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664A -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664A
KR20060073664A KR1020040112500A KR20040112500A KR20060073664A KR 20060073664 A KR20060073664 A KR 20060073664A KR 1020040112500 A KR1020040112500 A KR 1020040112500A KR 20040112500 A KR20040112500 A KR 20040112500A KR 20060073664 A KR20060073664 A KR 2006007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layback
background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3664A/ko
Publication of KR2006007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MP3(MPEG Audio Layer-3) 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부가 기능(이하, 병행 부가 기능이라 한다)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또는 MP3 제어 블록)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MP3 파일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가 MP3 배경 음악 설정 기능, MP3 재생 기능 또는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바에 따라 MP3 배경 음악 설정창, MP3 재생 메뉴창 또는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제어부가 MP3 파일을 데이터로 하여 생성한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MP3 재생 음악을 배경 음악으로 들으면서 임의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MP3, 재생, 멀티 모드.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Tasking Function}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이 MP3 재생과 관련된 처리를 담당하는 도중에, SMS 송신과 관련된 처리를 담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MP3 파일을 배경음악으로 재생시키는 동시에 SMS 송신 기능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0: 이동통신 단말기 502: 키입력부
504: 마이크로폰 506: 메모리부
508: 프로그램 메모리 510: 모드상태 저장부
512: 데이터 메모리 514: 제어부
516: 마이크로프로세서 518: 디지털 신호 처리부
520: 베이스밴드 변환부 522: 송수신부
524: RF 신호 처리부 526: 안테나
528: 표시부 530: 스피커
본 발명은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MP3 재생 음악을 배경 음악으로 들으면서 임의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래의 음성 전달 수단으로서의 기능 이외에, 보다 새롭고 다양한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기능을 제공하는 다목적 기기로 진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부가 기능에는 MP3(MPEG Audio Layer-3) 재생,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Game 기능, Idle Screen 등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MP3 파일 재생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 른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었다. 즉, MP3 재생시에는 MP3 재생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MP3 파일을 재생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MP3 재생 중에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려면 MP3 재생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SMS 메시지 전송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야 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MP3 재생 음악을 배경 음악으로 들으면서 임의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MP3(MPEG Audio Layer-3) 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부가 기능(이하, 병행 부가 기능이라 한다)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또는 MP3 제어 블록)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MP3 파일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가 MP3 배경 음악 설정 기능, MP3 재생 기능 또는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바에 따라 MP3 배경 음악 설정창, MP3 재생 메뉴창 또는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제어부가 MP3 파일을 데이터로 하여 생성한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부가 기능(이하, 병행 부가 기능이라 한다)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MP3 배경 음악 메뉴가 선택되면 MP3 배경 음악 설정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디스플레이된 MP3 배경 음악 설정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MP3 배경 음악의 곡명과 병행 부가 기능 선택 또는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MP3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병행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는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개의 계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각 계층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한다.
도 1A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계층(Layer)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예를 들어 'CDMA Rx/Tx' 는 계층 1 (Layer 1)에 해당하는 것으로 수신과 송신에 관계되는 소프트웨어 계층이고, 'Layer 2'는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으로서 승인(Acknowledgement) 기능, 소프트웨어 내부에서 처리하는 메시지와 CDMA 규격에 정의된 형태의 메시지간 변환 기능 등을 담당한다.
도 1B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태스크(Task)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1B에서 보듯이 'Main Control' 블록을 중심으로 'CDMA Searcher' 블록, 'Call Manager' 블록, 'Layer 2'에 관계되는 'Receive Processing' 블록과 'Transmit Processing' 블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의 여러 소프트웨어 구조 중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UI Task: User Interface Task) 모듈에 관계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예컨대, 사용자가 MP3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MP3 재생과 관련하여 현재 상태, 진행 상태, 재생 목록, 기타 재생 상태의 정보의 제어와 관련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이 MP3 재생과 관련된 처리를 담당하는 도중에, SMS 송신과 관련된 처리를 담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A에서 처럼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이 MP3 코덱(Codec)을 제어하여 MP3 재생과 관련된 처리를 담당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려면, 사용자는 실행 중이던 MP3 재생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새로이 SMS 송신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야 했다. 즉, 새롭게 SMS 송신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도 2B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은 MP3 코덱과는 무관한 SMS 송신 프로그램에 관련된 처리를 담당하게 되고, MP3 코덱은 기능이 비활성화 된다는 것이다.
