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3569B1 -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3569B1
KR100683569B1 KR1020040029455A KR20040029455A KR100683569B1 KR 100683569 B1 KR100683569 B1 KR 100683569B1 KR 1020040029455 A KR1020040029455 A KR 1020040029455A KR 20040029455 A KR20040029455 A KR 20040029455A KR 100683569 B1 KR100683569 B1 KR 10068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erver
group
terminal
messag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146A (ko
Inventor
변형근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4002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569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 등을 전송할 때 1:1의 메시지 전송방법이 아닌 1:다수의 그룹전송방법에 관한 것이고, 메시지 전송의 주체가 개인이기 보다는 기업이나 조직이 그 구성원들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업 또는 조직의 이름과 함께 그 구성원의 성명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구비하고,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통하여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내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두고 이 서버가 동시에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게 함으로써 기업형 그룹 메시지 전송을 현실화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관리의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실시간으로 단말기와 동기화시킴으로써 정확한 그룹메시지 전송과 정보의 공유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룹 메시지, 조직관리 서버, 단말 어플리케이션, 동기화, 과금

Description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A METHOD FOR A MESSAGE GROUP SENDING SERVICE WITH ENTERPRISE TYPE CONNECTED GROUP SERVER WITH TERMINAL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그룹 메시지의 전송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단말기와 조직관리 서버의 동기화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동기 단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룹 메시지 전송 단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과금 단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종래 기술에 대한 참조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SMS 메시지(단문 메시지 서비스) 또는 MMS(멀티미 디이 메시지 서비스) 등을 전송할 때 1:1의 메시지 전송방법이 아닌 1:다수의 그룹전송방법에 관한 것이고, 메시지 전송의 주체가 개인이기 보다는 기업이나 조직이 그 구성원들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업 또는 조직의 이름과 함께 그 구성원의 성명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구비하고,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통하여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술분야 뿐만 아니라 산업사회의 생활과 문화의 표준이 되고 있다. 한편 그와 같은 변화 중 이동통신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러한 저변의 광범위성을 바탕으로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ㆍ제공되고 있고, 관련기술의 개발 및 응용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호처리가 완료된 후의 송신측 및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일상적인 전화통화 뿐만 아니라, 그밖의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dia Service) 메시지 송수신, 데이터 저장 기능, 인터넷 접속, 위치추적 등 다양한 기술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다양한 기술환경 중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있어서, 최초에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때 하나의 문장을 작성하여 한 사람에게만 그 작성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점 대 점 송신방법이 제공되었으며, 같은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여러 사람에게 보내기 위해서는 여러 번 문자메시지를 작성하고, 그에 따라 일일이 상대방의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여야 했다.
그러나,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한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에게 동일한 내용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그룹 메시지 전송 방법에서는 매우 불편한 것이 사실이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시도가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11327호는 도 7(a)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수신측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측 단말기는 전송한 문자 메시지의 성공적인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개인 채널을 이용한 그룹 메시지 전송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SMS 및 CBS(Cell Broadcasting Service)를 이용하여 송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수신측 단말기로 동시에 그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그룹 메시지를 공통으로 송/수신하고자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들을 특정 그룹으로 하고, 특정 그룹에 속한 이동통신 단말기들간에 서로 그룹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나의 특정채널을 할당하도록 하여 동일한 메시지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그룹메시지 전송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CBS 방법에서는 통신보안의 장점도 확보하고자 하였다.
도 7(b)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50767호에 개시된 다수의 수신측 단말기로 동일한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공개특허공보는 복수전송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내에 그룹저장 방식을 채택하는 문자메시지 전송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10160호는 다수의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에 동일한 단문 메시지를 다중 전송하는 방법을 위한 휴대용 다중 SMS 전송 장치에 대한 기술내용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그룹을 선택하여 전송하는 방법은 단말 특성상 그룹관리나 전송대상 선택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불편하여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도 7(a)는 단말기나 통신 시스템에는 아무런 변동을 주지 않은채 별도의 채널을 할당하고, 이 할당된 채널을 이용하는 송신측/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모두 통신 시스템에 등록되어야 하며, 별도의 채널할당이 계속 증가함으로 인하여 망의 부하가 커지며, 단말기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그룹관리를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 기술은 SMS 그룹 메시지 전송기술이라기 보다는 CBS 통신방송의 측면이 강했다.
