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719A - 음성인식 충전기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719A
KR20060072719A KR1020040111434A KR20040111434A KR20060072719A KR 20060072719 A KR20060072719 A KR 20060072719A KR 1020040111434 A KR1020040111434 A KR 1020040111434A KR 20040111434 A KR20040111434 A KR 20040111434A KR 20060072719 A KR20060072719 A KR 2006007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harger
charging
constant curre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토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토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토즈
Priority to KR102004011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719A/ko
Publication of KR2006007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12Audible indication of meter readings, e.g. for the bli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만충전시 충전완료신호와 신호를 음성으로 전달하게 하도록 고안된 여행용 캐릭터 충전기로서 캐릭터(마스코트)와 충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어 기존의 시각적 기능에 청각적 기능을 부가시킨 음성인식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만충전시 충전완료신호와 신호를 음성으로 전달하게 하도록 하여 청각적으로 충전기 동작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들이 휴대하는 휴대폰에 매달아 두는 여행용 캐릭터 충전기로서 캐릭터(마스코트)와 충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배터리, 휴대폰, 만충전, 음성신호, 청각

Description

음성인식 충전기{Charger Expressing Operation With Voice}
도 1은 종래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기 회로의 불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전원부 14 : 스위칭부
15 : 전압변환부 17 : 정전압회로
18 : 정전류평활회로 20 : 마이크로컨트롤러(Micom)
23 : 밧데리충전구 30 : 휴대폰
본 발명은 음성인식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battery) 만충전시 충전완료신호와 신호를 음성으로 전달하게 하도록 고안된 여행용 캐릭터 충전기로서 캐릭터(마스코트)와 충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어 기존의 시각적 기능에 청각적 기능을 부가시킨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충전기는 단지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 다. 또한 충전기는 충전이 되는 시간과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표시장치인 LED를 통해서만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충전기는 별도의 외형 치장을 위하여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선행기술인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327680(공고일 : 2002. 3. 9) "2차 전지 동시 충전회로"에 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충전구에 삽입된 전지팩을 감지하여 2개소의 충전부에 전류를 분할함으로써 동시에 2차 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는 2차전지 동시 충전회로를 공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0-7575호(공개일 : 2000.2.7) "정전류 정전압 충전회로"에 의하면, 방전된 2차 전지의 초기 충전 상태에서는 정전류를 사용하여 충전하고 , 2차전지의 충전상태가 설정치에 도달하여 만충상태에 가까워지면 정전압 / 정전류 상태로 충전하여 충전전압이 서서히 상승하도록 하는 정전류 정전압 충전회로를 개시한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 제 10-2000-7575호의 정전류 정전압 충전회로의 블럭도이다. 인가받은 교류전원을 직유전원으로 변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상기 전원부(1)로부터 직류전원을 인가 받아 전원 스위치의 트랜지스터가 온/오프 됨에 따라 전류를 온/오프 인가시키는 정전압부(3)와 스위칭 다이오드 온/오프에 따라 제2콘덴서에 충전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기준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발생부(4)와, 상기 기준전압 발생부(4)로부터 인가된 기준 전압과 2차 전지(7)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알정하게 설정하는 정전류부(5)와, 상기 2차 전지(7)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상태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6)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시각적으로 만 2차 전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뿐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만충전시 충전완료여부를 음성으로 표현할 수 잇게 청각적 기능을 부가시킨 음성신식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행용 캐릭터 충전기로서 캐릭터(마스코트)와 충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충족하는 아이디어 제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 충전기는 교류전원으로부터 정전압의 2차 직류전원을 만들기 위하여 과전압, 과전류 보호회로, 정류 및 평활회로 , 1차 EMI필터로 구성되는 전원부와; 배터리팩의 삽입, 종류 상태를 파악하고 충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는 스위칭부와;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는 전압변환부 및 궤환회로에 의하여 연결되는 정전류제어회로 및 정전압제어회로와; 상기 전압변환부에 연결되는 정전압회로 및 정전류 평활회로와; 상기 정전류평활회로, 정전압제어회로 및 정전류제어회로와 연결하여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에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부와 음성표시부가 연결되고, 상기 마이콤에 충전표시회로부가 접속되고, 상기 충전표시회로부가 휴대폰의 밧데리충전구에 연결되어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의하 여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음성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표시회로부는 정전류평활회로에 충전전류검출회로와 충전스위치회로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핸드폰의 밧데리충전구에 충전스위치회로가 직렬 연결되고, 병렬로 충전전압조정회로, 정전압 및 정전류제어회로, 정전류제어회로가 순차적으로 충전스위치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기 회로의 불럭도이다. 