새칩과 연관된다면 광고를 냄새 맡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오감에 광고가 작용하는 경우로, 이하 간단히 '시청각'이라는 말로 간단히 통칭한다.)수 있는 경우에 대한 보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보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요구하거나, 또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설치 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가 다양한 보상에 대한 기준에 만족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 체계에 따른 보상을 받는다. 가령 예를 들면, 텔레비전 광고가 나오고 있을 때, 이 광고를 시청각하면 어떠 어떠한 보상이 따른다는 정보를 텔레비전의 일정한 장소에 표시해 줄 수 있으며, 물론 사용자는 이 정보를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텔레비전과 같은 단방향 매체에서도 보상을 매개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는데 이는 광고의 끝부분에 광고식별자 번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한 후 특정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시청한 광고의 식별자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광고 식별자 번호는 짧은 시간에 인식이 가능한 체계로 되어 있어야 하며 동일 광고가 출력되더라도 매번 식별자 번호를 다르게 부여하여야 보상의 정당한 매개가 가능하다.
둘째, 광고 콘텐츠는 온라인 상에서 전송받거나 또는 오프라인 매체에 의해 내부 기억 장치에 이식된 상태에서 온라인 상의 광고와 연동되거나, 순수히 온라인에 접속하지 않은 채 오프라인 매체에서 제공되는 광고 콘텐츠를 시청각 할 수 있 다. 이 때,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 이들 각각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보상 체계를 갖춘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광고 필터링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사전 설정에 따라 광고를 필터링(filtering)하여 사용자에게 광고를 보여줄 수 있다. 즉,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접속한 사이트에 존재하는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의 접속과 동시 또는 접속한 후에 분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광고 콘텐츠인 경우에는 삭제 또는 사이트 관리자가 설계한 방식이 아닌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형된 다른 형식으로 가공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전에는 배너 광고를 인식하여 배너 광고를 제거해 버리고 다른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전송해 주는 것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예를 들면 특정 분야의 광고, 사용자가 광고에 노출됨에 따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광고, 그 보상이 일정 수준 이상인 광고, 광고 콘텐츠 대비 보상 비율이 높은 광고 등,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주어지는 다양한 선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조건을 만족하는 광고 콘텐츠만을 통과시켜 사용자에게 시청각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최적화된 광고
사용자 최적화된 광고(user customized advertisement) 콘텐츠란 사용자의 정보를 그 광고 콘텐츠가 포함하거나,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 종합한 결과가 그 콘텐츠에 반영되어 있는 광고 콘텐츠를 말한다.
가장 간단한 형태부터 설명한다.
첫째, 사용자의 기호(taste), 역사(history), 환경(surroundings), 상황(situation) 또는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 자체를 취사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형태이다. 이때, 광고 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취미, 이력, 소득 수준 등등을 고려하여 그 사용자에게 최적의 광고라고 판단되는 광고를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줄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콘텐츠 제공자 또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자는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하 네트워크 상에 있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과 연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공개를 허용하고 있는 범위 내의 정보를 취합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광고 콘텐츠 중 그 사용자에게 최대의 광고 효과가 나올 수 있는 광고를 선정하여 사용자 최적화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아울러,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려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광고가 사용자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 있을 경우 경우,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콘텐츠의 광고 부분 자리에 들어갈 광고를 사용자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에서 읽어와 광고 아닌 다른 콘텐츠와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둘째, 각 광고 콘텐츠를 구성하는 요소(음악, 영상, 문자, 소리, 냄새, 주인공, 배경, 색깔, 시나리오, 콘티 등등 광고 콘텐츠를 구성하는 임의의 것들)를 사용자의 사용자의 기호(taste), 역사(history), 환경(surroundings), 상황(situation) 또는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광고 콘텐츠를 취사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형태이다. 즉, 이는 광고 콘텐츠 합성의 첫번째 단계로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좋아할 또는 좋아하는 음악을 배경으로 넣어 준다든지, 사용자가 좋아하는 연예인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그의 목소리로 광고 콘텐츠를 구성해 주는 것 등등이다. 이는 CPU의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져 광고의 합성이 가능해 지고 있으며, 네트워크의 전송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자의 컴퓨터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거나 또는 다른 컴퓨터로부터 전송해 온 광고 콘텐츠 구성요소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물론,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광고의 기획 및 제작 단계에서 광고를 구성 콘텐츠별로 분리하여 제작해 놓아야 한다.
셋째, 사용자를 특징 짓는 정보와 다른 광고 콘텐츠를 합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사용자를 특징 짓는 정보란, 사용자의 얼굴, 몸매, 머리 색깔, 용모, 목소리 등등 시청각의 방식으로 사용자를 특징 짓는 각종 요소를 말한다. 사용자가 만약, 자신의 얼굴, 몸매, 머리 색깔, 용모, 목소리 등등의 자신을 특징 짓는 정보를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 넣어 놓은 경우에는 광고 콘텐츠를 만드는 자가 광고 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이 정보를 전송받아서 광고를 합성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 광고의 콘텐츠에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자의 얼굴을 공백(blank)으로 만든 원 광고 콘텐츠에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가져와 합성한 다음 사용자에게 출력해 주는 것이다.
이 합성은 광고 콘텐츠 제공하는 컴퓨터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사용자를 특징 짓는 정보가 외부에 누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합성의 표준이 몇 가지로 정해져 있는 경우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원 광고 콘텐츠와 합성의 표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자신의 내부 기억 장치에 있는 자신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합 성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해 줄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목소리 정보가 있을 때, 이 목소리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를 특정 짓는 패턴을 찾아 내고, 이를 원 광고 콘텐츠의 목소리 정보와 합성하여 사용자의 목소리가 광고에서 나오게 하는 하는 등등을 생각할 수 있다.
상기의 사용자 최적화된 광고에 대해서도 경쟁 방식의 광고를 도입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광고 콘텐츠와 합성하여 광고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대가에 대한 각종 조건에 따른 정책(policy)에 따라 다자 중 1주체와 사용자 간의 상호간의 의사의 일치에 따라 광고 콘텐츠를 매개로 한 계약이 성립될 수 있다.
보상 체계
위의 보상 체계가 이루어 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로, 오프라인 매체 또는 온라인 상에서 전송 받아 내부기억장치에 저장해 놓은 광고 콘텐츠를 시청각할 경우에 대한 보상 체계를 위해 광고 콘텐츠를 시청각한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방식이다.
첫째,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로 시청각하는(61) 각종 각종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사용자가 각종 광고 콘텐츠를 언제, 어떻게, 얼마만큼, 어떤 방식으로 또는 어떤 컴퓨터를 가지고 시청각하였는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며, 이 기록 파일을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통제하에 있는 내부 저장 장치 특정 영역에 저장한다(62). 이때, 사용자의 광 고 시청각이 끝나거나 시청각 중에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작동 방식에 따라 고정적인 방식(예를 들면 화면 일정 영역에 창의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 등)으로 금전, 비금전으로 환가되는 보상액 또는 보상에 대한 여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추후에 온라인에 접속하였을 때,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 기록 파일의 필드에 정의된 정보 내용 중, 사용자가 전송을 허가한 내용 또는 사전에 광고관리프로그램에 정의된 송신 내용을 광고관리 사이트에 전송한다.(63) 이 전송은 사용자가 광고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전에 정의된 방식으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동안에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은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프라인 매체 또는 온라인 상에서 전송 받은 광고 콘텐츠를 시청각할 경우(71)에 대한 보상 체계를 위한 광고 콘텐츠 시청각한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방식이다.
