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453A - 주사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453A
KR20060072453A KR1020040111099A KR20040111099A KR20060072453A KR 20060072453 A KR20060072453 A KR 20060072453A KR 1020040111099 A KR1020040111099 A KR 1020040111099A KR 20040111099 A KR20040111099 A KR 20040111099A KR 20060072453 A KR20060072453 A KR 2006007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nes
gate electrode
electron emission
cathode electrode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453A/ko
Priority to JP2005180517A priority patent/JP2006178394A/ja
Priority to CNB2005101270117A priority patent/CN100466032C/zh
Priority to US11/305,137 priority patent/US20060139249A1/en
Publication of KR2006007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modulation of the duration of a single pulse during which the logic level remains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캐소드 전극 라인들, 게이트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다. 캐소드 전극 라인들은 전자 방출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있어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과 교차되는 영역에는 전자 방출원들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형성된다. 형광 셀들은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관통구들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양극판에는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된다. 여기에서, 단위 프레임에서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되, 게이트 전극 라인들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상승함에 의하여 각 주사 펄스의 전위가 상승한다.

Description

주사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wherein reference electrical potential of scanning electrode lines var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각 부에 공급되는 전위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 포커싱 전극판, 및 캐소드 전극 라인들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의 일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동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도 1의 제어 소자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 포커싱 전극판, 및 캐소드 전극 라인들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도 1의 제어 소자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12...프레임 메모리,
15...제어 소자, 17...주사 구동부,
18...데이터 구동부, 19...전원 공급부,
V17G...주사 기준 전위, 2...앞쪽 패널,
21...앞쪽 기판, 22...양극판,
FR11,...,FBnm...형광 셀들, 3...뒤쪽 패널,
31...뒤쪽 기판, CR1,...,CBm...캐소드 전극 라인들,
ER11,...,EBnm...전자 방출원들, 33...제1 절연층,
G1,...,Gn...게이트 전극 라인들, 35...제2 절연층,
36...포커싱 전극판, HR11,...,HBnm...관통구들,
41,...,43...스페이스 바아들.
본 발명은,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소드 전극 라인들, 게이트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2003년 미국 특허출원 공개 번호 제122,118호(명칭 : FED driving method)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은, 기본적으로, 캐소드 전극 라인들, 게이트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다. 캐소드 전극 라인들은 전자 방출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있어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과 교차되는 영역에는 전자 방출원들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형성된다. 형광 셀들은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관통구들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양극판에는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된다. 대부분의 경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은 주사 전극 라인들로서 사용되고, 캐소드 전극 라인들은 데이터 전극 라인들로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전극 라인들로서의 캐소드 전극 라인들에는 내부 저항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화소들이 데이터 전극 라인들로서의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화소들의 휘도가 낮아진다. 이에 따라, 영상의 재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휘도 편차를 효율적으로 보정함에 따라 영상의 재현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캐소드 전극 라인들, 게이트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다.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은 전자 방출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과 교차되는 영역에는 상기 전자 방출원들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형성된다. 상기 형광 셀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관통구들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양극판에는 상기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상기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된다. 여기에서, 단위 프레임에서 주사 펄스가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되,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이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상승함에 의하여 각 주사 펄스의 전위가 상승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만을 조정함에 의하여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효율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재현성이 높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프레임에서의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평균 기준 전위가 각각의 프레임에서의 평균 계조에 반비례한다. 이에 따라, 어두운 영상 및 밝은 영상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효율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전원 공급부(19)로부터 각 부에 공급되는 전위들을 보여준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이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구동 장치를 포 함한다. 이 구동 장치는 전원 공급부(19), 주사 구동부(17), 데이터 구동부(18), 프레임 메모리(12), 및 제어 소자(15)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9)는, 프레임 메모리(12)에 시스템 기준 전위(VSG) 및 동작 전위(V12H)를 인가하고, 제어 소자(15)에 상기 시스템 기준 전위(VSG) 및 동작 전위(V15H)를 인가하며, 주사 구동부(17)에 동작 전위(V17H) 및 가변 기준 전위(V 17G)를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부(18)에 동작 전위(V18H) 및 상기 시스템 기준 전위(VSG)를 인가하며,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극판(도 2의 22)에 양극 전위(VA)를 인가하고,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포커싱 전극판(36)에 포커싱 전위(VF)를 인가한다.