도 2는 교류 어답터(adaptor)로서 SMPS에 의한 전원회로와 4.2V 정전압 치 750 ㎃/ 450 ㎃ 정전류출력회로, 마이콤(마이크로콘트롤러)에 의한 제어회로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20)를 이용하여 밧데리충전구(23)에 삽입된 (충전포켓 또는 Connector) 전지팩을 감지하여 충전을 표시 또는 음성으로 전달 핸드폰(30)에 부착된 2차 전지의 충전형태를 음성으로서 표현하게 된다.
음성으로 알려주는 정보는 밧데리충전구(23) 또는 충전 커넥터가 연결되었을 경우 또는 AC전원이 충전중 또는 충전전에 밧데리충전구(23)에서 분리되었을 경우이다.
예를 들어 핸드폰의 2차전지가 충전이 완료되었을 경우 LED(표시기능)로 표시하던 기존방식에서 벗어나 소리로서 알려주게 된다.
이 방법은 충전기 뿐만 아니라 모든 전자 제품(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소비자에게 소리로서 알려줄 수 있는 장치이다.
충전기의 경우 충전구에 삽입을 하면 "충전을 시작합니다"라고 음성으로 전달한다. 이때 충전 중에 전원코드가 빠지거나 배터리 연결부위가 빠지면 "충전중입니다" 또는 "코드가 빠졌습니다. 등으로 회신한다.표시기능동작 동작이 다되었을 경우 "충전이 완료되었습니다."로 표시한다.
그 외 충전완료시 충전시작시, 충전중 에러시 각종멜로디로 표시가 가능하며 또한 2차전지의 과충전, 과방전을 방지하기위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20)가 항시 확인을 한다. 음성은 각종 멜로디로 할 수 있으며 여러 나라의 언어, 어느 형태의 음성을 음성칩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2의 회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휴대전화 여행용 충전기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충전기 허용입력 전압은 AC 96 V ~ 264 V, 60 Hz이고, 출력은 정부의 기준 TTA를 적용한다. AC전원으로부터 정전압의 2차 DC전원을 만들어 내는 전원부(10)와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팩의 삽입, 종류 상태를 파악하고 충전을 제어해주는 스위칭부(14)가 연결된다. 상기 전원부(10)는 과전압, 과전류 보호회로(11), 정류 및 평활회로(12) 및 1차 EMI필터(13)로 구성된다. 즉,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AC 85 V ~ 264 V는 퓨즈, 바리스터 및 필터를 거쳐서 브리지 다이오드와 C1에 의하여 정류된다. 바리스터는 입력되는 서지(surge)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고, 필터는 자체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노이즈(noise) 및 입력측으로부터 들어오는 노이즈를 감쇄시킨다.
스위칭부(14)는 교류가 평활되어 입력된 직류는 U01(IC chip)의 내부 커넥터 에 의해 스위칭된다. U01은 자체에 PWM 콘트롤러를 내장하고 있으며 스위칭과 과전류 방지기능을 한다. 상기 스위칭부(14)에 전압변환부(15)가 연결되고, 궤환회로(feedback)에 의하여 정전류제어회로(18)와 정전압제어회로(19)가 연결된다. 상기 궤환회로는 전원부(10)의 출력전압 센서에 연결된 IC chip U 02, U03에 의하여 흐르는 전류와 전압을 궤환한다. 또한 오버된 전압과 전류를 1차측으로 보내준다. 상기 전압변환부(15)에 정전압회로(16)와 정전류 평활회로(17)가 연결된다. 상기 정전류평활회로(17), 정전압제어회로(19) 및 정전류제어회로(18)는 마이콤(20)에 연결된다.
정전류평활회로(17)는 전압변환부(15)의 2차측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한 다음 안정된 직류전압을 만든다. 정전압회로(16)는 음성IC와 마이콤(20)에 안정된 전압을 공급하여 음성IC와 마이콤(20)의 에러를 방지한다. 정전압제어회로(19)는 전압변환부(15)에서 나온 전압과 2차 정전압부, 정전류부에서 나온 전압을 비교하여 제어해주는 회로이다. 상기 마이콤(20)에 LED표시부(21)와 음성표시부(22)가 연결되고 충전표시 기능을 위한 회로가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상기 정전류평활회로(17)에 충전표시회로부(30)가 접속되고 먼저 충전전류검출회로(31)가 연결되고, 이어서 충전스위치회로(32)가 연결된다, 핸드폰(40)의 밧데리충전구(23)에 충전스위치회로(32)가 직렬 연결되고 병렬로 충전전압조정회로(35), 정전압 및 정전류제어회로(34) 및 정전류제어회로(33)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스위치회로(32)에 접속된다.
안정된 전압가 전류를 배터리에 인가하여 충전할 때, 항시 마이콤(20)은 전 압과 전류를 체크하여 충전여부를 음성으로 표시한다. 배터리 크기의 대, 중, 소는 물론 충전전류까지 마이콤(20)에서 확인하고 충전을 시작한다. 배터리가 95% 이상 충전되었을 경우 마이콤(20)의 6번 핀에서 만충전 표시 신호를 주어 LED표시부(21)에서 녹색(green)LED로 변하고 음성표시부(22)U100(IC chip)의 IRF단자의 스위치가 온 되면서 음성을 표시한다. 또한 배터리 충전중 에러 표시 역시 마이콤(20)의 6번과 7번 핀에서 나오는 신호를 받아 처리한다.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충전기, 음성전원 공급기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충전기, 아답터 및 전원장치 등에서 음성으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됐습니다" AC코드가 빠지면 "전원코드가 빠졌습니다" 라고 표현하는 기술에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충전기는 소형으로서 휴대폰에 매달고 다닐 수 있도록 캐릭터와 된 충전기로 출장자나 젊은층 이용자들이 휴대폰 액세서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기가 서로 만났을 때, 즉 한 쌍의 충전기가 근접하면 상호 대화를 할 수 있고 간단한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본 발명은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만충전시 충전완료신호와 신호를 음성으로 전달하게 하도록 하여 청각적으로 충전기 동작을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인들이 휴대하는 휴대폰에 매달아 두는 여행용 캐릭터 충전기로서 캐릭터(마스코트)와 충전기의 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다.

