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625A - 팽창튜브 앵커와 장애물에 대한 저항성과 그리고 세척을가진 부분길이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 - Google Patents

팽창튜브 앵커와 장애물에 대한 저항성과 그리고 세척을가진 부분길이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625A
KR20060073625A KR1020067005262A KR20067005262A KR20060073625A KR 20060073625 A KR20060073625 A KR 20060073625A KR 1020067005262 A KR1020067005262 A KR 1020067005262A KR 20067005262 A KR20067005262 A KR 20067005262A KR 20060073625 A KR20060073625 A KR 20060073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main body
distal end
insertion tool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니 스췌린
마그누스 볼름스조
Original Assignee
프로스타룬트 오페라티온스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665,742 external-priority patent/US7766899B2/en
Application filed by 프로스타룬트 오페라티온스 아베 filed Critical 프로스타룬트 오페라티온스 아베
Publication of KR20060073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19Cleaning catheters or the like, e.g. for reuse of the device, for avoiding re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4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multi-layered, e.g. coated
    • A61M2025/0046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 A61M2025/0047Coatings for improving slidability the inner layer having a higher lubr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부분길이 유치 카테르트(partial-length indwelling catheter)는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에 의해 생성된 도뇨관(urinary canal)의 수축과 접촉하는 팽창튜브(inflation tube)의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과 방광 내의 팽창가능한 벌룬(balloon)에 의해서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 내에 앵커되어진다. 카테르트는 방광으로부터 전립샘(prostate gland)을 통해서 외요도 조임근의 상부흐름 방향의 위치로 소변을 배출하고, 따라서 조임근은 자연적으로 방뇨(urination)를 조절한다. 소변 배출능력은 소변 유입구 오프닝(urine inlet opening)의 형상에 의해서 장애물 및 응혈(blood clot) 축적에 더욱 저항적이게 한다. 또한 낮은 마찰 코팅은 응혈의 축적에 저항한다. 단일사용 또는 여러번 사용 제거장치(clearing device)는, 소변 유입 오프닝과 내부통로로부터 축적된 응혈 및 장애물의 움직임과 접촉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내부 배출통로 내에서 움직인다. 삽입공구(insertion tool)는 전립선 요도 내에서의 사용을 위하여 카테르트를 위치시키도록 카테르트에 연결된다. 위치되어지면, 삽입공구는 도뇨관으로부터 분리되어지고 후퇴되어진다. 소변흐름 통로를 방해하는 응혈의 위험은, 삽입공구와 카테르트를 통한 세척액(flushing fluid)에 의해서 회피되어진다.

Description

팽창튜브 앵커와 장애물에 대한 저항성과 그리고 세척을 가진 부분길이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PARTIAL-LENGTH, INDWELLING PROSTATIC CATHETER WITH INFLATION TUBE ANCHOR AND OBSTRUCTION RESISTANCE AND CLEARING}
본 발명은 도뇨관(urinary catheter)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 내의 사용위치(use position)로부터 카테르트(catheter)의 움직임에 대한 앵커(anchor)로서 팽창튜브(inflation tube)의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을 사용하며, 카테르트를 통한 소변흐름 경로 내의 장애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도뇨 유입구 형상(urinary inlet configuration)을 가지며, 그리고 장애물을 제거하고 분해하는데 용이한 제거장치(clearing device)를 가지며, 방광(bladder)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는 카테르트의 기능과 사용을 개선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유치 전립선 요도 카테르트에 관한 것이다.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과 악성 전립선 암(malignant prostate cancer)과 같은 전립선 문제점들은 노인들 사이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이러한 질병들의 효과는 전립샘(prostate gland)의 팽창 또는 확대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수반되어진다. 악성 전립선 암의 생명위협적인 측면은 별도로 하고, 상기 질병들의 일상적인 징후와 효과는 일반적으로 골치 아프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 하나는 정상적인 소변 배출(urine discharge)을 조절하고 달성하는 능력에 관한 것이다. 전립샘(prostate gland)이 상기 전립샘을 통한 전립샘 요도(prostatic urethra)를 가로막는 정도까지 비대해질 때, 마음대로 소변을 배출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일반적으로 요로 리텐션(urinary tract retention)으로 언급되어진다. 요로 리텐션(urinary tract retention)은 급성(acute)이거나 만성(chronic)이 될 수 있다.
외과 치료(surgical treatment)가 상기 요로 리텐션(urinary tract retention) 문제를 완화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과치료는 온열요법(thermotherapy) 및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TURP)을 포함한다. TURP 처리는 장애(obstruction) 또는 제한(restriction)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도록 전립샘(prostate gland)으로부터 조직(tissue)을 외과적으로 절제(resect)하는 것을 포함한다. 외과수술은 우수한 임상 성과(clinical outcome)의 높은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높은 정도의 사망률(morbidity)과 관련되어진다. 대안적인 온열요법 치료는 가벼운 부작용(side-effect)이 수반되어진다. 온열요법 치료는 경요도초단파열치료(transurethral microwave thermotherapy, TUMT), 무선주파수 침소작술(radio frequency needle ablation, TUNA), 간질레이저(interstitial laser) 및 고온수유도전립선고온치료 (hot water induced thermotherapy, WIT)를 포함한다. 모든 온열요법 치료는 전립선 조직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어질 때까지, 방해적이거나 제한적인 전립선 조직의 가열과 관련된다. 그 후, 파괴되거나 손상된 조직은 탈피되거나(slough off), 또는 몸 속에서 흡수되어져서, 전립샘을 통한 요로(urinary passageway)가 확대되는 결과가 된다. 전립샘을 통한 요로(urinary passageway)의 확대는 장애를 제거하거나 완화시키고 더욱 우수한 요 배출흐름(urine flow)을 허용한다.
온열요법(thermotherapy) 및 TURP 외과적 처리 모두는, 예를 들어 전립선(prostate)의 염증(inflammation) 및 종기(swelling)와 같은 임시적인 부작용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부작용은 염증을 가라앉히고 전립샘의 조직이 가라앉고 안정화되는 동안 배뇨(urination)를 허용하는 절차까지 수일에서 몇 주까지 유치 소변배뇨 카테르트(indwelling urine drainage catheter)를 환자가 사용하도록 요구한다. 온열요법 또는 TURP 처리 이후에 남아있는 전립샘의 조직은 매우 미숙(raw)하며 연약(tender)하고, 소변(urine)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접촉은 염증을 악화시키고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유치 카테르트(indwelling catheter)는, 치료된 조직(tissue)과 단지 최소한의 또는 어떠한 접촉없이, 외과적 조치가 수행되어진 조직을 통해서 소변이 지나가도록 한다.
병에 걸린 전립샘(prostate gland)이 온열요법(thermotherapy) 또는 TURP 조치로써 치료되어질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장애(obstruction) 또는 제한 (restriction)이 상당해서 정상적인 배뇨 기능이 가능하지 않거나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서만 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환자의 남은 수명동안 카테르트(catheter)가 사용되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환자는 방뇨(urination)가 필요한 곳마다 전장 카테르트(full-length catheter)를 삽입하도록 지도되어지다. 전장 카테르트를 삽입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는, 의료진에 의해서 제거되어질 때까지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요로(urinary tract) 내에 의료진이 전장 카테르트를 삽입하여야만 한다.
전립샘(prostate gland)이 낫거나 또는 연속적인 베이시스(continual basis) 상에 있는 동안 사용된 도뇨 카테르트(urinary catheter)의 일반적인 타입은 전장 도뇨 카테르트(urinary catheter)이다. 전장 도뇨 카테르트는 요로의 전체 길이를 통해서 도뇨관(urinary canal)의 외부 오프닝(exterior opening)으로부터 방광(bladder) 속으로 연장구성된다. 클램프(clamp) 또는 다른 기계적 밸브(mechanical valve)가 전장 카테르트의 외부에 부착되어지고,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도록 개방되어진다. 저장소(reservoir)가 소변을 모으도록 부착되어질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기계적 밸브 또는 클램프가 사용되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방광(bladder)으로부터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 및 도뇨관(urinary canal) 속으로 소변의 흐름을 정상적으로 조절하는, 방광경부(bladder neck)에서의 내요도 조임근(in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은 소변의 흐름을 멈추도록 요도(urethra)를 수축하고 소변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팽창하는 본질적이 기능을 더 이 상 수행할 수 없다. TURP 및 열처리 외과적 치료는 내요도 조임근(in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을 일반적으로 파괴한다. 비록 파괴되지 않더라도, 전립선 요도의 상부방향에 위치된 내요도 조임근이나 또는 전립선 요도의 아랫방향에 위치된 외요도 조임근 어느 것도 소변의 흐름을 조절할 수 없는데, 이는 연속적으로 개방된 소변흐름 통로가 카테르트(catheter)를 통해서 연장되기 때문이다. 요도 조임근(urinary sphincter muscle)은 전장 카테르트를 통해서 통로(passageway)를 닫을 수 없다.
전장 도뇨 카테르트(full-length urinary catheter)를 사용할 때 소변 흐름을 자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환자의 부족한 능력이외에도, 도뇨관(urinary canal)의 외부 오프닝으로부터의 카테르트의 연장부(extension)와 그리고 불편을 야기하는 클램프(clamp)와 저장소(reservoir)의 존재는, 취급하는데 어색하게 하고 환자가 당혹하게 할 수도 있다. 전장 도뇨 카테르트는 사회적 관점에서 제약(limitation)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직면하게 되는 삶의 질의 문제를 항상 발생시킨다. 성적 활동도 불가능하다. 증가된 감염의 위험도 생긴다.
전장 도뇨 카테르트와 관련된 삶의 질과 사회문제 때문에, 부분길이 유치 카테르트(partial-length indwelling catheter)가 개발되어져 왔다. 부분길이 유치 카테르트는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를 통해서 방광으로부터만 일반적으로 연장되고, 방광으로부터 외부 오프닝까지 요로(urinary tract)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서 연장되지 않는다. 감소된 길이는, 부어오르거나 또는 아물지 않은 전립샘(prostate gland) 둘레에서 대부분의 소변흐름을 여전히 우회(bypass)시키는 동안,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이 더욱 자연적인 방식으로 소변흐름을 조절하도록 한다. 카테르트의 어떠한 상당한 부분들도 도뇨관(urinary canal)의 외부 오프닝으로부터 연장구성되지 않는다.
적절한 위치 내에 부분길이 유치 카테르트(partial-length indwelling catheter)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짧은 길이는 카테르트가 방광(bladder) 속으로 완전히 이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뇨관(urinary canal) 속으로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로부터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어떠한 타입의 의도되지 않은 움직임은 교정되도록 심각한 의학적 개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부분길이 도뇨 카테르트(partial-length urinary catheter)는, 신체 내의 가장 안쪽 부분과 그리고 소변흐름에 대해서 상부인 단부에서 팽창가능한 벌룬(ballon) 또는 앵커(anchor)의 다른 형태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방광(bladder) 내에서 벌룬(ballon)은 팽창되어지거나, 또는 앵커는 확대되어지고, 다음으로 벌룬(ballon) 또는 앵커가 요도(urethra)로의 입구(entrance)에서 방광경구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카테르트는 후퇴되어진다. 벌룬 또는 앵커는 카테르트가 방광으로부터 움직이고 도뇨관 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벌룬은 부분길이 도뇨 카테르트가 방광 속으로 전립샘과 전립선 요도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부분길이 도뇨 카테르트(partial-length urinary catheter)가 방광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의 방법은, 짧은 길이의 나사모양 재료(thread-like material)로써 부분길이 카테르트에 아랫방향 흐름(downstream)의 앵커를 부착하는 것이다. 나사모양 재료는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의 구멍(orifice)을 통해서 연장되어지고, 아랫방향 흐름의 앵커는 외요도 조임근으로부터 아랫방향에 위치되어진다. 카테르트와 아랫방향 흐름(downstream)의 앵커는, 외요도 조임근의 반대편 측면 상에서 각각 전립선 요도와 도뇨관 내에 위치되어진다. 아랫방향 흐름(downstream)의 앵커는, 소변이 통과하는 짧은 길이의 속이빈 중공 튜브(hollow tube) 또는 다른 3차원적 구조체로 될 수도 있다. 자연적인 방식으로 외요도 조임근은 소변의 흐름을 멈추도록 나사모양의 재료 둘레에서 수축할 수 있고, 소변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팽창할 수도 있다. 아랫방향 흐름(downstream)의 앵커에 인접한 외요도 조임근의 정상적인 수축상태는 부분길이 카테르트가 방광 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부분길이 도뇨 카테르트(partial-length urinary catheter)를 따라서 강성(rigid) 튜브 또는 3차원적 아랫방향 흐름(downstream)의 앵커를 삽입하고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거나 또는 고통이 될 수도 있다. 특별한 타입의 삽입공구(insertion tool)와 기술이 강성튜브 및 삼차원적 아랫방향 흐름(downstream)의 앵커를 가진 부분길이 도뇨 카테르트를 사용하는데 요구되어진다.
부분길이 전립선 도뇨 카테르트는 수축된 벌룬(ballon)으로써 삽입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벌룬 카테르트는, 카테르트의 적절한 위치가 달성되어진 이후에 벌룬을 팽창하기 위한 일정한 설비(provision)를 가져야만 한다.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벌룬으로 유체(fluid)를 추가시키기 위한 도관(conduit) 또는 채널(channel)은 벌룬으로부터 요로(urinary tract)의 외부 오프닝까지 연장되어져야만 한다. 부분길이 도뇨 카테르트에 있어서, 팽창튜브(inflation tube)는 벌룬이 팽창되어진 이후에 일반적으로 분리되어지고, 그 이후에 팽창튜브는 도뇨관(urinary canal)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어진다. 관련된 상황에서, 벌룬(ballon)은 도뇨 카테르트를 제거하도록 수축되어져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벌룬은 카테르트에 부착된 밸브를 개방함에 의해서 수축(deflat)되어진다. 밸브를 개방하는 것은 유체(fluid)가 벌룬으로부터 탈출하도록 하여서, 카테르트가 제거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의도될 때 밸브가 개방되지 않는다면, 벌룬을 수축(deflat)하도록 의학적 개입이 요구되어진다.
