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7311A -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7311A
KR20060077311A KR1020040116125A KR20040116125A KR20060077311A KR 20060077311 A KR20060077311 A KR 20060077311A KR 1020040116125 A KR1020040116125 A KR 1020040116125A KR 20040116125 A KR20040116125 A KR 20040116125A KR 20060077311 A KR20060077311 A KR 20060077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member
decorative pattern
polyurethane
lowe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6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대형
Original Assignee
류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대형 filed Critical 류대형
Priority to KR1020040116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7311A/ko
Publication of KR2006007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ㆍ하부판넬 사이 형성되는 공간에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충진한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은 한쌍의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및 발포성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으로 하며,이때, 상기 상부판넬의 일부에 일정한 면적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 안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이 삽입되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ㆍ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을 폴리우레탄으로 충진시킴으로써 판넬 전체의 내구성, 단열, 방음성능을 구비하고, 별도의 접착공정 없이 상ㆍ하부판넬 및 프레임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경량이면서 판넬외부의 무늬성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폴리우레탄, 장식무늬판, 단열, 방음

Description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Complexed-pannels of using of compartment in toilet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무늬복합화장판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1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2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장식무늬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1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장식무늬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2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판넬 1a :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
1b : 상부판넬의 개방부 2 : 하부판넬
3 : 프레임부재 4 : 폴리우레탄 충진층
5 : 장식무늬판
본 발명은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ㆍ하부판넬 사이 형성되는 공간에 폴리우레탄 단열재를 충진함으로써 단열성, 방음성을 구비하면서, 장식무늬 성형, 두께별 성형이 간편하도록 제조하는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칸막이용 판넬의 재료로는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수지와 페놀수지를 함침시켜 만든 일정 두께의 복합화장판넬을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판재는 전체가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있어 제품중량이 무거워 취급이 어렵고,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제작에 고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화장판넬 외에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PB(Particle Board), 내수 합판, 짚섬 보드 등의 판재에 전술한 복합화장판재의 표면무늬층만을 이용하여 만든 얇은 시트를 붙여 제조하는 복합화장판넬의 경우에는, 판재를 구성하는 MDF, PB가 목재로 되어 있어 무엇보다도 내수성을 갖추어야 할 화장실용 화장판넬에 있어 수분에 취약한 결정적인 단점이 있으며, 표면무늬층을 별도로 가공해야 하는 필요상 제작비용이 추가로 드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은 일반 대형 건축판넬과 달리 소형 사이즈를 주용도로 하는바, 외부에 표면무늬층을 적층시키는 공정을 일반 대형 건축판넬에 무늬층을 적층시키는 것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하게 되면, 넓은 면적의 판넬을 무늬층 적층 후에 절단하는 경우에는 모서리가 매끄럽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좁은 면적으로 절단한 후 개개의 판넬마다 장식무늬층을 적층시키는 경우에는 공정이 별도로 추가되어 생산라인상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게 되고, 상ㆍ하부판넬, 프레임부재, 장식무늬층을 결합시키고자 매 면마다 부가되는 접착공정 또한 일반 건축판넬에 비해 저가로 생산되어야 할 화장실 칸막이용 판넬에 있어서 간편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부분이었다.
이에 기존 화장판넬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경량이면서 무늬성형가공이 용이하고, 전체 공정이 간편하면서도 화장실칸막이 용도로서 내수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단열 및 방음성능을 갖춘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의 제조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늬성형가공, 두께별 성형이 용이하고, 별도의 접착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면서 화장실 칸막이 용도로서 내수성, 단열, 방음성능을 모두 갖춘 경량의 복합화장판넬 및 이를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은, 한쌍의 상ㆍ하부판넬과 상기 상ㆍ하부판넬의 사이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상기 상ㆍ하부판넬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시켜주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상ㆍ하부판넬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상ㆍ하부판넬의 내외측을 결합하여 단열시켜주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구성으로 하고, 이때, 상기 상부판넬의 일부에 일정한 면적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 안에 표면에 장 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이 삽입되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의 제조방법은,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 개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상부판넬을 덮고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성형용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 위에 상부판넬을 덮은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하고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성형용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장식무늬 화장판넬의 제조방법은,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 개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일부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덮고, 상기 개방부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을 삽입하여 상부판넬의 개방부를 채운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성형용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장식무늬화장판넬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 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 위에 일부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덮은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하고, 상기 상부판넬의 개방부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을 삽입하여 채운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성형용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판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은 한쌍의 상(1)ㆍ하부판넬(2)과 상기 상하부판넬의 사이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상기 상ㆍ하부판넬사이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시켜주는 프레임부재(3)와 상기 상ㆍ하부판넬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상ㆍ하부판넬의 내외측을 결합하여 단열시켜주는 발포용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부재(4)로 구성된다.
상기 상(1)ㆍ하부판넬(2)은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수지와 페놀수지를 함침시켜 만든 3mm이내의 얇은 판넬 또는 표면무늬층을 PB나 MDF 판재에 붙인 복합화장판재 중 3mm이내의 판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3)는 상ㆍ하부판넬과 동일 재질판넬로 구성하며, 상부판넬과 하부판넬 사이에 공간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용도이다. 상기 프레임부재의 두께는 용도별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며, 프레임부재의 두께에 따라 판넬전체의 두께가 결정된다.
