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9671A -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9671A
KR20060079671A KR1020050000128A KR20050000128A KR20060079671A KR 20060079671 A KR20060079671 A KR 20060079671A KR 1020050000128 A KR1020050000128 A KR 1020050000128A KR 20050000128 A KR20050000128 A KR 20050000128A KR 20060079671 A KR20060079671 A KR 20060079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rsonalized
personaliz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183B1 (ko
Inventor
오동혁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2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 B26D1/3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ne of cut with limited pivotal movement to effect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5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 B26D1/5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travels with the work otherwise than in the direction of the cut, i.e. flying cutter and is mounted on a movable ar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화 정보가 그 종류별로 저장되는 개인화정보 저장부와, 백그라운드 동작을 수행하며 무선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구동하여 개인화 정보를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서버에 전송하는 정보수집 에이전트와, 정보수집 에이전트의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미들웨어로서 동작하며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의 개인화 정보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화정보 저장부로부터의 해당 개인화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이 요구로 수신한 개인화 정보를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화정보 저장부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에 제공하는 메인 플랫폼을 포함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화 정보를 IP 망에 위치한 정보수집서버에 제공한다.
개인정보, 정보수집, 무선인터넷, 이동통신단말기

Description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Moblie terminal with fun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utomatic transporta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련 HAT API를 보인 도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을 보인 순서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화 정보를 허용된 컨텐츠 수집서버에게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서비스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개인화 정보를 기반으로 각 개인에 맞는 맞춤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초기의 맞춤정보 서비스는 개인화 정보 중 획득이 용이한 연령, 성별, 직업 등을 이용하는 형태였으나, 이동통신단말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보다 구체화된 개인화 정보의 획득이 가능해짐에 따라 그에 맞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일예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게 되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에 따른 개인 정보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중 사용자의 현재 위치인 접속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와 자주 가는 곳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해당 지역의 맛집 정보 등을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가 가능한 것은 사용자의 현재위치정보가 기지국 기반으로 이동통신사의 인프라(infra)인 홈위치등록기(HLR)에 저장되고, 이동통신사가 홈위치등록기에 저장된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 중 통신망 인프라에 저장되는 지극히 제한된 정보만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단말기는 개인화 정보의 보고라고 할만큼 지극히 개인적인 정보고 오고 가는 곳이다. 음성통화는 물론, SMS 전송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수행하는 기본적인 정보로부터, 기지국정보(위치정보), 금융결제정보(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와 같은 개인정보로 보호되는 모든 기능들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고 있다. 또한 최근 무선 인터넷의 사용증가로 인해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어떤 정보에 접속하는지에 대한 정보 역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 한 사람의 개인적인 모든 개인화 정보를 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어서, 기업의 마케팅 타켓설정 등에 아주 중요한 정보로 쓰일 수 있다.
이러한 개인화 정보는 개인화된 정보이므로 당연히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야만 사용이 가능하나, 사용자의 동의를 얻는다 해서 사용자 개개인의 단말기에 존재하는 개인화 정보를 한곳으로 모으기란 쉽지 않다. 이는 각각의 단말기 상태가 다르고, 단말기의 종류도 다르며 사용자의 위치 또한 전국적이기 때문에 일일이 단말을 확인해서 개인화 정보를 수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맞춤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에서 제시하지 않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화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 해당 정보 취합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개인화 정보의 유출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얻은 후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사용자의 승인은 개인화 정보가 도착할 외부장치(이하 '정보수집서버'라 한다)에 대한 인증과, 정보수집서버에 제공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는 개인화 정보는 통화내역(call history), 벨소리(통화연결음, 컬러링 등), 음성녹음, 주소록, 단축번호, SMS(Short Message Service) 수신/발신 데이터 등과 같이 다양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에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한 사용 승인을 얻고 사용 승인을 얻는 개인화 정보를 서비스 대상으로 한다.