Claims (2)

  1. 충전기에 있어서, 교류전원으로부터 정전압의 2차 직류전원을 만들기 위하여 과전압, 과전류 보호회로(11), 정류 및 평활회로(12) 및 1차 EMI필터(13)로 구성되는 전원부(10)와; 배터리팩의 삽입, 종류 상태를 파악하고 충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부(10)에 연결되는 스위칭부(14)와; 상기 스위칭부(14 )에 연결되는 전압변환부(15), 궤환회로에 의하여 연결되는 정전류제어회로(18) 및 정전압제어회로(19)와; 상기 전압변환부(15)에 연결되는 정전압회로(16) 및 정전류 평활회로(17)와; 상기 정전류평활회로(17), 정전압제어회로(19) 및 정전류제어회로(18)가 연결되고 이를 제어하는 마이콤(20)과; 상기 마이콤(20)에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부(21)와 음성표시부(22)가 연결되고, 상기 마이콤(20)에 충전표시회로부(30)가 접속되며, 상기 충전표시회로(30)가 휴대폰(40)의 밧데리충전구(23)에 연결되어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상기 마이콤(20)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표시회로부(30)는 정전류평활회로(17)에 충전전류검출회로(31)와 충전스위치회로(32)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핸드폰(40)의 밧데리충전구(23)에 충전스위치회로(32)가 직렬 연결되고, 병렬로 충전전압조정회로(35), 정전압 및 정전류제어회로(34) 및 정전류제어회로(33)가 순차적으로 충전스 위치회로(32)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충전기.
KR1020040111434A 2004-12-23 2004-12-23 음성인식 충전기 KR20060072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434A KR20060072719A (ko) 2004-12-23 2004-12-23 음성인식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434A KR20060072719A (ko) 2004-12-23 2004-12-23 음성인식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719A true KR20060072719A (ko) 2006-06-28

Family

ID=3716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434A KR20060072719A (ko) 2004-12-23 2004-12-23 음성인식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7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54B1 (ko) * 2006-07-25 2008-05-1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다중제어를 수행하는 전동차량 충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554B1 (ko) * 2006-07-25 2008-05-16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다중제어를 수행하는 전동차량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2796B (zh) 用于多功能便携式电源充电器的安全电路
CN202817860U (zh) 智能型便携式移动电源充电器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JP5451780B2 (ja) 自動車用の携帯用バッテリー充電装置
US7843167B2 (en) Battery charger with charge indicator
KR20010074181A (ko) 배터리 충전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장치
CN102428620A (zh) 多用途快速充电架
WO2007011186A1 (en) Apparatus for charging portable devices using solar cell
CN103765724B (zh) 充电式电设备
CN105162228A (zh) 智能充电器及其充电控制电路
US10324133B2 (en) Multifunctional charging box
CN106532820A (zh) 一种快速充电方法及电子设备
TW200518372A (en)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same
CN107579583B (zh) 多功能便携式电源充电器
CN103199595A (zh) 一种智能型便携式多功能移动电源充电器
KR20080095642A (ko) 부하변조 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배터리 충전 세트
US665381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power supply compatibility in a portable device
KR100944802B1 (ko) 교류 충전 제어회로
US20130286701A1 (en) Zero-Standby Current Switch for Control of a Power Converter
KR100721960B1 (ko) 상용교류전원 및 퍼스널 컴퓨터의 직류전원을 이용한단말기에 내장된 2차전지의 충전장치
CN101602202A (zh) 电动工具,以及电动工具和电池包的组合
KR20060072719A (ko) 음성인식 충전기
CN109378868A (zh) 电子设备供电电路及电子设备
JP2012055044A (ja) 充電システム、電池パック、および充電装置
KR100788595B1 (ko) 휴대용 보조 전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