그리고 도 7(b)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화번호로 그룹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단말기 자체의 부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수신측이 그렇게 많지 않은 경우에는 유효할 수는 있어도 수신측이 수십명 수백명 또는 그 이상의 기업형, 조직형 대규모 그룹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에는 시간적인 처리, 기술적인 처리 상 한계가 있었다.
한편, 현재, 이름, 회사,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기록하여 보관하는 일종의 주소록인 폰북이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 필수 기능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폰북을 활용한 그룹 메시지 방법도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를 이용한 그룹메시지 전송방법도 만일 그것이 기업이나 조직 또는 단체의 구성원에게 보내는 대규모의 그룹 메시지인 경우에 있어서는 역시 현실적으로 이용될 수 없을 것이다. 일일이 폰북을 열어 검색하고 지정하고 수정하는 일들을 일일이 반복하는 것은 매우 용이하지 않은 일이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그룹메시지 전송기술들은, 예컨대 기업이나 조직의 구성원, 단체의 회원 등 대규모의 인원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 이 그룹에게 소정의 동일한 메시지를 동시에 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측 단말기 사용자의 가입상황의 변경, 전화번호의 변경 등에 따른 오전송을 막고 기업이나 조직의 그룹메시지 전송의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기존의 단순한 그룹메시지 전송기술을 기업이나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그룹메시지를 전송하는 기업형 그룹메시지 전송기술로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예의 연구ㆍ노력한 결과, 이동통신 시스템에 기업 또는 조직의 이름과 함께 그 구성원의 성명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구비하고,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그 조직관리 서버를 통하여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하면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조직관리 서버를 서로 동기화하는 단계,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조직관리 서버 이용자에게 과금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을 구성하는 경우, 그룹 발송을 대행해 주는 서버를 시스템에 별도로 둠으로써 단말기로부터는 메시지 정보를 한 번만 서버로 보내면 되기 때문에, 별다른 망장비(SMSC, MMSC) 의 변경이 필요없이 단말기와 망의 부하를 최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단말기에서 기업 또는 조직 구성원에게 편리하게 단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조직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이 조직 구성원간에 통합적으로 수정, 관리, 운용될 수 있는 유용함도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이나 조직, 단체들이 그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문자 메시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에 그룹발송을 대행해주는 별도의 서버를 구비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기업이나 조직, 단체들의 구성원들의 정보와 그 구성원의 단말기간의 정보가 서로 일치할 수 있도록 해 주면서, 상기 서버의 정보의 업그레이드가 존재한다면 그 구성원의 단말기내의 정보도 함께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기술수단을 제공하면서, 이를 통하여 기업이나 조직, 단체들의 시스템관리 주체가 보다 합리적이고 용이하게 서버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 또는 조직의 이름과 함께 그 구 성원의 성명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구비하고,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통하여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동기화하는 동기 단계; (b)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그룹 메시지 전송 단계; 및 (c) 상기 조직관리 서버 이용자에게 과금처리를 행하는 과금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은, 그룹 메시지 작성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자연스럽고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그룹 메시지 작성 단계는 상기 (a) 단계의 전후에서 이루어질 것이며 그 순서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동기 단계는,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 선택하는 제 1 단계;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조직관리 서버와의 동기 및 그룹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상기 기업 또는 조직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제 3 단계; 및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조직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기업 또는 조직의 그룹정보를 동기화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 1 단계는 반드시 동기 단계에서 최초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 며, 상기 동기 단계의 동기화가 완료된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 또는 상기 제 3 단계와 제 4 단계 사이에도 위치할 수 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그룹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그룹 메시지를 상기 조직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그룹 구성원의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전송결과를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전송결과를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으로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과금 단계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그룹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기록ㆍ저장하는 제 1 단계; 및 과금서버가 상기 그룹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수집하여 CDR를 발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과금단계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과금서버가 발행한 상기 CDR을 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도 좋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메시지 전송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송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단말기내에 그룹 메시지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존재한다면 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이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송신측 단말기는 조직관리 서버로 인증 요청을 하고(S101) 이에 조직관리 서버가 응답을 하면(S102) 송신측 단말기와 조직관리 서버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로 그룹 메시지를 한 개 전송하면(S103), 조직관리 서버가 이를 조직의 구성원인 수신자의 단말기로 상기 그룹 메시지를 N개 전송한다(S104). 그러면 메시지 중계부, 예컨대 SMSC 또는 MMSC 등에서 이 N개의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함과 아울러(S105), ACK 신호를 상기 조직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그룹 메시지가 그 그룹에 소속된 수신측 단말기로 제대로 전송되었음을 알린다(S106).