카테르트가 사용에 있는 동안, 팽창된 벌룬(ballon)은 팽창유체(inflation fluid)를 천천히 잃을 수도 있다. 벌룬에 유체를 구속시키는 밸브가 완전히 밀봉(seal)되지 않거나 또는 벌룬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분길이 전립선 카테르트에 밀봉시키는 구조적 재료 내의 약간의 작은 구멍 틈으로 인하여, 유체 손실(fluid loss)이 발생할 수도 있다. 카테르트가 사용에 남아있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체손실 과 벌룬 수축(deflation)의 위험도 증가되어진다. 벌룬을 재팽창시키기 위한 어떠한 시도도 일정한 형태의 의학적 개입을 일반적으로 필요로 한다.
도뇨관 카테르트(urinary catheter)의 사용과 관련된 또 다른 위험은 장애(obstruction)이다. 전립샘(prostate gland)의 열 또는 외과적 치료는 일반적으로 방광경구(bladder neck)의 파괴(destruction)를 야기시키고, 방광으로 들어가는 응혈(blood clot)의 결과로 된다. 상기 응혈은 방광 내에서 소변(urine) 내에서 부유하고, 카테르트를 통해서 소변의 흐름에 장애를 주는 정도까지 축적될 수 있는 카테르트로 들어간다. 만일 환자가 배뇨(urinating)에 의해서 응혈의 축적을 제거할 수 없다면, 이때 카테르트는 의학적으로 제거되어지고 교체되어져야만 한다. 치료부위에 염증(irritation)을 야기시키는 열 또는 외과적 치료 바로 다음에 카테르트를 교체하는 것은,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고, 일반적으로 회복시간 주기를 연장시키며, 만일 카테르트가 제거되어지거나 교체되어져야만 한다면 상당한 의학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응혈(blood clot)로부터의 가능한 장애들의 문제점들은 전장 및 부분길이 카테르트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장애(obstruction)들은 소변 내의 자연적 신체 물질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비록 이러한 위험들은 외과적 처리 이후에 응혈로 인하여 발생하는 위험에 비해서는 현저하지 않지만, 이러한 위험들은 도뇨 카테르트를 전시간(full-time)에 근거하여 이용하여야만 하는 개인들에게는 상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애 및 다른 장애들, 종래의 유치 카테르트의 사용과 관련된 단점 및 위험들은 본 발명의 개선점으로 유도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도뇨관(urinary canal)의 외부 오프닝, 요로(urinary tract)의 도뇨관을 통해서 소변을 배출시키도록, 적어도 요로의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를 통해서 방광으로부터 연장구성되는 전장(full-length) 또는 부분길이(partial-length) 도뇨 카테르트(urinary catheter)에 관한 것이다. 카테르트는, 요도 조임근(urinary sphincter muscle)으로써 환자가 소변의 흐름을 자연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당히 대다수의 소변흐름이 전립샘(prostate gland)과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전환시킨다. 요로(urinary tract)로의 불편과 자극(irritation)을 최소로 하면서, 아랫방향 흐름 앵커 요소(downstream anchor element)와 같은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의 팽창 튜브(inflation tube)를 포함시킴으로서 부분길이 카테르트의 보유(retention)는 용이하게 되어진다. 팽창튜브(inflation tube)는, 벌룬(balloon)이 방광(bladder) 내에서 팽창되어지도록 하고 위쪽방향 흐름 앵커 요소(upstream anchor element)와 같이 기능하도록, 도뇨관을 통해서 연장구성된다. 코일된 섹션의 팽창튜브는, 부분길이 카테르트가 사용에 있는 동안 구속력(holding force)을 전개할 만큼 충분히 탄성적이나, 팽창튜브 상에서 끌어당겨짐에 의해서 도뇨관(urinary canal)으로부터 카테르트가 후퇴되어지도록 탄성적으로 수축된다. 부분길이 카테르트는 코일된 섹션의 팽창튜브를 통해서 연장구성되는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삽입공구(insertion tool)에 의해서 위치 속으로 삽입되어진다.
부분길이 도뇨 카테르트(partial-length urinary catheter)는, 카테르트 내의 장애와 응혈(blood clot)의 위험이 감소되면서, 전립샘 상에서 수행된 외과적 또는 열 치료 절차 바로 이후에, 특히 수술(surgery)이후에 삽입되어질 수도 있다. 카테르트 속으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변 유입 오프닝(urine inlet opening)의 형상 및 카테르트 내부의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장애 제거 장치(obstruction clearing device)는 내부 소변 배출 통로(interior urine drainage passageway) 내부의 장애와 응혈의 축적을 제거하고 저항하며, 따라서 카테르트의 소변 배출 성능을 유지한다. 삽입공구(insertion tool)가 카테르트에 연결되어 남아있는 동안, 응혈 및 다른 장애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도록 유체(fluid)는 삽입공구 및 카테르트를 통해서 흘러보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카테르트(catheter)는 장애로 된 카테르트를 제거하고 교체하는데 의학적 또는 외과적 개입이 요구되어지는 경우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전적으로 회피하는데 유리하다. 외과적으로 영향을 받은 부위로부터 소변을 벗어나게 전달하고 따라서 감염과 염증(irritation)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해받지 않은 통로 때문에, 본 발명의 카테르트는 수술 이후에 전립샘의 더욱 우수한 치유를 조정한다. 요로(urinary tract)의 외부 오프닝에 위치된 장치의 양과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카테르트로부터의 개선점은 유치 카테르트(indwelling catheter)의 사용과 관련된 개인 또는 사회적 문제점을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은 그리고 또 다른 개선점 및 장점들은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시키는 요로 내에 삽입되어진 카테르트(catheter)에 의해서 달성되어진다. 본 발명의 카테르트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로 선택적으로 함께 사용되어질 수도 있는 주된 특성과 보조 특성을 포함한다.
카테르트는 요로(urinary tract)의 도뇨관(urinary canal) 속으로의 소변의 흐름을 조절하는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 내의 구멍(orifice)에 인접한 위치까지 소변을 배출한다. 카테르트는 말단부(distal end)와 인접단부(proximal end), 그리고 말단부를 방광 내부에 위치시키는데 충분하고 인접단부를 외요도 조임근 내의 구멍(orifice)에 인접하고 단부에 위치시키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주 몸체(main body)로 구성된다. 주 몸체(main body)는 말단부로부터 인접 단부까지 연장된 소변 배출 내부 통로를 한정한다. 말단 앵커(distal anchor)는 주 몸체의 말단부에 부착되어지고, 요로 내부의 인접 움직임(proximal movement)에 대한 주 몸체가, 주 몸체의 말단부가 방광 내에 위치되어지고 주 몸체의 인접단부가 외요도 조임근 내의 구멍(orifice)에 인접하고 단부에 위치되어지는 사용 위치(use position)로부터 억제되어지도록 방광 내에서 팽창가능하게 된다. 인접 앵커(proximal anchor)는 요로 내의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에 대한 주 몸체가 사용 위치로부터 억제되어지도록 주 몸체의 인접 단부에 부착되어진다. 하나이상의 소변 유입 오프닝(urine inlet opening)은 주 몸체의 말단부를 통해서 연장구성되며 내부 통로 속으로 연장구성된다. 방광으로부터 내부 통로를 통해서 도뇨관(urinary canal) 속으로 소변이 지나가는데 용이하게 되도록, 말단부(distal end) 내의 모든 유입 오프닝의 누적 단면 크기들은 내부 통로의 단면 크기들보다 크게 된다.
말단 앵커(distal anchor)는 카테르트(catheter)의 주 몸체의 말단부에 부착된 벌룬(ballon)을 포함하며, 주 몸체의 말단부를 방광 내에 유지시키고 사용위치로부터 인접 운동(proximal movement)에 대한 주 몸체를 구속하도록 방광 내에서 팽창되어질 때, 상기 벌룬(ballon)은 크기가 확대될 수 있다. 팽창튜브(inflation tube)는 카테르트의 주 몸체에 연결되어진다. 팽창튜브는 말단부(distal end), 인접부(proximal end) 그리고 말단부와 인접부 사이에서 연장구성되는 길이(length)를 가진다. 팽창튜브는 외요도 조임근의 구멍(orifice)을 통해서 그리고 도뇨관(urinary canal)을 통해서 주 몸체로부터 도면과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까지 연장된다. 팽창튜브와 주 몸체는, 팽창튜브의 인접단부로부터 벌룬(ballon)까지 연장구성된 팽창 통로를 확립하며, 이를 통해서 벌룬을 팽창하도록 유체가 전달된다. 인접 앵커(proximal anchor)는, 주 몸체가 사용위치 내에 있을 때 조임근(sphincter muscle)에 인접한 그리고 인접부의 위치에 위치된 코일 섹션의 팽창튜브를 포함한다. 코일된 섹션은 사용위치로부터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에 대한 주 몸체를 구속하도록 수축되어질 때 외요도 조임근과 상호작용한다.
삽입공구(insertion tool)는 요로 내의 유치 카테르트(indwelling catheter)가 사용위치로 움직여지도록 주 몸체에 연결되어질 수도 있다. 삽입공구는 제 1 및 제 2 대향된 단부들과 그리고 제 1 단부를 조임근의 요로 말단부 내에 위치시키고 제 2 단부를 요로의 외부에 위치시키는데 충분한 길이(length)를 가진다. 삽입공구가 유치 카테르트에 연결되어질 때, 코일된 섹션의 팽창튜브(inflation tube)는 삽입공구 둘레에서 감겨진다. 주 몸체(main body)와 삽입공구 사이의 별개의 연결은, 사용 위치 내에 유치 카테르트를 위치시킬 때 유닛(unit)으로서 카테르트와 삽입공구가 움직이도록 주 몸체를 삽입공구에 연결시키지만, 별개의 연결은, 팽창된 벌룬이 사용위치로부터 인접 움직임에 대한 주 몸체를 구속할 때, 삽입공구의 연속적인 인접 움직임에 반응하여 삽입공구로부터 주 몸체의 분리(separation)를 허용한다. 삽입공구의 제 1 및 제 2 대향된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부 채널(channel)은, 삽입공구가 카레트르에 연결되어지는 한 장애를 제거하도록 별개의 연결에서 삽입공구가 카테르트에 연결되어질 때, 주 몸체의 내부 통로와 유체(fluid)가 서로 연통하도록 한다.
내부 통로 속으로의 다양한 단부(tip)와 유입 오프닝 형상이 다양한 형태는 카테르트의 유체 배출 성능을 강화한다.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의 하나의 형상은 휘슬-단부 형상(whistle-tip shape)을 설립하도록 둥근 단부(rounded tip)의 길이방향으로 이등분된 절반부위를 없도록 함으로서 형성되어진다. 다른 단부 형상은 주 몸체의 말단부를 통해서 연장구성되는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유입 오프닝이다. 두개의 유입 오프닝은 주 몸체의 말단부위 상에서 서로 반경방향으로 대향되게 위치되어질 수도 있고, 이들 각각은 내부 통로의 단면 크기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단면 크기를 가지며, 원주방향의 크기는 주 몸체의 원주 크기의 1/4 보다 크고, 단부(tip)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더 긴 크기를 가진 긴 형상으로 되어져서, 쿠빌레 단부 형상(couvelaire tip configuration)을 형성한다. 말단부는 베벨된 표면(beveled surface)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베벨된 표면은 말단부를 통해서 길이방향 축에 대해 예각(acute angle)에서 가로지르게 연장되며, 주 몸체의 내부 통로 속으로 직접적으로 베벨된 표면을 통해서 연장구성되는 단일의 유입 오프닝을 가진다.