여기에서, 전원 공급부(19)는, 제어 소자(15)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에 따라 동작하여, 단위 프레임에서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주사 구동부(17)로의 가변 기준 전위(V17G)가 상승되게 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주사 구동부(17)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주사 전극 라인들로서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을 구동한다. 데이터 구동부(18)는 전자 방출 디 스플레이 패널(11)의 데이터 전극 라인들로서의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을 구동한다. 프레임 메모리(12)에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제어 소자(15)는, 단일 집적 회로 소자 예를 들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로 형성되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입력 영상 신호들(SIM)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키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계조 디스플레이를 위한 펄스폭 변조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둘째, 제어 소자(15)는 발생된 펄스폭 변조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8)에 펄스폭 변조 데이터(SDD)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SDT)을 제공하고, 주사 구동부(17)에 타이밍 제어 신호들(SS)을 제공한다. 셋째, 제어 소자(15)는, 전원 공급부(19)에 제어 신호들을 제공하여, 단위 프레임에서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 ,...,CBm)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주사 구동부(17)로의 가변 기준 전위(V17G)가 상승되게 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앞쪽 패널(2)과 뒤쪽 패널(3)이 스페이스 바아(space bar)들(41,...,43)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스페이스 바아들(41,...,43) 외에도 다수의 스페이스 바아들이 포커싱 전극판(36) 위에 존재한다.
뒤쪽 패널(3)은 뒤쪽 기판(31),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 전자 방출원들(ER11,...,EBnm), 제1 절연층(33),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 n), 제2 절연층(35), 및 포커싱 전극판(36)을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은 전자 방출원들(ER11,...,EBn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절연층(33),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제2 절연층(35), 및 포커싱 전극판(36)에는 전자 방출원들(ER11,...,EBnm)에 대응하는 관통구들(HR11,...,HBnm)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사 신호들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 ,...,CBm)과 교차되는 영역에 관통구들(HR11,...,HBnm)이 형성된다. 포커싱 전극판(36)에는 포커싱 전위(도 1의 VF)가 인가된다.
앞쪽 패널(2)은 앞쪽 투명 기판(21), 양극판(22), 및 형광 셀들(FR11,...,FBnm)을 포함한다. 형광 셀들(FR11,...,FBnm)은 포커싱 전극판(36)의 관통구들(HR11,...,HBnm)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양극판(22)에는 전자 방출원들(ER11,...,EBnm)로부터의 전자들이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1 내지 4 킬로볼트(KV)의 높은 정극성 전위(도 1의 VA)가 인가된다.
도 4는 도 2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포커싱 전극판(36), 및 캐소 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에서 참조 부호 SG1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중에서 제1 게이트 전극 라인(도 2의 G1)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SG2는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 n)중에서 제2 게이트 전극 라인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SGn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 n)중에서 제n 게이트 전극 라인(도 2의 Gn)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S36은 포커싱 전극판(도 2의 36)에 인가되는 포커싱 전위를, 그리고 SCR1..CBm은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을 각각 가리킨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신호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 구동 주기(TVDR)는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 및 수직 동기 주기(TVSYN )를 포함한다. 수직 구동 주기(TVDR)에서 양극판(도 2의 22)에는 상기 주사 펄스의 최고 전위보다 높은 정극성 전위가 인가된다.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에 있어서, 설정 정극성 전위(V17H)가 가변 기준 전위(V17G1 내지 V17G2)에 더해진 가변 정극성 전위(V17G1+V17H 내지 V17G2+V17H)와 설정 펄스 폭(THDR)을 가진 정극성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즉,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 (CR1,...,CBm)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 n)의 기준 전위가 상승함에 의하여 각 주사 펄스의 전위가 상승한다.