폴리우레탄은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선택범위에 따라 연질에서 경질, 엘라스토머에서 폼까지 다양한 제품설계가 가능하고, 내마모성, 인열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다용도로 활용되는 물질로서 상기 상ㆍ하부판넬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시킴으로써 판넬의 두께를 형성하게 되고, 본 발명의 화장판넬이 단열, 방음성능을 구비할 수 있게 하며, 무엇보다도 폴리우레탄 자체의 접착력으로 인해 별도의 접착층을 생략할 수 있다.
화장실 칸막이용 판넬은 일반 대형 건축판넬과 달리 소형사이즈를 그 용도로 하는 바, 판넬의 구성부재마다 매번 접착층을 형성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저비용생산이 요구되는 제품에 대해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있는데, 발포용 폴리우레탄을 충진제로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층이 불필요하게 되고, 폴리우레탄의 충진량에 따라 복합화장판넬의 필요한 두께별로 가공할 수 있어 접착공정 및 두께성형공정이 폴리우레탄 충진 및 가압경화의 연속적인 1 회공정으로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무늬 복합화장판넬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장식무늬 복합화장판넬은 상부판넬(1a)의 일부에 일정한 면적의 개 방부(1b)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 안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5)이 삽입되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방부(1b)는 장식무늬판(5)이 삽입되어 채워지는 부분으로서 화장실 칸막이용 판넬의 경우, 판넬 전체에 무늬층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은 용도와 관련하여 비경제적인바, 상기 상부판넬(1a)에서와 같이 일정한 면적의 개방부(1b)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이용함으로써 판넬의 일부분에만 무늬를 삽입할 수 있되, 무늬판을 삽입시키는 과정중에도 별도의 접착층을 추가로 구성하지 않아 판넬 전체에 무늬층을 적층시켜 구성된 판넬보다 간이ㆍ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무늬판(5)은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판넬(1a)의 개방부(1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단된 것이다. 상기 장식무늬판은 상부판넬(1a)과 동일 소재의 판재이거나 이질적인 소재의 판재로서 소재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소형의 장식무늬판을 별도로 취급할 수 있어 무늬성형이 간편하게 된다.
상기 상부판넬(1a) 및 장식무늬판(5), 하부판넬(2), 프레임부재(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이 충전되어 상기 상ㆍ하부판넬의 내외측을 결합하여 일체의 복합화장판넬의 구조를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단면도로서, 상(1)ㆍ하부판넬(2)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프레임부재(3)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ㆍ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에 폴 리우레탄 충진층(4)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합화장판넬의 단면의 두께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두께에 따라 상ㆍ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를 폴리우레탄 충진층으로 채워짐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 전체의 두께가 결정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1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의 제조방법은,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 개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상부판넬을 덮고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성형용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 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상부판넬과 하부판넬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부재의 두께에 따라 상ㆍ하부판넬의 공간의 부피 및 본 발명인 복합화장판넬 자체의 두께가 결정되는 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프레임부재를 활용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한 후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용 폴리우레탄을 충진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상부판넬을 배열하고, 상ㆍ하부판넬 및 프레임부재를 성형용 지그에 올려놓은 후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켜 전체 판넬의 구성부재를 결합시킨다.
상기 상ㆍ하부판넬은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수지와 페놀수지를 함침시켜 만든 3mm이내의 얇은 판넬 또는 표면무늬층을 PB나 MDF 판재에 붙인 복합화장판재 중 3mm이내의 판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용 폴리우레탄은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단열 및 방음성능에 효과적인 충진재이다. 상ㆍ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을 빈 공간으로 형성하게 되는 경우에는 외부판넬에 휨현상이 발생하고, 상ㆍ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을 상ㆍ하부판넬과 동일소재의 판넬로 적층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품중량이 불필요하게 과중해지고, 프레임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형성하는 내부판넬의 별도 제조공정이 추가되며, 상ㆍ하부판넬 및 상ㆍ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내부판넬 전체에 끼우는 형태의 프레임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부판넬의 두께형성에 일정한 한계가 있어 칸막이 용도별, 두께별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데, 발포용 폴리우레탄으로 내부를 충진함으로써 제조된 복합화장판넬 전체의 내구성이 구비되면서도, 칸막이 용도로서 취급이 용이한 경량의 복합화장판넬을 제조할 수 있게 되고, 용도별로 다양한 두께의 화장판넬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어느 정도 두께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판넬을 별도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전체 공정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포용 폴리우레탄은 접착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프레임부재와 상부판넬의 결합시 별도의 접착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접착공정 및 두께성형공정이 폴리우레탄 충진 및 가압경화의 연속적인 1 회공정으로 가능하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장식무늬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1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장식무늬 복합화장판넬의 제조방법은,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 개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하는 공정은 상기 장식무늬판 삽입이 별도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는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1과 동일하며,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일부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덮고, 상기 개방부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을 삽입하여 상부판넬의 개방부를 채운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넬은 장식무늬판이 삽입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판넬로서, 화장실 칸막이용도의 판넬의 경우, 판넬 전체에 무늬층을 적층하는 공정이 별도로 추가되는 것은 용도와 관련하여 비경제적일 수 있으나,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일부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먼저 적층한 후, 상기 개방부에 표면에 장식무늬판을 삽입함으로써 상부판넬에 무늬가 형성된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이 간편하게 제조되며, 폴리우레탄 충진층에 접착력이 있어 별도의 접착공정 없이 장식무늬판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무늬판(5)은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판넬(1a)의 개방부(1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절단된 것으로서, 상기 장식무늬판은 상부판 넬(1a)과 동일 소재의 판재이거나 이질적인 소재의 판재로서 소재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소형의 장식무늬판을 별도로 취급할 수 있어 무늬성형이 간편하게 된다.