각각의 내부 오프닝에서 그리고 내부 통로 내에서 축적되는 장애(obstruction)에 저항하도록, 낮은 마찰 코팅(low friction coating)은 주 몸체의 말단부에 걸쳐서, 각각의 유입 오프닝 내에서, 그리고 내부 통로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카테르트(catheter)는 카테르트의 주 몸체의 내부 통로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된 접촉요소(contact element)를 가지는 제거장치(clearing device)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촉요소(contact element)는 소변 흐름을 가진 내부 통로와 유입 오프닝을 통해서 장애(obstruction)와 응혈(blood clot)과 접촉하고 분해하고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카테르트의 유입 오프닝을 지나 그리고 내부 통로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활성장치(activation device)는 접촉요소에 연결되어지고, 내부 통로와 도뇨관(urinary canal)을 통해서 도뇨관의 오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까지 연장구성된다. 도뇨관의 외부 개구부에서 활성장치의 조작(manipulation)은 접촉요소를 움직인다. 활성장치의 조작에 의해서 접촉요소는 내부통로부터 제거되어질 수도 있고 도뇨관으로부터 제거되어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유입 오프닝을 지나서 그리고 내부 통로를 따라서 이동한 후에, 내부 오프닝으로부터 벗어나서 초기 위치로 다시 접촉요소를 이동시키도록, 귀환요소(return element)가 접촉요소와 주 몸체 사이에서 연결되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카테르트에 의해 예시된 특성 또는 기능, 그리고 요로와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달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되는 요로 내의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된 개선내용 및 다른 개선내용을 달성하는 방법 및 본 발명의 범위의 더욱 완전한 이해는 아래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선호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기재내용을 참조로 하여 그리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로 하여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삽입공구(insertion tool)에 부착되어지고 주사기(syringe)와 함께 사용되어지는 것이 도시된, 본 발명을 포함하는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indwelling prostatic catheter)의 사시도
도 2는 삽입공구가 제거되어지고 유치 카테르트의 벌룬(ballon)이 팽창된, 도 1에서 도시된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의 확대된 사시도
도 3은 도 2를 통해 길이방향 축 평면으로 취해진 확대된 길이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선 4-4의 평면으로 취해진 확대된 가로지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선 5-5의 평면으로 취해진, 도 1에서 도시된 유치 카테르트-삽입공구의 분리가능한 연결구(connection)의 확대된 길이방향 축방향 부분 단면도
도 6은 생리학(physiology)이 단면으로 일반적으로 도시된, 인간의 요도(urethra), 요도 조임근(urethra sphincter),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 및 요로의 방광(bladder) 내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된, 도 1에서 도시된 삽입공구의 일부와 유치 카테르트의 사시도
도 7은 방광 내에서 팽창된 벌룬(ballon)이 도시된, 도 6에 유사한 도면
도 8은 유치 카테르트로부터 삽입공구가 분리된 것을 도시하는, 도 6과 도 7에 유사한 도면
도 9는 유치 카테르트의 사용과 위치를 도시하는, 도 6 내지 도 8에 유사한 도면
도 10은 도 5에서 도시된 분리가능한 연결구의 대안적인 실시예와 본 발명의 다른 특성을 도시하는, 도 1에서 도시된 카테르트-삽입공구 조립체의 부분적으로 확대되고 끊어진 모습
도 11은 다른 말단부 형상을 가진 도 2에서 도시된 모습과 유사한 유치 카테르트의 사시도
도 12는 다른 말단부 형상을 가진, 도 11에서 도시된 모습과 유사한 유치 카테르트의 사시도
도 13은 또 다른 말단부 형상을 가진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치 카테르트의 사시도
도 14는 추가적인 말단부 형상을 가진, 도 11 내지 도 13에서 도시된 모습과 유사한 유치 카테르트의 사시도
도 15는 수용된 위치(stowed position) 내에 위치된 장애 제거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유치 카테르트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서 도시된 위치로부터 장애물을 제거한 작동위치(operative position)까지 카테르트의 내부 통로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제거장치(clearing device)를 도시하는, 도 15에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유치 카테르트(indwelling catheter) 22 : 삽입공구(insertion tool)
24 : 카테르트-공구 조립체 26 : 요로(urinary tract)
28 :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 30 : 전립샘(prostate gland)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분길이(partial-length) 유치 카테르트(indwelling catheter, 20)는 도 1에서 도시되어지나, 본 발명의 많은 특성들은 (도시되지 않은) 전장 카테르트(full-length catheter)에도 적용가능하다. 유치 카테르트(20)는 카테르트-공구 조립체(catheter-tool assembly, 24)를 형성하도록 삽입공구(insertion tool, 22)에 연결되어지며, 상기 카테르트-공구 조립체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간의 요로(urinary tract, 26) 속으로 카테르트(20)가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설치되어지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르트(20)를 전립샘(prostate gland, 30) 내의 전립선 요도(prostatic urethra, 28) 내에 유치(dwelling)시키거나 또는 남아있도록, 삽입공구(insertion tool, 22)는 유치 카테르트(20)로부터 분리되어지거나 떼어놓아진다. 도 8과 도 9에서 도시된 유치(indwelling)되는 사용 위치에서, 카테르트(20)는 전립샘(30) 내의 전립선 요도(28)를 통해서 방광(bladder, 32)으로부터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 34)의 약간 위쪽방향 위치로 소변을 배출한다. 외요도 조임근(34)이 팽창할 때, 소변은 외요도 조임근(34)의 구멍(orifice)을 통해서 배출되어지고 요로(26)의 도뇨관(urinary canal, 36) 속으로 배출된다.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TURP) 외과 처리 내의 전립샘(30)의 둘러싸는 조직과 전립선 요도(28)의 부위들을 제거하도록 처리되어진 이후에, 또는 초단파열치료(TUMT) 또는 다른 온열요법 치료에 의해서 상기 조직들이 파괴되어지거나 또는 처리되어진 이후에, 전립샘(30)의 아물지 않은 조직(raw tissue)을 보호하는 임시적인 스텐트(stent)로서 기능하도록, 카테르트(20)는 도 9에서 도시된 유치 위치(indwelling position) 내에서 수일 또는 수주 동안 일반적으로 남겨진다. 또한, 양성 전립선 비대증(benign prostate hyperplasia, BPH) 또는 다른 장애 또는 이상(abnormality)으로 인하여, 전립샘(30) 내에 유치(swelling)하는 결과로서 소변이 더 이상 효과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는 지점으로 수축되어질 때, 카테르트(20)는 전립선 요도(28)를 통해서 스텐트로서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유치 카테르트(20)를 사용하는데 의학적으로 인식되는 다른 이유들도 있다.
유치 카테르트(20)의 말단부(distal end, 36)가 도 6에서 도시된 방광(bladder, 32)으로 들어갈 때까지, 유치 카테르트(20)는 삽입공구(insertion tool, 22)로써 요로(26) 속으로 도뇨관(36) 위의 카테르트를 밀어줌에 의해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되어진다. 벌룬(40)이 전립선 요도(28)를 둘러싸는 방광(32)의 경부(neck, 46)보다 직경이 더 크게 될 때까지, (도 3의) 팽창튜브(inflation tube, 44)의 팽창통로(inflation passageway, 42)를 통해서 유체가 전달되어지면서, 유치 카테르트(20) 상의 벌룬(ballon, 40)은 팽창되어진다. 팽창유체 (inflation fluid)는 공기(air)와 같은 기체가 될 수도 있거나, 또는 생리 식염수(saline solution)와 같은 유체가 될 수도 있다. 벌룬(ballon, 40)은 팽창튜브(44)의 단부에서 밸브 조립체(50)에 연결되어진 주사기(syringe, 48)와 같은 팽창펌프(inflation pump)로부터 선호적으로 팽창되어진다(도 1). 벌룬(40)이 팽창되어지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벌룬(40)이 방광경부(46) 상에서 위치되어질 때까지, 삽입공구(insertion tool, 22)는 뒤로 당겨진다. 방광경부(46) 상에서 위치되어질 때, 벌룬(40)은 유치 카테르트(20)가 방광(32)을 벗어나서, 외요도 조임근(34)을 통해서 도뇨관(36) 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공구(22)의 연속된 후퇴 움직임(withdrawal movement)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치 카테르트(20)와 삽입공구(22)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구(52)(도 1)에서 카테르트로부터 분리되어지도록 하고, 따라서 도 9에서 도시된 그 최종, 유치 위치(indwelling position) 내에 유치 카테르트(20)가 남아있도록 한다. 그 이후 삽입공구(insertion tool, 22)는 후퇴되어지고 도뇨관(36) 내에서 제거되어진다. 팽창튜브(44)는 도뇨관(36) 내에 남아있다.
상대적인 용어 “인접한(proximal)”과 “말단(distal)”은, 도뇨관(36)의 외부 오프닝에서 요로(26) 속으로 카테르트(20)를 삽입하는 의료종사자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환자 내에서 가장 안쪽에 있는 카테르트(20)의 부위는 “말단(distal)”으로서 언급되어지고, 도뇨관(36)의 외부 오프닝에 인 접한 카테르트(20)의 부위는 “인접한(proximal)”으로서 언급되어진다. 따라서, 카테르트의 말단부위는 요로(26) 내부에서 카테르트의 인접부위 보다도 더욱 내부에 위치되어진다. 카테르트의 말단부위는 소변흐름의 정상적인 방향과 관련하여 위쪽방향(upstream)에 있으며, 카테르트의 인접부위는 소변흐름의 정상적인 방향과 관련하여 아랫방향(downstream)에 있다. 벌룬(ballon, 40)은 카테르트(20)의 말단부 근처에 위치되어지고, 팽창튜브(inflation tube, 44)의 말단부는 이요도 조임근(34)의 말단부 또는 위쪽 방향 흐름의 위치에서 카테르트(20)의 주 몸체(58)의 인접단부에 연결되어진다.
팽창튜브(inflation tube, 44)는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영구적으로 나선형으로 코일된 섹션(54)으로써 형성되어진다.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 54)은 길이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 모두에 대해서 탄성적이다. 팽창튜브(44)는 삽입공구(22)가 제거되어진 이후에 도뇨관(36) 내에서 코일된 형상으로 코일된 섹션(54)이 유지되도록 하는 충분한 강도(strength)를 가진다. 코일된 섹션(54)의 탄성으로 인하여, 코일된 섹션(54)은 도뇨관(36)의 내부에 대해서 눌러진다. 외부 조임근(34)을 통한 구멍(orifice)은 배뇨과정(urination)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닫혀지며, 따라서 코일된 섹션(54)이 외부 조임근(34)을 지나서 위쪽방향으로 또는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치 카테르트(20)가 도뇨관(36)을 따라서 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유지하도록, 코일된 섹션(54)은 도뇨관(36)을 따른 이동에 저항한다. 도뇨관(36)의 내부에 대해서 탄성적으로 누름에 의해서, 코일된 섹션(54)은 환자에의 불편 또는 도뇨관(36)에의 자극(irritation)을 최소로 한다. 코일된 섹션(54)이 코일의 개방된 중심을 통해서 유체 흐름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코일된 섹션(54)은 도뇨관(36)을 통한 소변흐름에 파괴적이지 않다.
카테르트(20)가 삽입공구(22)에 연결되면서, 코일된 섹션(54)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구(22)의 외부 둘레에서 연장된다. 삽입공구(22)의 외부 둘레에서 연장됨에 의해서, 유치 카테르트(20)와 삽입공구922)가 요로(urinary tract, 26) 내에서 삽입되어지는 동안, 코일된 섹션(54)은 삽입공구(22)에 인접하게 팽창튜브(44)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코일된 섹션(54)은 삽입공구(22)를 따라서 요로(26) 속으로 팽창튜브(44)를 이동하는데 도움이 된다. 나선형으로 코일된 섹션(54)은 삽입공구(22)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지며, 따라서 삽입공구(22)가 유치 카테르트(20)로부터 분리되어질 때 삽입공구(22)가 코일된 섹션(54)의 중심을 통해서 후퇴되어지도록 한다.
코일된 섹션(54)은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main body)의 인접 단부로부터 인접적으로(proximally) 짧은 거리에 위치되어진다. 유치 카테르트(20)의 인접단부와 코일된 섹션(54) 사이의 팽창튜브(44)의 길이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요도 조임근(34)의 약간 인접한 위치에서 도뇨관(36) 내에 코일된 섹션(54)을 위치시키는데 충분하다.
요도 조임근(34)의 약간 인접하게 위치된다면, 팽창튜브(44)의 코일된 섹션(54)은 도 9에서 도시된 위치에서 요로(urinary tract, 26) 내에 유치 카테르트(20)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앵커(anchor)로서 기능한다. 조임근(34)의 수축에 의해서 야기된 요로 내의 수축과 접촉하는 코일된 섹션(54)의 코일의 결과로서, 코일된 섹션(54)은 유치 카테르트(20)가 도 9에서 도시된 위치로부터 말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코일된 섹션(54)은 유치 카테르트(20)의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에 저항하고 방광(32) 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축(constriction)과 접촉한다. 팽창된 벌룬(inflated ballon, 40)은 요로(26)를 따라서 그리고 도뇨관(36)으로부터 벗어나게 인접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치 카테르트(20)의 말단부(38)에서 제한(restriction)을 생성한다. 유치 카테르트(20)의 말단부에 위치된 팽창된 벌룬(40)과 조임근(34)의 인접측면 상에 위치된 앵커되는 코일된 섹션(54)으로써, 유치 카테르트(20)는 방광(32) 속으로 또는 방광으로부터 벗어나는 움직임과 전립선 요도로부터 벗어나는 움직임에 저항한다. 그 대신에, 유치 카테르트는 사용 위치(use position) 내에 유지되어진다.
사용위치에 있는 유치 카테르트가 벌룬(40)과 코일된 섹션(54)에 의해서 앵커되어지면서, 방광(32)으로부터 소변 또는 다른 유체는 유치 카테르트(20) 내의 내부 통로(56)(도 3)를 통해서 흘러갈 수 있고, 팽창된 외요도 조임근(34)(도 9)을 지나 카테르트(20)의 인접단부로부터 벗어나게 흐를 수 있다. 외요도 조임근(34)은 소변 흐름을 멈추도록 팽창튜브(44) 둘레에서 수축하거나 또는 닫혀지는 성능을 보유한다. 소변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도뇨관(36) 속으로 방출되어진다. 카테르트(20)의 최종 유치 사용 위치는 외요도 조임근(34)에 의해서 소변흐름의 정상적인 조절을 허용한다.
유치 카테르트(20)의 구조에 대한 더욱 상세한 내용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도어진다. 유치 카테르트(20)는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되는 주된(main) 또는 중앙 몸체(58)를 포함한다. 주 몸체(58)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외부 형상을 가진다. 주 몸체(58)는 주 몸체(58)를 통해서 통로(56)를 형성하는 측벽(sidewall, 60)을 포함한다. 단부 부재(end piece, 62)는 카테르트(20)의 말단부(38)에서 주 몸체부(58)와 일체로 되어지거나 또는 이에 부착되어진다. 단부 부재(62)는 요로(26) 속으로 카테르트(20)와 삽입공구(2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응된 단부 형상을 가진다. 하나이상의 그리고 선호적으로는 한쌍의 소변 유입 오프닝(64)은 단부 부재(62)를 통해서 형성되어진다. 오프닝(64)은 주 몸체(58)의 통로(56)와 단부부재(62)의 외부 사이에서 연통된다. 방광(32)으로부터 소변은 개구부(64)를 통해서, 그리고 통로(56)를 통해서 주 몸체(58)의 다른 인접 단부로 흘러간다.