이와 같이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의 기준 전위만을 조정함에 의하여,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효율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재현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동안에,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의 일정한 기준 전위 즉, 시스템 기준 전위(VSG)보다 높은 구동 전위 즉, 바이어스 전위(V18H)에서 상기 기준 전위(VSG)로 하강하는 데이터 펄스들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 )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구동 단자들과 가장 가까운 제1 게이트 전극 라인(G1)의 기준 전위(V17G1)가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VSG )보다 높다. 이에 따라,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의 바이어스 전위(V18H)와 주사되지 않는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가변 기준 전위(V17G1 내지 V17G2) 사이의 차이가 줄어들어, 비정상적인 방전으로 인한 콘트라스트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펄스폭(TDPW )은 계조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최고 계조 데이터를 가진 부극성의 데이터 펄스 의 폭(TDPW)은 정극성의 주사 펄스(THDR)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최저 계조 데이터인 경우, 부극성의 데이터 펄스의 폭(TDPW)이 영이므로, 0 볼트(V)의 접지 전위가 인가된다. 따라서, 임의의 캐소드 전극 라인들이 지속적으로 최저 계조를 유지하는 경우, 영 볼트(V)의 접지 전위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포커싱 전극판(36)에는 관통구들(HR11,...,HBnm)로부터의 전자들의 포커싱을 위한 정극성 전위(VF)가 인가된다.
다음에, 수직 동기 주기(TVSYN)에 있어서, 모든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 최저 기준 전위(V17G1)가 인가되고, 모든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바이어스 전위(V18H)가 인가되며, 포커싱 전극판(36)에 포커싱 전위(VF)가 인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극판(도 2의 22)에는 주사 펄스의 최고 전위(V17G2+V17H)보다 높은 정극성 전위가 인가된다.
도 1 및 5를 참조하면, 도 4의 구동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도 1의 제어 소자(15)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 프레임 메모리 제어부(153), 감마 정정부(154), 신호 변환부(155), 제1 라인 메모리(156), 제2 라인 메모리(157), 및 구동 제어부(158)를 포함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는 입력 영상 신호들(SIM)을 디지털 영상 데이 터(SD1)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ST)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로부터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ST)은 전원 공급부(도 1의 19), 프레임 메모리 제어부(153), 감마 정정부(154), 및 신호 변환부(155)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9)는, 제어 소자(15)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로부터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ST)에 따라 동작하여, 단위 프레임에서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주사 구동부(17)로의 가변 기준 전위(V17G)가 상승되게 한다.
프레임 메모리 제어부(153)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로부터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ST)에 따라 동작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SD2)를 프레임 메모리(92)에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프레임 메모리(12)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SD3)를 출력한다.
감마 정정부(154)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로부터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ST)에 따라 동작하여, 프레임 메모리 제어부(153)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SD3)의 감마 특성을 정정한다. 참고로, 입력 영상 신호들(SIM)에는 음극선관의 역감마 디스플레이 특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감마 특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선형 디스플레이 특성을 가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구동을 위해서는 입 력 영상 신호들(SIM)에 역감마 특성을 포함시키는 정정이 필요하다.
신호 변환부(155)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로부터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ST)에 따라 동작하여, 감마 정정부(154)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SD4)를 펄스폭 변조 데이터(S1D)로 변환시키고, 조정된 타이밍 제어 신호들(S1T)을 발생시킨다.
제1 및 제2 라인 메모리들(156, 157)은 신호 변환부(155)로부터의 펄스폭 변조 데이터(S1D)를 주사 라인 단위로 교대로 출력한다.