MP3 재생 프로그램과 SMS 송신 프로그램은 각각 별개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로서는, 사용자가 MP3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MP3 재생 프로그램의 구동과 관련된 처리만을 담당하고, 사용자가 SMS 송신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SMS 송신 프로그램의 구동과 관련된 처리만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멀티 태스킹(Multi Tasking)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조는, 도 2C와 같이 SMS 송신 프로그램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에 포함되도록 하고, MP3 재생과 관련된 처리를 담당하는 프로그램 및 정보는 기본 시스템 내부에 구현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이 별개의 독립적인 2개의 프로그램(MP3 재생 프로그램과 SMS 송신 프로그램)을 동시에 담당하는 것은 아니다. SMS 송신 프로그램은 독립적 인 프로그램으로서 처리되지만, MP3 파일의 재생 기능은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재생 상태, 진행 상태, 재생 목록 등과 같은 MP3 재생 정보의 제어를 처리하는 별도의 제어 블록이 시스템 프로그램(또는 OS) 내에서 처리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도 2C에서 보는 바와 같이 MP3 제어 블록은 MP3 코덱으로 제어 명령을 내리거나 MP3 코덱으로부터 오는 이벤트 정보를 받아 MP3 파일의 재생과 관련된 처리를 담당하게 되고, 따라서 이와 같은 MP3 파일의 재생 도중에도 SMS 송신 프로그램은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에 의해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MP3 파일을 재생시켜 백그라운드 배경 음악으로 들으면서 SMS 메시지 송신, MMS 메시지 송신, 무선 인터넷, 게임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서 MP3 파일을 배경음악으로 재생시키는 동시에 SMS 송신 기능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도 3A와 같은 기능 메뉴 선택 화면에서 MP3 배경 음악 메뉴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3B와 같이 배경 음악과 병행 부가 기능을 선택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배경 음악의 곡명을 선택하고 배경 음악을 들으면서 실행시키고자 하는 병행 부가 기능을 선택한 뒤 실행 기능키를 눌러 실행 명령을 입력한다.
이러한 병행 부가 기능으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Game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또는 촬영 기능 등이 있다.
예컨대, 도 3B와 같이 배경 음악을 '덩그러니'라는 곡을 선택하고 SMS 송신 기능을 병행 부가 기능으로 선택하여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도 3C와 같이 배경 음악으로 '덩그러니'라는 곡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면서 표시부 화면에는 SMS 메시지 작성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배경 음악을 들으면서 SMS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고, 두 기능 사이의 모드 전환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C와 같은 화면에서 전환 기능키를 누르면 SMS 메시지 작성창이 도 3D와 같은 MP3 재생 메뉴창으로 전환된다. 사용자는 도 3D와 같은 MP3 재생 메뉴창에서 배경 음악의 '일시 중지(Pause)', '앞으로(Fast Forward)', '뒤로(Rewind)'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도 3B의 화면에서 선택한 배경 음악을 도 3D의 MP3 재생 메뉴창에서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D의 MP3 재생 메뉴창에서 전환 기능키를 누르면 다시 도 3C의 SMS 메시지 작성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전환 기능키를 이용하여 도 3C의 SMS 메시지 작성창과 도 3D의 MP3 재생 메뉴창을 상호 전환시킬 수 있는 것 이외에, 도 3C의 SMS 메시지 작성창과 도 3D의 MP3 재생 메뉴창에 구비된 설정 기능키를 누르면 도 3B의 MP3 배경 음악 설정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배경 음악을 바꾸거나 병행 부가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MP3 배경 음악 메뉴를 선택하여 도 3B와 같은 MP3 배경 음악 설정창을 디스플레이한다(S402).
S402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MP3 배경 음악 설정창에서 MP3 배경 음악의 곡명을 선택하고, MP3 배경 음악을 들으면서 병행하여 실행시키고자 하는 병행 부가 기능을 선택한 뒤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502)를 이용하여 실행 명령을 입력한다(S404).
S404 단계에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MP3 배경 음악이 재생되는 것과 함께 S404 단계에서 선택한 병행 부가 기능이 동시에 실행된다(S406).