여기서, 정보수집서버에 대한 인증은 오프라인을 통해 얻을 수 있고 또한 공지된 기술을 통해 인터넷이나 그밖의 무선데이터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기술을 언급하지 않는다. 그리고 개인화 정보에 대한 인증 또한 온 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면 쉽게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한 승인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언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정보수집서버에 대한 인증과 개인화 정보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진 환경 하에 이루어지는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을 승낙받은 정보수집서버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화 정보가 그 종류별로 저장되는 개인화정보 저장부; 백그라운드 동작을 수행하며, 무선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구동하여 개인화 정보를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서버에 전송하는 정보수집 에이전트;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의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미들웨어로서 동작 하며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의 개인화 정보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화정보 저장부로부터의 해당 개인화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이 요구로 수신한 개인화 정보를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화정보 저장부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에 제공하는 메인 플랫폼을 포함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을 승낙받은 정보수집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로부터 개인화 정보 수집 요구를 수신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정보수집서버로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해당 종류의 개인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설정된 포맷으로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설정 포맷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을 승낙받은 정보수집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동작 주기가 되면 동작을 시작하는 제1 단계; 설정되어 있는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는 제2 단계; 해당 종류의 개인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설정된 포맷으로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설정 포맷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정보수집 에이전트(110), 무선인터넷 플랫폼(120), 메인 플랫폼(130), 개인화정보 저장부(140)와, 상태 알림부(150)를 포함한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정보수집서버(200)의 명령을 대리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개인화 정보를 수집하고 전송하는, 정보수집서버(200)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없이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백그라운드(backgroud) 동작한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사용자가 인증한 외부장치(즉, 정보수집서버)에만 반응하여 정보수집서버와의 연동을 수행한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각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규격 의 운용체제(OS: Operating System)를 사용하는 것에 무관하게 동작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미들웨어(middleware)인 무선인터넷 플랫폼(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of Interoperability, 120) 상에서 동작한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특정 기능용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에 접속하여 특정 기능을 요구하거나 수행한다.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은 이동통신단말기마다 서로 다른 규격의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이 가능하며, 무선 데이터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은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로부터 기능용 API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한 HAT(Handset Adaptation Layer) API를 통해 단말기 제조사가 제작한 메인 플랫폼(130)에 접속하여 해당 기능에 대응한 개인화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수신된 개인화 정보를 정보수집 에이전트(110)에게 제공한다.
개인화정보 저장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를 사용함에 따라 저장되는 개인화 정보를 종류(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다. 상태 알림부(150)는 메인 플랫폼(130)의 제어에 따라 개인화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졌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한다. 상태 알림부(150)는 팝업(popup) 어플리케이션이거나 알림(notifying) 어플리케이션 등 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110)에서 활용하고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에서 지원하는, 단말자원 관련 HAL API의 일예가 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단말자원이란 개인화 정보를 말한다. 상기 HAL API는 정보수집 에이전트(110)의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개인화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정보를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이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 정보수집 에이전트(110)가 개인화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개인화 정보를 저장,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도 2를 보면, HAT API는 그 기능에 따라 단말자원 관리용과, 단말자원 그룹관리용과, 단말자원 보안용 및 기타로 구분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개인화 정보를 그 종류에 따라 리소스(resource) 그룹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각 리소스 그룹은 다수의 리소스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소스 그룹의 일 예를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PICTUREMATE" : 그림친구
"MUSICBELL" : 벨소리
"PHOTO" : 사진
"VOICE" : 음성녹음
"PHONEBOOK/PRIVATE" : 주소록(개인)
"PHONEBOOK/GROUP" : 주소록(그룹)
"PHONEBOOK/SHORTKEY" : 단축번호
"MULTIMEDIA/LIVEBELL" : 단말의 라이브벨 영역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MULTIMEDIA/LIVESCREEN" : 단말의 라이브스크린 영역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MULTIMEDIA/RECORD" : 단말에서 녹음된 멀티미디어
"MULTIMEDIA/MMS" : MMS 서비스용 멀티미디어
"MULTIMEDIA/VOD" : June 앨범
"MULTIMDEIA/MOD" : MUSIC 앨범 또는 NATE MP3
"ALARM" : 알람 설정 정보
"BLACKLIST" : 블랙리스트(전화번호에 소리/진동/램프 상태를 설정)
"SMSDATA/SENT" : SMS 발신 데이터
"SMSDATA/RECV" : SMS 수신 데이터
"MISC" : BTS(기지국) 정보, Call, SMS 히스토리 정보 등
이러한 리소스들은 그룹별로 정해진 특정 데이터 포맷을 가지며, 정해진 데이터 포맷의 형태로 데이터화되어 정보수집서버(200)에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인터넷망에 위치한 정보수집서버(200)에 의해 본 발명이 수행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정보수집서버(200)는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운용자의 요구가 발생하면 SMS 푸쉬(push)로 이동통신단말기(100)에게 개인화 정보를 요구하며, 이에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정보수집서버(200)의 개인화 정보 요구를 수신하고 정보수집 에이전트(110)가 실행된다(S301). 이해를 돕기 위해 정보수집서버(200)에서 요구한 개인화 정보의 종류(즉, 그룹)를 콜 히스토리(Call history)라고 한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구동하여 개인화 정보를 정보수집서버(200)에 전송하기까지의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되게 한다(S302).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개인화 정보 요구를 수신하면, 수신된 개인화 정보 요구를 분석하여 정보수집서버(200)가 요구하는 개인화 정보가 콜 히스토리 요구인지를 파악하고(S303). 콜 히스토리 요구에 대응하는 자원요청 API를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에 전송하여 콜 히스토리를 요구한다. 여기서 정보수집서버(200)는 전송하는 개인화 정보 요구에 수집을 요구하는 개인화 정보의 종류(이하의 '그룹'과 일맥상통함)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데, 개인화 정보의 종류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고 단지 정보수집 에이전트(110)의 구동을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수집 에이전트(110)에는 정보수집서버(200)로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 정보가 자체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구동시 설정된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여 그에 부응하는 동작을 한다.