그 다음에 상기 조직관리 서버는 그룹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기록ㆍ저장하고 과금 서버로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여 과금처리가 행해지도록 한다(S107).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조직관리 서버의 동기화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기업형 그룹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두고, 이 조직관리 서버를 통하여 그룹 메시지의 발송을 대행해 주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이나 조직, 단체들의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관리하는 조직관리자는 WEB/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구성원의 이름, 가입상황, 전 화번호 등의 그룹정보를 등록하거나 변경, 삭제할 수 있으며(S201), 그 구성원도 개별적으로 개인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S202). 이는 서버 자체를 관리하고 발송을 대행하는 사업자(통상 이동통신회사)와의 계약 및 프로그램에 의하여 그 수단이나 절차가 통상적으로 미리 결정되어질 것이다.
이때, 서버에서 단말로 PUSH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S201) 및 (S202)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정보가 구성원의 단말기로 자동 통지될 수 있다(S203).
한편, 조직관리자를 포함한 회사나 조직의 구성원(송신측 단말기 사용자)이 그룹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하여 상기한 인증요청 및 응답(S204) 절차를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그룹 메시지를 발송되기 전의 단말기와 상기 조직관리 서버간의 데이터간의 상호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205).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먼저 도 3(a)의 동기 단계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그룹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을 행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서 그룹 메시지용 어플리케이션이 있어야 하며, 이 어플리케이션은 KVM, BREW, SKVM 등의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단말기에 있는 그룹 SMS 전송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의 추가된 프로그램이며, 이러한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그룹 메시지 전송기능 및 그룹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조직관리 서버의 데이터 정보와 단말기내의 정보를 동기화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전송방법은 단말 특성상 그룹관리나 전송대상 선택등의 UI(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불편하여 그 서비스가 사용화되기 힘든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바 어플리케이션(Java Application)을 이용하여 서버와 조직 또는 그룹 정보를 실시간 동기화하도록 하며, 기존의 SMSC, MMSC 등의 망장비와의 연동 없이 별도의 그룹 전송 시스템을 두어 구성하기 쉽도록 한 것이다.
만일 상기 그룹 메시지용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단말기 내에 존재하지 않다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소정의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며 (S301), 단말기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기술은 현재 잘 알려져 있음을 첨언한다.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송신측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예컨대 회사명, 회사식별번호, 사번 등 인증정보를 입력한다 (S302). 인증이 실패하면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와 연결되지 않게 되며, 인증에 성공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회사조직 및 그룹정보를 동기화한다(S303).