첫째,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상태로 시청각하는 오프라인 매체 또는 온라인으로 전송 받았거나, 받고 있는 각종 각종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사용자가 각종 광고 콘텐츠를 언제, 어떻게, 얼마만큼, 어떤 방식으로 또는 어떤 컴퓨터를 가지고 시청각하였는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며(72), 이 기록 파일을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통제하에 있는 내부 저장 장치 특정영역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의 광고 시청각이 끝나거나 시청각 중에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작동 방식에 따라 고정적인 방식 (예를 들면 화면 일정 영역에 창의 형태로 표시하는 방식 등)으로 금전, 비금전으로 환가되는 보상액 또는 보상에 대한 여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둘째, 사용자가 온라인에 접속하고 있는 동안에,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 기록 파일의 필드에 정의된 정보 내용 중, 사용자가 전송을 허가한 내용 또는 사전에 광고관리프로그램에 정의된 송신 내용을 광고관리 사이트에 전송한다. (71). 이 전송은 사용자가 광고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전에 주어지는 방식으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있는 동안에 자동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에 대한 보상의 형태는 현금으로의 보상, 상거래로 연동되어 구매시 구매가에 대한 현금할인,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의 제공,적립할 수 있는 사이버포인트(사이버 머니, 전자 화폐 등의 온라인 상에서 전자적으로 누적될 수 있는 일체의 포인트 체계)의 부여 등의 방법이 있다.
광고 콘테츠를 시청각한 것에 대한 보상의 형태는 현금, 또는 사이버포인트(사이버 머니, 전자 화폐 등의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 계좌에 누적될 수 있는 것으로서 환가, 환물, 또는 특정 서비스 등으로 대체될 수 있는 일체의 점수 체계를 포괄적으로 정의한다), 또는 전자상거래와 연동하여 온라인 상의 특정 쇼핑몰(온라인 상에서 경매, 상품 또는 서비스 용역을 판매 또는 제공하는 일체의 사업형태를 포괄적으로 정의한다)에서 구매를 하는 시점에 구매자에 대한 할인율 제공,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상품권 또는 할인쿠폰의 제공 등이 있을 수 있다.
광고 게재 경쟁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는 자와 사용자가 접속한 콘텐츠의 소유자 또는 운영자가 다를 수가 있으며, 한 콘텐츠에 여러 주체의 광고 콘텐츠 제공자가 경합할 수 있다. 지금은 통상 www.yahoo.co.kr 에 있는 광고는 야후코리아라는 주체와 각종 광고 제공자가 고정적인 계약 관계를 형성한 다음 사용자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네트워크 상의 콘텐츠 위치(예를 들면 www.yahoo.co.kr 의 홈페이지)에 접속했을 때는 누구에게나 동일한 광고 콘텐츠가 나오거나, 사용자의 쿠키(cookie) 정보를 분석한 다음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 최적화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해 주는 방식이 나와 있다. 하지만, 이 방식에도 광고 콘텐츠 제공자 사이에서 경합 관계가 생성되지는 않는다. 즉, 특정한 시각에 특정한 네트워크 상의 콘텐츠 상의 위치에 게재될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의 접속 그 순간에 실시간으로 이루어 지는 경쟁이 없다는 것이다.
다수의 광고 콘텐츠 제공자는 실시간으로 어느 특정 시간에 특정한 네트워크 상의 위치에 자신의 광고를 넣기 위해 경쟁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사용자가 특정한 콘텐츠에 접속했을 때, 이 사용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이 사용자에게 최적인 광고 콘텐츠를 서로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주체의 광고 콘텐츠 제공자는 경쟁할 수 있다.
이 경쟁은 다음과 같은 모델 하에서 진행될 수 있다.
첫째, 사용자에 대한 보상이 없이, 다만 콘텐츠 제공자(예를 들면, 콘텐츠게 시자 www.yahoo.co.kr에 자신의 콘텐츠 게재를 원하는 자)의 최대 이익을 위한 경쟁이다. 즉,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
가 www.yahoo.co.kr에 접속한 한 사용자를 놓고서 서로 자신이 공급하고자 하는 광고 콘텐츠를 시청각하게끔 하려고 경쟁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콘텐츠 제공자의 컴퓨터에 접속했을 때(81), 다수의 광고 콘텐츠 제공자가 자기의 광고를 게재하는데 대한 조건을 콘텐츠 게시자의 컴퓨터에 전송(82)하고, 콘텐츠 게시자의 컴퓨터는 그들 중에서 광고를 선택하여 사용자에 전송(83)하여 주는 과정을 말한다. 이때, www.yahoo.co.kr은 실시간으로 자신에게 더 이로운 조건을 제시하는 광고 콘텐츠 제공자의 광고를 받아들이고, 타 광고 제공자의 광고를 배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정보가 콘텐츠 게시자 컴퓨터 또는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쿠키를 활용하는 것은 그 전형적인 예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컴퓨터 내부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광고 제공자들은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모을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접속 IP 주소를 통하여 사용자의 국적, 언어, 대략의 접속 위치 등을 파악해 내어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콘텐츠 게시자의 컴퓨터의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 등록시에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등록 후 콘텐츠를 이용하면서 축적된 정보를 콘텐츠 제공자가 직접 활용하여 콘텐츠 제공자가 여러 가지 광고 풀(pool)에서 사용자를 분석한 결과에 더욱 일치하는 광고를 제시해 줄 수 있으며, 그 입력되거나 축적된 정보를 광고 제공자들에게 공개하여 그들로 하여금 광고 게재를 경쟁적으로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물론, www.yahoo.co.kr은 복수 개의 광고 콘텐츠를 같거나 다른 조건으로 같거나 다른 주 체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계약은 광고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게시자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체결되고, 이에 따르는 금전적, 비금전적 지불과 보상은 광고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게시자 사이에서만 이루어 진다. 이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의지가 배제되는 경쟁 관계이다.
위에서 설명한 콘텐츠 제공자(또는 광고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게시자는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광고를 하고자 하는 법인, 자연인 등이 광고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경우 또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정의하는 식별자를 포함한 형식으로 가공되어 있는 광고를 광고제작자를 대행하여 공급하는 자등을 콘텐츠 제공자라 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의 특정 공간에서 광고를 게재하여 사용자에게 시청각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를 콘텐츠 게시자라 할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다만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가 공급과 수요의 상대적 관계에 놓이게 되는 경우 이 개념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 모든 참여자는 콘텐츠 제공자가 될 수도, 콘텐츠 게시자가 될 수도 또한 콘텐츠를 시청각 하는자가 될 수도 콘텐츠 제공자와 콘텐츠 게시자가 동일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의지나 선택이 들어간 경우의 경쟁 관계이다. 이 때는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개입할 수 있다. 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선택이나 허락에 의해 사용자의 정보를 일정 수준 공개(91)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콘텐츠 게시자 또는 광고 콘텐츠 제공자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각종 광고 콘텐츠 제공자는 이 정보를 기반으로 하 여 이 사용자에게 자신의 광고를 시청각하게 하기 위하여 경쟁할 수 있다. 이때, 경쟁 관계에 있는 광고 콘텐츠 제공자들과 통상의 콘텐츠 게시자(예를 들면, www.yahoo.co.kr), 사용자 간의 삼면 관계가 형성된다.(92)
이러한 경쟁관계는 다소 복잡한 양상을 띄게 되며,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사전 입력 또는 사전 설정된 선택에 따른 광고 정책(policy)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대표하여 사이버 상에서 협상을 하게 된다. 이 협상의 결과 합의가 도출되면, 광고 게재에 대한 의사의 합치가 있으므로 계약이 성립된다.(93)
이렇게 될 때 사용자에게 광고 콘텐츠가 전송되게 된다.(94) 이러한 사이버 상에서의 실시간 합의를 위하여, 광고 콘텐츠 제공자들과 통상의 콘텐츠 게시자(예를 들면, www.yahoo.co.kr), 사용자는 전자 파일로 된 광고에 대한 정책(policy)를 가지게 된다.