한편 정보수집 에이전트(110)에서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에 전송하는 자원요청 API는 도 2를 참조하면, OEMC_termResGetFormat("MISC", callreciev, rtnFormat, 20)과, OEMC_termResRead("MISC", callreciev, pData, bufSize)이다.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은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로부터 콜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요구를 수신하면, 메인 플랫폼(130)으로 콜 히스토리를 요구하는 HAT API를 전송한다(S304). 이때 전송되는 HAT API는 OEMC_termResGetFormat("MISC", callreciev, rtnFormat, 20)과, OEMC_termResRead("MISC", callreciev, pData, bufSize)이다.
메인 플랫폼(130)은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으로부터 콜 히스토리 요구를 수신하면 개인화정보 저장부(140)에 접속하여(S305), 사용자의 통화목록 정보를 추출하고(S306), 정해진 콜 히스토리 그룹의 포맷으로 만들어(S307),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에 전달한다(S308).
여기서 리소스별 데이터 포맷의 예를 몇 개의 리소스를 대상으로 설명한다.
1. 리소스가 폰북(phone book)/개인인 경우에 데이터 포맷은 wCard(이건 무엇인지요?) 문자열이고, 2. 리소스가 폰북/그룹인 경우에 데이터 포맷은 실제 그룹 이름의 문자열(즉, UI(User Interface)를 통해 보여지는 이름)이며, 3. 폰북/쇼트키인 경우에 데이터 포맷은 단축번호 데이터 = (폰북/개인의 리소스 이름>+ '/'+ <wCard TEL Type의 Type 및 Value>이다.
상기 3의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들면, 리소스 이름이 '김철수'인 폰북/개인 리소스의 집 전화번호가 02-1234-5678이라고 한다. 그러면 데이터 포맷은 "김철수/TEL:TYPE=home:0212345678"이 된다.
4. 리소스가 SMS 데이터인 경우에 데이터 포맷은 SMS 데이터=TID + '\0' + STATE + '\0' + NUMBER + '\0' + DATA + '\0' + TIME + '\0' + '\0'이다. 여기서 TID는 10진수 TID 문자열이고, STATE는 메시지의 상태 즉, '0'이면 새로운 메시지이고, '1'이면 이미 읽은 메시지라는 메시지 상태이다. NUMBER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 전화번호 문자열이고, DATA는 ASCII 형식의 SMS 메시지 문자열이며, TIME은 착발신 시간 문자열(년월일시분 형태)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TID가 xxxxx이고 2003년 5월 4일 12시 55에 011-1234-5678으로부터 'Hello'라는 메시지가 도착한 경우, 메시지 포맷은 "xxx\00\001112345678\0Hello\0200305041255\0\0"이다.
여기서, 착신의 경우에 NUMBER가 없으면 대신 ASCII 문자 ESC(0x1B)를 삽입하고, 이렇게 하면 널(NULL)과 널(NULL) 사이에 1바이트의 ESC(0x1B)가 삽입된다. 발신의 경우에, 새로운 메시지와 이미 읽은 메시지의 구별이 없을 경우 STATE를 '1'로 한다.
