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532A -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 Google Patents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532A
KR20060073532A KR1020050130840A KR20050130840A KR20060073532A KR 20060073532 A KR20060073532 A KR 20060073532A KR 1020050130840 A KR1020050130840 A KR 1020050130840A KR 20050130840 A KR20050130840 A KR 20050130840A KR 20060073532 A KR20060073532 A KR 20060073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manhole
opening
sewag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4402B1 (ko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이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우 filed Critical 이경우
Priority to KR102005013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4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맨홀에 우수관과 하수관을 동시에 연결 사용할 수 있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은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내부에 하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중간벽을 통해 양측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상부 전,후방에 우수관과 하수관이 연결되는 우수 유입공간과 하수 유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평상시나 초기 우수의 유입 시점에서는 개방되어 있어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상기 하부 개방부를 통해 하수 유입공간으로 배출하는 우수 배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맨홀, 우수 유입공간, 하수 유입공간, 중간벽

Description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Manhole having multitud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내부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수 유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맨홀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맨홀
2 : 중간벽
21 : 하부 개방부
211 : 함몰홈 212 : 관통홀
22 : 돌출턱
23 : 함몰 삽입홈
24 : 하부벽체
25 : 고정벽체
26 : 중간벽체
27 : 상부벽체
3 : 우수 유입공간
4 : 하수 유입공간
5 : 우수 배출수단
51 : 프레임
511 : 고정수단, 512 : 걸림홈
52 : 지지축
53 : 연결 회전수단
531 : 베어링, 532 : 홀, 533 : 볼트, 534 : 베어링 브라켓
54 : 회전 개폐판
541 : 탭홀
55 : 수평유지 스토퍼
56 : 개방 스토퍼
57 : 전방 개방 단속수단
571 : 가이드 레일, 572 : 1절링크, 573 : 힌지축
6 : 하수 배출수단
61 : 연결통로
611 : 돌출대
62 : 차단판
621 : 힌지
63 : 스토퍼
7 : 우수 유입부
71 : 양 돌출턱
711 : 유입홀
72 : 프레임
721 : 고정수단, 722 : 걸림홈, 723 : 고무판
73 : 지지축
74 : 연결 회전수단
741 : 베어링, 742 : 홀, 743 : 볼트, 744 : 베어링 브라켓
75 : 회전 개폐판
751 : 탭홀
76 : 수평유지 스토퍼
77 : 개방 스토퍼
78 : 전방 개방 단속수단
781 : 가이드 레일, 782 : 1절링크, 783 : 힌지축
79 : 상판
791 : 고정수단
8 : 바스켓
9 : 우수관
10 : 하수관
11 : 뚜껑
본 발명은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맨홀에 우수관과 하수관을 동시에 연결 사용할 수 있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이라함은 가정이나 상가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를 하수관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생활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수거와 하수관체의 청소를 간편히 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되고, 도로에는 우수를 우수관로로 배출시키면서 이물질의 수거와 청소를 간편히 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맨홀은 하수관이나 수도관등의 굵기나 방향이 바뀌는 곳, 기점이나 교차점 및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맨홀은 하수관의 사이에 구비되는 하수용 맨홀과 우수관의 사이에 구비되는 우수용 맨홀을 각각 매립하도록 각각의 맨홀공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종래의 맨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각의 맨홀(100)은 내측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101)가 형성되고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관 및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관들이 연결되도록 전,후방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상단에 올려지는 맨홀뚜껑(30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지하에 맨홀을 우수용 맨홀과 하수용 맨홀을 각각 설치하여 우수용 맨홀에는 우수가 흐르게 되는 우수관을 연결 사용하고 나머지 하수용 맨홀에는 생활하수가 흐르게 되는 하수관을 연결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맨홀은 우수관 및 하수관을 연결하는 맨홀을 각각 구비해야 함으로써, 맨홀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토지와 인력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하에 매립되는 하나의 맨홀에 우수관과 하수관을 동시에 연결 사용할 수 있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우수 배출수단과 우수 유입부를 통해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우수 유입공간의 하부에 통과시켜 하수 유입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한, 하수 배출수단을 통해 우천시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를 우수 유입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내부에 하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중간벽을 통해 양측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상부 전,후방에 우수관과 하수관이 연결되는 우수 유입공간과 하수 유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공간에 구비되어 평상시나 초기 우수의 유입 시점에서는 개방되어 있어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상기 하부 개방부를 통해 하수 유입공간으로 배출하는 우수 배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내부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이하, 편의상 "맨홀"이라 한다.)