도 4는 본 발명의 그룹 메시지 전송 단계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송신측 단말기내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전송할 조직 또는 그룹이 선택되며, 그룹 메시지가 단말기로 입력된 후에,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수신측 단말기 모두에게 각각 개별적으로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조직관리서버로 그룹 메시지 한 개만 전송하는 데 그치고, 수신측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송신할 필요는 없다(S304). 필요에 따라서는 그룹 ID 등이 상기 조직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이미 인증절차를 거쳤으므로 상기 조직관리 서버내 기록데이터가 그롭 ID를 인지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직관리 서버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하나의 그룹 메시지를 선택된 구성원인 수신측 단말기들 모두에게 SMSC, MMSC 등 망장비를 통해서 전송하게 되며(S305), 상기 조직관리 서버는 상기 전송결과를 송신측 단말기로 보내게 된다(S30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의 과금 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기업, 조직 및 단체 등의 그룹 메시지 발송을 시스템적으로 대행해 주는 것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대행하는 통신회사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에 기록ㆍ저장된 그룹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업, 조직 및 단체 등에게 본 발명의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게 된다.
과금방식(월정액, 건당 정산 등)은 사업자별로 사전에 등록해야 하며, 그룹 전송이 완료된 것은 과금방식에 해당하는 CDR(Call Detail Record)을 발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이를 한 건의 그룹 메시지 전송이 완료될 때마다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송신측 단말기로 CDR의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S307).
본 발명의 상기 조직관리 서버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WEB/WAP을 통하여 상기 그룹정보가 추가/변경/삭제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그룹정보를 동기화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그룹전송요청을 받아 그 구성원들에게 전송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조직관리 서버는, 그 룹 메시지 송수신부, 인증처리부, 조직 및 그룹 관리부, 전송 데이터 기록부 등을 포함한다.
도 6은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이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하여 다시 한 번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송신측 단말기내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메시지 발송 버튼을 눌러 SMS 문자 메시지 전송단계에 진입한다(S401). 이때 전송될 메시지가 그룹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02), 그룹 메시지가 아닌 경우에는 기존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며(S402'), 그룹 메시지인 경우에는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403),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 구동 환경에서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조직관리 서버로 그룹 ID 및 메시지를 입력하여 인증행위를 수행하고(S404), 송신측의 인증이 성공여부를 판단하여(S405),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대로 절차를 종료하고(S405') 인증에 성공한 경우에는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로 그룹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게 되며(S406), 이에 응하여 상기 조직관리 서버는 그룹 구성원에게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전송한다(S407). 그리고 조직관리 서버는 그 전송결과를 송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며(S408), 송신측 단말 어플리케이션은 전송결과를 화면에 표시한 후(S409) 종료한다(S410).
한편,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개인 대 개인의 그룹 메시지 전송방법은, 단말기 자체가 개인용이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한계상, 기업 대 기업 구성원, 조직 대 조직 구성원간의 그룹 메시지 전송방법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내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두고 이 서버가 동시에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게 함으로써 기업형 그룹 메시지 전송을 현실화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개인간의 인간관계와는 달리, 기업이나 조직에 있어서는 그 구성원들의 정보들이 수시로 변하고 따라서 수시로 그룹정보를 업데이트 해야한다. 이를 반영한 본 발명은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관리의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실시간으로 단말기와 동기화시킴으로써 정확한 그룹메시지 전송과 정보의 공유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8)

  1. 기업 또는 조직의 이름과 함께 그 구성원의 성명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별도의 조직관리 서버를 구비하고,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통하여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단말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하여 상기 조직관리서버의 데이터 정보와 단말기 내의 정보를 동기화하는 동기 단계;
    (b)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조직관리 서버를 통하여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그룹 메시지 전송 단계; 및
    (c)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상기 조직관리 서버 이용자에게 과금처리를 행하는 과금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단말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 작성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그룹 메시지 작성단계는 상기 동기 단계의 전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단계는,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 선택하는 제 1 단계;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조직관리 서버와의 동기 및 그룹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제 2 단계;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상기 기업 또는 조직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제 3 단계; 및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조직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기업 또는 조직의 그룹정보를 동기화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단계는,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조직관리 서버와의 동기 및 그룹 메시지 전송을 위한 단말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상기 기업 또는 조직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제 2 단계; 및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조직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기업 또는 조직의 그룹정보를 동기화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룹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된 그룹 메시지를 상기 조직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그룹 구성원의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그룹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전송결과를 상기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전송결과를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으로 출력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단계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그룹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기록ㆍ저장하는 제 1 단계; 및