S406 단계에서 MP3 재생 기능과 병행 부가 기능이 병행 수행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작업창은,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과 MP3 재생 메뉴창 중에서 사용자가 전환 기능키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S406 단계에서 MP3 재생 기능과 병행 부가 기능이 병행 수행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설정 기능키를 눌러 S404 단계에서 선택한 MP3 배경 음악이나 병행 부가 기능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S408).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사용자가 종료 명령을 입력하여 종료시킬 수 있다(S41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500)는 키입력부(502), 마이크로폰(504), 메모리부(506), 제어부(514), 송수신부(522), 표시부(528) 및 스피커(53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506)는 프로그램 메모리(508), 모드 상태 저장부(510) 및 데이터 메모리(512)를 포함하고, 제어부(514)는 마이크로프로세서(516), 디지털 신호 처리부(518) 및 베이스밴드 변환부(520)를 포함하며, 송수신부(522)는 RF 신호 처리부(524) 및 안테나(526)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5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한다.
키입력부(502)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 및 방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 버튼을 누를 때 눌려진 키 버튼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생성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16)로 전송한다. 특히, 기능키는 사용자로 하여금,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기능키 명령을 입력하거나,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과 MP3 재생 메뉴창을 상호 전환하도록 하는 전환 기능키 명령을 입력하거나,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 창 또는 MP3 재생 메뉴창에서 MP3 배경 음악 설정창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설정 기능키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한다.
마이크로폰(504)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14)로 전달한다.
프로그램 메모리(508)는 이동통신망과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 소프트웨어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는 한편,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또는 MP3 제어 블록)을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현할 수 있는데, 'C' 프로그램 언어나 객체 지향형의 'C++', 'JAVA' 등의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모듈 내에 포함되도록 구현된다.
모드 상태 저장부(510)는 키입력부(502)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 ...)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516)는 이동통신 단말기(300)가 대기 모드인지, 수신 모드인지, 발신 모드인지, 통화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510)를 갱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동작 모드에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경우의 작동 모드로서의 '멀티 모드'를 포함한다.
데이터 메모리(512)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동작 프로그램 실 행시 데이터 버퍼(Buff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키입력부(502)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수신되는 문자나 이미지(Image)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516)는 모드 상태 저장부(51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516)는, 이동통신 단말기(500)가 상기한 '멀티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모듈 내에 있는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또는 MP3 제어 블록)을 구동시켜,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도 MP3 배경 음악이 스피커(53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과정을 제어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18)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18)는 베이스밴드 변환부(520)와 음성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52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520)는 RF 신호 처리부(524)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518), 스피커(530) 및 마이크로폰(504)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 신호 처리부(524)는 마이크로프로세서(516)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에 싣는 변조 과정을 수행하여 안테나(526)를 통해 전파 공간으로 송출하거나, 안테나(526)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 신호를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1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526)는 RF 신호 처리부(52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524)로 전달한다.
표시부(528)는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대기 상태에서 배터리(Battery)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각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동작 모드를 표시하며, 또한 키입력부(502)를 통한 입력 사항과, 송수신부(522)를 통한 전송 사항 및 제어부(514)의 제어 사항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500)의 표시부(528)는 사용자가,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기능키 명령을 입력하거나,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과 MP3 재생 메뉴창을 상호 전환하도록 하는 전환 기능키 명령을 입력하거나,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시 활성화 되는 작업창 또는 MP3 재생 메뉴창에서 MP3 배경 음악 설정창으로 변경하도록 하는 설정 기능키 명령을 입력하는 바에 따라서, MP3 배경 음악 설정창과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과 MP3 재생 메뉴창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530)는 제어부(514)가 MP3 파일을 데이터로 하여 생성한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 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다른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MP3 재생 음악을 배경 음악으로 들으면서 임의의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MP3(MPEG Audio Layer-3) 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
    상기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부가 기능(이하, 병행 부가 기능이라 한다)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또는 MP3 제어 블록)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
    상기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MP3 파일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MP3 배경 음악 설정 기능, 상기 MP3 재생 기능 또는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바에 따라 MP3 배경 음악 설정창, MP3 재생 메뉴창 또는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가 MP3 파일을 데이터로 하여 생성한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 기능,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메시지 기능,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기능,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기능, Game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또는 촬영 기능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MP3 재생 기능 또는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종료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과 상기 MP3 재생 메뉴창을 상호 전환하도록 하는 '전환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의 기능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가 상기 MP3 배경 음악이나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 또는 상기 MP3 재생 메뉴창을 상기 MP3 배경 음악 설정창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과 상기 MP3 재생 메뉴창을 상호 전환하도록 하는 '전환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MP3 배경 음악이나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 또는 상기 MP3 재생 메뉴창을 상기 MP3 배경 음악 설정창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명령'을 입 