은,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11)을 포함하는 맨홀(1) 내부에 하부 개방부(21)를 포함하는 중간벽(2)을 통해 양측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상부 전,후방에 우수관(9)과 하수관(10)이 연결되는 우수 유입공간(3)과 하수 유입공간(4)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공간(3)에 구비되어 평상시나 초기 우수의 유입 시점에서는 개방되어 있어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상기 하부 개방부(21)를 통해 하수 유입공간(4)으로 배출하는 우수 배출수단(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 배출수단(5)은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일측벽면과 상기 중간벽(2)의 타측벽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22)과 이 돌출턱 (22)의 둘레에 고정수단(511)을 통해 고정되는 프레임(51)과,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축(52)과, 상기 지지축(52)의 외부에 구비된 연결 회전수단(53)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회전 개폐판(54)과, 상기 후방 프레임(51)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닫힘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 스토퍼(55)와,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51)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개방 스토퍼(56)와, 상기 프레임(51)의 전방과 회전 개폐판(54)의 전방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는 전방 개방 단속수단(57)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개방 단속수단(57)은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571)과, 상기 전방 프레임(51)에 힌지축(573)을 통해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571)에 힌지축(573)을 통해 상부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1절링크(572)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프레임(51)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전단이 걸리도록 걸림홈(5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51)을 고정하는 고정수단(511)은 앙카볼트가 사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 회전수단(53)은 상기 지지축(52)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어링(531)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하부에 형성된 탭홀(541)에 체결되는 볼트(533)가 관통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홀(532)이 구비된 베 어링 브라켓(53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회전 개폐판(54)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가 우수 배출수단(5)을 통해 하수 유입공간(4)으로 유입되면서 하수관(10)으로 분리 처리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원활히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우수 유입공간(3) 내부에 우수량이 많아질 경우에는,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 개폐판(54)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개방이 단속되어 하수 유입공간(4)의 우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우수관(9)을 통해 우수가 하천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벽(2)은 맨홀(1)의 내부 전,후방벽에 구비된 함몰 삽입홈(23)과, 상기 함몰 삽입홈(23)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 개방부(21)를 포함하는 하부벽체(24)와, 상기 하부벽체(24)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우수 배출수단(5)의 돌출턱(22)이 위치 고정되는 고정벽체(25)와, 상기 고정벽체(25)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벽(2)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중간벽체(26)와, 상기 중간벽체(26)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수 배출수단(6)이 장착되어 있는 상부벽체(27)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개방부(21)는 중앙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홈(211)과, 상기 함몰홈(211)의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212)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함몰홈(211)을 통해 우수가 상기 하수 유입공간(4)으로 유입하게 되고, 상기 관통홀(212)을 통해 상기 우수 유입공간(3)에서 배출되는 우수와 섞인 토사를 후술하게 될 바스켓(8)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하수 배출수단(6)은 상기 상부벽체(27)에 형성되어 상기 우수 유입공간(3)과 하수 유입공간(4)을 연결하는 연결통로(61)와, 상기 연결통로(6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대(611)에 힌지(621)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판(62)과, 상기 연결통로(6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판(62)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는 스토퍼(63)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수 유입공간(4)의 하부에는 상기 하수관(10)을 통해 유입된 토사를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바스켓(8)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 배출수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수관(10)의 하수는 우천과는 상관없이 일정한 양이 흐르는 것이지만, 우천시에는 우수관과 하수관의 오접등의 사유로 우수 및 하수의 유입량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다.