도5a는 본 발명의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2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2 는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 위에 상부판넬을 덮은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하고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공정은 발포용 폴리우레탄을 상ㆍ하부판넬 및 프레임부재 사이의 측면에 주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5b는 본 발명의 장식무늬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2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실 칸막이용 장식무늬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2 는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 위에 일부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덮은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하는 공정은 상기 장식무늬판 삽입이 별도 공정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는 복합화장판넬의 제조공정 2의 공정과 동일하며, 이후 상기 상부판넬의 개방부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을 삽입하여 채운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 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ㆍ하부판넬 사이의 공간을 폴리우레탄으로 충진시킴으로써 판넬 전체의 내구성, 단열, 방음성능을 구비하고, 별도의 접착공정 없이 상ㆍ하부판넬 및 프레임부재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경량이면서 판넬외부의 무늬성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한쌍의 상ㆍ하부판넬과 상기 상ㆍ하부판넬의 사이의 가장자리에 끼워져 상기 상ㆍ하부판넬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공간을 형성시켜주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상ㆍ하부판넬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상ㆍ하부판넬의 내외측을 결합하여 단열시켜주는 발포성 폴리우레탄 재질의 단열부재로 이루어진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의 일부에 일정한 면적의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안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이 삽입되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
  3.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 개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상부판넬을 덮고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의 제조방법.
  4.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 위에 상부판넬을 덮은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하고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의 제조방법.
  5.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 개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한 후, 상기 폴리우레탄 충진층 위에 일부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덮고, 상기 개방부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을 삽입하여 상부판넬의 개방부를 채운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의 제조방법.
  6. 하부판넬의 가장자리에 2개 이상의 프레임부재를 배열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재 위에 일부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판넬을 덮은 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 사이의 형성된 공간부에 발포성 폴리우레탄을 충진하고, 상기 상부판넬의 개방부에 표면에 장식무늬가 형성된 장식무늬판을 삽입하여 채운후, 상ㆍ하부판넬과 프레임부재를 지그로 가압한 상태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장실 칸막이용 화장판넬의 제조방법.
KR1020040116125A 2004-12-30 2004-12-30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77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125A KR20060077311A (ko) 2004-12-30 2004-12-30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6125A KR20060077311A (ko) 2004-12-30 2004-12-30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337U Division KR200381038Y1 (ko) 2004-12-30 2004-12-30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311A true KR20060077311A (ko) 2006-07-05

Family

ID=3716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6125A KR20060077311A (ko) 2004-12-30 2004-12-30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73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27B1 (ko) * 2009-03-11 2012-02-14 이종우 클린룸 패널 및 패널 조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227B1 (ko) * 2009-03-11 2012-02-14 이종우 클린룸 패널 및 패널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0840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10399307B2 (en)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KR20060134097A (ko) 복합재 성분
CA2620310C (en) Composite capped stile, door and method
US6669519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structural sub-assembly and a gliding board; structural sub-assembly and gliding board made by such methods
KR101842934B1 (ko) 도어용 보드
KR101700173B1 (ko) 기능성 안전 건축 내외장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100747A (ko) 실내용 플라스틱 도어
KR20160037267A (ko) 기능성 목재 판넬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050118987A (ko) 도어
KR20060077311A (ko)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4405842B2 (ja)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81038Y1 (ko) 화장실칸막이용 복합화장판넬
JP5108136B1 (ja) ハニカムパネルの製造方法とそれを利用したハニカムパネル
JP5039584B2 (ja) 建具用パネル
KR20090117357A (ko) 합성수지재 도어
CN218323602U (zh) 一种室内保温装饰墙板
KR20090105476A (ko) 도어용 에이비에스 스프링식 하니콤 및 그 제조방법
JP2774993B2 (ja) 型 枠
KR200305869Y1 (ko) 마루판
JP2005282998A (ja) 暖房パネルの製造方法
US20050224164A1 (en) Method for making a composite board and the composite board made thereby
KR20220053894A (ko) 격자형 플라스틱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KR20230087424A (ko) 내구성이 개선된 가구용 도어패널의 제조방법
KR960002102Y1 (ko) 화장실, 샤워장 칸막이용 심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