5. 리소스가 ALL BTS 정보(기지국정보, 위치정보)인 경우에 데이터 포맷은 BTS(기지국정보) + ';' + TIME + '\0' +[BTS+ ';' + TIME + '\0'] + '\0'이다. 여기서 TIME은 정보 기록 시간이고, BTS는 기지국 ID 문자열이다. BTS는 셀 타입과 GPS 타입으로 그 정보의 종류가 2가지로 나뉜다. 그러므로 BTS는 정보종류 + 위치정보로 구성되며, 정보종류는 셀 타입인 경우에 '01'이고 GPS 타입인 경우에 '02'이다. 그리고 셀 타입의 경우에 위치정보는 UA 필드에서 활용하는 NID, REG, BASE, PILOT, SID를 사용하고, 각각의 구분자로 ','를 사용한다. 그런데 GPS 타입은 현재 서비스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최종적인 포맷의 예에 대한 제시는 하지 않는다. 한편, 전원 온의 경우에, 전원 오프와 전원 온 시간 사이의 BTS는 '0'으로 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현재위치등록한 정보가 2003년 8월 15일 0시 0분에 기지국 ID가 xxx_1이며, 2003년 8월 15일 0시 5분에 기지국 ID가 xxx_2인 경우에, 데이터 포맷은 "xxx_1;08150000\0XXX_2;08150005\0\0"이다.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은 메인 플랫폼(130)으로부터 콜 히스토리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정보수집 에이전트(110)에 전송하고(S308),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정보수집서버(200)로부터 SMS로 수신한 개인화 정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콜 히스토리 정보를 정보수집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렇게 콜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면, 메인 플랫폼(130)은 상태 알림부(150)로 콜 히스토리 정보의 전송을 알리고, 상태 알람부(150)는 콜 히스토리 전송 사실을 알리는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개인화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게 한다(S309).
이하,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기 자체에 설정된 개인화 정보 수집 주기마다 설정된 개인화 정보 모두 또는 일부를 정보수집서버(200)에 전송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구동 주기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 설정 주기마다 구동한다(S401).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구동하여 개인화 정보를 정보수집서버(200)에 전송하기까지의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되게 한다(S402).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구동을 시작하면 정보수집서버(200)로 전송할 개인화 정보가 무엇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전송예약 개인화 정보의 종류(그룹) 정보를 파악한다(S403). 이때 설정된 전송예약 개인화 정보의 종류는 개인화 정보 모두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전송예약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면, 순차적으로 하나씩 해당 개인화 정보를 요구하고 수신한 후 정보수집서버(200)에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한 그룹의 개인화 정보가 수신되는 즉시 정보수집서버(200)에 전송하거나, 설정된 전송예약 개인화 정보의 그룹 모두를 모아서 정보수집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는 우선 설정된 개인화 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첫 번째 개인화 정보의 그룹을 요구하기 위해 해당 자원요청 API를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에 전송한다. 이때 요구한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콜 히스토리라고 한다.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은 정보수집 에이전트(110)로부터 콜 히스토리에 대한 정보 요구를 수신하면, 메인 플랫폼(130)으로 콜 히스토리를 요구하는 HAT API를 전송한다(S404).
메인 플랫폼(130)은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으로부터 콜 히스토리 요구를 수신하면 개인화정보 저장부(140)에 접속하여(S405), 사용자의 통화목록 정보를 추출하고(S406), 정해진 콜 히스토리 그룹의 포맷으로 만들어(S407), 무선인터넷 플랫폼(120)에 전달한다(S408).
이렇게 콜 히스토리 정보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면, 메인 플랫폼(130)은 상태 알림부(150)로 콜 히스토리 정보의 전송을 알리고, 상태 알람부(150)는 콜 히스토 리 전송 사실을 알리는 문자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개인화 정보가 전송되었음을 알게 한다(S409).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는 개인 정보를 수시로 손쉽게 수집할 수 있게 하여, 수집된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각 단말기가 개인에 특화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5)

  1.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을 승낙받은 정보수집서버와의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화 정보가 그 종류별로 저장되는 개인화정보 저장부;
    백그라운드 동작을 수행하며, 무선인터넷 플랫폼 상에서 구동하여 개인화 정보를 요구하고 이에 대응하여 수신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정보수집서버에 전송하는 정보수집 에이전트;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의 구동환경을 제공하는 미들웨어로서 동작하며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의 개인화 정보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화정보 저장부로부터의 해당 개인화 정보 제공을 요구하고, 이 요구로 수신한 개인화 정보를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개인화정보 저장부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에 제공하는 메인 플랫폼을 포함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는 상기 정보수집서버의 구동지시에 따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에서 전송하는 구동지시에는 수집 요구하는 개인화 정보의 종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에서 전송하는 구동지시는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의 구동만을 지시하며,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는 구동시 자체 설정된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 에이전트는 자체 설정된 구동 주기마다 구동하고, 구동시 자체 설정된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정보는 소스별로 특정의 전송 포맷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은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이 요구한 해당 종류의 개인화 정보를 상기 개인화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면,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해당 정보의 소스별 전송 포맷에 맞추어 상기 무선인터넷 플랫폼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플랫폼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정보수집서버로 해당 개인화 정보가 전송되면 화면을 통해 개인화 정보 전송 완료 사실을 알리는 상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9.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을 승낙받은 정보수집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수집서버로부터 개인화 정보 수집 요구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정보수집서버로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2 단계;
