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5276A - 벨트 컨베이어 슈트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5276A
KR20060075276A KR1020040114047A KR20040114047A KR20060075276A KR 20060075276 A KR20060075276 A KR 20060075276A KR 1020040114047 A KR1020040114047 A KR 1020040114047A KR 20040114047 A KR20040114047 A KR 20040114047A KR 20060075276 A KR20060075276 A KR 20060075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chute
conveyed material
discharge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3085B1 (ko
Inventor
남의식
김성모
김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4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0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5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5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하부에 위치된 벨트 컨베이어 상에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함으로써 이송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통로와 제2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이송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제2배출통로에 설치되어 미세 이송물의 배출을 제어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에 그 폭방향으로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를 제공한다.
벨트 컨베이어, 슈트, 미끄럼 방지 턱, 개폐기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 슈트{A BELT CONVEYER CHUT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분리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분리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송물을 이송하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와 하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낙하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belt conveyer chut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진 하부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원료의 이송은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게되며, 이때 여러 개의 벨트 컨베이어가 조합되어 하나의 라인을 이루는 장거리 수송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로서 운반되는 광석, 코크스 등의 이송물은 이송 도중에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되기 쉬운데, 이는 낙하된 주변지역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환경문제를 초래하고, 특히 낙하된 이송물을 처리해야 하는 추가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벨트 컨베이어에서의 이송물 낙하방지구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비용상승을 초래함은 물론, 설비의 보수 및 유지작업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에 가장 널리 알려진 이송물 낙하방지구조는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를 설치하고, 벨트의 폭 방향으로는 반달형 스커트를 설치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사이드 스커트 또는 반달형 스커트와 벨트 사이에 이송물이 끼여서 벨트 및 설비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송물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반달 스커트는 구동되는 벨트의 부하를 가중시켜 설비 트러블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벨트 컨베이어 슈트는, 이송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분리부와 하부 배출구에 미세한 이송물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벨트 컨베이어와 하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물을 안내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는, 상부에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격벽이 설치되어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통로와 제2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이송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분리부 및, 상기 제2배출통로에 설치되어 미세 이송물의 배출을 제어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에 그 폭방향으로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는 그 표면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진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의 상단은 완충 부재를 매개로 하우징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부의 하단은 완충 부재를 매개로 상기 격벽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리부의 상단에는 분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이어가 더 부착되며, 상기 분리부의 폭 방향으로는 하나 이상의 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배출통로에 설치되며, 이송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회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대형 이송물의 배출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belt conveyer chute)(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물이 코크스(coke)인 것으로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타 다양한 이송물을 이송함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상부 벨트 컨베이어(50)와 하부 벨트 컨베이어(60)를 연결하여 코크스의 낙하를 안내하는 상기 벨트 컨베이어 슈트(100)는 유입된 코크스를 분류하는 분리부(20)과 상기 분리부(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류된 코크스들을 격리시키는 격벽(13), 상기 분리부(20) 및 격벽(13)을 수납하며 상부에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로(50)부터 코크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벨트 컨베이어(60)로 괴(塊)코크스를 배출하는 제1배출통로(14)와 분(粉)코크스를 배출하는 제2배출통로(15)가 형성되는 하우징(11) 및 상기 제2배출통로(15)에 설치되어 분코크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개폐부(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30)은 괴코크스의 배출이 중단될 경우 제2배출통로(15)를 개방하여 분코크스를 배출하게되는데, 이 때 분코크스를 하부 벨트 컨베이어(60) 상에 그 폭방향으로 배출하여 미끄럼 방지턱(41)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100)의 부분 단면도이 고,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 분리부(20)의 측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슈트 분리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분리부(2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분리부(20)는 표면에 다수의 홀(223)이 형성된 판형 부재(22)와 상기 판형 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고리(221,222) 