광고에 대한 정책은 3자 또는 다자간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과정과 각종 조건에 대한 각 주체의 입장에 대한 선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책은 실시간으로 변할 수 있다. 이는 오프라인 상의 각 거래 주체들 간의 합의 과정과 유사하다.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정책은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관리하며, 이 정책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전 설정에 의한다.
도 10은 사용자의 광고 정책 DB의 한 예이다.
광고 관리 사이트
광고 관리 사이트란 특정한 광고 콘텐츠에 대하여, 컴퓨터 사용자와 참여자 및 광고 관리 프로그램이 정보를 주고 받고, 보상을 매개하는 네트워크 상의 컴퓨 터 운영자 혹은 그가 관리하는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이 사이트는 광고 콘텐츠 제공자가 될 수도 있으며, 콘텐츠 제공자(예를 들면, www.yahoo.co.kr) 또는 온라인 상에서 광고 콘텐츠를 중개하거나, 거래하거나, 광고 콘텐츠를 매개로 하여 영업하는 임의의 자가 될 수 있다.
광고 관리 사이트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를 시청각한 데 대한 총체적인 정보를 전송 받고,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게 보상 및 기타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한다. 개개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받은 광고 콘텐츠를 매개로 한 총체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결정한다. 즉,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하지 아니한 부정한 방법을 개입시켜 생성된 정보를 전송 받은 경우, 이에 대한 정보 분석은 필연적이며, 그 분석의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돌아갈 보상의 양과 질이 결정된다.
셋째, 광고관리프로그램에 의하여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과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DB 파일을 전송 받아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광고 콘텐츠를 적송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광고 관리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을 분석하여 가장 시청률이 높은 광고부터 시청률 순위대로 추출 및 분석해 내는 역할 및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한 성별, 연령, 직업, 관심분야, 월수입 등에 따른 시청 광고군 분류 작업 등 본 발명의 사상을 통해 정의될 수 있는 참여자와 관련된 기록(DB)를 바탕으로 한 일체의 통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광고관리사이트는 본 발명 사상을 매개하는 일체의 환경(예를 들자면 광고관리프로그램과 같은 매개 소프트웨어, 쉐어(share)를 가능하게 하는 응용프로그램, 기타 본 사상에 필요한 모든 제반 소프트웨어, 쉐어(share)의 수단이 되는 사이버머니와 관련된 제반 요건(사이버 계좌 등))을 구성하고 참여자에게 공급한다.
사용자와 광고 콘텐츠와의 상호 작용 및 그 인식
다음은 사용자와 광고 콘텐츠를 담고 있는 콘텐츠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interaction) 및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인식하는 방법 및 과정에 대한 것이다.
광고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하 광고 업자)의 가장 큰 관심사 중의 하나는 방영되거나, 제공되는 광고에 대하여 사용자 또는 시청자들이 얼마만큼 관심을 기울이고 있느냐 및 실제로 그 광고에 얼마만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느냐 등의 광고 효과의 측정에 대한 것이다. 즉, TV 광고가 나올 때 아무도 그 광고를 보고 있지 않을 수 있으며, 온라인 상의 광고에 대해서도 그 광고에 컴퓨터 사용자가 어떠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 도 있다. 즉, 광고에서는 노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인식 및 그 광고에 대한 상호 작용이 더 중요하게 된다.
광고 콘텐츠는 그 콘텐츠 내부 또는 그 콘텐츠와 연결된 정보에 이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의 종류, 정도, 상호 작용 방식 등에 대한 사전에 설정된 보상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 보상 등에 관한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정보 요구에 부응하여 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물론,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콘텐츠 자체에 시각적, 청각적 기타의 방법으로 그 보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11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에 노출된 후 광고 콘텐츠에 상호 작용을 하면(111),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그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인식, 분류, 저장, 분석하여(112) 그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보상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113), 이를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의 허가나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광고 관리 사이트에 전송하고(114), 광고 관리 사이트로부터 사용자의 보상 등에 관한 정보 및 광고 콘텐츠와 관련된 기타의 정보를 전송 받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115).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고 콘텐츠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가 가령 "이 광고를 보고, 다음의 질문에 1분 이내에 답을 하면 300원, 30초 이내라면 500원, 시간에 관계없이 답하면 100원의 보상이 있다. 답하는 방식은 객관식은 클릭을 하거나, 주관식은 문자로 답하고 그 결과를 전송하라. 답은 이 광고 속에 나와 있다."라고 했을 때, 따옴표 안의 내용은 이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의 종류, 정도, 상호 작용 방식 등에 대한 사전에 설정된 보상 등에 관한 정보에 해당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일정한 작용 즉, 클릭하거나, 키보드 등으로 답을 입력한 다음 전송하는 등의 행위를 하며,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 정보를 이 광고를 관리하는 사이트에 곧바로 전송하거나, 일정 기간 또는 일정 양을 모아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광고 콘텐츠는 그 광고에 대한 정답을 내장할 수 있으며, 이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게만 알려 주며,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그 정답과 사용자가 입력한 답을 비교 분석, 채점하며, 답을 입력하는 시간 등을 측정하는 등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입력 받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광고 관리 사이트에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니터 상에 광고가 표시될 때,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거나, 마우스 포인트의 입력이 있을 때는 사용자가 모니터 상을 바라 보고 있을 확률이 높아지므로,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러한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장치와 관련한 각종의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를 광고 콘텐츠에 대한 각종 조건과 함께 저장하여 이를 분석하거나, 이 정보를 광고 관리 사이트로 전송하여, 그 광고 관리 사이트를 관리하는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한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 또는 광고 관리 사이트는 단독으로 혹은 둘 다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 분석의 주된 이유는 광고에 대한 부정한 방법을 사용하여 보상을 받으려는 행위를 차단하고, 그 행위의 결과를 보상에 반영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가령 예를 든다면, 마우스 포인트를 자동으로 계속하여 이동시키는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면 상호 작용에 대한 부정한 정보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부당한 보상을 받을 가능성이 커진다. 이때 이 상호 작용에 대한 정보를 통계 처리, 모델링,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정당한 광고 노출에 대해서 정당한 보상이 따르도록 한다.