벌룬(ballon, 40)은 주 몸체(36)의 외부 둘레에서 유체 밀봉 씰(fluid-tight seal, 68,70)로써 부착되어진, 상대적으로 얇고, 유연하고, 팽창가능하며, 일반적 으로 투명하고 비-다공성 재료의 유연한 슬리브(sleeve, 66)에 의해 형성되어진다. 제 1 유체 밀봉 씰(68)은 단부부재(62)가 부착되어지는 주 몸체(58)의 말단부의 약간 인접한 곳에 위치되어지고, 제 2 유체 밀봉 씰(70)은 유연한 슬리브(66)의 축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 거리로 제 1 씰(68)로부터 주 몸체(58)를 따라서 인접하게 이격되어진다. 유체밀봉 씰(68,70)은 접착제 또는 열적 용접에 의해서 유연한 슬리브(66)를 주 몸체(58)에 부착함에 의해서 형성되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유연한 슬리브(66)는 주 몸체(58)로부터 오프닝(72)의 상부(top)에 걸쳐서 위치되어지고, 오프닝의 대향된 측면들 상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체밀봉 씰(68,70)은 오프닝(72)의 말단부와 인접부에 각각 위치되어진다. 유체는 유체 밀봉 씰(68,70) 사이의 주 몸체(58)의 외부에서 그리고 유연한 슬리브(66) 내에서 체적(volume, 74) 속으로 도입되어져서, 유연한 슬리브(66)가 바깥쪽으로 팽창하도록 하고 벌룬(ballon, 40)을 생성하도록 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도관(inflation conduit, 76)은 오프닝(72)과 상호연통한다. 팽창도관(76)은 주 몸체(58)의 측벽(60) 내에서 형성되어진다.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튜브(44)의 말단부는 팽창도관(76)의 인접 단부 속으로 삽입되어진다. 유체는 주사기(syringe, 48)(도 1)로부터 팽창튜브(44)의 팽창 통로(42) 속으로 전달되어지고, 팽창도관(76) 속으로 흘러가며, 오프닝(72)으로부터 벗어나서 유연한 슬리브(66) 아래의 체적(74) 속으로 흘러가서, 유 연한 슬리브(66)가 벌룬(40)의 형태 속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튜브(44)의 말단부를 팽창도관(76) 속으로 삽입하는 것은, 유치 카테르트(20)와 삽입공구(22)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구(52)를 우회하거나 또는 둘러 가도록 한다. 강한 유체 밀봉 부착(fluid-tight bond)은 접착제로써 팽창도관(76) 속으로 팽창튜브(44)를 부착시킴에 의해서 형성되어진다. 부착(attachment)은 주 몸체에 연결된 팽창튜브(44)를 유지시켜서, 도뇨관(36)의 외부로부터 팽창튜브를 당기는 것은, 주 몸체로부터 팽창튜브(44)가 파괴되지 않고서, 요로(26)로부터 카테르트가 제거되도록 한다. 이러한 점에서, 팽창튜브(44)는 카테르트(20)를 위한 테더(tether)로서 작용한다. 카테르트(20)가 요로 내에서 위치되어지게 남아있는 동안 삽입공구(22)가 유치 카테르트(20)로부터 분리되어진 이후에 손상되지 않고 유체 밀봉이 남아있도록, 도 5에서 도시된 분리가능한 연결구(52)는 팽창도관(76)과 팽창통로(42) 사이에서 연통을 허용한다. 벌룬(balloon, 40)과 밸브 조립체(50) 사이의 팽창통로의 연속된 일체성은, 만일 필요하다면 유치 카테르트(20)가 사용에 있는 동안 벌룬(40)이 주기적으로 재팽창되어지도록 한다. 주기적인 재팽창(periodic reinflation)은, 벌룬(40), 밸브 조립체(50) 또는 벌룬(40)과 밸브 조립체(50)에 연결되는 통로 내의 미세한 누설(leak)의 결과로서 필요할 수도 있다.
팽창튜브(inflation tube, 44)는 도뇨관(urinary canal, 36)을 통해서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58)로부터 인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길이(length)를 가진다. 팽창튜브(44)의 길이는 인체의 외부에 밸브 조립체(valve assembly, 50)를 위치시키는데 충분하다. 팽창튜브(44)는 튜브(44) 내부의 팽창통로(inflation passageway, 42)가 요로(urinary tract, 26)의 조직과의 접촉으로부터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강성(rigidity)이지만, 강성은 팽창튜브(44) 내의 보통정도의 유연성을 방지할 만큼 크지는 않다. 팽창튜브(44)의 보통정도의 유연성(moderate flexibility)은 요로(26)의 전형적인 곡선(curve)을 통해서 팽창튜브가 연장되도록 한다.
밸브 조립체(50)는 통상적인 구성이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syringe, 48)의 노즐(nozzle, 80)이 삽입되어지는 리셉터클(receptacle, 78)을 포함한다. 또한 밸브 조립체(50)는 (도시되지 않은) 통상적인 내부 체크밸브를 포함하는데, 상기 내부 체크밸브는 노즐(80)이 리셉터클(78)로부터 제거되어질 때 벨브 조립체(50)에서 팽창 통로(42)를 닫는다. 이러한 방식에서, 주사기(syringe, 48)가 밸브 조립체(50)로부터 분리되어질 때, 벌룬(balloon, 40) 내부로부터의 유체는 팽창통로(42)를 통해서 탈출하는 것이 방지되어지나, 주사기(48)의 (특별히 도시되지 않은) 플런저(plunger)가 눌러질 때, 체크밸브를 주사기(48)로부터의 유체(fluid)가 벌룬(40)을 팽창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주사기(48)가 밸브 조립체(50)로부터 분리되어진 이후에 벌룬(40)은 팽창되게 남아진다. 그러나, 벌룬(40)이 재팽창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추가적인 유체가 카테르트의 사용 동안 벌룬(40)을 팽창시키는 데 추가되어질 필요가 있을 때, 주사기(48)는 그렇게 하기 위해서 밸브 어셈블리(50)에 용이하게 연결되어진다.
밸브 조립체(50)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팽창 통로(inflation passageway, 42)는 벌룬(40)이 팽창되어진 이후에 인접 단부(proximal end)에서 밀봉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벌룬(ballon)으로부터 탈출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밸브 조립체(50)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에서 페니스(penis)의 단부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된 위치에서 팽창튜브(44)의 인접단부 내에 노트(knot)가 묶여지거나 또는 장애물(obstruction)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노트(knot) 또는 장애물(obstruction)은 팽창 통로(42)를 밀봉하고, 벌룬(40)이 팽창되어지도록 유지하도록 통로를 통해서 유체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한다. 팽창튜브(42)는 노트(knot) 또는 장애물(obstruction)의 약간 인접한 위치에서 절단(cut)되어진다. 이러한 대안적인 형상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50)가 없는 팽창튜브(44)는 도뇨관(36)의 개방단부로부터 적절한 거리(modest distance)로만 팽창된다. 팽창튜브(44)의 인접단부(proximal end)에 연결된 밸브 조립체(valve assembly, 50)와 같이, 취급되는 상당한 크기의 장치가 없기 때문에, 더욱 편안하고 편리함이 촉진되어진다. 만일 유치 카테르트(20)가 일정한 시간동안 사용되어진 이후에, 벌룬(40)이 재팽창되어질 필요가 있거나 또는 추가적인 유체가 더해질 필요가 있다면, 노트(knot) 또는 장애물(obstruction)은 주사기(48)가 추가적인 유체를 도입하도록 부착된 적절한 커넥터(connector) 및 팽창튜브(44)의 단부로부터 절단되어질 수 있 다. 적절한 팽창이후에, 팽창튜브(40)의 나머지 인접부위 내에 다른 노트(knot)가 묶여질 수 있거나 또는 장애물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팽창통로(42)를 통해서 유체를 방출하는 것은 벌룬(balloon, 40)이 붕괴되며, 팽창튜브(44) 상에서 끌어당김에 의해서 카테르트(20)가 도뇨관(36)으로부터 벗어나게 당겨지도록 한다.
삽입공구(insertion tool, 22)는 유연한 관형 구조체(tubular structure)이며, 전형적인 전장 도뇨 카테르트(full-length urinary catheter)의 말단부위와 유사하게 형상화되어진다. 삽입공구(22)는 최종 요구된 사용 위치 내에 유치 카테르트(20)를 위치시키게 되는 지점까지, 신체의 외부로부터 도뇨관(36)과 전립선 요도(28) 속으로 연장구성될 만큼 적어도 길게 된다. 삽입공구(22)는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이 선호되나, 삽입공구(22)의 길이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신체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푸싱힘(pushing force)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일체성(integrity)을 가지며, 따라서 부착된 유치 카테르트(20)를 가진 삽입공구(22)는 요로(26) 속으로 말단부(distally)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삽입공구(22)의 인접단부(proximal end)는 속이 빈 중공 핸들(hollow handle, 82) 또는 확대부(enlargement)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어서, 요로(26) 내에 삽입되는 동안 삽입공구(22)를 붙잡고 여기세 푸싱힘(pushing force)을 가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구(22)와 유치 카테르트(20) 사이의 분리가능한 연결구(connection, 52)는 슬리브(sleeve, 84)를 포함한다. 슬리브(84)는 예 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서 삽입공구(22)의 말단부(distal end)에 강성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슬리브(84)의 말단 부위(distal portion)는 삽입공구(22)의 말단부를 넘어서 카테르트의 내부 통로(56) 속으로 돌출한다. 슬리브(84)의 말단부위는 내부 통로(56) 내에서 마찰적으로 맞추어지는 외부 직경(diameter)을 가지며, 내부 통로(56) 속으로 슬리브(84)의 삽입에 의해서 발생되는 마찰은, 벌룬(40)의 팽창 이전에 삽입 및 설치 과정 동안 요로(26) 내의 카테르트-공구 조립체(24)의 조작 과정동안에, 삽입공구(22)에 유치 카테르트(20)를 유지시키는데 충분하다. 그러나, 슬리브(84)의 말단부(distal end)와 그리고 내부 통로(56)의 인접단부에서 주 몸체(58) 사이의 마찰저항의 정도는, 벌룬(40)이 팽창되어지고 방광경부(bladder neck, 46)에 대해서 밀봉되어질 때, 유치 카테르트(20)가 삽입공구(22)로부터 분리되어지는 방지할 만큼 크지는 않다. 슬리브(84)의 말단부위와 그리고 내부 통로(56)의 인접단부에서 주 몸체(58)의 인접 단부 사이의 마찰저항의 정도는, 슬리브(84)의 말단부의 외부 상에서 톱니모양부(serration)를 형성함에 의해서 증가되어질 수 있다. 삽깁공구(22)에 유치 카테르트(20)를 고정하는데 추가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탄성 재료의 주 몸체(main body, 58)는 톱니모양부(serration) 둘레에서 약간 변형되어지나, 변형의 정도는 분리가능한 연결구(52)에서 삽입공구(22)의 유치 카테르트(20)의 분리를 방지할 정도로 크지는 않다. 슬리브(84)를 통한 통로(56)로부터 유체 흐름 경로를 제공하도록, 슬리브(84)는 이를 통해서 형성되는 중앙 오프닝(center opening, 86)을 가진다.
카테르트-공구 조립체(catheter-tool assembly, 24)는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방법으로 삽입되어지고 사용되어진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장 도뇨 카테르트가 삽입되어지는 방법과 유사하게, 카테르트(20)와 삽입공구(22)는 도뇨관(urinary canal, 36)을 통해서 요로(urinary tract, 26) 속으로 삽입되어진다. 삽입력(insertion force)은 인접단부(proximal end) 상에 부착된 핸들(handle, 82)과 삽입공구(22) 상에서 밀어줌(pushing)에 의해서 제공되어진다. 유치 카테르트(20)의 상당한 말단부위와 둥근 단부부재(62)가 방광(32) 내에 위치되어질 때까지, 카테르트-공구 조립체(24)의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은 계속되어진다. 삽입(insertion)은 유연성 슬리브(66)가 방광(32) 내에 위치되어지게 되는 것을 충분히 보장한다. 충분한 삽입을 보장하도록, 단부(38)가 방광(32)의 반대편 벽과 접촉할 때 종결되어질 때까지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은 계속되고, 따라서 벌룬(40)이 방광(32) 내에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삽입하는 동안, 삽입공구(22) 둘레에서 둘러싸는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 54)은 팽창튜브(44)의 전방 또는 말단부위가 유치 카테르트(20)와 정렬되어지고 진행되도록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카테르트-공구 조립체(24)가 충분히 삽입되어지면, 벌룬(balloon, 40)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되어진다. 팽창은 밸브 조립체(40)에 주사기(syringe, 48)를 연결하고, 팽창튜브(44)의 팽창통로(42)를 통해서 팽창 도관(76)으로, 그리고 오프닝(72)을 통해서 내부 체적(74)으로 유체에 힘을 가하도록 주사기(48)의 ( 도시되지 않은) 플런저(plunger)를 눌러서, 유연한 슬리브(66)가 벌룬(40) 속으로 팽창하도록 함에 의해서 달성되어진다. 벌룬(40)이 팽창된 위치 내에 있게 된 이후에, 팽창된 튜브(40)가 방광경부(46)에 대해서 밀봉하게 될 때가지 카테르트-공구 조립체(24)가 인접방향(proximal direction) 내로 움직이도록 당겨진다.
방광경부(46)에 대해서 벌룬(40)이 위치되어지면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구(22)의 연속된 인접 움직임(proximal movement)은 분리가능한 연결구(52)가 삽입공구(22)로부터 유치 카테르트(20)를 분리하도록 한다. 벌룬(40)은 유치 카테르트(20)가 삽입공구(22)를 가진 요로(26)로부터 벗어나게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는 팽창된 벌룬(40)이 방광경부(46)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외요도 조임근(34)으로부터 인접하게 위치되어진, 팽창튜브(44)의 코일된 섹션(54)은 유치 카테르트(20)가 방광(32) 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공구(22)의 연속된 후퇴(withdrawal)는 코일된 섹션(54)에 의해서 억제되어지지 않는데, 이는 삽입공구(22)의 몸체(body)는 코일된 섹션(54)의 내부를 통해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팽창튜브(44)의 길이는 요로(26)의 외부에 밸브 조립체(50)를 위치시키는데 충분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구(22)가 제거되어진 이후에, 벌룬(40)은 방광(32) 내에서 팽창되게 남아있고,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58)의 인접단부(proximal end)는 전립선 요도(28)를 통해서 연장되지만, 외요도 조임근(34)을 통해서 연장되지는 않는다. 코일된 섹션(54)은 외요도 조임근(34)의 인접측면 또는 반대편 측면 상에 위치되어진다. 이러한 최종 위치에 있어서, 벌룬(40)은 유치 카테르트(20)가 전립선 요도(28)로부터 벗어나게 그리고 도뇨관(36) 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나, 코일된 섹션(54)은 유치 카테르트가 전립선 요도(28)로부터 벗어나고 방광(32) 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팽창튜브(44)는 팽창튜브(44) 둘레를 수축하고 소변의 흐름을 자연적으로 멈추는 요도 조임근(34)의 성능을 간섭하지는 않는다. 이와 유사하게, 팽창튜브(44)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요도 조임근(34)이 팽창하는 자연적인 성능을 방해하지 않고, 따라서 유치 카테르트(20)의 내부 통로(56)를 통해서 도뇨관(36) 속으로 소변이 자연적으로 흐르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팽창튜브(44)는 외요도 조임근(34)의 자연적인 조절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요도 조임근(34)이 팽창되어질 때, 방광(32)으로부터 개구부(64)를 통해서 주 몸체(58) 내의 내부 통로(56) 속으로의 소변이 흐른다. 전립선 요도(28)가 외과적 처리에 의해서 제거되어진다면, 내부 통로(56)를 통한 소변의 흐름은 전립선 요도(28) 또는 전립샘 조직을 대체로 우회(bypass)한다. (도 9의) 팽창된 요도 조임근(34)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유치 카테르트(20)의 내부 통로(56)로부터 도뇨관(36)을 통해서 소변이 흐르도록 한다. 팽창튜브(44) 둘레의 요도 조임근(34)의 수축은 소변의 흐름을 멈춘다.