및, 상기 판형 부재(22)의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턱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판형 부재에 형성되는 상기 홀(223)들은 판형 부재(22)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223)은 그 직경은 12mm 내지 8mm의 범위 내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로 인하여,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벨트 컨베이어(50)에서 유입된 코크스는 판형 부재(22)에 충돌하여, 상기 판형 부재(22)에 형성된 홀(223)의 크기보다 작은 코크스 입자는 판형 부재(22)를 통과하여 판형 부재(22)의 뒤편으로 이동하고, 상기 홀(223)의 크기보다 큰 코크스 입자는 판형 부재(22)에 가로막혀 판형 부재(22)의 앞면을 따라 미끄러지므로 코크스는 크기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20)의 상단에는 다수의 상부 고리(2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고리(221)에는 상부 봉부재(28)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상부 봉부재(28)에는 다수의 상부 완충부재(21)가 연결되는데, 상기 상부 완충부재(21)는 상기 상부 봉부재(28)에 끼움된 시브(sheave)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 봉부재(2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완충부재(21)가 시브(sheave)를 매개로 상기 상부 봉부재(28)와 연결될 경우, 상기 판형 부재(22)가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여, 코크스와의 충돌 시에 보다 용이하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완충부재(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밴드 등 다양한 종류의 완충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봉부재(28)에는 상기 분리부(20)의 탈락을 방지하는 와이어(23)가 부착되며, 상기 와이어(23)는 상기 하우징(11)의 일 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가 분리부를 지지하므로 상기 분리부는 큰 충격에도 아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분리부(20)의 하단에는 다수의 하부 고리(22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고리(222)에는 하부 봉부재(29)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분리부(20)의 아래에는 완충부재 커버(25)가 하부 완충부재(27)를 매개로 상기 격벽(26)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완충부재 커버(25)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고리(251)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고리(222)에 하부 봉부재(29)가 삽입될 경우, 상기 하부 봉부재(29)는 상기 하부 고리(222)와 하부 완충부재 커버(25)에 부착된 고리(251)를 모두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분리부(20)의 하단이 하부 완충부재 커버(25)에 고정된 다. 또한 하부 완충부재 커버(251)는 하부 완충부재(27)를 매개로 격벽(26)의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 완충부재(2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밴드 등 다양한 종류의 완충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분리부(20)는 코크스와 충돌할 경우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홀(223)에 코크스가 삽입 고정된 경우, 상기 분리부(20)가 코크스와 충돌할 때에 발생하는 반동으로 상기 삽입 고정된 코크스를 탈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재(22)에는 그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턱부재(24)가 설치는데, 상기 턱부재(24)로 인하여 상기 코크스가 쉽게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분코크스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30)가 제2배출통로(15) 내부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개폐부(30)는 차단판(34)과 상기 차단판(34)을 회동시키는 구동유닛(36) 및 괴코크스의 분출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유닛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검출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하부 컨베이어 벨트(6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36)에 설치되는 회전축(34)과 상기 회전축(34)을 회동시키는 에어 실린더(3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기가 괴코크스의 분출이 중단됨을 검출하면, 상기 에어 실린더(36)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검출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에어 실린더(36)가 상기 회전축(34)을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면, 차단판이 기울어져 차단판의 상부에 적층된 분코크스가 하부에 위치한 벨트 상에 배출되어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차단판이 상기 하부 컨베이어 벨트(60)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3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미끄럼 방지 턱(41)은 하부 벨트의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 이송물을 배출하여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함으로써 이송물이 경사 컨베이어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반달형 스커트를 제거할 수 있어서, 설치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부하 가중으로 발생하는 설비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상부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와 하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물을 안내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belt conveyer chute)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부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벨트 컨베이어로 큰 이송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통로와 작은 이송물을 배출하는 제2배출통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표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이송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분리부; 및
    상기 제2배출통로에 설치되어 소형 이송물의 배출을 제어하여 하부 벨트 컨베이어 상에 그 폭방향으로 미끄럼 방지 턱을 형성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표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판형 부재와 상기 판형 부재의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송물의 미끄러짐을 지연시키는 턱부재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부의 상단은 완충부재를 매개로 하우징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분리부의 하단은 완충부재를 매개로 상기 격벽의 상부에 부착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작은 이송물의 배출을 차단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을 회동시키는 구동유닛 및 큰 이송물의 배출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유닛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하부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슈트.