광고 콘텐츠와 전자 카탈로그
컴퓨터 사용자는 광고 등에서 나오는 상품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한 정보를 원할 경우가 있다. 이 때, 사용자는 그 상품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 및 관련상품에 대한 정보를 그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자, 예를 들면 그 상품의 전자카탈로그 발행인, 대리점, 회사, 중계인 등,에게 전자 카탈로그(electronical catalog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문자, 그림, 동영상, 소리, 가상 현실 등의 각종 정보를 종이 등이 아닌 디지털 방식으로 만들어서 소비자 또는 카탈로그를 원하는 자에게 배포하도록 만들어진 광의의 광고 콘텐츠의 하나)를 요구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카탈로그는 광고의 역할을 하며,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전자 카탈로그를 통한 광고에 노출된 데 대해 정당한 보상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칼탈로그에 대한 상호 작용에 대한 평가를 통해서도 사용자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매개로 하여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전자 카탈로그에 있는 각종 정보를 DB화하여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 또는 네트워크 상의 가상 공간 상의 기억 장소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추후에 동일한 광고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노출된 경우, 그 동일성이 인정되면, 전자 카탈로그에 있었던 각종 광고 관련 콘텐츠는 전술한 광고 콘텐츠와 동일한 지위를 차지한다.
사용자의 컴퓨터로 유무선으로 직접 광고 콘텐츠를 발송하는 방법 사용자가 전자 카탈로그를 포함한 광고 콘텐츠 등을 광고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자에게 발송을 요청하는 경우, 기존의 방식은 사용자의 전자 우편 계정을 부여한 컴퓨터의 기억 장치로 광고 콘텐츠를 발송해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컴 퓨터를 유무선으로 자신의 계정을 가지고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그 콘텐츠를 자신의 컴퓨터로 전송 받아서 시청각하는 형태였다. 즉, 사용자가 광고 콘텐츠를 시청각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특정한 사이버 상의 공간에 접속하여야만 했다.
즉, 기존의 전자 우편 방식은 광고 콘텐츠 제공자가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의 전자 우편 계정을 제공한 자의 컴퓨터의 저장 장치로 콘텐츠를 보낼 뿐 사용자의 컴퓨터의 내부 기억 장치로 바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전자 우편 계정 제공자의 컴퓨터의 기억 장치로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전자 우편 계정 제공자의 컴퓨터로부터 다시 한번 더 자신의 컴퓨터로 전송을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사용자의 컴퓨터로 유무선으로 직접 전자 카탈로그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발송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특정한 광고 콘텐츠를 광고 관리 사이트 또는 광고 콘텐츠 보유자에게 발송을 요청할 수 있다. 광고 관리 사이트 또는 광고 콘텐츠 보유자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사용자의 컴퓨터로 곧바로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관련 콘텐츠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 전송 받는 과정을 관리하며,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해 있는 동안에 이 콘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이 전송은 다른 정보를 교환하고 있는 도중에서도 전송 트래픽(traffic)에 여유가 있을 때에는 일어 날 수 있다. 계정 제공자의 컴퓨터를 거치지 않고,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사용자에게 바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 하는 것은 특히 P2P(peer to peer) 방식의 자료 전송이 확산 되고 있는 현재의 흐름 상에서 더욱 의미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 핸드폰, 통신 기능을 가진 PDA 등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소비자 정보 관리 주체로서의 광고관리프로그램(AD manager)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소비자가 공급자와 상호작용하여 광고를 보고 상거래를 수행하는 기본 과정에서 필요한 소비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분류,처리하여 보관하고 공급자,상거래업자,정보관리센터,광고관리센터,각종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웹사이트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소비자의 정보를 살펴 보면, 소비 지출 관련하여 구매 기록, 현재 보유 품목, 최근의 구매기록, 앞으로 계획된 구매품목 등과 생활 패턴, 관심 분야, 취미 등의 구매와 관련 있는 비소비지출 관련 정보와 구매 품목에 대한 상세 선호 조건, 배송 여부, 선호하는 메이커의 종류, 외제와 국산의 구별 여부,로컬 품목에 대하여 선호하는 공급업체의 지리적 조건,각종 결제 조건의 선호도,재산 정도,현금 보유 능력 등과 같은 다양한 구매관련 정보와 주소,전화,e-mail,메신저 ID,통신 ID,가족상황,결혼 여부 등과 같은 세밀한 신상 정보 등이 있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이들의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다.
신상과 관련되 비밀 정보는 광고관리프로그램의 사용자인 소비자의 특정한 선택이 있지 않으면, 공개하지 아니하고, 정보를 열람할 주체에 따라 공개되는 정보의 양을 제어한다.
푸쉬기술을 이용한 자동광고전송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알고리즘에 의해 일정 수준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보유하고 있는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브라우저, 문서작성 프로그램등의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나 혹은 바탕화면,스크린 세이버 등에 저장된 정보에 부합하는 광고를 푸쉬기술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광고를 게재하고 싶어하는 공급자나 각종의 광고관리센타, 마켓플레이스 사이트 등과 교신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넘겨주어 광고에 대한 채널을 설정하면, 그들의 프로그램은 이에 응답하여 적당한 형식의 광고를 송신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서핑하는 도중에 각종의 웹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고, 특정한 아이템이나 객체를 클릭하여 광고가 표시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광고가 자동으로 전달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소비자가 광고를 클릭하면 그것을 축적하여 보상을 제공하는 기존의 전통적인 광고사이트(http://www.joylink.co.kr, http://www.goldbank.co.kr)와는 달리 소비자가 원하는 광고를 소비자가 별도의 노력(extra activity)를 행하지 않고, 단지 자신이 컴퓨터 상에서 행하고자 하는 일을 하면서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편리성을 제공하고, 광고의 제공자에게는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푸쉬기술(Push Technology)
푸쉬 기술이란 기존의 인터넷 광고 전달 체계가 사용자가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끌어오는(Pull) 형태인 데 반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광고나 정보를 전송해 주는(Push) 기술을 말한다. 사용자는 단지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해 놓으면 사용하지 않는 도중에도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호스트로부터 정보를 전송 받게 된다.
광고관리프로그램과 공급자 정보 공개
사용자가 네트웍에 상시로 접속할 수 있는 환경에서 컴퓨터의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는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컴퓨터의 자원을 쓰지 않거나 사용 비율이 작은 시간을 이용하여, 공급자, 혹은 공급자의 광고제공프로그램과 접촉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광고의 종류, 광고를 보는 대가로 제공하는 공급자의 보상 수준 등의 조건으로부터 협상(deal)하여 공급자가 제공하기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광고 관리프로그램은 소비자의 정보와 공급자의 정보를 상호 교차 전달하고, 그 대가를 협상하며, 전달되는 정보의 양과 종류를 시간적으로, 개인별로 관리하여 정보 교환의 DB체계를 만들고, 이로부터 상호간에 DB에 근거한 분석,정보교환,보상 등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공급자가 제공하는 광고 등의 정보를 네트웍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받아들인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각종 응용프로그램의 메뉴바,타이틀바 등의 공간과 스크린세이버,바탕화면 등의 기본 윈도우 환경에 광고를 삽입하여 광고를 표시하게 된다.
광고의 랭킹
사용자가 광고관리프로그램을 통해 광고를 보고 나서, 광고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은 광고의 랭킹사이트에 광고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전송한다. 광고의 랭킹 사이트는 광고관리사이트가 운영할 수도 있고, 독자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평가 정보들이 축적되면, 광고의 대상이 되는상품이나 서비스의 카테고리에 따라 세분화된 광고의 랭킹을 매길 수 있다.