소변이 흐르도록 요도 조임근(34)이 팽창하는 동안, 벌룬(balloon, 40)은 유 치 카테르트(20)가 방광(32)으로부터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팽창된 요도 조임근(34) 속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뇨관(36)의 요도(urethra)에 대한 코일된 섹션(54)의 접촉은 방광(32) 속으로 그리고 방광으로부터의 유치 카테르트(20)의 움직임에 저항한다. 또한, 만일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하다면 요도 조임근(34)이 팽창되어질 때 배뇨과정 동안, 유치 카테르트(20)의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에 저항하도록, 팽창튜브(44)는 밸브 조립체(50)에서 유지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요도 조임근(34)이 팽창되어질 때조차도 유치 카테르트(20)는 제 위치에 남아있다.
외과적 또는 열적 치료 절차 이후에 전립샘(30)의 자연적인 치유(natural healing)의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유치 카테르트(20)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또는 요치 카테르트(20)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벌룬(40)이 수축(deflat)시킨 이후에 제거(removal)가 달성되어진다. 수축(deflation)은 밸브 조립체(50) 속으로 주사기(syringe, 48)를 삽입하고, 팽창통로(42)로부터 유체를 후퇴시키도록 주사기(48)의 (도시되지 않은) 플런저(plunger)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킴에 의해서 달성되어진다. 밸브 조립체(50) 내의 주사기(48)의 삽입은 밸브 조립체(50) 내부의 체크 밸브를 개방시키고, 유체가 후퇴(withdraw)되어지도록 한다. 만일 상기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밸브 조립체(50)의 사용을 회피하도록, 팽창튜브(44)가 노트(knot)로 묶여지거나 또는 장애물(obstruction)이 형성되어진다면, 팽창튜브(44)는 유체가 배출되도록 노트(knot) 또는 장애물의 말단 위치에서 절단되어질 수도 있다. 배출된 유체는 벌룬(balloon, 40)이 수축되어지도록 하고, 유연한 슬리브(66)는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58)에 인접한 (도 1 및 도 6에서 도시된) 붕괴위치(collapsed position)로 이동된다.
벌룬(40)이 수축되어지면, 밸브 조립체(40) 또는 팽창튜브(44)의 인접단부(proximal end) 상에서 잡고 당김에 의해서 팽창튜브(44)는 바깥쪽으로 당겨진다. 힘(force)은 팽창튜브(44)를 통해서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58)로 전달되어진다. 당김힘(pulling force)은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 54)의 코일을 수축하고 길게하며, 따라서 당김힘으로써 개별적인 코일을 길이방향으로 분리하는 결과로서 가로지르는 크기가 감소된다. 감소된 가로지르는 크기(dimension)는 도뇨관(36)과의 접촉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뇨관을 통해서 이동할 때 코일된 섹션은 카테르트의 제거는 억제하지 않거나 또는 상당한 불편을 유도하지 않는다. 전달된 힘의 크기는 요도 조임근(34)을 지나고 도뇨관(36) 속으로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58)를 이동시키는데 충분한다. 수축된 벌룬(40)은 방광경부(46)를 통해서 유치 카테르트(20)의 말단부의 움직임에 저항하지 않는다. 유치 카테르트(20)가 도뇨관(36)의 인접단부로부터 완전히 후퇴되어질 때까지, 팽창튜브(44) 상에서 연속된 당김 움직임(pulling movement)은 도뇨관(36)을 통해서 유치 카테르트(20)를 움직인다.
수많은 TURP 및 열 처리 조치 이후에, 감염된 조직(tissue)으로부터의 혈액 (blood)은 방광 내에 축적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자연적인 배뇨과정 동안, 혈액(blood)은 방광으로부터 흘러 나온다. 상기에서 기술된 사용 위치 내에 위치된 유치 카테르트(20)로써, 혈액은 유치 카테르트(20)의 내부 통로 내부에 덩어리로 될 수 있거나, 내부 통로(56) 또는 오프닝(64)이 차단되어지거나 가로막혀지는 정도까지 응혈(blood clot)가 축적되어질 수도 있다. 방광으로부터의 자연 압력은 차단(blockage)을 극복하기에 불충분할 수도 있고, 따라서 카테르트(20)를 통한 방광(32)으로부터의 소변의 흐름은 방지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차단된 카테르트를 제거하고 새로운 카테르트를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가능하다면 차단된 카테르트를 교체하는 것은 회피되어지는데, 제거와 삽입은 외과적 처리에 의해서 영향을 받은 전립샘(prostate gland) 내에 이미 약한 조직(already-tender tissue)을 더욱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응혈(blood clot)이 내부 통로(56) 내에 축적되어지는 상황 하에서 카테르트의 교체를 피하는 하나의 접근방법은, 주기적인 근거(periodic basis) 상에서 식염제(saline) 또는 다른 적절한 액체로서 내부 통로(56)를 세척(flush)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도뇨관(36), 수축된 외요도 조임근(34)을 통해서 그리고 카테르트(20)의 내부 통로(56) 속으로 유체 연통(fluid communication)을 설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타입의 유체 연통을 설립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법은 유치 카테르트(20)에 연결된 삽입공구(22)를 유지시켜서, 도 10으로부터 이해되어지는 바와 같이, 세척액체(flushing fluid)가 핸들(82)로부터 삽입공구(22)의 내부 채널 (88)을 통해서 제공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세척액체(flushing fluid)는 슬리브(84)의 중앙 개구부(86)와 내부 채널(88)을 통해서 유치 카테르트(20)의 통로(56) 속으로 흐른다. 세척액체는 내부통로(56) 내에 축적된 어떠한 응혈도 방광(32)으로 다시 돌아가도록 하거나(도 6), 또는 내부통로(56) 내부의 덩어리(clot)를 분해한다. 응혈을 제거하는 것은 장애(obstruction)를 완화시키며, 기술된 방법으로 유치 카테르트를 통해서 소변이 흐르도록 한다.
감염된 조직(affected tissue)이 출혈(bleeding)을 멈출 때까지, 덩어리(clot)가 통로(56) 내에서 계속 형성하는 위험이 있다. 일반적으로 응혈(blood clot)로부터의 장애의 위험은 TURP 또는 열처리 치료 이후 첫 번째 24시간 내에 가장 크게 된다. 이러한 시간 주기동안, 내부통로(56)를 세척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통로를 세척하는 능력을 제공하도록, 삽입공구(insertion tool, 22)는 상기 시간동안 유치 카테르트(20)에 연결되어 남아있어야만 하여서, 삽입공구(22)의 내부채널(88)은 슬리브(84)의 중앙 오프닝(86)을 통해서 내부통로(56)와 유체연통으로 남아있도록 한다.
유치 카테르트가 사용위치에 위치되어진 이후에 분리가능한 연결구(52)에서 유치 카테르트(20)로부터 삽입공구(22)를 분리하도록 인접방향(proximal direction)으로 삽입공구(22)를 끌어당기는 것 대신에(도 8), 삽입공구(22)는 약 첫 번째 24시간동안 제 위치에 남아있을 수도 있다.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 (58)의 인접단부(proximal end)와 삽입공구(22)에 연결된 슬리브(84)의 말단부위(distal portion) 사이의 자연적인 마찰(natural friction)은 삽입공구(22)가 특별한 상황에서 유치 카테르트에 연결되어지게 유지하는데 충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상황에서, 환자는 처리 바로 이후에 의료진의 감독(supervision)으로부터 해제되어질 수도 있고, 치료 이후 첫 번째 24시간 동안 보행(ambulatory)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하에서 환자의 움직임은, 응혈의 위험이 진정되기 이전에 유치 카테르트로부터 삽입공구가 너무 조속하게 분리시키는 데 충분한 힘을 삽입공구(22) 상에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의료진이 삽입공구(22)로부터 유치 카테르트(20)를 분리시키는데 적절하다고 결정할 때까지, 삽입공구(22)가 분리가능한 삽입구(52)에서 유치 카테르트(20)에 연결되게 남아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나사모양 코드(cord, 90)의 형태로 되는 것이 선호되는 브릿지 구조체(bridging structure)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치 카테르트(20)와 삽입공구(22)의 분리가능한 연결구(52)를 임시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사용되어진다. 코드(cord, 90)는 유치 카테르트(20)의 주 몸체(main body, 58)의 측벽(60) 내의 작은 구멍(92)을 통해서 내부 통로(56)로부터 연장구성된다. 구멍(hole, 92)으로부터, 코드(cord, 90)는 유치 카테르트의 주 몸체(58)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그리고 삽입공구(22)의 관형 주 몸체(98)의 외부 표면을 따라서 분리가능한 연결구(52)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연결한다. 또한 코드(cord)는 삽입공구(22)의 관형 주 몸체(98)의 측벽(96) 내의 다른 작은 구멍(94) 을 통해서 연장구성되고, 내부 채널(88) 속으로 연장된다. 코드(cord)의 두개의 대향된 자유단부 부위들은 내부 채널(88)을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고, 핸들(82) 속이 빈 중공 내부(hollow interior) 내에서 종결된다. 코드(cord, 90)의 종결 단부부위들은 핸들(82)의 주 몸체(106)의 측벽(104) 내에 형성된 작은 구멍들(100,102)을 통해서 각각 루프(loop)된다. 코드(cord, 90)의 각각의 단부들을 핸들(82)에 대해서 제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노트(knot, 108)들은 핸들(82)의 속이 빈 중공 내부 내에 코드(90)의 종결 단부부위들 내에서 형성되어진다.
노트(knot)가 코드(cord, 90)의 종결단부(terminal end) 내에서 묶여질 때, 코드(cord, 90)의 어떠한 느슨한 길이방향 길이도 제거되어진다. 코드(cord, 90) 내의 어떠한 길이방향 느슨함(slack)을 제거하는 것은, 유치 카테르트(20)의 인접단부(proximal end)와 삽입공구(22)의 말단부(distal end)를 함께 당긴다. 따라서, 코드(cord, 90)는 유치 카테르트(20)가 분리가능한 연결구(52)에서 삽입공구(22)로부터 분리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코드(cord, 90)가 삽입공구(22) 및 유치 카테르트(20)를 연결하는 동안, 내부 채널(88), 슬리브(84)의 중앙 개구부(86) 그리고 내부 통로(56)를 통한 연통채널(communication channel)은 유지되어진다.
유치 카테르트(20)가 삽입공구(22)에 연결되어 유지되는 동안, 세척액체(flushing fluid)는 내부 채널(88)을 통해서 핸들(82)로부터 강제되어질 수 있고, 중앙 오프닝(86)을 통해서 내부 통로(56) 속으로 강제되어질 수 있다. 세척액체 (flushing fluid)는 내부 통로(56) 내부의 어떠한 덩어리(clot)도 용해시키며(dissolve), 통로(56)가 방광으로부터의 소변흐름이 방해받지 않도록 유지한다. 용해된 덩어리(dissolved clot)는 내부 채널(88)을 통해서 내부 통로(56)로부터 흐르거나, 덩어리(clot)는 세척액체로써 방광 속으로 다시 밀어질 수도 있다. 물론, 개방된 연통통로(communication path)가 삽입공구(22)와 유치 카테르트(20)를 통해서 존재하는 동안, 방광으로부터의 소변은 상기 개방된 경로를 통해서 흐를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소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하여, 소변의 방출을 조절하도록, 핸들(handle, 82)에서 내부 채널(88) 내에 밸브를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임근(sphincter muscle, 34)을 통한 삽입공구(22)의 확장(extension)은 조임근이 소변흐름을 자연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응혈(blood clot)의 위험이 감소되어지고, 유치 카테르트(20)의 내부 통로(56)를 세척하는 것이 처리 이후에 선호적으로는 적어도 24시간 더 이상 필요하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결정되어질 때, 노트(knot, 108)의 하나 또는 양자는 풀리거나 절단되어진다. 코드(cord, 90)의 한쪽 단부는 인접방향(proximal direction)으로 당겨지고, 코드(cord)의 다른쪽 자유단부는 내부채널(88) 속으로 움직이고, 구멍(hole, 952,94)을 통해서 그리고 다음으로 내부채널(88)로부터 움직이며, 따라서 분리가능한 연결구(50)에서 유치 카테르트(20)를 삽입공구(22)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cord, 90)가 더 이상의 유치 카테르트와 삽입공구를 함께 유지시키지 않을 때, 앞서 기술되어지고 도 8에서 도시된 방법으로 유치 카테르트(20)로부터 분리하도록 삽입공구(22)는 인접방향(proximal direction)으로 당겨진다. 유치 카테르트(20)는 도 9에서 도시된 사용위치(use position) 내에 남아있다.
삽입공구(22)가 유치 카테르트(20)로부터 제거되어지기 전과 후에, 응혈(clotting)에 대한 저항(resistance)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리렌(parylene) 또는 친수성 재료(hydrophilic material)와 같은 낮은 마찰 재료의 층(layer) 또는 코팅(coating, 109)으로서 삽입공구(22)의 부위 및 유치 카테르트(20)를 코팅함에 의해서 강화되어진다. 통로(passageway, 56), 단부부재(end piece, 62) 그리고 단부부재(62) 내의 오프닝(opening, 64)을 포함해서, 내부 및 외부 상에서 측벽(60)을 커버하도록, 낮은 마찰 재료의 코팅(109)은 주 몸체(58)에 제공되어진다. 다른 상황에서, 낮은 마찰 재료의 외부층(outer layer, 109)은, 통로(56) 및 오프닝(64)을 포함하여, 일체적으로 만들어진 측벽(60)의 일부로 될 수도 있다. 낮은 마찰 재료는 오프닝(64) 내부와 그리고 통로(56) 내의 응혈(blood clot)의 부착을 감소시키고, 상기 응혈을 오프닝(64)과 통로(56) 내에 유지시키는 마찰력(frictional force)을 감소시킨다. 감소된 부착 또는 마찰 유지력은, 방광으로부터의 자연적인 유체압력 또는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삽입공구를 통한 유체로써 유치 카테르트를 세척할 때, 또는 아래에서 기술된 제거장치(clearing device)의 작용과 결합할 때, 덩어리(clot)를 제거하는데 용이하게 한다. 통로(56)으 내부 표면 상의 낮은 마찰 재료는, 소변의 흐름과 덩어리(clot) 또는 통로(56) 를 통한 다른 잠재적인 장애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킨다. 주 몸체(58)의 외부 표면 상의 그리고 삽입공구(22)의 외부표면 상의 낮은 마찰 재료는 도뇨관(36) 내의 유치 카테르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카테르트(20) 내부의 내부 통로(56)의 응혈 장애에 대한 증가된 저항을 얻기위한 다른 기술은, 단부부재(62)를 통한 유입 개구부(64)들의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덩어리의 축적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유입 오프닝(64)을 방향화시키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하는 것이다. 선호적으로는, 유입 오프닝의 단면크기 또는 모든 유입 오프닝의 누적된 단면크기들은, 내부통로(56)의 단면크기보다 상당히 크며, 선호적으로는 2배 내지 4배이상이 된다. 증가된 크기와 직접 방향성(direct orientation)의 유입 오프닝(64)을 채택한 유치 카테르트(20a-20d)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시되어진다. 낮은 마찰재료의 층(layer) 또는 코팅(109)(도 3)은 도 11 내지 도 14에서 도시된 카테르트(20a-20d)와 결합하여 사용되어질 수도 있다.