구동 제어부(158)는, 제1 및 제2 라인 메모리들(156, 157)로부터의 펄스폭 변조 데이터(S1D1, S1D2)를 입력받고 신호 변환부(155)로부터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S1T)에 따라 동작하여, 데이터 구동부(18)에 펄스폭 변조 데이터(SDD)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SDT)을 제공하고, 주사 구동부(17)에 타이밍 제어 신호들(SS)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2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포커싱 전극판(36), 및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들의 또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6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 4 및 6을 참조하여 도 6의 구동 신호들이 도 4의 것에 비하여 다른 점들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예에서는, 제1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1)에서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의 구동 파형들은 제2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2)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하지만, 도 6의 예에서는, 각각의 프레임 즉, 각각의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1,TDISP2,...)의 평균 기준 전위가 각각의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의 평균 계조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제2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2)에서의 평균 계조가 제1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1)에서의 것보다 낮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2)에서의 가변 기준 전위가 제1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1)에서의 것보다 높다. 도 6을 참조하면,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 Bm)의 구동 단자들과 가장 가까운 제1 게이트 전극 라인(G1)의 기준 전위에 있어서, 제2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DISP2)에서의 것(V17G3)이 제1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T DISP1)에서의 것(V17G1)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두운 영상 및 밝은 영상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효율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구동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도 1의 제어 소자(15)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7에서 도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5 및 7을 참조하면, 도 7의 제어 소자는 도 5의 것에 비하여 가산기 (71), 분할기(72), 비교기(73), 및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74)이 더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교기(73)로부터의 제어 신호(SLE) 즉, 평균 기준 전위의 데이터(SLE)가 전원 공급부(도 1의 19)에 추가적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추가 사항들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산기(71)는 상기 감마 정정부(154)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SD4)를 입력받아 현재 프레임의 모든 화소들의 계조들의 합인 총 계조를 구한다. 분할기(72)는, 가산기(71)로부터의 총 계조를 총 화소 수로 나누어, 그 결과인 현재 프레임의 평균 계조를 구한다. 이이피롬(74)에는 프레임의 평균 계조에 상응하는 기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교기(73)는, 분할기(72)로부터의 현재 프레임의 평균 계조와 이에 상응하는 기준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그 결과인 현재 프레임의 상기 평균 기준 전위의 데이터(SLE)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평균 기준 전위의 데이터(SLE)는 전원 공급부(도 1의 19)에 추가적으로 입력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도 1의 19)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51)로부터의 타이밍 제어 신호들(ST)에 따라 동작하여, 단위 프레임에서 주사 펄스가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이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 )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 수록 주사 구동부(17)로의 가변 기준 전위(V17G)가 상승되게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도 1의 19)는, 비교기(73)로부터의 기준 전위의 데이터(SLE)에 따라, 각각의 프레임 즉, 각각의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도 6의 TDISP1,TDISP2,...)에서의 주사 구동부(17)의 평균 기준 전위가 각각의 수직 디스플레이 주기의 평균 계조에 반비례하도록 출력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만을 조정함에 의하여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내부 저항으로 인한 휘도 편차가 효율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재현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프레임에서의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평균 기준 전위가 각각의 프레임에서의 평균 계조에 반비례한다. 이에 따라, 어두운 영상 및 밝은 영상의 디스플레이 품질이 효율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7)

  1. 전자 방출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 전극 라인들,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과 교차되는 영역에 상기 전자 방출원들에 대응하는 관통구들이 형성된 게이트 전극 라인들,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관통구들에 대응하여 형성된 형광 셀들, 및
    상기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상기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되는 양극판을 포함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단위 프레임에서 주사 펄스가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되,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이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구동 단자들과 멀어질수록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상승함에 의하여 각 주사 펄스의 전위가 상승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프레임에서의 상기 게이트 전극 라인들의 평균 기준 전위가 각각의 프레임에서의 평균 계조에 반비례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일정한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주사 펄스가 어느 한 게이트 전극 라인에 인가되는 동안에,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보다 높은 바이어스 전위에서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로 하강하는 데이터 펄스들이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에 인가되는 전자 방 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구동 단자들과 가장 가까운 게이트 전극 라인의 기준 전위가 상기 캐소드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보다 높은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펄스들 각각의 폭이 디스플레이 계조에 비례하여 변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에 상기 주사 펄스의 최고 전위보다 높은 정극성 전위가 인가되는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40111099A 2004-12-23 2004-12-23 주사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72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99A KR20060072453A (ko) 2004-12-23 2004-12-23 주사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JP2005180517A JP2006178394A (ja) 2004-12-23 2005-06-21 走査電極ラインの基準電位が可変となる電子放出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電子放出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