매겨진 광고 랭킹은 일반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이트에 표시되거나 광고관리사이트, 광고관리프로그램을 통해서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이는 소비자가 광고관리프로그램을 통해서 항상 접근하게 할 수 있고, 소비자의 성향분석을 통하여 관심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광고랭킹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을 통한 수요자간의 광고 추천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의 유형 설정과 사용자의 노력을 최소한하면서 광고 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모니터 상에 표시하게 해주고, 이를 카운팅하여 보상관리를 해주는데, 만약 사용자가 그 내용과 형식적인 측면에서 높이 평가하여 남에게 추천하고 싶은 광고가 있을 경우,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광고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3 player가 시중가보다 매우 저렴한 50000원에 구매할 수 있는 광고를 사용자가 받았다고 하자. 사용자는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의 지인(friend, family, acquaintance)들에게 이 정보를 널리 알리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마련이다. 이는 앞의 광고의 랭킹에 있어서 불특정 다수의 일반화된 광고 평가가 아니라, 소속 집단에 어울리는 고유의 광고 평가 문화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가장 쉬운 구성 방법은 받은 광고 내용을 e-mail이나, 문자메시지(SMS),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메시지 송신 등과 연동하여 보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광 고관리프로그램의 메뉴에 이러한 연동을 할 수 있는 버튼 등을 할당하여 쉽게 이를 수행할 수있다.
또, 광고관리프로그램끼리의 P2P송수신을 생각할 수 있다. P2P란 중앙 서버를 통해 송수신받는 것이 아리라, 개인과 개인, 개별 프로그램과 개별 프로그램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소속집단을 "나의 친구"와 같은 그룹명을 붙이고, 친구들의 광고관리프로그램의 계정을 추가함으로써 커뮤니티(Community)를 형성하고, 광고관리프로그램간의 추천광고 송수신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광고관리센터나 공급자를 통하여 광고를 받아들일 때는, 일정한 대가를 보상받게 되는데, 추천에 의해 광고가 공유될 때는 보상을 추천하는 자와 추천받는 자 모두에게 일정비율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추천 여부의 관리 역시 광고관리프로그램이 담당하게 된다.
이의 개념은 도 15에 나타나 있다.도 15이의 연결선은 각 광고관리프로그램(22-1)(22-1')이 수요자(22-4)(22-4'),공급자(22-2)(22-2'),광고관리센터(22-3)(22-3') 등과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광고관리프로그램 사이의 추천에 의한 광고 송수신을 말한다.
수요자 A(22-4)와 수요자 B(22-4')는 기존의 오프라인에서건 온라인에서건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일 수 있다. 만약, 전혀 알지 못하는 타인의 광고관리프로그램의 추천에 의한 광고를 원하지 않느다면 각 수요자는 자신의 광고관리프로그램에서 정한 옵션의 등록한 사람,집단에서 오는 광고 추천만 받을 수 있도록 하고 그외는 배제시키는 선택이 가능하다.
광고 관리프로그램의 구성
광고관리프로그램은 기능별로 아래와 같은 작용들을 하는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듈은 상세한 조건을 설정하는 서브메뉴를 가진다.
계정 설정 모듈
광고관리사이트나 광고주를 비롯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자가 광고를 보는 자에게 광고를 제공하고, 수신하고 시청한 광고에 대한 보상을 하기 위해서는 개별존재에 부여되는 고유의 계정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고유의 계정은 광고관리프로그램, 광고를 시청하는 사용자, 컴퓨터, 네트웍에 대한 주소(IP Address) 등에 할당될 수 있다. 또, 이러한 계정은 광고관리사이트에서 하나의 개별적인 개체로 인식되는데, 광고관리프로그램의 계정은 사용자의 계정과 동일하게 인식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는 여러 컴퓨팅,네트웍환경에서 이동하면서 자신이 편할 때, 편한장소에서 네트웍에 접속한다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광고관리프로그램을 동작시키면서 자신의 고유한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런 경우 광고 시청,보상,추천,평가 등의 모든 기능은 그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데이터로 저장된다.
계정설정 모듈에 들어가는 메뉴로는 신규계정 생성 메뉴,기존 계정에 대한 로그인 메뉴, 설정에 의한 자동 로그아웃 메뉴,패스워드 선정 및 변경에 관한 메뉴 등이 들어갈 수 있다.
광고 송수신 모듈
사용자가 시청하는 광고의 수신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광고관리사이트 등에서 미리 약속된 광고를 자동 적으로 받아들이거나(푸쉬기술), 광고 종류에 대한 설정된 옵션으로부터 광고를 광고 사이트등에 요청하여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렇게 수신된 광고들은 수신즉시 사용자에게 표시되거나, 먼저 광고DB를 이루고 적당한 시점에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이를 위하여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자체적으로 네트웍접속 프로토콜을 비롯한 네트웍 연결방법을 내장하거나, 기본 OS환경에서 제공하는 네트웍설정을 이용하여 유무선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둘째, 오프라인상태에서 각종의 저장매체로 광고DB를 수신하고, 이를 기존의 광고DB와 통합하여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 컴퓨터환경의 각종 하드웨어 저장장치, 웹폴더 등의 가상공간 저장장치에 대한 탐색,열람,복사,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셋째,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를 브라우징하면서 콘텐츠와 더불어 광고를 수신하거나, 사이트의 구성메뉴에 마련된 광고다운로드,표시용 버튼을 클릭하면서 광고를 수신하는 경우로 광고의 수신은 광고관리프로그램의 존재와 무관하게 진행되며 광고관리프로그램은 광고노출의 측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보상관리를 위하여 사용자는 특정 웹사이트에 계정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계정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광고관리프로그램과 광고 제공 웹사이트는 상호간에 계정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할 수 있다. 첫째와 둘째의 경우 개별 광고 개체는 반드시 다른 광고개체와 구별 가능한 식별자를 달고 있어야 하며, 셋째의 경우에는 개체별로 식별자를 달거나 또는, 그 특정웹사이트에서 송신하는 전체 광고시리즈별로 구별되고 이것이 통합 관리,측정,분석될 수 있다.
또,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평가하고 추천하는 광고를 다른 광고관리프로그램이나 광고관리센타, 광고랭킹사이트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정의 입력모듈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의 유형 및 보상의 체계에 대한 설정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광고 정책(Policy) 선택 및 작성에 있어서 자세하고 편리한 입력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 소비자의 구매 정보, 소비 지출 관련하여 구매기록, 현재 보유 품목, 최근의 구매기록, 앞으로 계획된 구매품목 등과 생활패턴, 관심 분야, 취미 등의 구매와 관련 있는 비소비지출 관련 정보와 구매품목에 대한 상세 선호 조건, 배송 여부, 선호하는 메이커의 종류, 외제와 국산의 구별 여부,로컬 품목에 대하여 선호하는 공급업체의 지리적 조건,각종 결제 조건의 선호도,재산 정도,현금 보유 능력 등과 같은 다양한 구매관련 정보와 주소,전화,e-mail,메신저 ID,통신 ID,가족상황,결혼 여부등과 같은 세밀한 신상 정보 등의 입력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평가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광고랭킹사이트나 광고관리사이트 타인의 광고관리프로그램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
광고 표시 모듈
온오프라인을 통해서 수신되고 저장된 광고 DB를 적당한 시점에 적당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부분이다. 바탕화면에 마련된 특정의 광고표시기, 웹브라우저의 메뉴,타이틀바, 스크린세이버,웹브라우저에서 콘텐츠를 표시하고 비어있는 공간 등을 활용하여 광고를 표시한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과 독립적인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고, 웹브라우저 내부에 삽입되는(embedding) 플러그인(plug-in) 형태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광고관리프로그램은 화면의 일부분을 활용하거나, 한 웹사이트에서 다른 웹사이트로 링크되는 과정에서 데이터 수신 지연에 따라 화면표시가 안 나타날때를 활용하거나, 콘텐츠가 비어 있는 여백을 활용하는 등의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광고관리프로그램은 그 자신의 동영상재생기, 음악파일 재생기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사용자 컴퓨터환경에 설치된 Window Media Player,Real Player 등의 범용 음성 및 영상 재생기등을 소개하고, 사용할 수 있다.