    과금서버가 상기 그룹 메시지 전송 데이터를 수집하여 CDR를 발행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단계는, 상기 조직관리 서버가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과금서버가 발행한 상기 CDR을 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 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KR1020040029455A 2004-04-28 2004-04-28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KR10068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455A KR100683569B1 (ko) 2004-04-28 2004-04-28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455A KR100683569B1 (ko) 2004-04-28 2004-04-28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46A KR20050104146A (ko) 2005-11-02
KR100683569B1 true KR100683569B1 (ko) 2007-02-15

Family

ID=3728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455A KR100683569B1 (ko) 2004-04-28 2004-04-28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51B1 (ko) * 2009-05-29 2011-05-19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데이터 그룹전송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및 이동통신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4580B2 (en) 2008-06-26 2016-05-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harging for short message delivery
CN101977362A (zh) * 2010-10-25 2011-0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短信群发方法和系统
KR101982150B1 (ko) 2012-02-16 201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디바이스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979800B1 (ko) 2012-02-16 201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창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11868A (ko) 2012-04-02 201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트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861822B1 (ko) 2012-04-02 2018-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폰 북을 이용한 sns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894396B1 (ko) 2012-04-03 2018-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스토리지를 이용한 콘텐트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916A (ko) * 2001-06-20 2001-07-27 이상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020028523A (ko) * 2000-10-10 2002-04-17 김영훈 인터넷을 이용한 동시 메시지 전달 방법
KR20020029996A (ko) * 2000-10-16 2002-04-22 임재용 인터넷을 이용한 비상연락 시스템
KR20020076056A (ko) * 2001-03-27 2002-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시에 여러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메시지를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523A (ko) * 2000-10-10 2002-04-17 김영훈 인터넷을 이용한 동시 메시지 전달 방법
KR20020029996A (ko) * 2000-10-16 2002-04-22 임재용 인터넷을 이용한 비상연락 시스템
KR20020076056A (ko) * 2001-03-27 2002-10-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시에 여러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메시지를송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10070916A (ko) * 2001-06-20 2001-07-27 이상철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651B1 (ko) * 2009-05-29 2011-05-19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데이터 그룹전송기능을 갖는 게이트웨이 및 이동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146A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6309B2 (en) Dispatch application utilizing short message service
KR100436551B1 (ko) 휴대전화번호를 이용한 메일주소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162374A1 (en) Cost effective updating of mobile computing devices and communicating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EP1146701A1 (en) Method of transferring data being stored in a database
US20090275307A1 (en) Mobile Communications Facilitated by Interactive Menus
CN1267982A (zh) 向电信网络用户提供对象的方法和系统
US8447362B2 (en) Function updating system and function updating method
KR20050011013A (ko) 메시지 관리방법
CN101401405A (zh) 用于维持移动无线终端的匿名性的方法和系统
KR100683569B1 (ko) 단말 어플리케이션과 조직관리 서버를 연동한 기업형메시지 그룹발송 서비스 방법
JP2003512790A (ja) メッセージの伝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と、提供されるサービスを調査するための伝送システムの利用
EP2175626A1 (en) Method for appending a signature to a size limited text message.
KR100668602B1 (ko) 모바일 청구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89167A1 (en) E-mail operation system, e-mail operation device, and e-mail operation method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KR100928872B1 (ko) 무선 푸시 기반 청구서 제공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1753590A (zh) 一种用于远程管理应用的装置和方法
KR2011001807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885393B1 (ko) 웹 또는 음성정보에 의한 ota 기반의 usim 카드정보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626499B1 (ko) 커뮤니티 무선통신번호 등록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정보 저장매체
KR20010029229A (ko) 그룹 동시 문자호출 방법
KR100904386B1 (ko) 허브 중계를 이용한 정보 변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87512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2679A (ko) 위치기반 통신 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98558B1 (ko) 능동적 수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