즉 하수 유입공간(4)으로 유입된 우수 및 하수의 수압이 증가하게 되면, 차단판(62)이 힌지(621)를 중심으로 우수 유입공간(3)의 방향으로 개방되면서 하수 및 우수가 일시적으로 우수 유입공간(3)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출된 하수 및 우수는 우수관(9)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우천시 우수 유입공간(3)으로 유입된 우수의 수압이 하수 유입공간(4)의 압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차단판(62)이 하수 유입공간(4)의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스토퍼(63)가 단속하게 됨으로써 우수가 상기 하수 유입공간(4)으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맨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맨홀(1)은,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11)을 포함하는 맨홀(1) 내부가 우수 유입부(7)를 통해 상,하로 구획되며, 각각의 상,하부 전,후방에 우수관(9)과 하수관(10)이 연결된 우수 유입공간(3)과 하수 유입공간(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수 유입부(7)는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711)을 포함하는 양 돌출턱(71)과, 상기 유입홀(711)의 둘레에 구비되어 고정수단(721)을 통해 상기 양 돌출턱(71)에 고정되는 프레임(72)과, 상기 유입홀(711)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축(73)과, 상기 지지축(73)의 외부에 구비된 연결 회전수단(74)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회전 개폐판(75)과, 상기 후방 프레임(72)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닫힘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 스토퍼(76)와,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72)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개방 스토퍼(77)와, 상기 프레임(72)의 전방과 회전 개폐판(75)의 전방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는 전방 개방 단속수단(78)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 개방 단속수단(78)은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781)과, 상기 전방 프레임(72)에 힌지축(783)을 통해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781)에 힌지축(783)을 통해 상부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1절링크(782)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프레임(72)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전단이 걸리도록 걸림홈(7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72)을 고정하는 고정수단(721)은 앙카볼트가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회전수단(74)은 상기 지지축(73)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베어링(741)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하부에 형성된 탭홀(751)에 체결되는 볼트(743)가 관통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홀(742)이 구비된 베어링 브라켓(74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수 유입공간(4)의 하부에는 상기 하수관(10)을 통해 유입된 토사를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바스켓(8)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수 유입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상시에는 회전 개폐판(75)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가 우수 유입부(7)를 통해 하수 유입공간(4)으로 유입되면서 하수관(10)으로 분리 처리되어 하수 처리장으로 원활히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우수 유입공간(3) 내부에 우수량이 많아질 경우에는, 우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회전 개폐판(75)이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개방이 단속되어 하수 유입공간(4)의 우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우수관(9)을 통해 우수가 하천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수 유입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우수 유입부(7)는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711)을 포함하는 양 돌출턱(71)과, 상기 유입홀(7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양 돌출턱(71)에 고정되는 프레임(72)과, 상기 프레임(72)의 상부에 밀착된 고무판(723)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수단(791)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유입홀(711)을 막게 하는 상판(79)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판(79)을 고정하는 고정수단(791)은 앙카볼트가 사용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은 지하에 매립되는 하나의 맨홀에 우수관과 하수관을 동시에 연결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우수 배출수단과 우수 유입부를 통해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우수 유입공간의 하부에 통과시켜 하수 유입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하수 배출수단을 통해 우천시 하수관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를 우수 유입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11)을 포함하는 맨홀(1) 내부에 하부 개방부(21)를 포함하는 중간벽(2)을 통해 양측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상부 전,후방에 우수관(9)과 하수관(10)이 연결되는 우수 유입공간(3)과 하수 유입공간(4)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 유입공간(3)에 구비되어 평상시나 초기 우수의 유입 시점에서는 개방되어 있어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상기 하부 개방부(21)를 통해 하수 유입공간(4)으로 배출하는 우수 배출수단(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배출수단(5)은,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일측벽면과 상기 중간벽(2)의 타측벽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22)과 이 돌출턱(22)의 둘레에 고정수단(511)을 통해 고정되는 프레임(51)과,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축(52)과,
    상기 지지축(52)의 외부에 구비된 연결 회전수단(53)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회전 개폐판(54)과,
    상기 후방 프레임(51)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닫힘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 스토퍼(55)와,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51)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개방 스토퍼(56)와,