    해당 종류의 개인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설정된 포맷으로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설정 포맷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10.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 수집을 승낙받은 정보수집서버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설정된 동작 주기가 되면 동작을 시작하는 제1 단계;
    설정되어 있는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는 제2 단계;
    해당 종류의 개인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설정된 포맷으로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설정 포맷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정보수집서버로부터 수신된 개인화 정보 수집 요구 신호로부터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자체 설정된 개인화 정보 전송 가능 정보를 통해 전송할 개인화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개인화 정보의 소스별로 지정된 포맷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14. 이동통신단말기에서,
    IP망에 위치한 정보수집서버로부터 개인화 정보 수집 요구를 수신하는 제1 단계;
    상기 정보수집서버로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2 단계;
    해당 종류의 개인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설정된 포맷으로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설정 포맷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 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설정된 동작 주기가 되면 동작을 시작하는 제1 단계;
    설정되어 있는 전송할 개인화 정보의 종류를 파악하는 제2 단계;
    해당 종류의 개인화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해당 개인화 정보를 추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추출한 개인화 정보를 설정된 포맷으로 만드는 제4 단계; 및
    상기 설정 포맷된 개인화 정보를 상기 개인정보서버로 전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정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서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00128A 2005-01-03 2005-01-03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KR10069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128A KR100693183B1 (ko) 2005-01-03 2005-01-03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128A KR100693183B1 (ko) 2005-01-03 2005-01-03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671A true KR20060079671A (ko) 2006-07-06
KR100693183B1 KR100693183B1 (ko) 2007-03-13

Family

ID=3717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128A KR100693183B1 (ko) 2005-01-03 2005-01-03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355B1 (ko) * 2007-08-24 2009-01-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894705B1 (ko) * 2006-10-19 2009-04-24 주식회사 올앳 개인 정보 관리 이동 통신 단말, 이동 통신 단말 개인 정보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1153821B1 (ko) * 2009-12-29 2012-06-18 전자부품연구원 Sms를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 정보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688A (ja) 2000-09-01 2002-03-12 Intervision Inc 情報収集/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183202A (ja) 2000-12-18 2002-06-28 Nec Corp 端末装置、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情報収集方法
KR100456026B1 (ko) 2002-11-21 2004-11-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 획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6776B1 (ko) * 2003-06-17 2007-10-17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랜 시스템의 사용자정보 추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705B1 (ko) * 2006-10-19 2009-04-24 주식회사 올앳 개인 정보 관리 이동 통신 단말, 이동 통신 단말 개인 정보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KR100878355B1 (ko) * 2007-08-24 2009-01-15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153821B1 (ko) * 2009-12-29 2012-06-18 전자부품연구원 Sms를 이용한 에이전트 기반 정보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183B1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01333B (zh) 一种下载文件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JP592950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60086705A (ko)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CN109660979B (zh) 物联网空中开卡方法及装置、计算设备和存储介质
KR10183493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EP19959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network paramet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931940A (zh) 限制通信系统中端点标识符的系统和方法
CN1499855B (zh) 一种接入点和通过接入点连接客户端与广域网的方法
KR20140061943A (ko) 메시지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93183B1 (ko) 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및개인화 정보 자동전송 방법
JP2004178294A (ja) 関連する電子メールを表示する携帯端末、電子メー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12787A (zh) 个性化信息发布的系统和方法
KR100683569B1 (ko)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WO2005004448A1 (en) Caller id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JP426082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サーバ、移動通信端末および通信方法
JP2002325086A (ja) Ip接続通信システム及びip接続端末機
KR100469447B1 (ko) 휴대폰의 부가서비스 정보 관리 방법
US8954036B2 (en) Data arrival control server and method for notifying a communication terminal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of data arrival at a certain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terminals
JP2017050854A (ja) 電気通信サーバと連携する電話番号情報サーバ及びその情報提供方法
KR101914602B1 (ko) 태블릿 전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CN114449035B (zh) 一种针对自动缴费的通知消息的发送方法和装置
CN112653998B (zh) 终端设备丢失定位方法、终端设备和存储介质
JP5599441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及び安否確認方法
KR100944152B1 (ko) 위치 기반의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
KR20030000108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록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