광고 DB 관리 모듈
상기의 수신 방법으로 수신되고 저장된 개별적인 광고 개체의 모음을 광고 DB라 한다. 개별 광고 개체의 예를 들면, 30초짜리 동영상광고 1편, 배너 광고 1편, CF music 1편 등의 다른 광고와 구별되고 하나의 상품,서비스,브랜드,Company,공익광고 등을 설명하는 하나의 디지털 개체이고, DB관리도구(tool)에 의해 개체별로 하나의 키아이디(Key ID)를 부여받고 조직적으로 관리되는 광고개체의 모음이 광고 DB이다 이러한 광고DB는 컴퓨터 내부의 기억장치,주변기억장치, 네트웍상의 기억장치 등에 저장되고, 관리모듈은 이 광고 DB를 분석,갱신,삭제,치환,조작,복사,열람 등을 행할 수 있는 DB관리프로그램모듈이다.
광고노출 측정 모듈
광고관리프로그램이 광고DB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경우에는 각 광고 DB의 광고 개체가 가지고 있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의 표시방법, 광고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구매행위로의 연결 등에 관한 데이터를 분류하여 광고노출측정DB를 구성한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을 통하지 않는 경우의 광고개체의 경우에는 각 광고 개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광고노출측정DB를 구성하거나, 광고제공사이트에서 광고를 수신할 때 광고노출에 대한 데이터를 교환하고 저장한다.
보상 관리 모듈
상기의 광고노출측정 DB가 마련되면, 이를 광고관리센터,광고주 등에 요청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보상의 형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옵션 메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할인,할인쿠폰,사이버포인트적립 등의 광고노출에 대한 대가 종류의 선택이 가능하게 한다.
광고정보 탐색 모듈
광고관리프로그램은 각종의 광고관리센터나 광고주,광고대행사 등의 사이트를 자동 검색하며 좋은 광고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수집하는 기능을 가질 수있다. 알고리즘에 의해 움직이는 로봇으로 구성된 광고정보 탐색 모듈은 기등록된 광고관련사이트에서 광고정보를 수집하거나 검색엔진사이트에 검색질의를 송신하고 수신한 응답을 분석하여 광고정보를 수집하거나 자체 검색엔진기능을 소유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정보 탐색의 결과 모아진 광고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광고정책에 맞는 광고를 자동 선택하는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의 실시예
이러한 모듈들의 총합인 광고관리프로그램의 시스템 구성의 실시예를 들면, 도 16과 같다. 먼저 각종의 기능구현부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의 구성 모듈들은 이 시스템에서 다음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계정 설정 모듈은 User Interface(23-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받은 계정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통신부(23-4)를 통하여 광고관리센타(23-7)와 통신하여 사용자를 유일하게 하는 식별자를 부여하게 한다. 광고송수신모듈은 사용자가 설정하고 저장장치(23-8)에 저장된 광고정책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데이터통신부를 거쳐 광고관리센타(23-7),광고관리프로그램(23-8) 등에서 광고를 수신하게 된다. 광고 표시모듈은 저장장치(23-8)에 저장된 광고DB의 광고 개체를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방법으로 Display & Counting System(23-5)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광고 DB관리 모듈은 데이터통신부(23-4)나 오프라인 저장매체를 통하여 전송된 광고 데이터를 DBMS(23-3)을 통하여 저장장치(23-8)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설정에 의해 저장장치(23-8)에서 추출(retrieve)하여 Display & Counting System(23-5)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광고노출측정모듈은 Display & Counting System(23-5)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광고개체별 사용자에 대한 노출과 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측정하고, 이를 광고노출DB로 DBMS(23-3)를 거쳐 저장장치(23-8)에 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상관리모듈은 광고관리센터와 협상,중개하고 보상을 얻어낸다.
광고정보탐색모듈은 데이터 통신부(23-4)를 통하여 광고관리센터(23-7),광고 관리프로그램(23-8),광고관련사이트(23-8) 등을 검색하고, 사용자의 광고정책(policy)에 부합하는 최적의,최고의 광고를 찾아내고 이를 DBMS(23-3)를 거쳐 저장장치(23-8)에 저장한다. 사용자정보,광고정책,각 구성모듈의 설정조건 등을 입력하는 사용자정의입력모듈은 USer Interface(23-2)에 마련되어 각각이 저장장치(23-8)에 저장되고, 데이터통신부(23-4)를 통해서 각 기능별 모듈들이 수행되게 하는 조건으로서 사용되게 한다.
각각의 모듈들은 광고관리프로그램 Core(23-1) 내부에 구현되는 하나의 모듈 혹은 구성단위일 수 있다.
User Interface(23-2)는 사용자의 신규계정 등록,계정
로그인,로그아웃,사용자정보,광고 정책 등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현재의 광고관리프로그램의 각종 설정,옵션 등을 열람하고,선택하고,갱신하게 해주고, 각종의 데이터,현황 등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부로 전송,복사,출력(print)하게 해주는 메뉴를 제공한다. DBMS(23-3)는 광고관리프로그램이 외부에서 수신한 개별 광고 데이터에 대한 광고 DB, 사용자 정보 DB,광고노출측정DB,사용자행동기록 DB 등의 여러 데이터를 관리해서 저장장치(23-8)에 저장하고(save), 불러들이고(retrieve), 갱신하고(update), 삭제하고(delete),생성하는(create) 등의 작용을 하게 한다. 각각의 DB가 저장되는 저장장치(23-8)는 컴퓨터 내부의 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외부기억장치,네트웍상의 저장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통신부(23-4)는 광고관리센터(23-7)와 각종 검색엔진,광고주 등의 광 고관련사이트(23-8) 혹은 타 광고관리사이트(23-6)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각종의 광고를 콘텐츠와 같이 혹은 별도로 송수신하게 되고, 보상관련데이타를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며, 사용자의 광고 정책에 맞는 광고를 찾고,협상하고,수신할 때, 네트웍 상의 다른 광고관련 주체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Display & Counting System(23-5)는 광고 DB에 저장되어 있거나, 광고관리센터 등에서 수신한 광고 개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노출되는 양과 시간, 이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등을 측정하고, 분석 및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사용자에게 각종의 광고를 표시할 때, 전용의 광고표시프로그램이나 외부의 각종표시프로그램(웹브라우저, 웹브라우저의 각종 표시용 플러그인,Window Media Player,Real Player 등의 동영상 재생기, Mp3 Player등의 각종의 음악재생기,스크린세이버용 표시기 등)을 활용한다. 광고관리프로그램은 이러한 각종의 기능 구현부와 광고관리프로그램 Core(23-1)로 구성되어 있는데, Core는 각 기능 구현부를 조정(Control)하고, 기능간의 연결 및 데이터 전달, 각종 데이터의 분석,분류,전달,치환,생성 등을 담당하며, 외부의 광고 송신 및 보상 관련 주체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광고 정책(Policy)에 따라 협상(Deal)하고, 결정(Decision)하며, 각종의 광고,광고관련 정보를 탐색하도록 하는 기능을 작동시킨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과 디지털 TV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의 선호 광고 등록
도 12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광고는 정보의 역할을 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 자신이 시청각하기를 원하는 광고를 영역별, 부문별, 종류별, 회사별 등등의 각종의 카테고리별로 그룹화하여 등록해 놓을 수 있다.(121)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를 DB화하여 관리 한다.(122)예를 들면, 자신이 컴퓨터 및 전자 제품에 관심이 많을 경우, 컴퓨터 및 전자 제품에 대한 광고를 사전에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 등록해 두면,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이 정보를 광고 관리 사이트 또는 광고 보유 사이트에 전송하고, 이들 사이트들은 사용자가 등록해 놓은 광고를 중심으로 하여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광고 필터링
광고 관리 프로그램 상에 등록해 놓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에 관한 자료들은 광고를 필터링(filtering)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즉, 똑같은 시간에 여러 개의 광고가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다(123). 이는 특히, 전송 대역폭이 늘어나고,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TV에서는 특정 시점의 특정 채널에는 하나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정보만이 전송되었다. 하지만, 전송 대역폭이 늘어나면 하나의 시점에 하나의 채널에 여러 개의 광고를 우선 순위를 매겨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사전 설정이 없다면 광고 콘텐츠 제공자가 선정한 우선순위대로 광고를 노출시키겠지만, 사용자의 사전 설정이 있고(121) 그 설정에 맞는 광고 콘텐츠가 그 순간에 전송되고 있다면, 광고 콘텐츠 제공자의 우선 순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출력 장치에 그 광고를 우선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준다(124)는 것이다. 그리고, 그 노출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기록되고, 다시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고 관리 사이트에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광고 콘텐츠가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되어 올 때, 사용자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광고 선호도의 입력 또는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하거나, 광고 관리 프로그램 제작자가 사전에 설정한 광고 관련 정책(advertisement related policy)에 따라 여러 개의 광고 콘텐츠를 교통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줄 수 있다. 이 때에도 물론 보상 과정이 관계할 수 있다.