CNB2005101270117A CN100466032C (zh) 2004-12-23 2005-11-25 电子发射显示器以及驱动该电子发射显示器的方法
US11/305,137 US20060139249A1 (en) 2004-12-23 2005-12-19 Electron emission display and a method of driving the electron emission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099A KR20060072453A (ko) 2004-12-23 2004-12-23 주사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453A true KR20060072453A (ko) 2006-06-28

Family

ID=3661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099A KR20060072453A (ko) 2004-12-23 2004-12-23 주사 전극 라인들의 기준 전위가 변하는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39249A1 (ko)
JP (1) JP2006178394A (ko)
KR (1) KR20060072453A (ko)
CN (1) CN10046603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563B1 (ko) * 2008-08-20 2015-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TWI457900B (zh) * 2008-10-15 2014-10-21 Princeton Technology Corp 驅動電路回饋檢測方法
CN103971635B (zh) * 2014-04-21 2016-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驱动信号补偿方法及装置和显示器
US11294391B2 (en) * 2019-05-28 2022-04-05 Pixart Imaging Inc. Moving robot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uracy of step distance
US11809195B2 (en) 2019-05-28 2023-11-07 Pixart Imaging Inc. Moving robot with improved identification accuracy of carpe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0703A (en) * 1989-06-30 1992-07-14 Poqet Computer Corp. Power system and scan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30094B1 (ko) * 1998-08-11 2004-07-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티브매트릭스액정표시장치및그방법
JP4505868B2 (ja) * 1999-03-12 2010-07-21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電界放出型表示装置の輝度補償回路
JP3969981B2 (ja) * 2000-09-22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源の駆動方法、駆動回路、電子源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108270A (ja) * 2000-09-28 2002-04-10 Sharp Corp 映像表示装置
TWM309746U (en) * 2000-10-19 2007-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riving apparatus for a field emission device, field emission device, electron source, light source, image display apparatus, electron gun, electron beam apparatus, cathode ray tube, and discharge tube
US7057586B2 (en) * 2001-03-20 2006-06-06 Lg Electronics Inc. Flat panel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TW533391B (en) * 2001-12-27 2003-05-21 Ind Tech Res Inst Improved field emitting display driving method
JP2003316292A (ja) * 2002-04-19 2003-11-07 Ricoh Co Ltd 表示装置
KR100469391B1 (ko) * 2002-05-10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탈-인슐레이터-메탈 전계방출 디스플레이의 구동회로 및방법
KR20040066270A (ko) * 2003-01-17 2004-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카본계 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층이 형성된 애노드 기판을갖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3985736B2 (ja) * 2003-06-18 2007-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39249A1 (en) 2006-06-29
CN100466032C (zh) 2009-03-04
CN1794321A (zh) 2006-06-28
JP2006178394A (ja)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7519B1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luminance correction device for display panel, and driving device for display panel
US7679628B2 (en)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9019181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ing bipolar column drivers
CN209947399U (zh) Led显示系统
US7379079B2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60127193A (ko) 표시 장치와 표시 방법
KR100559266B1 (ko) 표시 장치
US7277105B2 (en)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atrix panel
KR20040110965A (ko) 표시 장치
JP2006178394A (ja) 走査電極ラインの基準電位が可変となる電子放出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電子放出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
US20050264222A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EED) with decreased signal distortion and method of driving EED
US20050264223A1 (en) Method of driving electron emission device with decreased signal delay
US20070262927A1 (en)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1999018560A1 (en) Method for providing a gray scale in a field emission display
KR100296872B1 (ko) 전계방출표시소자로이루어지는디스플레이패널의자동휘도보정장치및그구동방법
US805430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correction circuit thereof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525779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4302403B2 (ja) 電界放出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駆動装置及び電界放出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281798A (ja) 映像表示装置
KR20060095721A (ko) 데이터 구동부의 출력 전위가 단계적인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58223A (ja) 画像表示装置
KR100548258B1 (ko) 전계 방출 표시 패널의 색 보정 장치
JP2005078017A (ja) 輝度調整装置、輝度調整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60267506A1 (en) Image display device
JPH01163794A (ja) 2値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