도 11에서 도시된 카테르트(20a)는 단부부재(62a) 내에 형성된 단일의 확대된 소변배출 유입 오프닝(64a)을 가진다. 단부부재(62a)는 (도 2 및 도 3의)단부부재(62)의 둥근 말단부(38)의 길이방향 반구 구조체(half structure) 또는 부위를 보유하지만, 실질적으로 확대된 유입 오프닝(64a)을 생성하도록, 실질적으로 길이방향 거리가 둥근 단부(38)의 최말단 부분으로부터 인접하게 연장되도록 다른 길이방향 반구 부위는 제거되어진다. 단부부재(62a) 및 유입 오프닝(64a)의 형상은, 유 치 카테르트(20a)의 말단부가 휘슬(whistle)의 형상 또는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를 위하여, 카테르트(20a)는 휘슬단부(whistle tip, 110)를 가지는 것으로 언급되어진다. 방광(32)으로부터 (도 3의)내부 통로(56) 속으로 실질적으로 확대된 유입 오프닝(64a)은, 응혈(blood clot)이 유입 오프닝(64a)( 내에서 축적되기 어렵게 하고, 통로(56) 속으로 그리로 이를 통한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휘슬단부(whistle tip, 110)의 둥근 말단부위는 도뇨관(36) 속으로 카테르트(20a)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12에서 도시된 유치 카테르트(20b)는 단부부재(62b) 둘레에서 길이방향 및 둘레방향 위치에서 이격된 다수의 소변배출 유입 오프닝(64b)을 가진다. 각각의 유입 오프닝(64b)은 단부부재(62b)의 외부로부터 내부 통로(56) 속으로 연통한다. 각각의 유입 오프닝(64b)들은 (도 2 및 도 3)단부부재(62)의 둥근 말단부(38) 내의 유입 오프닝(64) 쌍들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되거나 또는 약간 더 작게 되나, 다수의 유입 오프닝(64b)은 소변이 방광으로부터 카테르트(20b)의 통로(56) 속으로 흐르도록 누적적으로 더 큰 통로를 제공한다. 단일의 유입 오프닝(64) 또는 한쌍의 유입 오프닝(64) 보다는 다수의 유입 오프닝(64b)을 가지는 것은, 소변이 방광(32)으로부터 내부통로(56)(도 3) 속으로 흐르는 것을 응혈(blood clot)이 방지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단일의 덩어리(clot)가 카테르트(20b)로 들어가고 통로(56)(도 3)를 차단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입 오프닝(64b)이 응혈로써 방해되어지는 경우에, 소변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방해받지 않은 오 프닝(64b)을 통해서 흐르게 된다. 카테르트(20b) 내의 다수의 소변 배출 유입 오프닝(64b)은 다수의 오프닝 단부(111)를 가지는 것으로 언급되어지도록 한다. 다주의 오프닝 단부(111)의 둥근 말단부(38)는 도뇨관(36) 속으로 카테르트(20b)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13에서 도시된 유치 카테르트(20c)는 쿠빌레 단부(couvelaire tip, 112)를 가진다. 쿠빌레 단부(couvelaire tip, 112)는 단부부재(62c)의 직경방향으로 반대편 면에 위치된 한쌍의 상대적으로 큰 길거나 또는 타원형상의 유입 오프닝(64c)을 가진다. 확대된 유입 오프닝(64c)은 카테르트 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유입 오프닝(62)(도 2 및 도 3)보다 상당히 크다. 선호적으로는, 각각의 유입 오프닝(64c)의 단면 크기는 내부 통로(56)의 단면 크기보다 상당히 크다. 또한, 각각의 유입 오프닝(64c)의 가로지르는 방향은 주 몸체(58) 둘레의 원주거리의 1/4 보다 더 큰 것이 선호되면, 각각의 유입 오프닝(64c)의 길이방향 크기는 가로지르는 크기보다 더 크다. 확대된 크기는 응혈이 유입 오프닝(64c) 내에서 축적되는 것을 어렵게 하고, 내부통로(56)(도 3)를 통해서 그리고 그 속으로 소변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쿠빌레 단부(couvelaire tip, 112)의 둥근 말단부(38)는 도뇨관(36) 속으로 카테르트(20c)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도 14에서 도시된 유치 카테르트(20d)는 베벨된 단부(beveled tip, 114)를 가진다. 단부부재(end piece, 62d)는 단부부재(62d)의 말단부(distal end, 38)로부 터 카테르트의 축에 대해서 길이방향 보다는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예각(acute angle)에서 연장구성되는, 다소 편평한 베벨된 표면(116)을 포함한다. 단일의 소변배출 유입 오프닝(64d)은 베벨된 표면(116)으로부터 형성되어진다. 카테르트의 축에 대해서 베벨된 표면(116)의 가로지르는 각도 때문에, 유입 오프닝(64d)을 통한 흐름 통로는 (도 3의) 내부 통로(56)와 더욱 직접적으로 정렬되어지고 그 속으로 들어간다. 단일의 유입 오프닝(64d)은 통로(56)의 단면 크기보다 더 큰 크기로 될 수 있다. 유입 오프닝(64d)을 통해서 더욱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흐름 통로는 (도 2 및 도 3의) 단부부재(64) 내의 오프닝(62)과 관련하여 직각으로 회전하는 것을 피한다. 유입 오프닝(64d)을 통하여 더욱 직접적으로 들어가는 흐름 통로는, 응혈(blood clot)이 축적되고 통로(56)를 방해하는 방해 또는 제한을 덜 제공한다. 단부부재(62d)는 도뇨관(36) 속으로 카테르트(20d)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둥근 말단부(38)를 유지한다. 베벨된 표면(116)은 도뇨관 속으로 카테르트(0d)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응혈(blood clot)로부터의 장애 및 다른 요로 문제는, 도 15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유치 카테르트(20e) 내부에 제거장치(clearing device, 120)를 포함시킴에 의해서 회피되어질 수 있다. 제거장치(120)는 카테르트(20e)의 내부 통로(56) 내부에 위치되어지고, 내부 통로(56)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애물 제거 접촉요소(예를 들어, 브러쉬 구조체(122))를 포함한다.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56) 내부의 덩어리 제거 접촉요소의 움직이는 결과로서, 장애물 제거 접촉요소(obstruction clearing contact element)는 통로(56) 내부의 응혈 또는 다른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응혈 또는 장애물을 더 작은 부재로 부수거나, 오프닝(64) 내의 덩어리(clot) 또는 장애물의 축적이 열리도록 부순다. 덩어리 또는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부수는 것은, 소변이 흐르고 소변의 흐름으로써 요로로부터 장애물이 운반되도록 통로(56)를 개방한다.
제거장치(120)의 접촉요소의 일 형태는, 브러쉬 구조체(brush structure, 122)를 형성하도록 서로 유지된 다수의 강모(bristle)에 의해서 형성된 브러쉬 구조체를 이용한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사용 조건 하에서 브러쉬 구조체(122)는 유입 오프닝(64)으로부터 약간 말단부로 이격된, 단부부재(62) 내부의 통로(56)의 내부 말단부(124)에서 수용위치(stowed position) 내에 유지되어진다. 브러쉬 구조체(brush structure, 122)는, 브러쉬 구조체(122)와 통로(56)의 내부 말단부(124) 사이에서 연장구성되는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 126)으로부터 편향력(bias force)에 의해서 수용 위치 내에서 유지되어진다. 수용 위치(stowed position) 내에서, 브러쉬 구조체(122)는 내부 오프닝(64)과 내부 통로(56)를 통한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나사모양의 테더(tether, 128)는 브러쉬 구조체(122)와 스프링(126)에 부착되어지고, 테더(128)는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 126)으로부터 브러쉬 구조체(122)의 대향된 면 상에서 카테르트(20e)의 통로(56)를 통해서 연장된다. 카테르트 (20e)가 (도 1의) 삽입공구(22)에 부착되어질 때, 테더(128)는 통로(56)와 (도 10의) 삽입공구(22)내부 채널(88)을 통해서 (도 1의) 핸들(82)로부터 연장구성된다. 유치 카테르트(20e)가 방광과 전립선 요도(도 7) 내부의 최종 사용위치에 있는 도뇨관(36) 속으로 삽입되어질 때, 삽입공구(22)는 유치 카테르트(20e)로부터 분리되어지고, 삽입공구(22)는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제거되어진다. 테더(tether, 128)가 삽입공구의 내부 채널(88)을 통해서 이동하는 결과로서, 삽입공구(22)가 제거되어지고, 테더(tether, 128)는 도뇨관(36) 내부에 위치되어진다. 테더(128)의 인접단부(proximal end)는 도뇨관(36)의 외부에 남아있다.
통로(56)를 통한 소변흐름 경로가 응혈에 의해서 차단되어진다고 결정되어질 때, 브러쉬 구조체(122)는 수용된 위치(stowed position)로부터 이동되어지고(도 15),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뇨관(36)의 외부에서 테더(128)의 인접단부를 끌어당김에 의해서 내부 통로(56)를 따라서 인접하게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복귀 스프링(126)의 탄성력은 인접 길이방향 움직임을 허용한다. 브러쉬 구조체(122)가 통로(56)를 따라서 움직일 때, 응혈 또는 장애물은 브러쉬 구조체(122)에 의해서 접촉되어진다. 브러쉬 구조체의 길이방향 움직임은 유입 오프닝(64)과 통로(56)로부터의 덩어리(clot)를 제거하고 절단한다. 내부 통로(56) 내에서 브러쉬 구조체(122)의 편향된 강모(bristle)들은, 상기 유입 오프닝으로부터 덩어리 또는 장애물을 밀어내도록, 유입 오프닝(64)을 통해서 바깥쪽으로 스프링(spring)된다. 또한 브러쉬 구조체(122)의 강모들은 유입 오프닝 및 통로(56) 내부의 덩어리 또는 장애물을 더 작은 부재들로 절단하거나 부순다. 제거되고, 부서진 더 작은 덩어리 또는 장애물들은 개방된 통로(56)를 통해서 그리고 도뇨관(36) 속으로 소변과 함께 흘러가거나, 또는 브러쉬 구조체(122)의 움직임은 카테르트(20e)로부터 통로(56)를 통해서 덩어리 또는 장애물을 밀어낸다. 그 이후에, 덩어리 도는 장애물은 소변의 흐름에 의해서 도뇨관(36)의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 그리고 몸(body)으로부터 흘러간다. 테더(128)는 장애물 제거장치(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활성장치(activation device)의 일 형태를 구성한다.
브러쉬 구조체(122)가 유입 오프닝(64)과 통로(56)로부터 덩어리(clot)를 제거한 이후에, 테더(tether, 128)는 해제되어지고, 복귀 스프링(26)은 도 16에서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5에서 도시된 통로(56)의 내부 말단부(124)에서의 수용위치(stowed position)로 브러쉬 구조체(122)를 다시 끌어당긴다. 그 이후에, 소변은 정상적인 문제로 통로(56)를 통해서 다시 흐를 수도 있다. 유입 오프닝(64) 또는 통로(56)가 다시 장애를 받게 된다면, 유입 오프닝(64) 및 통로(56)를 통한 소변 흐름 경로를 다시 깨끗이 하도록, 브러쉬 구조체(122)는 테더(128) 상에서 끌어당겨짐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다시 움직여질 수 있다. 카테르트(20e)가 소변의 흐름에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러한 방법으로 요구되는 회수만큼 제거장치(120)는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제거장치(clearing device, 120)의 대안적인 형태는 소변 흐름 통로를 깨끗 이 하도록 한번의 사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 126)은 생략되어진다. 브러쉬 구조체(122)는 내부 말단부(124)에서 통로(56)의 내부표면과 강모들 사이의 마찰력(frictional force)에 의해서 (도 15)의 수용위치 내에 유지되어진다. 만일 통로(56)를 토한 소변흐름이 장애를 겪게 된다면, 테더(tether, 128)는 끌어당겨지고, 브러쉬 구조체(122)는 (도 16의) 통로(56)를 통해서 길이방향으로 수용된 위치(stowed position)로부터 움직여지며, 따라서 덩어리 또는 장애물의 통로를 깨끗이 한다. 테더(128)를 계속 끌어당기는 것은 내부 통로(56)로부터 그리고 도뇨관(36) 속으로 브러쉬 구조체(122)를 제거한다. 이때 제거장치(clearing device, 120)는 도뇨관(36)으로부터 완전히 끌어당겨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브러쉬 구조체(122)가 유치 카테르트(20e) 내부로부터 제거되어질 때와 동시에 장애물(obstruction)은 제거되어진다. 제거장치(120)는 이러한 방식에서 단 한번만 사용되어질 수 있으나, 단일의 사용만으로도 TUMT, 열치료 및 응혈 및 다른 장애물이 현저한 문제점으로 예상되지 않는 다른 환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만일 의사가 치유과정 동안 주기적으로 유치 카테르트(20e)를 교체하는 것을 알고 있거나 또는 선호한다면, 단일 사용 제거 유치 카테르트(20e)의 사용이 처방되어질 수도 있다.