KR1020040114047A 2004-12-28 2004-12-28 벨트 컨베이어 슈트 KR10104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047A KR101043085B1 (ko) 2004-12-28 2004-12-28 벨트 컨베이어 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4047A KR101043085B1 (ko) 2004-12-28 2004-12-28 벨트 컨베이어 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5276A true KR20060075276A (ko) 2006-07-04
KR101043085B1 KR101043085B1 (ko) 2011-06-21

Family

ID=3716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4047A KR101043085B1 (ko) 2004-12-28 2004-12-28 벨트 컨베이어 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08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64B1 (ko) * 2011-03-29 2013-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빈 트리퍼
KR101291540B1 (ko) * 2011-10-28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불출장치
KR20150125097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이송 장치
KR20210085170A (ko) 2019-12-30 2021-07-08 황규용 니트릴라텍스(nbl)를 포함하는 코크스 분화 방지용 코팅제 조성물
KR20220020670A (ko) 2020-08-12 2022-02-21 박창수 폐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재활용한 코크스 분화 방지용 코팅제
KR102411127B1 (ko) * 2022-03-04 2022-06-22 최원호 원료 이송 컨베이어장치
KR20220100354A (ko) 2021-01-08 2022-07-15 박학수 플라스틱 미세입자가 분산된 코크스 분화 방지용 코팅액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6134B (zh) * 2020-06-17 2021-06-11 郑州轻工业大学 溜槽落料装置、外形设计低功耗计算方法和主动调节板翻转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318Y2 (ja) * 1993-01-11 1997-09-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ンベア輸送設備の輸送物の分配および粒度偏析防止装置
KR100804987B1 (ko) * 2001-11-05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식 원형 스크린장치
KR100770300B1 (ko) * 2001-11-19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선별스크린에서의 광석분산장치
KR100879846B1 (ko) * 2001-12-12 2009-01-2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064B1 (ko) * 2011-03-29 2013-02-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빈 트리퍼
KR101291540B1 (ko) * 2011-10-28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불출장치
KR20150125097A (ko) * 2014-04-29 2015-11-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크스 이송 장치
KR20210085170A (ko) 2019-12-30 2021-07-08 황규용 니트릴라텍스(nbl)를 포함하는 코크스 분화 방지용 코팅제 조성물
KR20220020670A (ko) 2020-08-12 2022-02-21 박창수 폐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재활용한 코크스 분화 방지용 코팅제
KR20220100354A (ko) 2021-01-08 2022-07-15 박학수 플라스틱 미세입자가 분산된 코크스 분화 방지용 코팅액 조성물
KR102411127B1 (ko) * 2022-03-04 2022-06-22 최원호 원료 이송 컨베이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085B1 (ko) 201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2427B (zh) 连续式的输送机式喷丸硬化装置和喷丸硬化方法
KR101043085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
JP7124913B2 (ja) 鉱石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00282646A1 (en) Method and unit for the separation of non-ferrous metals and stainless steel in bulk material handling
DE69807505D1 (de) Auswurfmechanismus für förderer
KR101585677B1 (ko) 컨베이어의 비정상 적재물 처리장치
JPH08500056A (ja) 再生可能物質の分別装置および分別方法
CN114378725A (zh) 筛选装置
JP3691756B2 (ja) 風力選別装置
US6789661B2 (en) Inline feeder
US10968046B2 (en) Cascade conveyor and method for sorting and conveying container closures
JP4726450B2 (ja) 振り分け装置
CN112495833A (zh) 矿产分选机
US7029002B2 (en) Drop pocket system for reorienting flat articles
KR20150013844A (ko) 색채 선별기
CN114850040B (zh) 一种煤矸石光电多级分选设备
WO2004105952A1 (en) Metal can recycling system
US5284303A (en) Equipment for deoiling swarf resulting from machining operations
US200302136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orienting flat articles
CN214638336U (zh) 矿产分选机
CN111050931A (zh) 用于目视检查弹性颗粒的检查装置和方法
US2389966A (en) Mixed material separator
US239994A (en) Tereitoby
JP2003159567A (ja) 渦気流分別装置
JPH091084A (ja) 廃棄瓶の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