력하는 바에 따라,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의 수행 작업창, 상기 MP3 재생 메뉴창 또는 상기 MP3 배경 음악 설정창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P3 배경 음악 프로그램(또는 MP3 제어 블록)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프로그램의 시스템 모듈내에 포함되며,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로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부가 기능(이하, 병행 부가 기능이라 한다)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상태에서 MP3 배경 음악 메뉴가 선택되면 MP3 배경 음악 설정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MP3 배경 음악 설정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MP3 배경 음악의 곡명과 상기 병행 부가 기능 선택 또는 실행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MP3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단계 (b)에서 선택된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MP3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MP3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프로그램의 시스템 모듈내에 포함되며,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태스크 모듈로 구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 이후에,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MP3 배경 음악을 재생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MP3 배경 음악이나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기능키를 눌러 재설정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단계 (b)로 진행하여 기 선택한 상기 MP3 배경 음악이나 기 선택한 상기 병행 부가 기능을 변경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 병행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
KR1020040112500A 2004-12-24 2004-12-24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3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500A KR20060073664A (ko) 2004-12-24 2004-12-24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500A KR20060073664A (ko) 2004-12-24 2004-12-24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664A true KR20060073664A (ko) 2006-06-28

Family

ID=3716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500A KR20060073664A (ko) 2004-12-24 2004-12-24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366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98B1 (ko) * 2006-01-06 2007-04-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위피 기반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0753804B1 (ko) * 2006-06-08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배경음악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64649B1 (ko) 2006-08-18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305628B1 (ko) * 2007-06-11 2013-09-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멀티태스킹 구동을 통한서비스확장방법
US8856680B2 (en) 2006-07-24 2014-10-07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ground task
KR101493080B1 (ko) * 2007-10-19 2015-02-12 주식회사 케이티 이전/ 이후 아이템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15A (ko) * 2000-03-18 2001-10-23 조영선 게임기를 내장한 이동전화장치
JP2001333164A (ja) * 2000-05-22 2001-11-30 Victor Co Of Japan Ltd 携帯端末の通信方法
JP2002290514A (ja) * 2001-03-27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音楽演奏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KR20040052642A (ko) * 2004-04-21 2004-06-23 (주) 비주얼텍 Mp3기능이 탑재된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mp3의 재생 음악을 통화중의 배경음악으로 활용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815A (ko) * 2000-03-18 2001-10-23 조영선 게임기를 내장한 이동전화장치
JP2001333164A (ja) * 2000-05-22 2001-11-30 Victor Co Of Japan Ltd 携帯端末の通信方法
JP2002290514A (ja) * 2001-03-27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音楽演奏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KR20040052642A (ko) * 2004-04-21 2004-06-23 (주) 비주얼텍 Mp3기능이 탑재된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mp3의 재생 음악을 통화중의 배경음악으로 활용하는 방법 및 이를 채용한 단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98B1 (ko) * 2006-01-06 2007-04-10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위피 기반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0753804B1 (ko) * 2006-06-08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배경음악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8856680B2 (en) 2006-07-24 2014-10-07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ground task
KR100764649B1 (ko) 2006-08-18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디어 플레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1305628B1 (ko) * 2007-06-11 2013-09-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멀티태스킹 구동을 통한서비스확장방법
KR101493080B1 (ko) * 2007-10-19 2015-02-12 주식회사 케이티 이전/ 이후 아이템 검색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668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ground task
JP4790990B2 (ja) 携帯端末
US2008000266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KR20110133274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리스트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6526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멀티윈도우 전환 방법
JP2012170142A (ja) 同時メッセージングセッション間のスイッチ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8380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d displaying music file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hot keys
JP2004062369A (ja) マルチタスク携帯端末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5433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작업 중 선택적 수신 방법
JP2011147019A (ja) 携帯端末装置
KR10088908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중작업 화면표시 방법
WO20071453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in-home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73664A (ko) Mp3 재생 기능을 수행하면서 함께 다른 부가 기능을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6980B1 (ko) 서브 화면에 위치되며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컨텐츠메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04102374A1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1013159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멀티화면 제공방법
KR100850573B1 (ko) Ptt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부재중 수신정보의 처리방법
US200701099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mode in a portable terminal using timer
KR101400762B1 (ko) 통화 중 메세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407390B1 (ko) 적외선 데이터통신을 이용한 데이터수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전화기
KR100795749B1 (ko) 휴대 단말기의 화상통화 실행 방법
KR100621340B1 (ko) 작업 상태 저장/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작업 상태 저장/재생 방법
KR100598065B1 (ko) 키 입력 시간에 따른 메뉴 이동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59748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키맵을 이용한 사용자 정의 메뉴제공 방법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