삽입공구(22)가 카테르트(20)의 세척(flushing)을 위하여 유치 카테르트(20e)에 연결되어지게 남아있는 동안 제거장치(clearing device, 120)는 사용되어 질 수 있다. 테더(tether, 128)는 삽입공구(22) 내에서 내부채널(88)을 통해서 연장구성되고, 따라서 내부채널(88)을 통해서 그리고 내부통로(56) 속으로 세척액체(flushing fluid)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 세척(flushing)과 결합하여 또는 세척의 대안으로 제거장치(120)의 사용에 의한 응혈(blood clot) 또는 장애물의 제거는, 세척(flushing) 그 자체가 장애물을 제거하는데 불충분한 상황에 대해 예정되어질 수 있다. 또한 세척(flushing) 이전에 덩어리 또는 장애물을 느슨하거 하거나 부숨에 의해서, 제거장치(120)의 사용은 세척(flushing)의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세척(flushing)의 양 및 정도는 감소되어질 수 있고, 이는 이미 채워진 방광 속으로 추가적인 세척액체를 보내는 것과 관련된 불편을 최소화하는데 중요할 수 있다.
내부채널(88)과 내부통로(56) 속으로 세척액체를 보내는 것은, 브러쉬 구조체(122)를 수용위치로 다시 움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 126)은 제거장치(126)의 다수의 사용을 얻을 필요는 없다. 세척액체를 내부채널(88)과 내부통로(56)로 보내는 것은, 브러쉬 구조체(122)가 수용위치(stowed position)로 다시 이동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고, 따라서 복귀 스프링(126)을 보조한다.
도 15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3, 12, 13의) 최말단부(38)의 약간 인접하게 이격된 유입 오프닝(64)을 가지는 카테르트에 있어서, 제거장치 (120)의 수용위치는 내부 통로(56) 내부의 최말단 오프닝(64)의 약간 말단부이다. (예를 들어, 도 11과 도 14의) 최말단부(38)를 통해서 그리고 그속으로 연장구성되는 유입 오프닝을 가지는 카테르트에 있어서, 제거장치(clearing device, 120)는 브러쉬 구조체로부터 다른 형태를 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소변흐름의 일부는 브러쉬 구조체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지나갈 수도 있다. 제거장치(120)의 다른 형태는, 유입 오프닝 내부의 장애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내부 오프닝(64)을 가로질러 그리고 내부 통로(56)를 따라서 아직 이동하지 않지만, 내부 통로(56)를 통해서 정상 소변흐름의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움직이도록 한다. 이러한 것은, 내부 통로(56)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제거장치를 독자적으로 움직이기 보다는, 내부 통로(56) 내에서 제거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고 회전시킴에 의해서 달성되어질 수도 있다. 만일 유입 오프닝(64)이 충분히 크다면, 노출된 브러쉬 구조체(122)는 정상적인 소변 흐름을 실질적으로 방해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유입 오프닝(64)의 부위에서 브러쉬 구조체(122)의 존재가 중요하지 않을 만큼 유입 오프닝(64)의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브러쉬 구조체가 내부 통로(56) 속으로 이동할 때, 내부 통로 내에 존재하는 다른 장애물을 계속 부수고, 절단하고 제거하면서, 브러쉬 구조체(120) 상에서 형성되어질 수 있는 어떠한 덩어리(clot)는 부서진다.
비록 확대된 도뇨 유입 오프닝 형상(64a 내지 64d) 및 제거장치(120)는 부분길이 유치 카테르트와 관련하여 도시되어지나, 이들은 전장 카테르트에서의 사용에 도 적용될 수 있다. 삽입공구(22)가 부분길이 카테르트에 연결되어 남아있는 동안 발생하는 동일한 방법으로, 전장 카테르트와의 사용은 발생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에서, 부분길이 카테르트는 소변흐름을 시작하고 멈추도록 외요도 조임근(34)의 자발적인 자연적 사용을 허용한다. 전립샘(30) 내부의 유치 카테르트의 위치는, 대부분의 소변흐름이 외과적 절차에 의해 영향을 받은 전립샘(40)의 조직과의 접촉으로부터 우회(bypass)시키고, 따라서 고통 또는 자극을 방지하거나 완화시킨다. 유치 카테르트이 내부 통로 내에서 축적되어질 수 있고, 덩어리(clot)로 인하여 장애를 야기할 수 있는 어떠한 혈액(blood)도, 삽입공구(22)의 제거 이전에 유치 카테르트의 내부로부터 세척되어지고 제거되어진다. 유치 카테르트(20)로부터의 삽입공구(22)의 분리는, 응혈(blood clot)로부터의 장애의 위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통과되어질 때까지, 연기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유치 카테르트는 병에 걸리거나 BPH 또는 다른 질병으로부터 부어오른 전립샘(30)을 통해서 흐르는 소변을 위한 통로를 보장한다. 팽창된 벌룬(40)과 코일된 섹션(54)의 앵커링 효과로 인하여, 카테르트는 사용을 위하여 제 위치에 신뢰적으로 남아있고, 따라서 부주의하게 이동된 카테르트를 재위치시키고 제거하도록 추가적인 외과적 절차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응혈(blood clot)와 같이 카테르트를 통해서 그리고 그 속으로의 소변의 흐름을 차단하는 장애물은, 카테르트의 말단부에서 유입 오프닝(64)의 다양한 형상과 낮은 마찰 코팅에 의해서 감소되어지거나 도는 제거되어진다. 만일 내부 통로(56)가 장애를 받게 된다면, 응혈 또는 다른 장애뭉물 제거장치(120)가, 카테르트(20)를 교체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면서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통로(56)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부분길이 유치 카테르트는 외요도 조임근에 의한 정상적인 방법으로 소변흐름에 걸쳐서 자연적인 조절을 보존한다.
본 발명의 현제 선호적인 실시예와 많은 개선점들은 특별한 정도로 상기에서 기술되어졌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선호적인 실례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제한되어진다.

Claims (26)

  1. 요로(urinary tract)의 도뇨관(urinary canal) 속으로 소변의 흐름을 조절하는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내의 구멍(orifice)에 인접한 위치로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도록 요로 내에 삽입하기 위한 카테르트(catheter)에 있어서, 상기 카테르트는
    말단부(distal end)와 인접단부(proximal end)와 그리고 방광 내에 말단부를 위치시키고, 인접단부를 외요도 조임근 내의 구멍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데 충분한 길이(length)를 가지는 주 몸체(main body)와, 상기 주 몸체는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로 연장되는 소변 배출 내부통로를 형성하고, 내부통로는 단면 크기(cross-sectional size)를 가지는, 주 몸체(main body)와,
    주 몸체의 말단부에 부착되어지고,
    주 몸체의 말단부가 방광 내부에 위치되어지고 주 몸체의 인접단부가 외요도 조임근의 구멍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지는 사용위치(use position)로부터 요로 내에서 인접 움직임(proximal movement)에 대해서 주 몸체를 억제하도록 방광 내부에서 팽창가능한, 말단앵커(distal anchor)와,
    사용위치로부터 요로 내의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에 대해서 주 몸체를 억제하도록 주 몸체의 인접단부에 부착된 인접앵커(proximal anchor)와, 그리고
    주 몸체의 말단부를 통해서 내부통로로 연장되는 하나이상의 소변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과, 상기 각각의 유입 오프닝은 단면크기를 가지고, 방광으로부 터 내부통로를 통해서 도뇨관 속으로 소변과 응혈(blood clot)을 통과시키는데 용이하도록 말단부에서 모든 유입 오프닝의 누적된 단면크기는 내부통로의 단면크기보다 더 크게 된, 하나이상의 소변 유입 오프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말단 앵커(distal anchor)는 주 몸체(main body)의 말단부(distal end)에 부착된 벌룬(balloon)을 포함하며, 주 몸체의 말단부를 방광 내에 유지하고 사용위치로부터 인접 움직임(proximal movement)에 대해서 주 몸체를 억제하도록 방광 내에서 팽창되어질 때 벌룬은 크기가 확장가능하며,
    말단부(distal end)와, 인접단부(proximal end)와 그리고 말단부와 인접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length)를 가지는 팽창튜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팽창튜브의 말단부는 주 몸체에 연결되어지고, 팽창튜브의 길이는 도뇨관(urinary canal)과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의 구멍(orifice)을 통해서 주 몸체로부터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까지 연장되는데 충분하며, 팽창튜브와 주 몸체는 벌룬을 팽창시키는 유체를 전달하는 벌룬으로 팽창튜브의 인접단부로부터 연장구성되는 팽창통로(inflation passage)를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인접 앵커(proximal anchor)는 주 몸체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조임근(sphincter muscle)에 인접한 위치에 위치된 팽창튜브의 코일된 섹션 (coiled section)으 포함하며, 사용위치(use position)로부터 말단움직임(distal movement)에 대해서 주 몸체를 억제하도록 수축되어질 때 코일된 섹션은 외요도 조임근과 상호작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코일된 섹션은 팽창튜브에 의해서 각각 형성된 다수의 개별적으로 인접한 탄성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카테르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코일된 섹션은 중앙 오프닝(center opening)과 바깥쪽 가로지르는 크기(outer transverse dimension)를 가지며, 주 몸체는 바깥쪽 가로지르는 크기(transverse dimension)를 가지고, 코일된 섹션의 바깥쪽 가로지르는 크기는 주 몸체의 바깥쪽 가로지르는 크기와 최소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카테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요로(urinary tract) 내의 유치 카테르트를 사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주 몸체에 연결하기 위한 삽입공구(insertion tool)와 결합하며, 삽입공구는 제 1 및 제 2 대향된 단부들과 그리고 제 2 단부가 도뇨관의 외부에 있는 동안 제 1 단부를 조임근의 요로 말단부 내에 위치시키는데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삽입공구(insertion tool)가 유치 카테르트에 연결되어질 때, 삽입공구는 코일된 섹션의 중앙 오프닝을 통해서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카테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주 몸체와 삽입공구 사이에 분리가능한 연결구(separable connection)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카테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유치 카테르트가 사용위치 내에 위치될 때 유닛(unit)으로서 유치 카테르트와 삽입공구를 움직이기 위하여, 분리가능한 연결구(separable connection)는 주 몸체를 삽입공구에 연결시키며,
    팽창된 벌룬(balloon)이 사용위치로부터 인접 움직임(proximal movement)에 대해서 주 몸체를 구속할 때, 분리가능한 연결구(separable connection)는 삽입공구의 연속된 인접 움직임에 반응하여 삽입공구로부터 주 몸체를 분리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카테르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삽입공구의 제 1 및 제 2 맞은편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구성되는 내부 채널(interior channel)을 삽입공구는 형성하고,
    삽입공구가 분리가능한 연결구에서 유치 카테르트에 연결되어질 때, 삽입공구의 내부채널은 주 몸체의 내부통로(interior passageway)와 유체연동(fluid communicati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주 몸체의 말단부(distal end)는 둥근단부(rounded tip)를 포함하며,
    단일의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은 주 몸체의 말단부를 통해서 연장구성되고,
    단일의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은 둥근단부의 길이방향 반구부위(longitudinal half portion)의 부존재와 둥근단부에 인접한 말단부에 의해서 형성된 미리결정된 형상(configuration)을 가지며, 길이방향 반구부위는 둥근단부의 길이방향 이등분과 둥근단부에 인접한 말단부의 부위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형성되어지고,
    단일의 유입 오프닝과 둥근단부와 말단부의 나머지 길이방향 반구부위는 주 몸체의 말단부의 휘슬단부 형상(whistle-tip shape)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주 몸체의 말단부는 둥근단부(rounded tip)를 포함하며,
    다수의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은 주 몸체의 말단부를 통해서 연장구성되고,
    각각의 유입 오프닝은 둥근단부에 인접한 말단부의 부위를 따라서 인접한 유입 오프닝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2. 제 1 항에 있어서, 주 몸체의 말단부는 둥근단부(rounded tip)를 포함하며,
    두개의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은 주 몸체의 말단부를 통해서 연장구성 되고,
    두개의 유입 오프닝은 둥근단부에 인접한 주 몸체의 단부부위(distal portion) 상에서 서로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되어지고, 두개의 유입 오프닝은 각각 단면크기(cross-sectional size)를 가지며, 두개의 유입 오프닝의 각각의 단면크기는 내부통로의 단면크기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며,
    두개의 유입 오프닝은 각각 주 몸체 둘레의 원주거리의 1/4보다 더 큰 원주방향 크기를 가지며,
    두개의 유입 오프닝은 각각 말단부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긴 오프닝의 더 긴 크기로서 길게 되어지고,
    두개의 유입 오프닝은 주 몸체의 말단부의 쿠빌레 단부 형상(couvelaire tip configuration)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주 몸체의 말단부는 말단부를 통한 길이방향 축에 대해 예각(acute angle)에서 실질적으로 가로지르게 연장되는 베벨된 표면(beveled surface)을 포함하며,
    단일의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은 주 몸체의 말단부를 통해서 연장구성되고,
    단일의 유입 오프닝은 베벨된 표면을 통해서 주 몸체의 내부통로 속으로 실질적으로 직접적으로 연장구성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유입 오프닝 내에서, 그리고 내부 통로를 따라서, 주 몸체의 말단부에 걸쳐서 연장구성되는 낮은 마찰 코팅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 통로 내에 위치되어지고, 내부통로를 통한 소변의 흐름으로써 내부통로와 하나의 유입 오프닝 내부의 응혈(blood clot) 및 장애물의 움직임과 접촉하고 분해하며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의 유입 오프닝를 지나서 내부통로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접촉요소(contact element)를 포함하는, 제거장치(clearing device)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접촉요소(contact element)에 연결되어지고,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까지 도뇨관을 통해서 연장구성되는 활성장치(activation device)를 추가로 포함하며,
    접촉요소는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의 위치에서 활성장치의 조작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움직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사용위치로 도뇨관 속으로 카테르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구(insertion tool)와의 결합을 추가로 포함하며, 삽입공구는 주 몸체의 인접단부와 접촉하기 위한 말단부(distal end)와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로 연장되는 인접단부(proximal end)를 가지며, 삽입공구는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 로 연장구성되는 내부채널(interior channel)을 가지며, 삽입공구의 말단부가 주 몸체의 인접단부에 연결되어질 때 내부채널은 내부통로와 연통하고,
    삽입공구가 주 몸체에 연결되어질 때 활성장치는 삽입공구의 내부채널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8. 방광(bladder)으로부터 도뇨관(urinary canal) 속으로 그리고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도록 도뇨관 내에 삽입하기 위한 카테르트(catheter)에 있어서, 상기 카테르트는
    말단부(distal end)와 상기 말단부를 방광 내에 위치시키는데 충분한 길이(length)를 가지며, 소변 배출 내부통로를 형성하는, 주 몸체(main body)와,
    방광으로부터 내부통로 속으로 소변이 지나가도록, 말단부를 통해서 내부통로 속으로 연장구성된 소변 유입 오프닝(inlet opening)과,