광고 관리 프로그램과 채널을 가진 컴퓨터
도 13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TV처럼 사용자의 컴퓨터가 일정한 채널(channel)을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한 채널을 맞추면 그 채널에 대한 정보만이 또는 그 채널의 정보가 우선적으로 전송 또는 노출되는 작용을 가진 컴퓨터 체계를 말한다. 이 때, 사용자가 광고 관리 프로그램에 특정한 광고에 대한 선호 정보를 사전에 등록시켜 놓았고(132), 사용자가 현재 선택하고 있는 채널(채널 A)(131)이 아닌 채널(채널 B)에서 그 광고 콘텐츠가 전송되고 있을 때(134),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채널 B에서 현재 전송되고 있는 광고 콘텐츠를 채널 A에서 전송되고 있는 광고 콘텐츠를 대신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켜 줄 수 있다.(135) 즉, 다른 채널에서 전송되고 있는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광고를 뿌려줄 수 있다. 통상의 광고는 한 광고가 차지하는 시간(통상 텔레비전 광고는 15초)이 동일한 경우가 많으므로, 디지털 TV 등에서는 광고의 대체가 비교적 용이하게 되며, 광고 노출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통상의 텔레비전 광고는 이미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사이에서 광고를 방영하는 시간이 사전에 정해져 있다.) 이 방법은 더욱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물 론, 한 광고가 차지하는 시간이 다를 경우라도 광고 관리 프로그램은 총 광고 노출 시간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사용자의 광고 노출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를 우선적으로 배치해 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의 자료 처리 능력이 향상되고, 기억 용량이 증가될수록 다수의 채널에 전송되고 있는 콘텐츠를 동시에 모니터링(monitoring)(133)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게 된다.
광고 중개 사이트를 통한 목적 웹사이트의 접근 모델
광고 중개 사이트의 개념
광고 중개사이트를 통하여 다른 웹사이트어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저 광고 중개 사이트에 접근한다. 이러한 광고 중개 사이트에서 사용자는 광고 표시 및 자기 자신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하거나 자신의 컴퓨터에 내장된 광고관리프로그램등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정보를 넘겨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을 부여받고 광고 중개 사이트에 접속시 계정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접속하거나 광고관리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광고중개 사이트에 접속하면서 고유 계정으로 등록을 실행한다.
이후, 웹브라우저에서 영역을 나누는 기법인 프레임구별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화면의 일부 영역만 광고중개사이트의 콘텐츠로 채우고 나머지 영역의 프레임에는 자신이 탐색(browsing)하기 원하는 사이트의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광고 중개 사이트의 초기화면에서 특정 웹사이트로 접속할 때 사용자는 광고표시에 대한 기본 정책(Policy)을 특정 웹사이트에 넘기고, 목적 웹사이트는 이러한 정책에 기반한 광고 표시기법을 사용하게 된다.
본 모델의 장점
이러한 모델의 장점은 광고의 노출시간 측정, 보상관리 등이 광고 중개 사이트와 목적 웹사이트에 동시에 한 브라우저화면에서 접속함으로써 용이하게 진행된다는 것이다. 즉, 여러 개의 목적 콘텐츠 사이트를 브라우징하더라도 광고 중개사이트에서 이를 통합관리할 수 있다. 목적 콘텐츠 사이트는 광고 중개 사이트와 계약을 맺고, 광고 중개 사이트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넘겨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자신의 콘텐츠에 광고가 융합되는 기법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발명 사상의 기본적 과정
광고 중개사이트를 이용하여 일반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는 광고중개사이트에 등록하고 계정을 부여받는다.(21-1)
둘째, 사용자는 자신의 광고에 관련된 선호 정보를 입력한다.(21-2)
셋째, 사용자가 광고중개사이트에 접근(access)한다.(21-3)
넷째, 사용자가 광고중개사이트에서 마련된 메뉴나 버튼, 입력창을 통하여 목적 사이트에 접근한다. 이 때, 광고중개사이트는 사용자 정보를 목적 사이트에 넘겨준다(21-4).
다섯째, 목적 사이트는 넘겨 받은 사용자 정보와 자신의 콘텐츠를 이용해 다양한 광고 기법으로 광고와 콘텐츠를 표시한다.(21-5)
여섯째, 목적 콘텐츠사이트에 대한 서핑을 마친 사용자는 화면의 일부에 마련된 광고중개사이트의 메뉴를 이용해 광고중개사이트로 복귀하거나, 다른 목적 콘텐츠 사이트로 이동한다. (21-6)
일곱째, 목적 콘텐츠에 대한 탐색을 마칠 때, 다른 목적 콘텐츠사이로 이동할 때, 광고중개 사이트는 각 콘텐츠제공사이트가 제공한 광고의 형태와 양을 넘겨받아 이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상을 대비한다.(21-7)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관리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총체적인 것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가 광고에 노출된 데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 등을 우선하여 사용자에게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광고 콘텐츠에 대한 효용을 극대화시킨다.
둘째, 사용자의 정보를 기존의 광고 콘텐츠와 결합하여 사용자 최적화된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어 광고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광고에 대한 참여 및 만족도를 높인다.
셋째, 광고 선호 정보를 통하여 광고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원하는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고, 이를 금전적, 비금전적 보상과 연관시킴과 동시에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최대 만족을 기하면서, 광고가 정보 제공의 수단으로서 가능하게 한다.