    상기 프레임(51)의 전방과 회전 개폐판(54)의 전방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54)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는 전방 개방 단속수단(57)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2)은,
    맨홀(1)의 내부 전,후방벽에 구비된 함몰 삽입홈(23)과,
    상기 함몰 삽입홈(23)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 개방부(21)를 포함하는 하부벽체(24)와,
    상기 하부벽체(24)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면에 우수 배출수단(5)의 돌출턱(22)이 위치 고정되는 고정벽체(25)와,
    상기 고정벽체(25)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벽(2)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중간벽체(26)와,
    상기 중간벽체(26)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수 배출수단(6)이 장착되어 있는 상부벽체(2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방부(21)는,
    중앙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홈(211)과,
    상기 함몰홈(211)의 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2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배출수단(6)은,
    상기 상부벽체(27)에 형성되어 상기 우수 유입공간(3)과 하수 유입공간(4)을 연결하는 연결통로(61)와,
    상기 연결통로(6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대(611)에 힌지(621)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단판(62)과,
    상기 연결통로(6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판(62)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는 스토퍼(6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6.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11)을 포함하는 맨홀(1) 내부가 우수 유입부(7)를 통해 상,하로 구획되며,
    각각의 상,하부 전,후방에 우수관(9)과 하수관(10)이 연결된 우수 유입공간(3)과 하수 유입공간(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유입부(7)는,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711)을 포함하는 양 돌출턱(71)과,
    상기 유입홀(711)의 둘레에 구비되어 고정수단(721)을 통해 상기 양 돌출턱(71)에 고정되는 프레임(72)과,
    상기 유입홀(711)의 중간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지지축(73)과,
    상기 지지축(73)의 외부에 구비된 연결 회전수단(74)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우수 유입공간(3)의 개폐상태를 조절하는 회전 개폐판(75)과,
    상기 후방 프레임(72)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닫힘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 스토퍼(76)와,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도록 상기 후방 프레임(72)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개방 스토퍼(77)와,
    상기 프레임(72)의 전방과 회전 개폐판(75)의 전방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개폐판(75)의 개방상태를 단속하는 전방 개방 단속수단(7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 유입부(7)는,
    중앙에 형성된 유입홀(711)을 포함하는 양 돌출턱(71)과,
    상기 유입홀(711)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양 돌출턱(71)에 고정되는 프레임(72)과,
    상기 프레임(72)의 상부에 밀착된 고무판(723)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수단(791)을 통해 고정되어 상기 유입홀(711)을 막게 하는 상판(79)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 유입공간(4)의 하부에는,
    상기 하수관(10)을 통해 유입된 토사를 침전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바스켓(8)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20050130840A 2005-12-27 2005-12-27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065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840A KR100654402B1 (ko) 2005-12-27 2005-12-27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840A KR100654402B1 (ko) 2005-12-27 2005-12-27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532A true KR20060073532A (ko) 2006-06-28
KR100654402B1 KR100654402B1 (ko) 2006-12-05

Family

ID=3716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840A KR100654402B1 (ko) 2005-12-27 2005-12-27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493A (zh) * 2020-12-22 2021-04-20 深圳市华胜建设工程有限公司 海绵城市大小雨水分流排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92B1 (ko) 2007-09-14 2008-06-12 우민호 우수처리장치
KR101296566B1 (ko) 2011-06-15 2013-08-13 진두남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493A (zh) * 2020-12-22 2021-04-20 深圳市华胜建设工程有限公司 海绵城市大小雨水分流排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4402B1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169B2 (en) Unpowere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130045091A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060073443A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64826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395621Y1 (ko) 가변유량 자동 수문
KR200166989Y1 (ko) 하수처리 차집관로의 우수토실 자동개폐장치.
CN216238872U (zh) 可闭式雨水箅子
KR200381089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11853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100120472A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262733Y1 (ko)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KR200218278Y1 (ko) 배수관의 배출구 자동개폐장치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101352381B1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 방지를 위한 밀폐형 개폐판
KR100826869B1 (ko) 역류시 동작 가능한 배수구 개폐장치
KR100762411B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수문
KR200420163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2중 힌지식 자동비
KR200416119Y1 (ko) 트랜치 커버용 악취방지구조.
KR200420164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