    내부통로를 통한 소변의 흐름으로써, 내부통로와 유입 오프닝 내부의 장애물의 움직임과 접촉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내부통로를 따라서 그리고 유입 오프닝을 지나는 움직임을 위하여 내부 통로 내에 이동가능하게 위치된 접촉요소(contact element)를 포함하는 제거장치(clearing devic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접촉요소(contact element)에 연결되어지고, 내부통로를 통해서 연장되며, 주 몸체로부터 도뇨관을 통해서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까지 연장가능한, 활성장치(activation device)를 추가로 포함하며, 활성장치는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에서 활성장치의 조작에 의해서 접촉요소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접촉요소(contact element)는 도뇨관의 외부 오프닝의 바깥쪽 위치에서 활성장치의 조작에 의해서, 주 몸체로부터 그리고 내부통로를 통해서 제거하고 이동하기 위하여 내부통로 내부에 유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21. 제 18 항에 있어서, 접촉요소가 움직임을 시작하는 초기위치로 접촉요소를 편향시키도록 접촉요소와 주 몸체 사이에서 연결된 복귀요소(return element)를 추가로 포함하며,
    복귀요소(return element)는, 접촉요소가 내부 오프닝을 지나 내부통로를 따라서 이동되어진 이후에, 대략 초기위치로 다시 접촉요소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22. 제 18 항에 있어서, 접촉요소(contact element)가 움직임을 개시하는 내부통로 내의 초기위치를 접촉요소는 차지하고,
    접촉요소가 유입 오프닝을 지나서 그리고 내부통로를 따라서 이동되어진 이후에, 주 몸체의 내부통로를 통한 유체압력의 제공에 의해서 출발위치(starting position)로 접촉부재(contact member)는 복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르트
  23. 외요도 조임근(external urinary sphincter muscle)으로부터 외부 오프닝(exterior opening)으로 연장구성되는 도뇨관(urinary canal)을 포함하는 요로(urinary tract) 내의 외요도 조임근에 인접한 위치까지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는 유치 카테르트(indwelling catheter)에 있어서, 상기 유치 카테르트는
    말단부(distal end)와 인접단부(proximal end), 그리고 말단부를 방광 내부에 위치시키고 인접단부를 요로 내부의 조임근의 말단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데 충분한 길이(length)를 가지며, 말단부로부터 인접단부로 연장구성되는 소변 배출 내부통로를 형성하는 주 몸체(main body)와,
    주 몸체의 말단부에 부착되어지는 벌룬(balloon)과, 상기 벌룬(balloon)은 말단부를 방광 내에 유지하고 사용위치(use position)로부터 요로 내의 인접 움직임(proximal movement)에 대해 주 몸체를 억제하도록 방광 내부에서 팽창가능하며, 사용위치는 주 몸체의 말단부를 방광 내에 위치시키고, 주 몸체의 인접단부는 외요도 조임근의 말단부에 인접시키는, 벌룬(balloon)과,
    말단부와 인접단부 그리고 말단부와 인접단부 사이에서 연장구성되는 길이(length)를 가지는 팽창튜브(inflation tube)와, 말단부는 주 몸체에 연결되어지고, 주 몸체가 사용위치에 있을 때 길이(length)는 주 몸체로부터 도뇨관을 통해서 외부 오프닝에 연장되기에 충분하며, 벌룬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팽창유체 (inflation fluid)를 전달하도록 팽창튜브와 주 몸체는 팽창튜브의 인접단부로부터 벌룬으로 연장구성되는 팽창통로를 한정하는, 팽창튜브와, 그리고,
    주 몸체가 사용위치에 잇을 때 조임근의 인접부에 인접한 도뇨관 내에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을 위치시키도록 팽창튜브를 따르는 위치에서 형성된 팽창튜브의 코일된 섹션과, 사용위치로부터 요로 내의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에 대해서 주 몸체를 억제하도록 외요도 조임근에 의해서 요로의 수축과 상호작용하는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치 카테르트
  24. 조임근(sphincter muscle)으로부터 외부 오프닝(exterior opening)으로 연장구성되는 도뇨관(urinary canal)을 포함하는 요로 내에 요도 조임근의 말단 위치로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치 카테르트(indwelling catheter)가 방광으로부터 조임근(sphincter muscle)에 말단에서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구성되는 사용위치(use position) 내의 요로(urinary tract) 내에 팽창가능한 벌룬(balloon)을 가진 유치 카테르트를 위치시키고(positioning),
    요로 내에서 코일된 섹션(coiled section)을 가지는 팽창튜브(inflation tube)를 유치 카테르트로부터 조임근에 의해서 둘러싸인 도뇨관의 부위를 통해서 외부 오프닝(exterior opening) 밖으로 연장구성시키고(extending),
    팽창튜브를 통해서 그리고 벌룬 속으로 유체(fluid)를 전달시킴에 의해서 방광 내부의 벌룬(balloon)을 팽창시키며(inflating),
    팽창된 벌룬을 방광과 접촉시킴에 의해서 사용위치로부터 인접 움직임(proximal movement)에 대해 유치 카테르트를 유지시키며(retaining),
    수축(constriction)에 근접적으로 인접한 위치에서 조임근에 의해서 야기된 도뇨관의 수축과 코일된 섹션을 접촉시킴에 의해서 사용위치로부터 말단 움직임(distal movement)에 대해서 유치 카테르트를 유지시키고(retaining), 그리고
    유치 카테르트를 통해서 방광으로부터 조임근에 말단에서 인접한 요로 내의 위치까지 소변을 배출시키는(draining)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유치 카테르트를 삽입공구(insertion tool)에 부착시키며(attaching),
    유치 카테르트가 삽입공구에 연결되어지는 동안 외부 오프닝으로부터 요로 속으로 유치 카테르트를 삽입하며(inserting),
    유치 카테르트를 사용위치(use position)에 위치시키도록 삽입공구를 조작하고(manipulating),
    삽입공구가 사용위치에 위치되어진 이후에 유치 카테르트로부터 삽입공구를 분리하고(detaching),
    삽입공구가 유치 카테르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요로로부터 삽입공구를 후퇴시키는(withdrawing)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삽입공구(insertion tool)의 제 1 및 제 2 대향된 단부들 사이에 내부채널을 연장구성시키고(extending),
    삽입공구가 유치 카테르트에 부착되어질 때 유치 카테르트의 내부통로 속으로 그리고 삽입공구의 내부채널 사이에서 유체 연통경로(fluid communication path)를 확립시키고(establishing),
    삽입공구의 내부채널을 통해서 그리고 유치 카테르트의 내부통로 속으로 세척액체(flushing fluid)를 연통시키는(communicating)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67005262A 2003-09-17 2004-09-15 팽창튜브 앵커와 장애물에 대한 저항성과 그리고 세척을가진 부분길이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 KR200600736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65,742 2003-09-17
US10/665,742 US7766899B2 (en) 2003-09-17 2003-09-17 Partial-length, indwelling prostatic catheter using coiled inflation tube as an anchor and methods of draining urine and flushing clots
US10/921,356 2004-08-18
US10/921,356 US20050080399A1 (en) 2003-09-17 2004-08-18 Urinary catheter and method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obstru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625A true KR20060073625A (ko) 2006-06-28

Family

ID=3431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5262A KR20060073625A (ko) 2003-09-17 2004-09-15 팽창튜브 앵커와 장애물에 대한 저항성과 그리고 세척을가진 부분길이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680174B1 (ko)
JP (1) JP4427546B2 (ko)
KR (1) KR20060073625A (ko)
AU (1) AU2004271882B2 (ko)
CA (1) CA2536529A1 (ko)
RU (1) RU2372111C2 (ko)
WO (1) WO200502566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05A1 (ko) * 2016-09-02 2018-03-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개가 구비된 소변배출용 카테터
WO2020060208A1 (ko) * 2018-09-19 2020-03-26 (주)메가메디칼 풍선 카테터
KR20200041842A (ko) * 2020-04-02 2020-04-22 (주)메가메디칼 네비게이션과 통신하는 수술 가이드 연동 풍선 카테터
KR20200041843A (ko) * 2020-04-02 2020-04-22 (주)메가메디칼 풍선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술 가이드 연동 풍선 카테터
KR20200126047A (ko) * 2019-04-29 2020-11-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배액을 위한 벌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20220103261A (ko) * 2021-01-15 2022-07-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방광 연결 배액관 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6899B2 (en) 2003-09-17 2010-08-03 Prostalund Operations Ab Partial-length, indwelling prostatic catheter using coiled inflation tube as an anchor and methods of draining urine and flushing clots
US7662145B2 (en) * 2003-09-17 2010-02-16 Prostalund Operations Ab Partial-leng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 and method permitting selective urine discharge
ES2743410T3 (es) * 2008-02-28 2020-02-19 Hollister Inc Catéter de drenaje de fluido con una trayectoria de flujo externa
US8377034B2 (en) 2009-12-04 2013-02-19 Std Med, Inc. Vascular access port
DE102010023438A1 (de) 2010-06-11 2011-12-15 Universitätsmedizin Der Johannes Gutenberg-Universität Mainz Ballonkathetersystem zur Ableitung von Flüssigkeiten aus Hohlorganen, Körperhöhlen oder Zysten und/oder zur Zuleitung von Medikamenten
CN102423762A (zh) * 2011-08-03 2012-04-25 李林风 改进的留置导管栓塞清除装置及其组装方法
JP2015159884A (ja) * 2014-02-26 2015-09-07 奇美醫療財團法人奇美醫院 膀胱内圧測定装置
US10369345B2 (en) 2014-03-31 2019-08-06 Versago Vascular Access, Inc. Medical access port,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944650A1 (en) 2014-04-03 2015-10-08 Versago Vascular Acces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a needle tip of a needle
CA2971434A1 (en) 2014-12-18 2016-06-23 Versago Vascular Acces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and replacement of a catheter for an implanted access port
US11154687B2 (en) 2014-12-18 2021-10-26 Versago Vascular Access, Inc. Catheter patency systems and methods
EP3322460B1 (en) 2015-07-14 2022-09-07 Versago Vascular Access, Inc. Medical access ports and transfer devices
US11058815B2 (en) 2017-12-21 2021-07-13 Versago Vascular Access, Inc. Medical access ports, transf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746170A4 (en) * 2018-02-02 2021-04-07 Microbot Medical Ltd. SELF-CLEANING CATHETER SYSTEMS WITH SELF-MONITORING CAPABILITIES
CN109701141A (zh) * 2019-01-14 2019-05-03 中国医学科学院肿瘤医院 定位前列腺与膀胱连接处的导尿管
CN110251805B (zh) * 2019-06-28 2024-02-23 上海创司杰医疗科技有限公司 智能尿管管理系统
RU2722404C1 (ru) * 2019-12-11 2020-05-29 Час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Реавиз"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внутреннего просвета уретры под видеоэндоскопическим контролем
CN113398441B (zh) * 2021-07-20 2023-03-14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省立医院(山东省立医院) 一种可清理式外科用引流管及防堵塞引流方法
GB2617163A (en) * 2022-03-31 2023-10-04 Srn Medical Devices Ltd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3879A (en) * 1974-07-25 1976-10-05 Western Acadia, Incorporated Silicone catheter
US5738654A (en) * 1995-03-20 1998-04-14 Contimed, Inc. Self cleansing bladder drainage device
US5716373A (en) * 1995-07-19 1998-02-10 Datascope Investment Corp. Support member for reduced diameter balloon catheter, and intra-aortic balloon catheter using the same
US5916195A (en) * 1998-02-04 1999-06-29 Argomed Ltd. Internal catheter
US6685745B2 (en) * 2001-05-15 2004-02-03 Scimed Life Systems, Inc. Delivering an agent to a patient's body
US6494855B2 (en) * 2001-05-16 2002-12-17 Scimed Life Systems, Inc. Draining bodily flui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05A1 (ko) * 2016-09-02 2018-03-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개가 구비된 소변배출용 카테터
WO2020060208A1 (ko) * 2018-09-19 2020-03-26 (주)메가메디칼 풍선 카테터
KR20200032941A (ko) * 2018-09-19 2020-03-27 (주)메가메디칼 풍선 카테터
KR20200126047A (ko) * 2019-04-29 2020-11-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 배액을 위한 벌룬 고정 타입 복강-방광 연결 카테터
KR20200041842A (ko) * 2020-04-02 2020-04-22 (주)메가메디칼 네비게이션과 통신하는 수술 가이드 연동 풍선 카테터
KR20200041843A (ko) * 2020-04-02 2020-04-22 (주)메가메디칼 풍선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수술 가이드 연동 풍선 카테터
KR20220103261A (ko) * 2021-01-15 2022-07-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방광 연결 배액관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71882A1 (en) 2005-03-24
WO2005025665A1 (en) 2005-03-24
JP4427546B2 (ja) 2010-03-10
JP2007505681A (ja) 2007-03-15
CA2536529A1 (en) 2005-03-24
RU2372111C2 (ru) 2009-11-10
RU2006112400A (ru) 2006-09-10
AU2004271882B2 (en) 2010-09-23
EP1680174B1 (en) 2010-05-19
EP1680174A1 (en)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6899B2 (en) Partial-length, indwelling prostatic catheter using coiled inflation tube as an anchor and methods of draining urine and flushing clots
KR20060073625A (ko) 팽창튜브 앵커와 장애물에 대한 저항성과 그리고 세척을가진 부분길이 유치 전립선 카테르트
US8475435B2 (en) Partial-leng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 permitting selective urine discharge
US6893430B2 (en) Urethral catheter and guide
EP0935977A2 (en) Urethral catheter and guide
JP3133074B2 (ja) 尿道をゆっくりと拡張するための装置
US6716252B2 (en) Prostatic stent with localized tissue engaging anchoring means and methods for inhibiting obstruction of the prostatic urethra
US8858535B2 (en) Catheter
US8287602B2 (en) Urinary stent
JP2007244919A (ja) 尿道内で用いる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00070731A (ko) 치골 상부 배출 카테터
CN111629773B (zh) 具有改善的保持结构和增强的尿液排出的导尿管系统
MXPA97006720A (en) Device to slowly dilate the 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