넷째, 사용자는 자신의 적극성에 따른 정당한 보상을 받게 되고, 광고 노출에 대한 거부감이 적어 광고 효과도 증대될 수 있다.

Claims (7)

  1.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해 주는 콘텐츠를 입수받는 사용자 컴퓨터에 내장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되는 광고 콘텐츠를 관리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 콘텐츠의 전송에 대한 보상 정보를 포함하는 조건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버가 제공해 주는 콘텐츠를 입수하고, 상기 콘텐츠 중의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를 입수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건 정보에 부합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건 정보가 부합하는 경우, 상기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컴퓨터로 입수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관련된 보상 정보는 상기 서버의 상기 사용자 계정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보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상기 광고 프로그램이 입수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받은 광고 콘텐츠에는 사용자 정보의 합성을 허용하는 형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광고 관리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받으며, 상기 전송받은 광고 콘텐츠에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합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합성된 광고 콘텐츠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 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기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수 받고, 상기 입수 받은 평가 정보를 제3의 가상 공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KR1020060052496A 2000-12-30 2006-06-12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KR100807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7611 2000-12-30
KR20000087611 2000-12-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356A Division KR100807879B1 (ko) 2000-12-30 2001-03-28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관리하는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51A true KR20060080151A (ko) 2006-07-07
KR100807876B1 KR100807876B1 (ko) 2008-02-27

Family

ID=2769044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356A KR100807879B1 (ko) 2000-12-30 2001-03-28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관리하는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KR1020060052503A KR100807873B1 (ko) 2000-12-30 2006-06-12 응답 시간에 따라 차등적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운영 방법
KR1020060052496A KR100807876B1 (ko) 2000-12-30 2006-06-12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KR1020060052512A KR100807872B1 (ko) 2000-12-30 2006-06-12 경쟁 광고 운영 방법
KR1020060052500A KR100807871B1 (ko) 2000-12-30 2006-06-12 보상 광고 운영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356A KR100807879B1 (ko) 2000-12-30 2001-03-28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관리하는 관리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KR1020060052503A KR100807873B1 (ko) 2000-12-30 2006-06-12 응답 시간에 따라 차등적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운영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512A KR100807872B1 (ko) 2000-12-30 2006-06-12 경쟁 광고 운영 방법
KR1020060052500A KR100807871B1 (ko) 2000-12-30 2006-06-12 보상 광고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08078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9547A3 (en) * 2007-08-24 2009-05-14 Microsoft Corp Funding information delivery using advertising revenue
KR100914351B1 (ko) * 2008-04-21 2009-08-28 이용환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광고 시스템
WO2010030078A2 (ko) * 2008-09-12 2010-03-18 Lee Yong Hwan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광고 시스템
KR20130049233A (ko) * 2011-09-28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와 연계된 보상서비스를 제공 및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2072B2 (en) * 2002-07-16 2010-07-06 Googl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ing through content specific nodes over the internet
US7017047B2 (en) * 2002-11-08 2006-03-21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valuating a profile for risk and/or reward
US8140965B2 (en) 2003-02-28 2012-03-20 Google, Inc. Identifying related information given content and/or presenting related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content-related advertisements
WO2004084110A1 (en) * 2003-03-20 2004-09-30 Chul-Won Kim Double contents layer standardized internet advertising
US20060020506A1 (en) * 2004-07-20 2006-01-26 Brian Axe Adjusting or determining ad count and/or ad branding using factors that affect end user ad quality perception, such as document performance
WO2006019274A1 (en) 2004-08-19 2006-02-23 Sk Telecom Co., Ltd. Man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ing contents provided by content provider
KR100654447B1 (ko) 2004-12-15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역별로 존재하는 컨텐츠를 글로벌로 공유하고 거래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775680B1 (ko) * 2005-10-25 2007-11-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팅을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JP2007172490A (ja) 2005-12-26 2007-07-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
KR100807264B1 (ko) * 2006-04-29 2008-02-28 강찬구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090281889A1 (en) * 2008-05-07 2009-11-12 Derosa-Grund H Anthony Displaying targeted ads in unused areas of browser windows and using user premisssioned personal private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weighted display of ads, online search results and search ads
KR100904858B1 (ko) * 2008-12-05 2009-06-26 박연호 다수의 인터넷 매체에 광고를 노출하여 광고효율을 극대화하는 경매시스템 및 운영방법
WO2011115354A1 (ko) * 2010-03-17 2011-09-22 Choi Young Min 다국어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KR102217211B1 (ko) * 2019-05-10 2021-02-18 (주)버즈빌 광고 관련 부정 사용자 필터링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18036B2 (ja) * 1997-04-24 2010-02-1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20010044060A (ko) * 2000-07-03 2001-06-05 유석호 인터넷 광고 수익 재분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9547A3 (en) * 2007-08-24 2009-05-14 Microsoft Corp Funding information delivery using advertising revenue
US7853478B2 (en) 2007-08-24 2010-12-14 Microsoft Corporation Funding information delivery using advertising revenue
KR100914351B1 (ko) * 2008-04-21 2009-08-28 이용환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광고 시스템
WO2010030078A2 (ko) * 2008-09-12 2010-03-18 Lee Yong Hwan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광고 시스템
WO2010030078A3 (ko) * 2008-09-12 2010-07-08 Lee Yong Hwan 유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광고 시스템
KR20130049233A (ko) * 2011-09-28 201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와 연계된 보상서비스를 제공 및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879B1 (ko) 2008-02-27
KR100807873B1 (ko) 2008-02-27
KR20060080153A (ko) 2006-07-07
KR20060080154A (ko) 2006-07-07
KR100807872B1 (ko) 2008-02-27
KR20020059212A (ko) 2002-07-12
KR20060080152A (ko) 2006-07-07
KR100807876B1 (ko) 2008-02-27
KR100807871B1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876B1 (ko)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관리 프로그램 운영 방법
Saura et al.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the e-business model: Literature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JP6170463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広告のターゲット設定
US7599851B2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user interface and targeted marketing forum
US200502038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ounded marketing
US20050131757A1 (en) System for permission-based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US20070130015A1 (en) Advertisement revenue sharing for distributed video
CN1277693A (zh) 进行不记名购物和不记名卖主发货的电子商务
JP2013530635A (ja) スケジュールされたウェブベースイベントの対話型カレンダー及び索引要素をメタデータに関連付けるウェブの時間索引
JP2013530447A (ja) 索引要素をメタデータに関連付けるウェブの時間索引
CN102317964A (zh) 一种内容分发系统和分发内容的方法
CN101073094A (zh) 通用网络营销系统
CN101512577A (zh) 用来瞄准广告的计算机方法及装置
US20230259981A1 (en) Smart contrac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user engagement
KR20180055768A (ko) 동영상 편집 거래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Βασιλούδη Consumer perceived risk, attitude and online shopping behaviour
KR20080028844A (ko) 정보 중개 방법
KR20020076495A (ko) 자기 정보 공개에 기반한 광고 콘텐츠 전달 및 전자상거래 방법
Verhegghe Personalization privacy paradox on facebook
Ye Digital marketing in consumer goods industry: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platforms
CA3221730A1 (en) Smart contract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user engagement
Kalomoiris The impact of Heineken product digital advertising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CN118076966A (zh) 用于管理数字用户签约的智能合约系统和方法
AU2003247258B2 (en) System for permission-based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Smith-Grieco The Internet as recommendation engine: implications of online behavioral targ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